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753B1 - 해양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753B1
KR102248753B1 KR1020200155399A KR20200155399A KR102248753B1 KR 102248753 B1 KR102248753 B1 KR 102248753B1 KR 1020200155399 A KR1020200155399 A KR 1020200155399A KR 20200155399 A KR20200155399 A KR 20200155399A KR 102248753 B1 KR102248753 B1 KR 10224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ck
wall
offshore structure
offshore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훈
이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안항만엔지니어링
(주)네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안항만엔지니어링, (주)네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안항만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5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부(UE)가 하단부(LE)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전방 상부에 요입부(C)를 규정하는 전면벽(110), 상기 전면벽(110)의 후단부(RE2)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벽(120), 상기 상부벽(12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벽(130), 상기 전면벽(110)의 후면(RS), 상기 상부벽(120)의 저면(BS) 및 상기 지지벽(130)의 측면(SS)에 의해 규정되는 중공부(H)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제공한다.
상기 전면벽(110)의 상단부(UE)의 전방 단부(FE1)가 상기 전면벽(110)의 하단부(LE)의 후방 단부(RE1)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여, 복수 개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였을 때, 하부 단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요입부(C)가, 상부 단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와 연통한다.
이에, 본 발명은 단순한 형상을 가지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내부에 해수가 유동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해양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해수가 요입부(C)에서 전면벽(110)을 타고 상승한 후에 중공부(H)에 유입되므로 파도가 효과적으로 소파될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MARIN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해양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파도가 효과적으로 소파되고, 항외와 항내의 통수가 가능하고,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며,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해양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만의 기본 시설이 되는 해양 구조물 및 해양 구조물을 구성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은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파랑을 저지하여 항내가 정온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구조물이다.
기존의 해양 구조물은 소파가 용이하지 못하고 해양 구조물의 단위 블록 제작이 복잡하며 해양 구조물의 통수가 원활하지 못하여 항내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107862호는 외해의 파랑을 소파하고 월파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전면과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오목홈에 의해 형성되는 해수소통구을 이용하여 외해의 해수가 항내로 진입하도록 하여 항내의 정온을 유지하고 선박의 안정을 도모하는 소파블록 및 해수 교환 방파제 구축공법에 관한 발명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오목홈이 블록을 전후로 직진하여 관통형성되므로 소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오목홈을 형성하기 위해 구조가 복잡하고 다수개의 오목홈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부의 크기가 작으므로 돌출부가 해수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오목홈에 의해 형성되는 해수소통구의 크기가 작으므로 해수소통구에 이물이 껴서 통수를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단순한 구조로 소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통수가 원활하고 내구성 및 안정성이 높은 해양 구조물 및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순한 형상으로 파도가 효과적으로 소파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형상을 가지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내부에 해수가 유동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및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시공이 용이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형상을 가지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이용하여 해수가 양쪽으로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으면서 양쪽에서 밀려오는 파도가 모두 효과적으로 소파되는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는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단부(UE)가 하단부(LE)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전방 상부에 요입부(C)를 규정하는 전면벽(110); 상기 전면벽(110)의 후단부(RE2)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벽(120); 상기 상부벽(12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벽(130); 및 상기 전면벽(110)의 후면(RS), 상기 상부벽(120)의 저면(BS) 및 상기 지지벽(130)의 측면(SS)에 의해 규정되는 중공부(H);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제공한다.
상기 전면벽(110)의 상단부(UE)의 전방 단부(FE1)가 상기 전면벽(110)의 하단부(LE)의 후방 단부(RE1)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여, 복수 개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였을 때, 하부 단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요입부(C)가, 상부 단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벽(110)은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벽 형태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벽(130)은 상기 상부벽(120)의 양측 단부(SE1, SE2)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32, 134)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벽(130)은 전방으로 상기 전면벽(110)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벽(110)은, 그 폭의 적어도 일부 구간(S)에서 전방 상부로 돌출된 지지돌기(1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일부 구간(S)은 상기 전면벽(110)의 중앙부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돌기(112)는 상방으로 상기 전면벽(110)의 상단부(UE)의 높이까지 연장된다.
상기 지지돌기(112)는 전방으로 상기 전면벽(110)의 전방 단부(FE2)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벽(120)의 후단부(RE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면벽(140);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부(H)가 채워진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상하 및 좌우로 복수 개 적층하되,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측방 단부(SE3, SE4)가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앙부에 놓여지도록 적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전후 방향으로 적층하되, 전방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벽(120)의 후단부(RE3)와 후방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벽(120)의 후단부(RE3)가 서로 접하도록 적층하여, 전방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와 후방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가 서로 연결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제조하는 단위 블록 제조단계; 상기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적치장 또는 현장까지 운반하는 운반단계; 및 상기 현장에서 상기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서로 어긋나게 교호로 위치하도록 적층하는 적층단계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전면벽(110)을 포함할 수 있고, 전면벽(110)은 상단부(UE)가 하단부(LE)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도가 전면벽(110)을 타고 상승할 수 있다. 이 때에, 파도에 중력이 작용하여 파도가 지니고 있는 에너지가 감소하므로 파도가 효과적으로 소파될 수 있다. 또한, 파도가 전면벽(110)을 타고 상승하면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하방으로 가압하므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상단부(UE)가 하단부(LE)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전방 상부에 요입부(C)를 규정하는 전면벽(110), 전면벽(110)의 후단부(RE2)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벽(120), 상부벽(12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벽(130) 및 전면벽(110)의 후면(RS), 상부벽(120)의 저면(BS) 및 지지벽(130)의 측면(SS)에 의해 규정되는 중공부(H)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벽(110)의 상단부(UE)의 전방 단부(FE1)가 전면벽(110)의 하단부(LE)의 후방 단부(RE1)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여, 복수 개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였을 때, 하부 단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요입부(C)가, 상부 단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와 연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한 형상을 가지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내부에 해수가 유동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해양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해수가 요입부(C)에서 전면벽(110)을 타고 상승한 후에 중공부(H)에 유입되므로 파도가 효과적으로 소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면벽(110)은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벽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수가 전면벽(110)을 타고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어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벽(130)은 상부벽(120)의 양측 단부(SE1, SE2)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32, 1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면(12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벽(130)은 전방으로 전면벽(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벽(130)이 상부벽(120)뿐만 아니라 전면벽(110)도 지지할 수 있으므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면벽(110)은, 그 폭의 적어도 일부 구간(S)에서 전방 상부로 돌출된 지지돌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돌기(112)가 상부벽(120)보다 전방에서 상부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지지하는 지지면적이 증가하고 전후방으로 지지범위(지지거리)가 증가하므로,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돌기(112)가 돌출된 전면벽(110)의 폭의 일부 구간(S)은 전면벽(110)의 중앙부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지지돌기(112)가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앙부에서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하중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서로 어긋나게 교호로 위치하도록 적층하는 경우에 지지돌기(112)가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앙부에 형성됨으로써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므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돌기(112)는 상방으로 전면벽(110)의 상단부(UE)의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돌기(112)의 상단부의 높이가 상부벽(120)의 높이와 대응하게 되므로, 지지돌기(112)가 상부벽(120)과 함께 상부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112)의 상단부의 높이가 전면벽(110) 및 상부벽(120)의 높이와 대응하게 되므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되 요입부(C)와 대응하는 공간이 막힌 형상을 이루는 빈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거푸집 또는 형틀을 이용하여 지지돌기(112)를 구비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지돌기(112)는 전방으로 전면벽(110)의 전방 단부(FE2)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돌기(112)가 상부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전면벽(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에 대해서 지지돌기(112)의 전단부의 위치가 전면벽(110)의 전방 단부(FE2)의 위치와 대응하게 되므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되 요입부(C)와 대응하는 공간이 막힌 형상을 이루는 빈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거푸집 또는 형틀을 이용하여 지지돌기(112)를 구비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부벽(120)의 후단부(RE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면벽(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한 형상을 가지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하여 전면벽(110)을 타고 상승한 후에 내부의 빈 공간(중공부)에 유입된 해수가 후면벽(140)에 가로막혀서 서로 간섭되어 효과적으로 소파되는 해양 구조물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은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에서 중공부(H, 도 2)가 채워진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의 내부에는 해수 또는 이물이 유입되지 않아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이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적층구조(도 4 및 도 5의 해양 구조물)의 하단에 배치되면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이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의 상부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적층구조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측방 단부(SE3, SE4)가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앙부에 놓여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양 구조물의 시공이 용이해지고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전후 방향으로 적층하되, 전방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벽(120)의 후단부(RE3)와 후방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벽(120)의 후단부(RE3)가 서로 접하도록 적층하여, 전방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와 후방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수가 해양 구조물을 통과하여 해양 구조물의 양쪽으로(전후로) 자유롭게 유동할 있다. 이 때에, 해수가 해양 구조물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면벽(110)을 타고 상승해야 한다. 따라서, 단순한 형상을 가지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하여 해수가 양쪽으로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으면서 양쪽에서 밀려오는 파도가 모두 효과적으로 소파되는 해양 구조물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다. 특히, 요입부(C) 및 중공부(H)가 비교적 큰 단면적을 가지므로 이물에 의해 막히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이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해수가 해양 구조물의 양쪽으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해양 구조물의 시공방법이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제조하는 단위 블록 제조단계,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적치장 또는 현장까지 운반하는 운반단계 및 현장에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서로 어긋나게 교호로 위치하도록 적층하는 적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양 구조물을 신속하고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 내지 도 3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0 내지 도 12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은 전면벽(110), 상부벽(120) 및 지지벽(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면벽]
전면벽(110)은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해수와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전면벽(110)은 후술할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에 선박이 접안되는 경우에 선박과 마주할 수 있다.
전면벽(110)은 상단부(UE)가 하단부(LE)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도가 전면벽(110)을 타고 상승할 수 있다. 이 때에, 파도에 중력이 작용하여 파도가 지니고 있는 에너지가 감소하므로 파도가 효과적으로 소파될 수 있다. 또한, 파도가 전면벽(110)을 타고 상승하면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하방으로 가압하므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전면벽(110)은 도면과 같이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벽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전면벽(110)의 상단부(UE)가 전면벽(110)의 하단부(LE)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벽(110)이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벽 형태에 해당함으로써, 해수가 전면벽(110)을 타고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어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면벽(110)은 도면과 달리 계단식으로 단차를 가지는 형태에 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전면벽(110)의 상단부(UE)가 하단부(LE)보다 후방에 위치함으로써, 전면벽(110)의 전방 상부에 요입부(C)가 규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요입부(C)는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패인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전면벽(110)의 상단부(UE)의 전방 단부(FE1)가 전면벽(110)의 하단부(LE)의 후방 단부(RE1)보다 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였을 때, 하부 단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요입부(C)가, 상부 단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와 연통될 수 있다.
전면벽(110)의 폭은 상부벽(120)의 폭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 복수 개가 좌우로 적층된 경우에 전면벽(110) 복수 개가 좌우로 서로 접하면서 길게 배열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이에, 파도가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향해 밀려올 때에 파도가 반드시 전면벽(110)을 타고 상승하게 되므로 파도가 효과적으로 소파될 수 있다.
전면벽(110)은 지지돌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지지돌기]
지지돌기(112)는 전면벽(110)의 폭의 적어도 일부 구간(S)에서 전면벽(110)의 전방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전면벽(110)이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벽 형태인 경우에는, 지지돌기(112)는 도면과 같이 전면벽(110)으로부터 전방 및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돌기(112)는 상부벽(120)보다 전방에서 상부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지지돌기(112)의 상부에는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전면벽(110) 또는 지지벽(130)이 놓여질 수 있다(도 4 및 도 5).
이에 따라, 상부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지지하는 지지면적이 증가하고 전후방으로 지지범위(지지거리)가 증가하므로,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지지돌기(112)가 돌출된 전면벽(110)의 폭의 일부 구간(S)은 전면벽(110)의 중앙부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지지돌기(112)가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앙부에서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하중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서로 어긋나게 교호로 위치하도록 적층하는 경우에 지지돌기(112)가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앙부에 형성됨으로써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므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지지돌기(112)는 상방으로 전면벽(110)의 상단부(UE)의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돌기(112)의 상단부의 높이가 상부벽(120)의 높이와 대응하게 되므로, 지지돌기(112)가 상부벽(120)과 함께 상부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이에,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112)의 상단부의 높이가 전면벽(110) 및 상부벽(120)의 높이와 대응하게 되므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되 요입부(C)와 대응하는 공간이 막힌 형상을 이루는 빈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거푸집 또는 형틀을 이용하여 지지돌기(112)를 구비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지지돌기(112)는 전방으로 전면벽(110)의 전방 단부(FE2)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돌기(112)가 상부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전면벽(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이에,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에 대해서 지지돌기(112)의 전단부의 위치가 전면벽(110)의 전방 단부(FE2)의 위치와 대응하게 되므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되 요입부(C)와 대응하는 공간이 막힌 형상을 이루는 빈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거푸집 또는 형틀을 이용하여 지지돌기(112)를 구비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부벽]
상부벽(120)은 전면벽(110)의 후단부(RE2)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벽(120)은 상부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벽(120)의 상부에는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지지벽(130)이 놓여질 수 있다(도 4 및 도 5).
[지지벽]
지지벽(130)은 상부벽(12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벽(130)은 상부벽(120)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지지벽(13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부벽(120)의 양측 단부(SE1, SE2)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32, 1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면(12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지지벽(130)은 도면과 같이 전방으로 전면벽(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벽(130)이 상부벽(120)뿐만 아니라 전면벽(110)도 지지할 수 있으므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지지벽(130)은 하방으로 전면벽(110)의 하단부(LE)의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돌기(112)가 상부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전면벽(110) 및 지지벽(130)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이에,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지지벽(130)의 하단부의 높이가 전면벽(110)의 하단부(LE)의 높이와 대응하게 되므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되 중공부(H)와 대응하는 공간이 막힌 형상을 이루는 빈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거푸집 또는 형틀을 이용하여 지지벽(130)을 구비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중공부]
전면벽(110)의 후면(RS), 상부벽(120)의 저면(BS) 및 지지벽(130)의 측면(SS)에 의해 중공부(H)가 규정될 수 있다(도 2).
이와 같이,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상단부(UE)가 하단부(LE)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전방 상부에 요입부(C)를 규정하는 전면벽(110), 전면벽(110)의 후단부(RE2)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벽(120), 상부벽(12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벽(130) 및 전면벽(110)의 후면(RS), 상부벽(120)의 저면(BS) 및 지지벽(130)의 측면(SS)에 의해 규정되는 중공부(H)를 포함함으로써,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르 예를 들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되 요입부(C) 및 중공부(H)와 대응하는 공간이 막힌 형상을 이루는 빈 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거푸집 또는 형틀을 이용하여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벽(110)의 상단부(UE)의 전방 단부(FE1)가 전면벽(110)의 하단부(LE)의 후방 단부(RE1)보다 더 후방에 위치함으로써, 복수 개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였을 때, 하부 단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요입부(C)가, 상부 단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와 연통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이에 따라, 단순한 형상을 가지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내부에 해수가 유동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해양 구조물이 조성될 수 있다. 또한, 해수가 요입부(C)에서 전면벽(110)을 타고 상승한 후에 중공부(H)에 유입되므로 파도가 효과적으로 소파될 수 있다.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은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에서 중공부(H, 도 2)가 채워진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의 내부에는 해수 또는 이물이 유입되지 않아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이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적층구조(도 4 및 도 5의 해양 구조물)의 하단에 배치되면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이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의 상부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적층구조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의 구성과 대응된다.
[해양 구조물]
도 4 및 도 5는 도 1 내지 도 3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해양 구조물은, (i)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을 하단에 좌우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하고, (ii)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의 상부에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을 상하 및 좌우로 복수 개 적층하여 조성될 수 있다.
이 때에,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측방 단부(SE3, SE4)가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앙부에 놓여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양 구조물의 시공이 용이해지고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요입부(C, 도 1)가,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 도 2)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해수가 화살표(A) 방향으로 해양 구조물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해양 구조물에 유입된 해수가 해양 구조물을 관통하여 빠져나올 수도 있다(도 4).
이 때에, 파도가 전면벽(110)을 타고 상승하므로 중력에 의해 파도의 에너지가 저감되어 파도가 효과적으로 소파될 수 있다. 또한, 파도가 전면벽(110)을 타고 상승하면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하방으로 가압하므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해양 구조물은, (i)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을 하단에 좌우 및 전후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하고, (ii)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의 상부에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을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적층하여 조성될 수 있다.
이 때에, 도 4와 같이,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측방 단부(SE3, SE4)가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앙부에 놓여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요입부(C, 도 1)가,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 도 2)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전방에 적층된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의 상부벽(120)의 후단부(RE3, 도 1 및 도 2)와 후방에 적층된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의 상부벽(120)의 후단부(RE3, 도 1 및 도 2)가 서로 접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이에, 전방에 적층된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의 중공부(H)와 후방에 적층된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의 중공부(H)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도 5).
이에 따라, 해수가 화살표(A) 방향 또는 화살표(A)의 역방향으로 해양 구조물을 통과하여 해양 구조물의 양쪽으로(전후로) 자유롭게 유동할 있다. 이 때에, 해수가 해양 구조물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면벽(110)을 타고 상승해야 한다. 따라서, 단순한 형상을 가지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하여 해수가 양쪽으로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으면서 양쪽에서 밀려오는 파도가 모두 효과적으로 소파되는 해양 구조물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다. 특히, 요입부(C) 및 중공부(H)가 비교적 큰 단면적을 가지므로 이물에 의해 막히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이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해수가 해양 구조물의 양쪽으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5의 해양 구조물의 상단에는 상치(캡) 콘크리트(10)가 타설될 수 있다.
도 5의 해양 구조물은 예를 들면, 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제3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및 해양 구조물]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c)은 도 1 및 도 2의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의 구성에 후면벽(140, 도 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면벽(140)은 상부벽(120)의 후단부(RE3)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해양 구조물은, (i)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을 하부에 좌우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하고, (ii)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의 상부에 제3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c)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적층하여 조성될 수 있다.
이 때에, 도 4와 같이,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측방 단부(SE3, SE4)가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앙부에 놓여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요입부(C, 도 1)가,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 도 2)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해수가 화살표(A) 방향으로 해양 구조물에 유입될 수 있다(도 7).
다만, 도 4와 달리, 화살표(A) 방향으로 해양 구조물에 유입된 해수는 후면벽(140)에 가로막혀서 해양 구조물을 관통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단순한 형상을 가지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하여 전면벽(110)을 타고 상승한 후에 내부의 빈 공간(중공부, 도 2)에 유입된 해수가 후면벽(140)에 가로막혀서 서로 간섭되어 효과적으로 소파되는 해양 구조물을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다.
도 7의 해양 구조물은, 상단에 상치(캡) 콘크리트(10)가 타설될 수 있고, 하단(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의 하부)에 기초사석 또는 방괴블록(20)이 조적될 수 있으며 후방에 뒤채움사석(3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7의 해양 구조물은 예를 들면, 안벽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면벽(110), 상부벽(120) 및 지지벽(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다른 부분만 살펴본다.
지지돌기(112a, 112b)가 돌출된 전면벽(110)의 폭의 일부 구간(S1 및 S2)은 전면벽(110)의 좌우방향의 양측 단부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지지돌기(112a, 112b)가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좌우방향의 양측 단부에서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하중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서로 어긋나게 교호로 위치하도록 적층하는 경우에 지지돌기(112a, 112b)가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좌우방향의 양측단부에 형성됨으로써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므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지지벽(130)은 상부벽(120)의 중앙부로부터 하향 연장될 수 있다(도 9).
이에 따라,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면(12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면벽(110)의 후면(RS1, RS2), 상부벽(120)의 저면(BS1, BS2) 및 지지벽(130)의 측면(SS1, SS2)에 의해 중공부(H1, H2)가 규정될 수 있다(도 9).
한편, 도 8 및 도 9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적층하면 도 4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적층하면 도 5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때에,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의 요입부(C, 도 8)가,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1, H2, 도 9)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해수가 도 4 및 도 5의 화살표(A) 방향으로 해양 구조물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해양 구조물에 유입된 해수가 해양 구조물을 관통하여 빠져나올 수도 있다(도 4 및 도 5).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0 내지 도 12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을 이용한 해양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제2/제3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 100b, 100c)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의 제1/제2/제3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 100b, 100c)과 대응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과 다른 부분만 살펴본다.
도 10 내지 도 13의 제1/제2/제3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 100b, 100c)은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벽 형태의 전면벽(110)이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도가 전면벽(110)의 곡면을 타고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어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벽(110)의 곡면은 전방하부에서 후방상부로 갈수록 기울기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도가 지니고 있는 에너지가 전면벽(110)의 전방에서부터 크게 감소하므로 소파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파도가 크게 소파된 상태로 해양 구조물의 내부(상부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의 중공부)로 유입되므로 해수가 해양 구조물의 내부(상부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의 중공부)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하여 소파효과가 더욱 상승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전면벽(110)의 곡면이 전방하부에서 후방상부로 갈수록 기울기가 점차 증가하면 요입부(C)가 커져서 파도가 전면벽(110)의 곡면을 타고 상승하지 않아도 해양 구조물의 내부(상부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의 중공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소파효과가 저감될 수 있다.
지지돌기(112)의 전방상부의 모서리부(E)는 곡면형상으로 모따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돌기(112)의 전방상부의 모서리부(E)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해양 구조물은, (i) 도 10 및 도 12의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을 하단에 좌우로 서로 접하도록 배치하고, (ii) 도 10 및 도 12의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의 상부에 도 10 및 도 11의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a)을 상하 및 좌우로 복수 개 적층하여 조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요입부(C, 도 10)가,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 도 11)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해수가 화살표(A) 방향으로 해양 구조물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해양 구조물에 유입된 해수가 해양 구조물을 관통하여 빠져나올 수도 있다(도 14).
이하, 해양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단위 블록 제조단계, 운반단계, 평탄화단계 및 적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위 블록 제조단계에서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장 부근의 야드에서 거푸집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양생한 후에 거푸집을 탈형할 수 있다.
운반단계에서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적치장 또는 현장까지 운반할 수 있다.
평탄화단계에서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이 설치되는 해저바닥의 표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평탄화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적층단계에서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인양하여 현장에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서로 어긋나게 교호로 위치하도록 적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양 구조물의 시공방법이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제조하는 단위 블록 제조단계,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적치장 또는 현장까지 운반하는 운반단계 및 현장에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서로 어긋나게 교호로 위치하도록 적층하는 적층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해양 구조물을 신속하고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상치 콘크리트 20: 방괴블록
30: 뒤채움사석
100: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100a: 제1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100b: 제2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100c: 제3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110: 전면벽 112: 지지돌기
120: 상부벽 130: 지지벽
132, 134: 측벽 140: 후면벽

Claims (12)

  1. 상단부(UE)가 하단부(LE)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전방 상부에 요입부(C)를 규정하고,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벽 형태인 전면벽(110);
    상기 전면벽(110)의 후단부(RE2) 상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벽(120);
    상기 상부벽(12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벽(130)으로서, 상기 상부벽(120)의 양측 단부(SE1, SE2)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32, 134)을 포함하는 지지벽(130); 및
    상기 전면벽(110)의 후면(RS), 상기 상부벽(120)의 저면(BS) 및 상기 지지벽(130)의 측면(SS)에 의해 규정되고, 후방으로 개방된 중공부(H);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으로서,
    상기 전면벽(110)의 상단부(UE)의 전방 단부(FE1)가 상기 전면벽(110)의 하단부(LE)의 후방 단부(RE1)보다 더 후방에 위치하여, 복수 개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였을 때, 하부 단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요입부(C)가, 상부 단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와 연통하고,
    상기 전면벽(110)은 그 폭의 적어도 일부 구간(S)인 상기 전면벽(110)의 중앙부에서 전면벽(110)으로부터 전방 및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12)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였을 때, 상부 단의 전면벽(110)의 하단부가 상기 지지돌기(112) 상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은 평평한 형태이거나 볼록한 곡면 형태인,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130)은 전방으로 상기 전면벽(110)에 연결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벽(132, 134)의 폭의 합은 상기 지지돌기(112)의 폭과 대응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112)는 상방으로 상기 전면벽(110)의 상단부(UE)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112)는 전방으로 상기 전면벽(110)의 전방 단부(FE2)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구간을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120)의 후단부(RE3)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면벽(140);을 더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
  9. 삭제
  10.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7, 및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상하 및 좌우로 복수 개 적층하되, 상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측방 단부(SE3, SE4)가 하부 단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앙부에 놓여지도록 적층하고, 최하단에는 중공부(H)가 채워진 형태의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b)을 적층한, 해양 구조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전후 방향으로 적층하되, 전방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벽(120)의 후단부(RE3)와 후방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상부벽(120)의 후단부(RE3)가 서로 접하도록 적층하여, 전방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와 후방에 적층된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의 중공부(H)가 서로 연결된, 해양 구조물.
  12. 청구항 10의 해양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제조하는 단위 블록 제조단계;
    상기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적치장 또는 현장까지 운반하는 운반단계; 및
    상기 현장에서 상기 해양 구조물 단위 블록(100)을 서로 어긋나게 교호로 위치하도록 적층하는 적층단계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200155399A 2020-11-19 2020-11-19 해양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4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399A KR102248753B1 (ko) 2020-11-19 2020-11-19 해양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399A KR102248753B1 (ko) 2020-11-19 2020-11-19 해양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753B1 true KR102248753B1 (ko) 2021-05-06

Family

ID=7591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399A KR102248753B1 (ko) 2020-11-19 2020-11-19 해양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7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429A (ja) * 1997-08-01 1999-02-23 Maeta Concrete Ind Ltd 魚巣用ブロック
KR20110102096A (ko) * 2010-03-09 2011-09-16 최형우 해수유통구가 형성된 호안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1606343B1 (ko) * 2015-03-15 2016-03-25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KR101678143B1 (ko) * 2016-06-27 2016-11-21 (주)에스엔비 파도 에너지를 감쇄시키는 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429A (ja) * 1997-08-01 1999-02-23 Maeta Concrete Ind Ltd 魚巣用ブロック
KR20110102096A (ko) * 2010-03-09 2011-09-16 최형우 해수유통구가 형성된 호안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1606343B1 (ko) * 2015-03-15 2016-03-25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KR101678143B1 (ko) * 2016-06-27 2016-11-21 (주)에스엔비 파도 에너지를 감쇄시키는 블럭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092B1 (ko) 조립식 케이슨 블록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안벽
KR101664160B1 (ko) 인터록킹된 케이슨을 이용한 항만 구조물
CN110344368B (zh) 一种桩基装配式透空式防波堤
KR102248753B1 (ko) 해양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3170404A (ja) 擁壁ブロック、擁壁および擁壁の構築方法
KR102337158B1 (ko) 방파제 구조물
KR101806855B1 (ko) 모듈러 호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5413723B2 (ja) 防波堤
KR101255961B1 (ko)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202091B1 (ko) 마찰 증대 콘크리트 블록을 포함하는 항만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635900B1 (ko) T형, 역t형 소파기둥을 지니는 케이슨과 이를 포함하는 방파제 및 안벽
CN216194608U (zh) 一种箱型取水口结构的水面漂浮施工结构
KR102295252B1 (ko) 해양구조물 단위블록, 해양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04957B1 (ko) 블록
US2677240A (en) Sea wall
KR102211097B1 (ko) 소파 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
EP2909385A1 (en) Subterranean drainage structure and base unit therefor
KR100622802B1 (ko) 투수식 소파판을 구비한 잔교구조물
KR101326773B1 (ko) 부등침하에 대응이 용이한 항만구조물
KR102254937B1 (ko) 케이슨 및 그 구조물
JP3721411B2 (ja) コンクリート空積みブロックと基礎盤
KR200410820Y1 (ko) 하천 옹벽기초 세굴방지구조
KR102442599B1 (ko) 오목형 블록식 스톱로그 및 이의 설치와 해체 방법
KR102305030B1 (ko) 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JP5398470B2 (ja) 透過型堤体構造物、透過型海域制御構造物及び堤体用分割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