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343B1 -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 Google Patents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343B1
KR101606343B1 KR1020150035534A KR20150035534A KR101606343B1 KR 101606343 B1 KR101606343 B1 KR 101606343B1 KR 1020150035534 A KR1020150035534 A KR 1020150035534A KR 20150035534 A KR20150035534 A KR 20150035534A KR 101606343 B1 KR101606343 B1 KR 101606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guiding
block
guiding groove
block body
sof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 회 양
이양우
서장경
송주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Priority to KR102015003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해의 파랑을 소파하고 월파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내해의 정온을 유지하여 선박의 안정을 도모하며, 해안, 항만 등에서 수변이나 해안에 사람들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해 주는 소파블록 및 이를 적용한 방파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장방형의 제1블록체; 상기 제1블록체의 전면 상하 중도부를 좌우로 가로지르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가로파랑유도홈; 상기 제1가로파랑유도홈의 중도부에서 하단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세로파랑유도홈; 상기 제1가로파랑유도홈의 양측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1블록체의 측면의 중도부까지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측면파랑유도홈; 상기 양측 제1측면파랑유도홈의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1블록체의 측면 중도부에서 하단까지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측면유수실홈; 상기 제1블록체의 하면 전측에서 중도부를 가로질러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세로파랑유도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하면파랑유도홈; 상기 제1하면파랑유도홈의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1블록체의 하면 중도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측면유수실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하면유수실홈; 및, 상기 제1블록체의 상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키와 결합키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통블록 형태 및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탈피하면서도 파랑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하여 그 충격 및 반사를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통수공과 유슈실이 형성되어 어초기능을 가지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Wave Dissipation Block and Breakwater Using its}
본 발명은 외해의 파랑을 소파하고 월파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내해의 정온을 유지하여 선박의 안정을 도모하며, 해안, 항만 등에서 수변이나 해안에 사람들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해 주는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방파제의 구조형식으로 많이 사용되는 형식은 직립식, 경사식, 혼성식 등으로 구분되지만, 특히 경사식 방파제의 피복재로서는 T.T.P 등의 소파블록을 사용하고 있으나 현지 조건과 여러가지 자재 수급 등의 상황에 따라 케이슨 등 직립식 구조를 선정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파제는 소파가 용이하지 못하고 블록 제작이 복잡하며 철근이 삽입 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불리한 조건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단순한 콘크리트 형태의 구조물로서 자연친화적이지 못해 방문객들에게 친수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06394호
본 발명은 종래의 통블록 형태 및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탈피하면서도 파랑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하여 그 충격 및 반사를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방파제를 제공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수공과 유수실이 형성되어 어초기능을 가지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방파제를 제공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립 벽면으로 구축되어 선박의 안전접안 및 효율적인 물량장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그 이용성이나 경제성 그리고 미관성 등이 크게 증대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방파제를 제공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해와 외해를 구획하면서 외해의 파랑을 소파하고 내해의 안정을 도모하는 방파제의 방파제용 소파블록에 있어서, 상측에는 결합키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결합키홈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제1블록체, 상기 제1블록체의 전면 상하 중도부를 좌우로 가로지르는 제1가로파랑유도홈, 상기 제1가로파랑유도홈의 중도부에서 T형이 되도록 하단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세로파랑유도홈, 상기 제1가로파랑유도홈의 양측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1블록체의 측면의 중도부까지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측면파랑유도홈, 상기 양측 제1측면파랑유도홈의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1블록체의 측면 중도부에서 하단까지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측면유수실홈, 상기 제1블록체의 하면 전측에서 중도부를 가로질러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세로파랑유도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하면파랑유도홈, 상기 제1하면파랑유도홈의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1블록체의 하면 중도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측면유수실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하면유수실홈 및 상기 제1블록체의 하단 양측 모서리 전면에서 중도부까지 상기 제1측면유수실홈 및 제1하면유수실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모서리파랑유도홈을 포함하는 제1소파블록; 상측에는 결합키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결합키홈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제2블록체, 상기 제2블록체의 전면 상하 중도부를 좌우로 가로지르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가로파랑유도홈, 상기 제2블록체의 좌우 상하 중도부를 십자 형태가 되도록 상하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2가로파랑유도홈과 연통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세로파랑유도홈, 상기 제2가로파랑유도홈의 양측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2블록체의 측면의 중도부까지 사다리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측면파랑유도홈, 상기 양측 제2측면파랑유도홈의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2블록체의 측면 상하를 가로지르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측면유수실홈, 상기 제2세로파랑유도홈의 상하측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2블록체의 상하면의 중도부까지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상,하면파랑유도홈, 상기 제2블록체의 상,하면 중도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제2상,하면파랑유도홈 및 제2측면유수실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상,하면유수실홈, 상기 제2블록체의 상하단 양측 모서리 전면에서 중도부까지 상기 제2측면유수실홈 및 제2상,하면유수실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모서리파랑유도홈을 포함하는 제2소파블록; 상측에 결합키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제3블록체, 상기 제3블록체의 상면에서 전면측으로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 상기 제3블록체의 경사면 상측 전측에서 중도부를 가로질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상면파랑유도홈, 상기 제3블록체의 상면 중도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3상면파랑유도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3상면유수실홈, 및 상기 제3블록체의 상단 양측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모서리파랑유도홈을 포함하는 제3소파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해와 외해를 구획하여 파랑을 소파하고 내해의 안전을 도모하는 방파제에 있어서, 기초사석; 상기 기초사석의 상부에 서로 후면이 접하도록 2열로 설치되는 상기 제1항의 제3소파블록; 상기 제3소파블록 상부에 서로 어긋나도록 다단으로 적층되되, 서로 후면이 접하도록 2열로 설치되어 측면의 소파블록 사이에는 통수공과 유수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3소파블록과의 사이에도 통수공과 유수실이 형성되는 상기 제1항의 제2소파블록; 상기 제2소파블록 상부에 제2소파블록과 어긋나도록 적층되되, 후면이 접하도록 2열로 설치되어 하단의 상기 제2소파블록과의 사이에 통수공과 유수실이 형성되고, 서로 접하는 소파블록간의 측면에도 통수공과 유수실이 형성되는 상기 제1항의 제2소파블록; 및, 상기 제2소파블록 상부에 적층되며, 전측에서 파랑이 유입되어 반대측으로 분출되도록 파랑분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캡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이 서로 접하는 제1소파블록과 제1소파블록, 제2소파블록과 제2소파블록, 제3소파블록과 제3소파블록의 중도부 사이가 서로 이격되고, 후면에는 중간채움사석이 채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소파블록은 복수단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소파블록의 전면 토우(TOE) 부분에는 피복석으로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종래의 통블록 형태 및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탈피하면서도 파랑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하여 그 충격 및 반사를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통수공과 유슈실이 형성되어 어초기능을 가지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립 벽면으로 구축되어 외해의 파랑을 흡수하여 유수실홈을 통해 다시 배출함으로써 파랑으로부터 내해의 선박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내해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으며, 그 이용성이나 경제성 그리고 미관성 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소파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소파블록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소파블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소파블록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소파블록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소파블록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록이 적층된 방파제의 사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록이 적층된 방파제의 일부 정면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록이 적층된 방파제의 측면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록이 적층된 방파제의 다른 형태의 측면 개념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소파블록(100A)은 장방형의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블록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가로파랑유도홈(111a)과 제1세로파랑유도홈(112a) 및 제1측면파랑유도홈(113a), 그리고, 제1측면유수실홈(120a)과 제1하면파랑유도홈(114a), 제1하면유수실홈(130a) 및 결합키홈(140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가로파랑유도홈(111a)은 제1블록체의 전면 상하 중도부를 좌우로 가로질러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세로파랑유도홈(112a)은 제1가로파랑유도홈(111a)의 중도부에서 하단측으로 상하로 오목하게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측면파랑유도홈(113a)은 제1가로파랑유도홈(111a)의 양측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1블록체의 측면 전측에서 중도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측면유수실홈(120a)은 양측 제1측면파랑유도홈(113a)의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1블록체의 측면에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는 제1블록체의 측면 중도부에서 하단까지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하면파랑유도홈(114a)은 제1블록체의 하면 전측에서 중도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면의 제1세로파랑유도홈(112a)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하면유수실홈(130a)은 제1하면파랑유도홈(114a)의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1블록체의 하면 중도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으로서, 좌우측 중도부 사이에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1하면유수실홈(130a)은 제1측면유수실홈(120a)과도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키홈(140a)은 제1블록체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가로파랑유도홈(111a)과 제1세로파랑유도홈(112a) 및 제1측면파랑유도홈(113a)과 제1하면파랑유도홈(114a)은 그 형태가 도면에서는 사다리꼴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아울러, 제1블록체의 하단 양측 모서리에는 전측에서 제1측면유수실홈(120a)과 연통되도록 제1모서리파랑유도홈(115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소파블록(100B)은 제1소파블록(100A)과 같이 장방형의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블록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2가로파랑유도홈(111b)과 제2세로파랑유도홈(112b) 및 제2측면파랑유도홈(113b), 그리고, 제2측면유수실홈(120b)과 제2상,하면파랑유도홈(116b)(114b), 제2상,하면유수실홈(150b)(130b) 및 결합키와 결합키홈(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가로파랑유도홈(111b)은 제2블록체의 전면에 상하 중도부를 가로지르며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세로파랑유도홈(112b)은 제2블록체의 좌우 상하 중도부를 가로질러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제2가로파랑유도홈(111b)의 중도부를 십자형태로 교차하며 가로질러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2측면파랑유도홈(113b)은 제2블록체 양측면의 전측에서 측면 중도부까지 각각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2가로파랑유도홈(111b)의 양측 끝단과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측면유수실홈(120b)은 제2블록체의 측면 상하를 가로지르며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양측 제2측면파랑유도홈(113b)의 끝단과 연통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2상면파랑유도홈(116b)은 제2세로파랑유도홈(112b)의 상단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2블록체의 상면에 전측에서 중도부까지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상면유수실홈(150b)은 제2블록체의 상면 중도부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상면파랑유도홈(116b)의 끝단과도 연통되도록 제2블록체의 상면 좌우측 중도부 사이에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2상면유수실홈(150b)은 제2측면유수실홈(120b)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2하면파랑유도홈(114b)은 제2세로파랑유도홈(112b)의 하단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2블록체의 하면에 전측에서 중도부까지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하면유수실홈(130b)은 제2블록체의 하면 중도부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하면파랑유도홈(114b)의 끝단과도 연통되도록 제2블록체의 하면 좌우측 중도부 사이에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2하면유수실홈(130b)은 제2측면유수실홈(120b)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키와 결합키홈(140b)은 제2블록체의 상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결합키가 형성되고 하측에 결합키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가로파랑유도홈(111b)과 제2세로파랑유도홈(112b) 및 제2측면파랑유도홈(113b)은 물론 제2상,하면파랑유도홈(116b)(114b)은 그 형태가 도면에서는 사다리꼴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아울러, 제2블록체의 하단 양측 모서리에는 전측에서 제2측면유수실홈(120b)과 연통되도록 제2모서리파랑유도홈(115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소파블록(100C)은 장방형의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3블록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경사면(117c) 및 제3상면파랑유도홈(116c)과 제3모서리파랑유도홈(115c), 그리고, 결합키(140c) 및 제3상면유수실홈(150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117c)은 제3블록체의 상면에서 전면 사이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되,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3상면파랑유도홈(116c)은 경사면(117c)의 상측 전측에서 후단측으로 중도부를 가로질러 소정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3상면파랑유도홈(116c)은 그 형태가 도면에서는 사다리꼴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여기서 제3상면유수실홈(150c)은 제3블록체의 상면 중도부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제3상면파랑유도홈(116c)의 끝단과 연통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3모서리파랑유도홈(115c)은 제3블록체의 상단 양측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키(140c)는 제3블록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캡콘크리트(400)는 전면에서 후면측으로 관통되는 파랑분출공(410)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전면에 부딪치는 파랑이 파랑분출공(410)을 통과하여 후면측으로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방문객들에게 재미를 더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특히 파랑분출공(410)은 전면에서 후면측으로 갈수록 수평보다 점차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경사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록과 이를 적용한 방파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록이 적층된 방파제의 사시 개념도이고, 도 8은 일부 정면 개념도이고, 도 9는 측면 개념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파블록(100A)(100B)(100C)은 방파제 시설로 구축되기 위해 2열로 적층되되, 동일한 형태의 소파블록의 후면이 서로 접하도록 하여 적층이 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는 기초사석(200)의 상부에 상기 제3소파블록(100C)의 후면이 서로 접하도록 적층하고, 제3소파블록(100C)의 양측 면 토우(TOE) 부분에는 피복석(210)을 보강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소파블록(100C) 상부에는 제2소파블록(100B)을 후면이 서로 접하도록 2열로 다수단으로 적층하되, 제3소파블록(100C)의 상면 중도부에 제2소파블록(100B)의 측면 끝단이 오도록 어긋나게 적층함으로써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소파블록(100B)는 해저 깊이에 따라 다수단으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소파블록(100B)의 상부 제2소파블록(100B)도 서로 어긋나도록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3소파블록(100C)의 중간부 및 끝단과 상부에 적층된 제2소파블록(100B)의 끝단부와 중간부 사이에는 통수공(310)이 형성된다. 즉, 제3소파블록(100C) 중도부 상부에 형성된 제3상면파랑유도홈(116c)과, 제2소파블록(100B)의 하단 측면 끝단에 형성된 제2모서리파랑유도홈(115b)이 서로 접하면서 통수공(310)이 형성된다.
또한, 제3소파블록(100C) 중도부 상면에 형성된 제3상면유수실홈(150c)과, 제2소파블록(100B)의 측면에 형성된 제2측면유수실홈(120b)이 서로 접하면서 유수실(320)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하단의 제2소파블록(100B)과 상단의 제2소파블록(100B)의 사이에도 통수공(310)과 유수실(320)이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제2소파블록(100B)과 제2소파블록(100B)의 측면 사이에도 통수공(310)과 유수실(320)이 형성된다. 이때, 상하의 유수실(320)은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소파블록(100B) 상단에는 제1소파블록(100A)을 적층하며, 하단의 제2소파블록(100B)과 상단의 제1소파블록(100A) 사이에도 통수공(310)과 유수실(320)이 형성된다. 또한, 서로 접하는 제1소파블록(100A)과 제1소파블록(100A)의 측면 사이에도 통수공(310)과 유수실(320)이 형성된다. 이때, 상하의 유수실(320)은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각의 소파블록(100A)(100B)(100C)이 서로 측면끼리 접하고 상하측으로 접하면서 사다리꼴 형태의 각각의 파랑유도홈이 육각 형태의 통수공(310)을 형성하고, 전면의 소파부와 파랑유도홈이 일정한 형태의 무늬를 표현함으로써 딱딱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닌 미적인 형태를 제공하여 시각적으로 편안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통수공(310)과 유수실(320)은 어초의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제1소파블록(100A)의 상단에는 캡콘크리트(400)가 구축된다.
한편, 방파제의 규모가 커져서 폭을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소파블록(100A)(100B)(100C)의 후면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공간을 만들고, 여기에 중간채움사석(220)을 채움으로써 폭을 넓힐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는 외해에서 발생하는 큰 파랑이 소파블록(100A)(100B)(100C)에 부딪치면서 일부는 반사되어 소파되고, 일부는 통수공(310)을 통해 제1,2,3블록체 내부로 유입된 후 유수실(320)에서 방향이 전환되면서 그 세력이 약해져 외해로 배출이 되게 된다. 또한, 외해에서 발생하는 작은 파랑도 본 발명의 소파블록(100A)(100B)(100C)에 부딪치면서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일부는 통수공(310)을 통해 제1블록체 내부로 유입된 후 유수실(320)에서 방향이 전환되면서 그 세력이 약해져 내해로 배출이 되게 된다.
또한, 내해에서 발생하여 캡콘크리트(400)의 전면에 부딪치는 파랑의 일부는 파랑분출공(410)으로 유입되어 후면으로 분출됨으로써 자연경관을 활용한 분수대 형태를 제공하게 된다.
111a,111b : 제1,2가로파랑유도홈 112a,112b : 제1,2세로파랑유도홈
113a,113b : 제1,2측면파랑유도홈 114a,114b : 제1,2하면파랑유도홈
115a,115b,115c : 제1,2,3모서리파랑유도홈
116b,116c : 제2,3상면파랑유도홈
117c : 경사면 120a,120b : 제1,2측면유수실홈
130a,130b : 제1,2하면유수실홈
150b,150c : 제2,3상면유수실홈 200 : 기초사석
210 : 피복석 220 : 중간채움사석
310 : 통수공 320 : 유수실
400 : 캡콘크리트 410 : 파랑분출공

Claims (10)

  1. 내해와 외해를 구획하면서 외해의 파랑을 소파하고 내해의 안정을 도모하는 방파제의 방파제용 소파블록에 있어서,
    상측에는 결합키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결합키홈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제1블록체, 상기 제1블록체의 전면 상하 중도부를 좌우로 가로지르는 제1가로파랑유도홈, 상기 제1가로파랑유도홈의 중도부에서 T형이 되도록 하단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세로파랑유도홈, 상기 제1가로파랑유도홈의 양측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1블록체의 측면의 중도부까지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측면파랑유도홈, 상기 양측 제1측면파랑유도홈의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1블록체의 측면 중도부에서 하단까지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측면유수실홈, 상기 제1블록체의 하면 전측에서 중도부를 가로질러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세로파랑유도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하면파랑유도홈, 상기 제1하면파랑유도홈의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1블록체의 하면 중도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측면유수실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하면유수실홈 및 상기 제1블록체의 하단 양측 모서리 전면에서 중도부까지 상기 제1측면유수실홈 및 제1하면유수실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모서리파랑유도홈을 포함하는 제1소파블록;
    상측에는 결합키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결합키홈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제2블록체, 상기 제2블록체의 전면 상하 중도부를 좌우로 가로지르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가로파랑유도홈, 상기 제2블록체의 좌우 상하 중도부를 십자 형태가 되도록 상하로 가로지르며 상기 제2가로파랑유도홈과 연통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세로파랑유도홈, 상기 제2가로파랑유도홈의 양측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2블록체의 측면의 중도부까지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측면파랑유도홈, 상기 양측 제2측면파랑유도홈의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2블록체의 측면 상하를 가로지르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측면유수실홈, 상기 제2세로파랑유도홈의 상하측 끝단과 연통되도록 제2블록체의 상하면의 중도부까지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상,하면파랑유도홈, 상기 제2블록체의 상,하면 중도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제2상,하면파랑유도홈 및 제2측면유수실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상,하면유수실홈, 상기 제2블록체의 상하단 양측 모서리 전면에서 중도부까지 상기 제2측면유수실홈 및 제2상,하면유수실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모서리파랑유도홈을 포함하는 제2소파블록;
    상측에 결합키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제3블록체, 상기 제3블록체의 상면에서 전면측으로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 상기 제3블록체의 경사면 상측 전측에서 중도부를 가로질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상면파랑유도홈, 상기 제3블록체의 상면 중도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3상면파랑유도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3상면유수실홈, 및 상기 제3블록체의 상단 양측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모서리파랑유도홈을 포함하는 제3소파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2. 내해와 외해를 구획하여 파랑을 소파하고 내해의 안전을 도모하는 방파제에 있어서,
    기초사석;
    상기 기초사석의 상부에 서로 후면이 접하도록 2열로 설치되는 상기 제1항의 제3소파블록;
    상기 제3소파블록 상부에 서로 어긋나도록 다단으로 적층되되, 서로 후면이 접하도록 2열로 설치되어 측면의 소파블록 사이에는 통수공과 유수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3소파블록과의 사이에도 통수공과 유수실이 형성되는 상기 제1항의 제2소파블록;
    상기 제2소파블록 상부에 제2소파블록과 어긋나도록 적층되되, 후면이 접하도록 2열로 설치되어 하단의 상기 제2소파블록과의 사이에 통수공과 유수실이 형성되고, 서로 접하는 소파블록간의 측면에도 통수공과 유수실이 형성되는 상기 제1항의 제2소파블록; 및,
    상기 제2소파블록 상부에 적층되며, 전측에서 파랑이 유입되어 반대측으로 분출되도록 파랑분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캡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이 서로 접하는 제1소파블록과 제1소파블록, 제2소파블록과 제2소파블록, 제3소파블록과 제3소파블록의 중도부 사이가 서로 이격되고, 후면에는 중간채움사석이 채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파블록은 복수단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소파블록의 전면 토우(TOE) 부분에는 피복석으로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35534A 2015-03-15 2015-03-15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KR101606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534A KR101606343B1 (ko) 2015-03-15 2015-03-15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534A KR101606343B1 (ko) 2015-03-15 2015-03-15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343B1 true KR101606343B1 (ko) 2016-03-25

Family

ID=5564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534A KR101606343B1 (ko) 2015-03-15 2015-03-15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3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143B1 (ko) * 2016-06-27 2016-11-21 (주)에스엔비 파도 에너지를 감쇄시키는 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48753B1 (ko) * 2020-11-19 2021-05-06 주식회사 연안항만엔지니어링 해양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135835A (ko) 2022-03-17 2023-09-26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구조물을 포함하는 토목 구조물의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453B1 (ko) * 1995-06-27 1999-06-15 마츠모토 미키오 해중구조물 구축용 블록, 이 블록의 매다는 장치및이블록의매다는방법
KR101273391B1 (ko) * 2013-02-13 2013-06-11 주식회사 대양컨설턴트 회동 포착형 항만 공사용 블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453B1 (ko) * 1995-06-27 1999-06-15 마츠모토 미키오 해중구조물 구축용 블록, 이 블록의 매다는 장치및이블록의매다는방법
KR101273391B1 (ko) * 2013-02-13 2013-06-11 주식회사 대양컨설턴트 회동 포착형 항만 공사용 블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143B1 (ko) * 2016-06-27 2016-11-21 (주)에스엔비 파도 에너지를 감쇄시키는 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48753B1 (ko) * 2020-11-19 2021-05-06 주식회사 연안항만엔지니어링 해양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135835A (ko) 2022-03-17 2023-09-26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구조물을 포함하는 토목 구조물의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343B1 (ko)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KR20170107863A (ko) 육각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KR100727285B1 (ko) 하천 하상 생태 보호 블록
KR20150141225A (ko) 해수 교환형 케이슨식 방파제
KR102144054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20090121864A (ko) 소파 성능이 내재된 친수호안블록
KR102025654B1 (ko) 잠제형 해중림 어초
JP2008111315A (ja) 長周期波低減対策構造物
KR100363227B1 (ko) 해수 순환 방파제
KR101606342B1 (ko)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선박접안시설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선박접안시설
KR20090021903A (ko) 소파기능이 부가된 블럭형 항만시설
KR20170107862A (ko) 파랑의 유통이 용이한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수 교환 방파제 구축공법
KR200447682Y1 (ko) 세굴방지용 식생블럭
JPS63176511A (ja) 透過式海域制御構造物
KR20010001171U (ko) 케이슨을 이용한 직립 방파제
KR100521901B1 (ko) 직립식 항만 구조물에 사용되는 소파블럭 구조 및 시공구조
KR101133501B1 (ko)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KR200361655Y1 (ko) 다목적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적층 구조
KR102290352B1 (ko) 소파블록,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및 소파블록이 구비된 유공방파제 시공방법
KR100622802B1 (ko) 투수식 소파판을 구비한 잔교구조물
KR100521899B1 (ko) 조류소통을 위한 해수 교환 방파제
KR100892375B1 (ko) 조립식 호안블록
KR200232433Y1 (ko) 호안 경사면의 중간 소단부의 구조
KR101185998B1 (ko) 해수유통구가 형성된 호안블럭의 시공방법
KR200408221Y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