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8108Y1 - 호안 블록 - Google Patents

호안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8108Y1
KR200318108Y1 KR20-2003-0007296U KR20030007296U KR200318108Y1 KR 200318108 Y1 KR200318108 Y1 KR 200318108Y1 KR 20030007296 U KR20030007296 U KR 20030007296U KR 200318108 Y1 KR200318108 Y1 KR 200318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assage
present
waves
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도
Original Assignee
박병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도 filed Critical 박병도
Priority to KR20-2003-0007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81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8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81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B2201/50Devices for sequentially discharging constant liquid quantities, e.g. into different irrigation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도의 흡수 및 분산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그리고 어소 블록의 역할이 가능한 호안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호안블록은 파도가 밀려 들어오는 제1통로와, 상기 제1통를 통해 유입된 파도가 좌우측으로 흩어져 상쇄되도록 상기 제1통로 끝단부로부터 좌우측으로 형성되는 제2통로를 갖는다.

Description

호안 블록{SHORE PROTECTION BLOCK FOR COAST EROSION PREVENTION}
본 고안은 주로 해안을 유수에 의한 파괴와 침식으로부터 지반을 직접 보호하기 위해 해안가에 설치되는 호안 블록에 관한 것이다.
예전에는 해안가를 조성하기 위해 해안가에 축조되는 블록들은 일반적으로 석산 개발에 의한 자연석으로부터 채취되는 블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자연 환경 및 생태계보존에 대한 국민의식과 여론이 고조됨에 따라 자연석으로부터 석재 재취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연보호의 필요성과 한편으로는 방파제 또는 호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필요성이 증가되어 피복석을 대체하는 인공적인 콘크리트 호안 블럭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인공적인 콘크리트 블럭을 사용하는 경우에, 파도의 흡수 및 분산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또한 해일에도 무너지지 아니하도록 구조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것이 요구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파도의 흡수 및 분산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호안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어소 블록의 역할이 가능한 호안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이 간단한 호안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 블록의 외관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저면도 및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 : 제1통로
114 : 제2통로
116 : 분출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호안 블록은 파도가 밀려 들어오는 제1통로와, 상기 제1통를 통해 유입된 파도가 좌우측으로 흩어져 상쇄되도록 상기 제1통로 끝단부로부터 좌우측으로 형성되는 제2통로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1통로를 통해 유입된 파도가 상기 호안 블록의 상방향으로 분수처럼 분출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 블록의 외관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저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표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호안 블록(100)은 서로 일부분이 맞물리게 시공되어지는 구조물로써, 상기 호안 블록은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이 블록(100)은 그 저면에 제1통로(112)와, 제2통로(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로들(112,114)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블록의 중앙에는 상기 통로와 연통되도록 상방향으로 수직하게 관통된 분출구(116)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18은 호안블록을 시공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잉카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다.
상기 제1통로(112)는 호안블록의 전방(파도가 밀려오는 방향)으로부터 안쪽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통로(114)는 상기 제1통로(112)의 끝단으로부터 양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호안블록(100)의 전방으로부터 밀려오는 파도(바닷물)는 상기 제1통로(112)를 통해 유입되어 제2통로(114) 양측으로 흩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호안블록(100)은 파도가 밀려오더라도 상기 제1통로(112)와제2통로(114)에 의해 상기 파도를 소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호안블록(100)이 수면아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통로(112,114)들은 어소 역할 즉, 물고기 등과 같은 어패류의 서식처를 제공함과 함께 수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처럼 상기 호안블록은 상기 제1통로(112)를 통해 바닷물(파도)가 밀려들어오면, 그 중 일부가 상기 분출구(116)를 통해 상기 호안 블록의 상면으로 분출되면서 사람들에게 시각적인 즐거움을 제공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계단식 시공은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호안블록(100)들을 일직선으로 나란히 설치하고(1열 배열), 그런 다음, 상기 일직선으로 설치된 각 호안블록(100)과 접촉되도록 다른 호안블록(100)들을 그 뒤에 설치하게 된다(2열 배열). 이때 상기 1열의 호안블록과 2열의 호안블록 일부분만 겹쳐지도록 설치된다. 다시 말해, 앞 열의 호안블록의 후단부에 뒤쪽열의 호안블록의 전단부가 올려지는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앞 열의 호안블록과 뒷 열의 호안블록은 서로 서로 엇갈린 상태로 위치된다.
상기 호안 블록들은 이러한 설치 방식에 따라 계단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같은 열에 설치되는 호안 블록(100)들은 제2통로(114)들이 서로 연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안 블록의 제2통로(114)는 서로 인접한 호안블록의 제2통로(114)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호안 블록들 각각의 제1통로(112)를 통해 밀려 들어오는 파도(바닷물)는 서로 연통된 제2통로(114)들을 통해양측으로 흩어지면서 그 파도의 힘이 소멸되어 약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통로(112)로 유입된 바닷물의 일부는 상기 분출구(116)를 통해 호안블록의 상면으로 분출되면서 시각적인 즐거움을 제공해주게 된다.
특히, 상기 호안블록(100)이 수면 아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호안 블록(100)의 통로들은 물고기 등과 같은 어패류의 서식처로 제공될 뿐만 아니라 물 속의 식물인 수식물들이 원활하게 자랄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호안 블록(100)을 이용하면, 물이 빠진 썰물 때에는 해안가로 내려갈 수 있는 계단을 제공하고, 밀물 때에는 파도를 소파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호안 블록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의 호안 블록은 파도의 흡수 및 분산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항만이나 해안시설의 훼손 속도를 느리게할 수 있다. 그리고, 어패류의 서식처로 제공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파도로 인한 해안가의 지반을 보호하기 위한 호안 블록에 있어서:
    파도가 밀려 들어오는 제1통로와, 상기 제1통를 통해 유입된 파도가 좌우측으로 흩어져 상쇄되도록 상기 제1통로 끝단부로부터 좌우측으로 형성되는 제2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를 통해 유입된 파도가 상기 호안 블록의 상방향으로 분수처럼 분출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분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블록.
KR20-2003-0007296U 2003-03-12 2003-03-12 호안 블록 KR200318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296U KR200318108Y1 (ko) 2003-03-12 2003-03-12 호안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296U KR200318108Y1 (ko) 2003-03-12 2003-03-12 호안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8108Y1 true KR200318108Y1 (ko) 2003-06-27

Family

ID=4940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296U KR200318108Y1 (ko) 2003-03-12 2003-03-12 호안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81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530B1 (ko) * 2021-01-29 2021-07-20 주식회사 해건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530B1 (ko) * 2021-01-29 2021-07-20 주식회사 해건 부채꼴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설치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461B1 (ko) 방파제 및 인공어초용 테트라포드
KR200318108Y1 (ko) 호안 블록
KR102144054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200388821Y1 (ko) 파력감쇠를 위한 오목형 소파블럭
KR20150141225A (ko) 해수 교환형 케이슨식 방파제
KR101606343B1 (ko)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KR200327402Y1 (ko) 항만용 해수순환형 방파블록
JPH08311842A (ja) 防波堤
JP2018048441A (ja) 消波ブロック
JPS63176511A (ja) 透過式海域制御構造物
FR2692297A1 (fr) Système d'environnement intégré dissipateur d'énergie multiphase.
JP2005146682A (ja) 波消しブロック
JPH05321224A (ja) 消波構造物
KR101568264B1 (ko) 파향 전환기능을 갖는 잠제블록
KR100523317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원통형 물고기 집 블록을 이용한제방축대 설치구조
Penchev Interaction of waves and reef breakwaters
KR20100070631A (ko) 쇄파능력이 향상된 부유식 방파제
KR200163472Y1 (ko) 자연형호안블럭
Armono Wave transmission over hemispherical shape artificial reefs
JP2005163362A (ja) 消波ブロック及び人工リーフ
KR200370048Y1 (ko) 하천의 제방블럭 설치구조
KR200262758Y1 (ko) 어소를 갖는 조립식 호안블럭
KR200250951Y1 (ko) 친수형 방파제 시스템
KR200367421Y1 (ko) 소파블럭
KR200259368Y1 (ko) 호안용 소파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