KR20230107185A -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 Google Patents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185A
KR20230107185A KR1020230086662A KR20230086662A KR20230107185A KR 20230107185 A KR20230107185 A KR 20230107185A KR 1020230086662 A KR1020230086662 A KR 1020230086662A KR 20230086662 A KR20230086662 A KR 20230086662A KR 20230107185 A KR20230107185 A KR 20230107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protruding wall
stacked
ecological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6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민
Original Assignee
경성특수콘크리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특수콘크리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성특수콘크리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6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185A/ko
Publication of KR2023010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에 대한 발명이 개시 된다.
개시된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은, 바닥으로부터 나열하면서 적층시 블록본체의 양단이 인접 위치되는 블록본체의 각각의 밀림억지용 정착홈 내부에 위치시키면서 각 블록본체들을 연결되는 상태로 적층하되 블록본체의 앞쪽 양단은 정착홈에 지지되게 하는 반면 후측은 경사 지면에 지지되게 하는 블록본체의 자중에 의한 전방 및 측방 쏠림을 억제하고, 또한 상기 정착홈들을 형성하는 돌출벽부들에 의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사 계단은 양서류 혹은 파충류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생태 이동로로 제공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Ecological Environment Reinforced Soil Block}
본 발명은 하천이나 제방의 유실 방지나, 토목공사 등으로 형성된 절개지, 또는 도로와 택지 주변의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에 사용하는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에 관한 것이다. 특히 소정 형상의 블록본체 상부면에 형성한 돌출벽부들과 이에 의해 형성되는 밀림억제용 정착홈부에 의해, 인접되는 블록본체 상호 간을 맞물리는 형태로 연결하여 적층할 수 있게 하면서 적층되는 블록본체들이 전방 및 측방으로 밀리는 일이 없도록 억제(stopper)하는 토압지지력을 갖게 한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블록은 하천이나 제방의 측벽 등에 축조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거나 혹은 토목공사로 형성된 절개지의 경사면에 축조되어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는 것은 익히 주지된 사실인데,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보강토 블록들이 하기 특허문헌들에 공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보강토 블록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블록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개시된 내용은 하부 블록과 상부 블록을 보강재에 의하여 결합하면서 일렬로 적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보강토 블록은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블록자체의 자중에 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폭우 등의 이상 기후 변화가 있게 되는 경우 배수 조건에 따른 토압지지력의 약화로 인한 보강토 블록의 밀림 현상 발생을 초래하여 인명 피해를 입게 하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도 '블록몸체 상면에서 함몰되어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공간과, 상기 물 저장공간과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식생공간과, 상기 물저장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별개의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물 저장공간이 구비된 식생 보강토블록'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3에도 '하안, 해안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둑 또는 제방의 토사가 지반 침하나 홍수로 인한 수압 및 유수에 의한 세굴로 인해 붕괴 또는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시공되는 제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하천, 호수 등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이 소정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벽을 이루고, 평면에는 제1끼움 돌기(제1끼움홈)가 형성되며, 중공은 개구된 정면을 통해 개방되 침수되면서 상기 비탈면 저부의 기초공 상에 조적되는 어소블록; 상기 어소블록의 평면을 덮되 상기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은 상기 경사벽에 상응하는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상기 경사벽과 연면되도록 조적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제1끼움홈)와 맞물리는 제2끼움홈(제2끼움돌기)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2끼움돌기(제2끼움홈)가 형성되는 어소블록덮개; 상기 어소블록덮개의 평면을 덮되 상기 비탈면과 접촉되는 배면은 상기 경사면에 상응하는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벽으로 되어 상기 경사면과 연면되도록 조적되고, 중공은 평면개구되고 저면에는 관통된 배수구가 구비된 식재공간을 이루며, 저면에는 상기 제2끼움돌기(제2끼움홈)와 맞물리는 제3끼움홈(제3끼움돌기)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3끼움돌기(제3끼움홈)가 형성된 식생블록; 및, 상기 식생블록의 평면을 덮어 상기 식재공간을 폐구하되, 저면에는 상기 제3끼움돌기(제3끼움홈)와 맞물리는 제4끼움홈(제4끼움돌기)이 형성된 식생블록덮개로 이루어진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 3 역시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이 보강블록을 단지 일렬로 적층하여 쌓아서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특허문헌 1의 종래기술과 같이 블록자체의 자중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폭우 등의 이상 기후 변화가 있게 되는 경우 특허문헌 1과 같은 문제는 그대로 있게 된다.
따라서 이상 기후변화에 따른 폭우 시에도 밀림 현상이 발생 됨이 없는 토압지지력을 발휘하는 보강토 블록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공개번호 제10-2005-0078674호 KR 등록번호 제10-0998674호 KR 등록번호 제 20-03762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소정 형상의 블록본체의 상부면에 형성한 돌출벽부와 이 돌출벽부에 의해 형성된 밀림억제용 정착홈부에 의해, 하부로부터 나열되면서 적층되는 블록본체 상호간을 맞물리는 형태로 연결하여 적층되는 블록 상호간이 전방 및 측방으로 밀리는 일이 없도록 억제하는 토압지지력을 갖게 하였고, 또한 돌출벽부에는 양서류 혹은 파충류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생태 이동로로 제공될 수 있게 한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은, 장방형상의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위에서 보아 T자형을 이루게 상기 블록본체의 중앙부위와 전방부 각각으로 전 길이에 걸쳐 설치된 중앙 돌출벽부와 전방돌출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돌출벽부의 양측으로는 미끄럼 방지홈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된 돌출벽부; 및 상기 돌출벽부들에 의해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 양측으로 어느 일측 및 전방만이 폐쇄되고 나머지부위는 모두 개방되게 형성된 밀림억제용 정착홈들; 을 포함하여, 하부에 나열된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로 또 다른 블록본체를 적층시 적층되는 블록본체의 양단이 하부에 위치한 블록본체의 정착홈에 정착되게 하여 상기 블록본체 상호간을 맞물리는 형태로 연결되게 하되, 적층되는 블록본체의 후방부의 일부는 시공 지면에 지지되게 하면서 나머지 전방부의 양단은 상기 정착홈 내에 수용되는 상태로 지지되게 하여 적층되는 블록본체들이 전방과 측방으로 밀림이 없도록 억제하는 토압 지지력을 갖게 하였다.
하기 실시 예에 의하면, 적층되는 불록본체 상하부 상호간의 밀림 억지용 정착홈들에 의한 스토퍼 기능을 갖게 하는 맞물림 구조에 의하여 폭우에도 전방 혹은 측방으로 밀리는 일이 없는 견실한 토압지지력을 유지하는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블록 본체의 전방으로는 제공되는 생태로에 의해 양서류 혹은 파충류들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생태환경 보호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의 외관을 표시한 사시 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2(c)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 표시의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의 최하부 시공 예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1 표시의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의 2단 시공 예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3(c)는 도 3(b)를 위에서 본 것을 표시한 도면이며,
도 3(d)는 도 1 표시의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의 3단 시공 예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3(e)는 도 3(d)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3(e)를 우측에서 보아 보강토 블록의 적층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을 적층하여 완성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을 호안 시공에 적용된 경우의 일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 예나 이 실시 예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이하의 발명 내용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정면" "전방" 등의 방향 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후면", "후방" 등의 방향 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인식 보강토 블록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의 외관을 표시한 사시 도이고, 도 2(a), 2(b), 및 2(c)는 도 1의 정면도, 평면도 그리고 우측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100)은 시멘트 몰탈과 골재의 혼합물로 규정 강도를 충족하게 제작되는 것으로, 시공지역의 기초부에 쉽게 나열하거나 혹은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100)끼리 적층 하기가 쉽도록 하고자,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100)은 상하부면은 편평하게 형성되는 대략 장방 형상의 블록본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본체(110)의 성형시 상기 블록본체(110)의 상부면 중앙 및 전방으로는 각각 중앙돌출벽부(121)와 전방돌출벽부(122)를 설치하여 상기 블록본체(110)의 상부 좌우 양측으로는 어느 일측 및 전방만이 폐쇄되고 나머지부위는 개방된 형태의 밀림억제용 정착홈들(123a,123b)이 각각 형성되게 하였다. 상기 중앙돌출벽부(121)와 전방돌출벽부(122)에 의하여 돌출벽부를 구성한다.
즉, 도 2(a)의 표시와 같이, 중앙돌출벽부(121)와 전방돌출벽부(122)는 도 2(a)의 표시와 같이, 상기 블록본체(110)의 중앙부와 전방부의 각각 전 길이에 걸쳐서 각각 돌출설치되어 위에서 보아 대략 T자형을 이루게 됨에 의해, 상기 블록본체(110)의 좌우 양측으로는 어느 일측 및 전방만이 폐쇄되고 나머지 부위는 개방되는 상기 정착홈들(123a,123b)이 형성되게 한 것이다.
상기 블록본체(110)의 좌우 양측으로 정착홈들(123a,123b)이 형성되게 한 이유는, 하부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블록(100)의 상부로 다른 블록을 적층함에 있어, 적층되는 블록의 양단이 하부에 이미 나열된 블록(100) 좌우측의 정착홈들(123a,123b)의 내부로 수용되는 상태로 놓아서 블록 상호 간을 연결할수 있게 하하여, 상기 정착홈들(123a,123b)을 형성하는 상기 중앙돌출벽부(121)와 전방돌출벽부(122)에 의해서는 정착홈(123a,123b)에 수용되어 적층되는 블록(100)의 양단이 전방은 물론 측방으로도 밀리는 일이 없도록 억제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블록에 강한 유동토압이 미치더라도 적층된 블록들이 전방은 물론 측방으로도 밀려나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상세 구성은 후술하는 도 3에 표시하였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블록본체(110)의 적층과정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되는 전방돌출벽부(122)의 양측은 미끄럼 방지홈이 각설된 경사면(122-1a,122-1b)으로 형성하여 경사면(122-1a,122-1b)으로 하여금 지그재그 형태의 계단식의 경사면을 이루게 하여 양서류 혹은 파충류의 생태 이동로로 제공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110)의 바닥부에는 배수홈(125)을 설치하여 유동 토압 분산을 위한 배수 작용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블록본체(110)와 전방돌출벽부(122)에 의해 형성되는 블록(100)의 전면부위에는 필요에 따라서 시공 지역의 주위환경에 맞는 다양한 조각이나 무늬(128) 등을 설치하여 미려한 생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3(a), 3(b), 3(c), 3(d) 및 3(e) 는 도 1 표시의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의 시공 예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e)를 우측 방향에서 보아 보강토 블록의 적층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의 시공 예를 설명한다.
도 3(a)의 표시와 같이, 보강토 블록(100)..(100n)을 시공할 기초 바닥(10)에 소정 간격(d)을 두고 나열한다. 보강토 블록(100)..(100n)의 나열은 시공지역의 배수조건 및 하중검토를 통한 기초부 포설(鋪設)후 나열함이 바람직하다.
도 3(b) 및 도 3(c)의 표시와 같이, 나열된 보강토 블록(100)의 상부로 또 다른 보강토 블록(100a)을 적층함에 있어서, 적층되는 블록(100a)의 블록본체(110a)의 양단이 하부에 위치한 보강토 블록(100)의 블록본체(110)의 정착홈(123a,123b)에 수용되는 상태로 정착되게 하여 블록본체(110,110a)의 상호 간을 맞물리는 형태로 연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호 적층 상태를 이루게 되는 보강토 블록(100,100a)은, 도 4의 표시와 같이, 하부블록(100)으로부터 연속하여 적층되는 블록(100a,100b)은 블록본체(110a,110b)가 하부에 위치하는 블록(100,100a)의 전방돌출벽부(122)의 두께만큼 후측으로 돌출되면서, 후방부위는 시공 경사지역에 지지된다.
하지만, 전방부위는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블록(100)의 정착홈들(123a,123b)에 정착되어 이 정착홈들(123a,123b)을 형성하는 중앙돌출벽부(121)와 전방돌출벽부(122)로 이루어진 돌출벽부에 지지되게 하면서 적층되는 블록 상호 간이 중앙돌출벽부(121)와 전방돌출벽부(122)에 의해 전방 혹은 측방으로 밀려나가는 일이 없게 하는 스토퍼 기능을 하게 한다.
따라서 적층 상태의 블록들(100,100a,100b)이 상호 끼움 연결식으로 만들어지는 옹벽과 같은 구조물은 폭우에 의한 유동토압이 작용하더라도 블록들이 전방이나 측방으로 밀려서 쉽게 붕괴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견실한 토압지지력을 발휘하게 한다.
도 3(d) 및 도 3(e) 표시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을 3단으로 시공한 예를 표시한 것인데, 본 실시 예는 보강토블록들(100,100a,100b)을 3단으로 적층하는 것만이 상기 실시 예와 상이할 뿐 그 밖의 적층 방법은 동일하여 별도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1의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을 도 3의 시공에 따라 완성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보강토블록들(100,100a,100b)의 전방돌출벽부(122)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홈을 갖는 경사면(122-1a,122-1b)은 보강토블록들(100,100a,100b)의 적층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되면서 지그재그 형태의 계단식의 경사로를 이루게 하여 양서류 혹은 파충류의 생태 이동로로 제공될 수 있게 하는 생태환경 조성기능을 부여한다.
또한 적층된 보강토블록들(100,100a,100b)의 블록본체(110)의 바닥부에 제공된 각 배수홈(125)들은 도 3(e)에 확대 표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보강토블록들(100,100a,100b)의 중앙 돌출벽부(121)의 상면과 각각 접하면서 다수개의 배수구를 형성하여 폭우시 유동 토압을 분산을 위한 배수 기능을 하게 된다.
또 도 3(e)에서 확대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본체(110)와 전방돌출벽부(122)에 의해 형성되는 보강토블록(100,100a,100b)의 각 전면부위에는 필요에 따라서 시공 지역의 주위환경에 맞는 다양한 조각이나 무늬(128) 등을 설치하여 생태 환경 조성에 일조를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을 호안 시공에 적용된 경우의 일 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들(100,100a,100b)을 호안 시공에 적용시, 상기 실시 예와 같이 토압에 대한 전방 밀림을 방지하는 토압지지력을 유지하게 하면서도 최하부로는 보강토 블록(100)의 구조상 간격(d)(도 3(a) 참조)을 두고 배치됨으로 인해 형성되는 무수한 공간(130)들은 물고기들이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지낼 수 있는 어소(漁所)로 제공되게 하여, 물고기의 생태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절개지 등에 설치되는 보강블록 구조물을 폭우에도 전방 및 측방으로 밀리는 일이 없는 토압지지력을 갖게 하면서 생태 환경 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100 :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110 : 블록본체
121 : 중앙 돌출벽부
122 : 전방 돌출벽부
123a,123b : 밀림억제용 정착홈
122-1a,122-1b : 경사면
125 : 배수홈

Claims (1)

  1. 장방형상의 블록본체 ;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위에서 보아 T자형을 이루게 상기 블록본체의 중앙부위와 전방부 각각으로 전 길이에 걸쳐 설치된 중앙 돌출벽부와 전방돌출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돌출벽부의 양측으로는 미끄럼 방지홈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된 돌출벽부;
    상기 돌출벽부들에 의해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 양측으로 어느 일측 및 전방만이 폐쇄되고 나머지부위는 모두 개방되게 형성된 밀림억제용 정착홈들; 을 포함하여, 하부에 나열된 상기 블록본체의 상부로 또 다른 블록본체를 적층시 적층되는 블록본체의 양단이 하부에 위치한 블록본체의 정착홈에 정착되게 하여 상기 블록본체 상호간을 맞물리는 형태로 연결되게 하되, 적층되는 블록본체의 후방부의 일부는 시공 지면에 지지되게 하면서 나머지 전방부의 양단은 상기 정착홈 내에 수용되는 상태로 지지되게 하여 적층되는 블록본체들이 전방과 측방으로 밀림이 없도록 억제하는 토압 지지력을 갖게 한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KR1020230086662A 2020-10-12 2023-07-04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KR20230107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662A KR20230107185A (ko) 2020-10-12 2023-07-04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007A KR20220048174A (ko) 2020-10-12 2020-10-12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20230086662A KR20230107185A (ko) 2020-10-12 2023-07-04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007A Division KR20220048174A (ko) 2020-10-12 2020-10-12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185A true KR20230107185A (ko) 2023-07-14

Family

ID=813917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007A KR20220048174A (ko) 2020-10-12 2020-10-12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20230086662A KR20230107185A (ko) 2020-10-12 2023-07-04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007A KR20220048174A (ko) 2020-10-12 2020-10-12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4817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256Y1 (ko) 2004-12-03 2005-03-11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KR20050078674A (ko) 2004-01-31 2005-08-08 최경동 블록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연결장치
KR100998674B1 (ko) 2010-04-15 2010-12-06 (주)태웅기업 물저장공간이 구비된 식생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674A (ko) 2004-01-31 2005-08-08 최경동 블록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연결장치
KR200376256Y1 (ko) 2004-12-03 2005-03-11 유한회사 씨제이건설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KR100998674B1 (ko) 2010-04-15 2010-12-06 (주)태웅기업 물저장공간이 구비된 식생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174A (ko)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1298B2 (en) Flood levee and barrier module and system
JP3258995B2 (ja) 地下貯水構造物
US20100074687A1 (en) Pipeline Protection and Levee Module System
US20050100418A1 (en) Ecological block and vegetation bank protection
JP4835940B2 (ja) 堤脚保護擁壁およびその構築工法
US6890127B1 (en) Subsurface platforms for supporting bridge/culvert constructions
KR20230107185A (ko)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JP7285392B2 (ja) L型ケーソン構造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101219658B1 (ko) 웅덩이형 수제의 시공 방법
KR200376256Y1 (ko)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KR100828222B1 (ko) 육각형상의 다기능 블럭
KR200300440Y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블록
JP4776694B2 (ja) 港湾構造物及びこのような構造物の建設方法
KR20060082370A (ko)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JP3462474B2 (ja) 生態系に配慮した護岸構造及び生態系護岸用ブロック
JP3249048B2 (ja) 橋梁式魚道
KR102279530B1 (ko)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
JP4220419B2 (ja) 護岸ブロックおよび護岸構造ならびに護岸の構築方法
KR100645315B1 (ko) 하천 제방블록의 설치구조
KR200410820Y1 (ko) 하천 옹벽기초 세굴방지구조
CN106320267A (zh) 桩式复合挡墙
JP2006188847A (ja) 河川・砂防構造物および河川・砂防構造物構築用ブロック材
JP3390128B2 (ja) 防波堤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369896Y1 (ko) 어소겸용 식생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