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530B1 -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 - Google Patents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530B1
KR102279530B1 KR1020210012826A KR20210012826A KR102279530B1 KR 102279530 B1 KR102279530 B1 KR 102279530B1 KR 1020210012826 A KR1020210012826 A KR 1020210012826A KR 20210012826 A KR20210012826 A KR 20210012826A KR 102279530 B1 KR102279530 B1 KR 102279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haped
shore
width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건
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건, 박재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건
Priority to KR1020210012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계단형으로 적층 구비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판상형 호안블록에 있어서, 상기 호안블록은 호형의 전면부와 후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폭은 후면부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어 양측에는 전체적으로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측면부가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면부와 하면부는 플랫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인접한 호안블록 사이에 별도의 결속장치를 구비하거나 다른 형상의 단위블록을 추가적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이 단일 형상의 단위 호안블록만으로도 시공이 가능하므로 경제성과 시공 효율성이 도모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Fan-shaped Revetment Block and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it}
본 발명은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형으로 적층 구비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판상형으로 형성되며, 호형의 전면부와 후면부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전체적으로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측면부가 형성되어 단일 형상의 단위 호안블록만으로도 인터락킹이 구현되는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해안에 인접 형성되는 강기슭이나 제방에는 강우나 유수 및 파랑에 의하여 토사 침식 및 세굴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토사 침식이나 세굴 현상은 심할 경우 지반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지자체에서는 하천이나 해안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호안블록을 설치한다.
이러한 호안블록 구조물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도 있으나, 비용이 고가이고 시공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모듈화된 블록을 제작한 후, 현장에 운반하여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최근에는 친환경 이슈가 부각됨에 따라 호안블록에 식생기능이 권장되고 있으며, 식생기능의 가부에 따라 식생 호안블록과 보통 호안블록으로 구분하여 정의되고 있다.
종래의 호안블록은 일반적으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성과 운반성을 고려하여 법면과 나란하게 연속 배치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법면을 덮도록 시공되었다. 즉, 호안블록 자체도 법면의 경사와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었으며, 인접한 블록간에는 추가적인 체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강우나 유수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법면의 경사가 급격하거나 토질이나 토압에 의하여 토사의 붕괴가 우려되는 곳에서는 설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배면에 지반층으로 네일링을 하였으나, 시공이 번거롭고 지반이 안정적이지 않은 곳에서는 네일링도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이에 중량의 호안블록을 폭방향으로 연속 배치하면서도, 전후방향으로도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적층된 계단형 구조의 호안블록 설치 구조물을 시공함으로써 자중에 의한 토압 지지를 구현하였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30363호의 '결속구에 의해 연결되는 계단형 호안블록'(2016. 06. 08.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블록몸체(1) 사이에 결속구(2)를 구비하여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후, 앵커(3)가 결속구(2)를 관통하도록 블록몸체(1)에 고정시켜 시공오차의 발생을 방지하고, 시공 효율성이 도모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현장으로 블록몸체(1)를 운반한 후에도 인접 블록몸체(1) 사이에 결속구(2)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구(2)에 앵커를 관통시키는 세부 과정이 요구됨에 따라 시공 효율이 저하되고 공기가 길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무엇보다, 토질의 특성상 시공오차가 발생되기 쉬운 해안에는 설치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며, 강우나 파랑에 의하여 결속구(2)가 파손되는 경우 유지관리가 어려워 결국 블록몸체(1)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운반성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블록몸체(1)의 자중이 경감되는 경우에는 인터락킹에도 불구하고 유동이나 유실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으며, 상기 블록몸체(1)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공간부로 유입된 우수가 원할히 배출되지 못하여 세굴 현상을 일으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결속장치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 효율성을 도모하면서도 안정적인 인터락킹이 구현되어 폭우나 강한 유속에 의한 유동이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적층된 호안블록 사이에 발생되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파랑 에너지의 효과적인 소산을 도모함과 동시에 배면의 토사층이 구비되도록 하여 지반 일체화를 구현하고, 다방향으로 접촉면을 형성하여 파랑에 의한 부양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인 저항이 가능하며, 우수나 유수의 원할한 배수를 유도하여 세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채꼴 호안블록(RB)은 계단형으로 적층 구비되도록 소정의 두께(d)를 지니는 판상형 호안블록(RB)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호안블록(RB)은 호형의 전면부(10)와 후면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0)의 폭(w1)은 후면부(20)의 폭(w2) 보다 넓게 형성되어 양측에는 전체적으로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측면부(30)가 형성되며, 상면부(40)와 저면부(50)는 플랫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0)의 중심 하부에는 전면부 폭(w1) 보다 좁고, 두께(d) 보다 낮은 전면 소산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20)의 중심 하부에는 후면부 폭(w2) 보다 좁고, 두께(d) 보다 낮은 후면 소산홈(21)이 형성되되, 상기 전면 소산홈(11)과 후면 소산홈(21)은 상호 분리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30)는 전면부(10)의 양단에서 후방 외측으로 제1 외향 경사면(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향 경사면(31)에서 후방 내측으로 내향 경사면(32)이 형성되며, 상기 내향 경사면(32)에서 후방 외측으로 제2 외향 경사면(33)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외향 경사면(31)과 제2 외향 경사면(33)은 동일한 길이와 경사 각도를 지니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30)와 상면부(40) 사이에는 소정의 각도로 챔퍼부(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상면부(40)의 표면에는 전면부(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미끄럼 방지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호안블록 설치 구조체(BS)는 복수의 판상형 호안블록(RB)이 폭방향으로 연속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는 계단형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호안블록(RB)은 호형의 전면부(10)와 후면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0)의 폭(w1)은 후면부(20)의 폭(w2) 보다 넓게 형성되며, 양측에는 전체적으로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측면부(30)가 형성되어 폭방향으로는 호안블록(RB)의 전후가 견번으로 반전되게 연속 배치됨으로써 인접 호안블록(RB)의 측면부(30)가 상호 맞닿도록 구비되고, 후방 상부에 배치된 호안블록(RB)은 전방 하부에 배치된 한 쌍의 호안블록(RB)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채꼴 호안블록(RB)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BS)에 의하면, 호안블록의 양측에는 전체적으로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측면부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단위 호안블록의 전후방향을 격번으로 반전되게 연속 배치함으로써 인터락킹이 구현된 호안블록 설치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인접한 호안블록 사이에 별도의 결속장치를 구비하거나 다른 형상의 단위블록을 추가적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이 단일 형상의 단위 호안블록만으로도 시공이 가능하므로 경제성과 시공 효율성이 도모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인접 호안블록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측면부는 연속적으로 그 방향을 달리하는 제1 외향 경사면과 내향 경사면 그리고 제2 외향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인 인터락킹이 구현됨으로써, 폭우나 강한 유속에 의한 유동이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인접한 호안블록간에 안정적인 인터락킹을 구현할 수 있다.
무엇보다 파랑에 의한 부양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다방향으로 형성된 측면부의 접촉을 통한 마찰력으로 효과적인 저항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에는 각각 전면 소산부와 후면 소산부가 형성되어 파랑 에너지의 효과적인 소산을 도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소산부와 후면 소산부가 지반 토사층이 있는 배면을 향하는 경우에는 배면의 토사층이 구비되도록 하여 지반 일체화를 구현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면 소산부와 후면 소산부는 수중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수중생물의 서식지로 기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측면부를 따라 소정의 각도로 챔퍼부가 형성되어 인접 호안블록과 맞닿도록 배치됨으로써 챔퍼부 사이에 배수골이 형성되어 우수나 유수의 원할한 배수를 유도하여 세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갑각류와 같이 틈새 환경에 서식하는 수중생물의 서식지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면부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홈이 형성되어 시공과정에서 적층된 호안블록 사이에 발생되는 미끄러짐을 방지할 있으며, 보행자의 안정적 보행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호안블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채꼴 호안블록을 이용한 설치 구조체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채꼴 호안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채꼴 호안블록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및 도 4의 A-A' 방향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채꼴 호안블록을 이용한 설치 구조체의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채꼴 호안블록을 이용한 설치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채꼴 호안블록(RB)은 계단형으로 적층 구비되도록 소정의 두께(d)를 지니는 판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호안블록(RB)은 배면에 지반의 토사가 구비되도록 계단형으로 적층되어 자중으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아울러 지반의 토압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강우나 급격한 유수의 흐름, 강한 파랑에 의하여 토사가 유실되어 세굴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충분한 자중을 지니도록 폭방향 길이는 2.5m 내외, 전후방향 길이는 2.0m 내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설치 현장이나 유수의 특성에 부합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폭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인접한 호안블록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전후방향은 그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부채꼴 호안블록을 이용한 설치 구조체(BS)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는 부채꼴 호안블록(RB)이 그 높이를 달리하여 적층 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채꼴 호안블록(R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의 전면부(10)와 후면부(20)가 형성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10)와 후면부(20)는 격번으로 전후방향이 반전되도록 배치되는바, 상기 전면부(10)와 후면부(20)는 배치방향에 따라 수면을 향하거나 지반의 토사를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일부는 토사에 매립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10)의 폭(w1)은 후면부(20)의 폭(w2) 보다 넓게 형성되어 양측에는 전체적으로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측면부(30)가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부(10)와 후면부(20)는 인접한 호안블록(RB) 사이에 배치됨에 있어서 맞닿지 않는 부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30)는 평면형으로 형성됨은 물론 곡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방향을 달리하는 복수의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곡률을 달리하는 복수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호안블록의 전후방향을 격번으로 반전되게 연속 배치함으로써 인터락킹이 구현된 호안블록 설치 구조체(BS)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부(30)의 형상과 관련하여 전면부(10)의 단부와 후면부(20)의 단부를 잇는 가상의 선이 후방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인접 호안블록(RB)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됨이 없이 인접 측면부(30)가 밀착하여 접촉될 수 있는 형태라면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채꼴 호안블록(RB)은 상면부(40)와 하면부(50)가 플랫하게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호안블록(RB)이 전후방향으로 연속되게 적층되어 자중에 의하여 지반에 의한 배면 토압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채꼴 호안블록(RB)에 의하면, 인접한 호안블록(RB) 사이에 별도의 결속장치를 구비하거나 다른 형상의 단위블록을 추가적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이 단일 형상의 단위 호안블록(RB)만으로도 시공이 가능하므로 경제성과 시공 효율성이 도모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안블록(RB)은 전면부(10)와 후면부(20)가 호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전체적으로 보아 부채꼴 형상 또는 가리비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호안이나 해안에 설치시 보행자나 기타 관광객의 시선을 이끄는 디자인적 요소로도 기능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채꼴 호안블록(RB)의 저면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10)의 중심 하부에는 전면부 폭(w1) 보다 좁고, 두께(d) 보다 낮은 전면 소산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후면부(20)의 중심 하부에는 후면부 폭(w2) 보다 좁고, 두께(d) 보다 낮은 후면 소산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10)와 후면부(20)에 각각 형성된 전면 소산부(11)와 후면 소산부(21)가 수변을 향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는 파랑 에너지의 소산이 이루어지도록 기능하며, 상기 전면 소산부(11)와 후면 소산부(21)가 지반 토사층이 있는 배면을 향하는 경우에는 배면의 지반 토사가 구비되도록 하여 지반 일체화를 구현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전면 소산부(11)와 후면 소산부(21)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수중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수중생물의 서식지로 기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전면 소산부(11)와 후면 소산부(21)는 현장에서 크레인으로 인양 거치함에 있어서 걸림부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부(30)는 전면부(10)의 양단에서 후방 외측으로 형성된 제1 외향 경사면(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향 경사면(31)에서 후방 내측으로 내향 경사면(32)이 형성되며, 상기 내향 경사면(32)에서 후방 외측으로 제2 외향 경사면(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측면부(30)가 방향을 달리하는 복수의 평면으로 구성되면서도 인접 호안블록(RB)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됨이 없이 인접 측면부(30)가 밀착하여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면부(30)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안정적인 인터락킹이 구현될 수 있다. 이로써, 폭우나 강한 유속에 의한 호안블록(RB)의 유동이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인접한 호안블록(RB)간에 안정적인 인터락킹을 구현할 수 있다.
무엇보다 호안블록(RB)은 판상형으로 형성되고,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전면 소산홈(11)과 후면 소산홈(21)이 형성되어 파랑에 의한 부양력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다방향으로 형성된 측면부(30)의 제1,2 외향 경사면(31)(33) 및 내측 경사면(32)의 면접촉을 통한 마찰력으로 효과적인 저항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측면부(30)의 제1,2 외향 경사면(31)(33)과 내측 경사면(32)은 평면이 아닌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측면부(30)가 방향을 달리하는 복수의 곡면으로 구성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한 쌍의 측면부(30)는 대칭형이 아니라 인접 호안블록(RB)의 측면부(30)와 면접촉될 수 있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부(30)의 제1 외향 경사면(31)과 제2 외향 경사면(33)를 형성함에 있어서 동일한 길이와 경사 각도를 지니도록 형성함으로써, 단위 호안블록(RB)의 전후방향을 격번으로 반전되게 연속 배치할 수 있고, 이로써 시공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외향 경사면(31)과 제2 외향 경사면(33)은 내향 경사면(32) 사이에 급격한 경사 각도 변경에 의하여 구조적 취약부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내향 경사면(32)과 제1 외향 경사면(31) 사이에는 제1 수직 챔퍼부(35)가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내향 경사면(32)와 제2 외향 경사면(33) 사이에도 제2 수직 챔퍼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수직 챔퍼부(35)와 제2 수직 챔퍼부(36)는 동일한 길이와 경사 각도로 형성되어 폭방향으로 인접 배치되는 호안블록(RB)의 제2 수직 수직 챔퍼부(36) 및 제1 수직 챔퍼부(35)와 면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30)와 상면부(40) 사이에는 소정의 각도로 챔퍼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측면부(30)의 제1 외향 경사면(31), 내측 경사면(32) 및 제2 외향 경사면(33)과 상면부(40) 사이에 각각 소정의 각도를 지니도록 챔퍼부(34a)(34b)(34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퍼부(34)는 인접한 호안블록(RB)의 챔퍼부(34) 사이에 챔퍼부 사이에 배수골(T)이 형성되어 우수나 유수의 원할한 배수를 유도할 수 있다. 한 쌍의 챔퍼부(34) 사이에 마련되는 배수골(T)을 따라 안정적인 배수가 유도되어 세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배면의 지반 토사에 유입된 우수가 상기 배수골(T)을 따라 배수될 수 있다. 또한, 해안에 설치되는 경우 갑각류와 같이 틈새 환경에 서식하는 수중생물의 서식지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측면부(30)의 첨퍼부(34)를 따라 하부에는 수팽창 지수재(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골(T)을 따라 흐르는 각종 유수나 지반의 지하수가 하부 토사층으로 스며들어 지반을 침하시키거나 세굴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팽창 지수재(37)는 벤토나이트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수분이 접촉하는 경우 체적이 약 3~6배 정도 팽창하여 공극을 충진하는 지수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 고무 지수판에 비해 시공이 간편하고, 반영구적이며 내구성면에서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면부(40)의 표면에는 전면부(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미끄럼 방지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홈(41)은 시공과정에서 적층된 호안블록 사이에 발생되는 미끄러짐을 방지할 있으며, 보행자의 안정적 보행을 유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암석에 부착 서식하는 수중생물의 서식지로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미끄럼 방지홈(41)은 전면부(10)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방 상부에 위치한 호안블록(RB)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골(T)의 하부로 상기 미끄럼 방지홈(41)이 위치하도록 하여 우수의 연속적인 배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배수골(T)에서 미끄럼 방지홈(41)로 연결되고, 다시 배수골(T)로 연결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부(10)와 후면부(20)측의 저면부(50)에도 수팽창 지수재(51)(52)가 구비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유수가 저면부(50)를 통하여 토사층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채꼴 호안블록(RB)을 이용한 설치 구조체(BS)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호안블록 설치 구조체(BS)는 복수의 판상형 호안블록(RB)이 폭방향으로 연속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는 계단형으로 적층되어 형성되어 자중으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아울러 지반의 토압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호안블록(RB)은 호형의 전면부(10)와 후면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0)의 폭(w1)은 후면부(20)의 폭(w2) 보다 넓게 형성되며, 양측에는 전체적으로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측면부(30)가 형성된다.
이로인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는 호안블록(RB)의 전후방향이 격번으로 반전되게 연속 배치됨으로써 인접 호안블록(RB)의 측면부(30)가 상호 맞닿도록 구비되어 안정적인 2차원 인터락킹이 구현될 수 있으며, 후방 상부에 배치된 호안블록(RB)은 전방 하부에 배치된 한 쌍의 호안블록(RB) 사이에 배치되어 자중으로 전방 하부의 호안블록(RB)을 가압하여 3차원 인터락킹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채꼴 호안블록을 이용한 설치 구조체(BS)는 인접한 호안블록(RB) 사이에 별도의 결속장치를 구비하거나 다른 형상의 단위블록을 추가적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이 단일 형상의 단위 호안블록(RB)만으로도 시공이 가능하므로 경제성과 시공 효율성이 도모된다.
이상 본 발명의 부채꼴 호안블록(RB)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BS)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 기술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RB:호안블록 10:전면부
11:전면 소산홈 20:후면부
21:후면 소산홈 30:측면부
31:제1 외향 경사면 32:내향 경사면
33:제2 외향 경사면 34:챔퍼부
35,36:제1,2 수직 챔퍼부 40:상면부
41:미끄럼 방지홈 50:저면부
T:배수골 BS:호안블록 설치 구조체

Claims (7)

  1. 계단형으로 적층 구비되도록 소정의 두께(d)를 지니는 판상형 호안블록(RB)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호안블록(RB)은 호형의 전면부(10)와 후면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0)의 폭(w1)은 후면부(20)의 폭(w2) 보다 넓게 형성되어 양측에는 전체적으로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측면부(30)가 형성되며, 상면부(40)와 저면부(50)는 플랫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0)의 중심 하부에는 전면부 폭(w1) 보다 좁고, 두께(d) 보다 낮은 전면 소산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20)의 중심 하부에는 후면부 폭(w2) 보다 좁고, 두께(d) 보다 낮은 후면 소산홈(21)이 형성되되, 상기 전면 소산홈(11)과 후면 소산홈(21)은 상호 분리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30)는 전면부(10)의 양단에서 후방 외측으로 제1 외향 경사면(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외향 경사면(31)에서 후방 내측으로 내향 경사면(32)이 형성되며, 상기 내향 경사면(32)에서 후방 외측으로 제2 외향 경사면(33)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외향 경사면(31)과 제2 외향 경사면(33)은 동일한 길이와 경사 각도를 지니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30)와 상면부(40) 사이에는 소정의 각도로 챔퍼부(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꼴 호안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40)의 표면에는 전면부(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미끄럼 방지홈(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꼴 호안블록.
  7. 복수의 청구항 1의 판상형 호안블록(RB)이 폭방향으로 연속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는 계단형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호안블록 설치 구조체(BS)에 있어서,
    각각의 호안블록(RB)은 호형의 전면부(10)와 후면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10)의 폭(w1)은 후면부(20)의 폭(w2) 보다 넓게 형성되며, 양측에는 전체적으로 후방 내측으로 경사진 측면부(30)가 형성되어 폭방향으로는 호안블록(RB)의 전후방향이 격번으로 반전되게 연속 배치됨으로써 인접 호안블록(RB)의 측면부(30)가 상호 맞닿도록 구비되고, 후방 상부에 배치된 호안블록(RB)은 전방 하부에 배치된 한 쌍의 호안블록(RB)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채꼴 호안블록을 이용한 설치 구조체.
KR1020210012826A 2021-01-29 2021-01-29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 KR102279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826A KR102279530B1 (ko) 2021-01-29 2021-01-29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826A KR102279530B1 (ko) 2021-01-29 2021-01-29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530B1 true KR102279530B1 (ko) 2021-07-20

Family

ID=77127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826A KR102279530B1 (ko) 2021-01-29 2021-01-29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5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0113A (ja) * 1988-04-11 1989-10-17 Nippon Purafuoomu Kk 海浜用階段ブロック
JPH0643026U (ja) * 1992-11-16 1994-06-07 株式会社旭ダンケ 護岸用ブロック
KR200318108Y1 (ko) * 2003-03-12 2003-06-27 박병도 호안 블록
KR20100037691A (ko) * 2008-10-02 2010-04-12 (주)태웅기업 회전시공이 가능한 보강토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0113A (ja) * 1988-04-11 1989-10-17 Nippon Purafuoomu Kk 海浜用階段ブロック
JPH0643026U (ja) * 1992-11-16 1994-06-07 株式会社旭ダンケ 護岸用ブロック
KR200318108Y1 (ko) * 2003-03-12 2003-06-27 박병도 호안 블록
KR20100037691A (ko) * 2008-10-02 2010-04-12 (주)태웅기업 회전시공이 가능한 보강토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3928B2 (ja) 環境親和型親水護岸ブロック及びその施工方法
EP1943389B1 (en) Prefabricated breakwater
KR102279530B1 (ko)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
KR200383918Y1 (ko) 토사유실 방지용 호안블럭
JP5832658B2 (ja) 捨石が除去された防波堤構造物
JP5025364B2 (ja) 雨水貯留浸透施設用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KR100650516B1 (ko) 토사유실 방지용 호안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0828222B1 (ko) 육각형상의 다기능 블럭
KR100737331B1 (ko)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KR200376256Y1 (ko)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KR100855150B1 (ko) 토목용 다용도 생태블럭
KR200426901Y1 (ko) 하천 시설용 다용도 블록
KR100708599B1 (ko) 하천 시설용 다용도 블록
JP3462474B2 (ja) 生態系に配慮した護岸構造及び生態系護岸用ブロック
KR101790939B1 (ko) 저수공간이 형성된 옹벽용 블럭
KR101185998B1 (ko) 해수유통구가 형성된 호안블럭의 시공방법
KR101297151B1 (ko) 결속대가 형성된 옹벽용 블럭
KR200366441Y1 (ko) 바구니형 옹벽블록
KR100476836B1 (ko)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45315B1 (ko) 하천 제방블록의 설치구조
KR200451586Y1 (ko)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호안블록
KR200408221Y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100666031B1 (ko) 호안 블럭을 이용한 해안 구조물 축조 공법
KR200408208Y1 (ko)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 녹화구조
KR20230107185A (ko) 생태환경 보강토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