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054B1 -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 Google Patents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054B1
KR102144054B1 KR1020200036874A KR20200036874A KR102144054B1 KR 102144054 B1 KR102144054 B1 KR 102144054B1 KR 1020200036874 A KR1020200036874 A KR 1020200036874A KR 20200036874 A KR20200036874 A KR 20200036874A KR 102144054 B1 KR102144054 B1 KR 102144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a block
basic
coupling
sofa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하재선
하림
박관욱
Original Assignee
하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림 filed Critical 하림
Priority to KR1020200036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기본소파블록몸체, 수직결합돌기부, 수직결합홈부, 수평결합돌기부, 수평결합홈부, 서식부, 보조서식부 및 어로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본소파블록; 연결소파블록몸체, 좌우결합돌기부, 좌우결합홈부 및 연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소파블록; 및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 간에 공간이 형성되어 해수가 통과하고 머무를 수 있도록 하여 어패류의 은신, 서식 기능 및 소파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는 공간으로 구성되는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소파블록으로서, 기본소파블록이 연결소파블록을 매개로 결합되면서 그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을 제공하는 목적 및 효과를 갖는 것이다.
(대표도)
도 1

Description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EASILY EXPANDABLE WAVE DISSIPATING BLOCK WITH ARTIFICIAL REEF FUNCTION}
본원 발명은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어패류가 도피, 은신 및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여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뿐 아니라, 파도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파력의 감쇄나 반사파의 발생을 방지하는 소파(消波) 작용을 하는 잠제(潛堤)로서의 기능 및 방파제(防波堤)로서의 기능 또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에 관한 것이다.
해안과 항만 등에는 방파제가 축조되는데, 방파제는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파도가 부딪히면서 파도의 파력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하여, 내해 쪽에 정박하고 있는 선박이나 기타 시설물 등은 파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파블록은 파도의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고안된 이형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방파제나 호안의 큰 파도를 받는 곳에 설치되어 파력의 감쇠나 반사파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소파블록으로는 테트라포드(tertapod), 육각블록(hexaleg block), 중공삼각블록(tertahedron block), 할로스퀘어(hollow square), 아치트라이바(arch tribar) 등이 사용되고 있다. 소파블록은 파도에 대한 소파기능 및 경제성의 측면을 골고루 만족시켜야 하는 것인데, 종래 소파블록은 블록의 크기에 비해 소파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운반이나 시공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방파제는 어느 정도 높은 파도를 막을 수 있는 높이로 설치되어 방파제가 설치되는 구간은 내해와 외해가 차단되게 되었다. 하지만, 이렇게 바닷물을 가두어 놓는 형태로 방파제를 건설하게 됨으로써, 바닷물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내해 쪽에 각종 오물이 쌓여 바닷물이 오염되며,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내해 쪽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방파제에 부딪힌 바닷물에 큰 반발력이 발생하고 연이어 들이닥치는 바닷물이 합해져서 더욱 큰 에너지로 방파제를 때리게 되고, 그 결과 파고가 점점 높아져 방파제를 넘는 소위 월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라 함은 해안 회유성 어류 및 연근해에 서식하는 어패류 등의 은신처, 서식처, 또는 산란 장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바다 속에 설치되는 인공 구조물을 말한다.
이와 같은 인공어초는 콘크리트나 강재 등을 사용하여 종래에는 구형, 다면체와 같은 형태로 제작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해조류 포자의 착생 및 서식, 패류의 착생 및 서식, 어류의 위집 및 서식, 와류의 형성에 의한 영양염류 및 산소의 공급에 의하여 어패류 등에 양호한 서식환경 제공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복잡한 형태로 설계되어 제작되고 있다.
즉, 기존의 인공어초는, 다수개의 프레임에만 의지하여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할 뿐더러 제작방식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그 전체적인 외형도 사면체, 육면체 등과 같은 다면체의 형태를 가짐에 따라서 해저 환경에 대응하여 확장되거나 축소되기에는 어려운 결합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인공어초의 초기 제작단계에서 해저 환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설계되어 해저에 적용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인공어초를 해저에 투하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기존에는 인공어초로서의 기능과 소파블록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이 제공되지 못한 실정이었는데, 기존의 인공어초나 소파블록은, 해저면의 모래가 파도에 의해 유실되는 과정에서 부등침하가 발생하거나, 모래에 의해 덮여지거나, 파도에 의해 유동 등의 원인으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파도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파력의 감쇄나 반사파의 발생을 방지하는 소파(消波) 작용을 하는 잠제(潛堤)로서의 기능 및 방파제(防波堤)로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지 아니하였으며, 파도가 방파제를 넘는 월파(越波)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지도 아니하여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소파블록을 잠제 및 방파제 등으로 사용하기에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의 상승 또는 빈발하는 태풍에 의해 매년 월파에 의한 사고가 발생되기 때문에 월파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바, 현재는, 단순히 방파제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방식으로 월파를 방지하기 때문에 방파제의 시공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에 정진함으로써 새로운 개념의 발명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8-0130801호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개발하고 출원하였으며, 소파블록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의 확장이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한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확장되어 어패류가 도피, 은신 및 서식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을 제공하는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것일 뿐 아니라, 파도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파력의 감쇄나 반사파의 발생을 방지하는 소파(消波) 작용을 하는 잠제(潛堤)로서의 기능 및 방파제(防波堤)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것이며, 잠제 및 방파제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월파에 의한 사고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소파블록의 형태를 다양화하고 결합방식을 다양화함으로써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의 확장이 더욱 용이한 소파블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원 발명은,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의 2가지 소파블록으로 구성되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A) 기본소파블록은, 기본소파블록몸체, 수직결합돌기부, 수직결합홈부, 수평결합돌기부, 수평결합홈부, 서식부, 보조서식부 및 어로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B) 상기 연결소파블록은, 연결소파블록몸체,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 및 연결소파블록연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더하여 후술하는 공간부가 더욱 포함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에 관한 것이다.
C) 여기에서 공간부는, 상기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이 결합하여 확장되면서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공간부는,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 간에 공간이 형성되어 해수가 통과하고 머무를 수 있도록 하여 어패류의 은신, 서식 기능 및 소파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는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기본소파블록(A; 100)과 연결소파블록(B; 200) 각각에 관하여 설명하면서 공간부(C; 300)에 관하여는 이들 설명에 포함하여 설명한다.
(A) 기본소파블록
먼저, 기본소파블록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본소파블록몸체는 중앙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서식부를 구비한 사각기둥 형태이고, 수직결합돌기부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부면이 하부면 보다 좁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사각기둥 형태이고, 수직결합홈부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요입되되 상부면이 하부면보다 좁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사각기둥 형태로 요입된 형태이며, 수직결합돌기부가 그 상부에 적층되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수직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이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결합돌기부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전, 후, 좌, 우 4개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외측면이 내측면보다 좁은 형태, 즉,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사각기둥 형태이고, 수평결합홈부는 기본소파블록몸체에 수평결합돌기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형태이며, 상기 수평결합돌기부가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수평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이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결합돌기부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전, 후 2개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후결합돌기부 및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좌우 2개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좌우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결합홈부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전후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전후결합홈부 및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좌우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좌우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전후결합돌기부는 전후방향으로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전후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이 전후방향으로 확장되고, 좌우결합돌기부는 좌우방향으로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좌우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이 좌우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어로홈부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전후결합홈부 및 좌우결합홈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어로홈부외측부가 어로홈부내측면보다 넓은 테이퍼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서식부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전후결합돌기부 및 좌우결합돌기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보조서식부의 외측부분이 보조서식부 내측부분보다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B) 연결소파블록
다음으로, 연결소파블록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결소파블록몸체는 긴 직사각기둥 형태이고, 연통부가 연결소파블록몸체에 형성되고,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가 연결소파블록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외측면이 내측면보다 좁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사각기둥 형태이고,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는 연결소파블록몸체에 수평결합돌기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형태이며, 상기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가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좌우결합홈부에 삽입되고,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에 이웃하는 다른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좌우결합돌기부가 삽입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이 연결소파블록을 매개로 결합되어 수직 및 좌우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소파블록은, 연결소파블록몸체에 연통부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연통부는 1 내지 5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3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연결소파블록에는 연통부가 연결소파블록몸체 부피의 20 내지 50% 부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통부가 연결소파블록몸체의 30 내지 40%로 형성되는 것이다. 연통부가 연결소파블록몸체의 20%이하로 형성될 경우에는 어패류의 은신, 서식 기능 및 소파 기능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70%이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구조안정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본원 발명에 따른 기본소파블록과 기본소파블록이 결합하여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과정이 설명된 후,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이 결합되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과정이 설명된다.
먼저, 기본소파블록과 기본소파블록간의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과정은, 기본소파블록의 수직결합돌기부가 그 상부에 적층되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수직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이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또한, 기본소파블록과 기본소파블록간의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과정은, 첫째, 전후방향으로는 기본소파블록의 전후결합돌기부가 전후방향으로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전후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이 전후방향으로 확장되고, 둘째, 좌우방향으로는 좌우결합돌기부가 좌우방향으로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좌우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이 좌우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므로, 기본소파블록과 기본소파블록이 결합하여 수직 및 수평(전후좌우)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둘째,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간의 수직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확장되는 과정은, 연결소파블록의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가 좌우방향으로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좌우결합홈부에 삽입되고,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에 이웃하는 다른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좌우결합돌기부가 삽입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이 연결소파블록을 매개로 결합되어 수직 및 좌우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때, 기본소파블록의 높이는 동일하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연결소파블록의 높이는 좌우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기본소파블록의 높이와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기본소파블록이 연결소파블록을 매개로 결합되어 수직 및 좌우방향으로 확장될 시에, 수평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양호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만약, 연결소파블록의 높이가 이웃하게 배치된 기본소파블록의 높이와 동일하다면, 그 상부에 배치되는 또 다른 연결소파블록 및 기본소파블록은 단지 상기 하부에 배치되는 연결소파블록 및 기본소파블록의 윗면에 놓여진 상태가 되어 지지력은 오직 기본소파블록의 수직결합돌기부가 그 상부에 적층되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수직결합홈부에 삽입됨으로써 발생되는 지지력에 의존하게 되어 수평방향의 외력에 의해 하부에 배치된 연결소파블록 및 기본소파블록 상에서 유동되고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기본소파블록을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는 과정에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기본소파블록이 외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본소파블록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연결소파블록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소파블록의 높이는, 이웃하게 배치된 기본소파블록의 높이를 1이라 할 때 0.5의 배수로서 0.5, 1, 1.5, 2, 2.5, 3, 3.5, 4, 4.5, 5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1, 1.5, 2, 2.5, 3의 비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5, 1, 1.5의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수직결합돌기부, 수직결합홈부, 전후결합돌기부, 좌우결합돌기부, 전후결합홈부, 좌우결합홈부,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 및 연통부의 모든 모서리들은 모따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바, 이러한 모따기된 구성들에 의하여 기본소파블록 및 연결소파블록이 부드럽고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모따기된 구성들에 의하여 발생된 유격은 소파 기능 및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을 증대시키는 효과 또한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모따기된 구성에 의한 유격은 공간부, 서식부, 보조서식부, 어로홈부, 연통부와 연통되어 어패류의 이동 및 해수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파 기능 및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기본소파블록에 형성되는 서식부, 보조서식부, 어로홈부와, 연결소파블록에 형성되는 연통부는 서로 연통되며, 이렇게 연통될 때 모따기된 구성들에 의하여 발생된 유격은 이러한 연통을 더욱 증대시킴으로써 어패류의 이동 및 해수의 흐름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어패류가 도피, 은신 및 서식하기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어 풍부한 어장을 형성하는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파랑에 의한 충격 시 해수가 흐르게 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키는 소파 기능 또한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기본소파블록의 전, 후, 좌, 우 4면의 수평결합홈부(전후결합홈부, 좌우결합홈부)에 형성되는 어로홈부는 어로홈부외측부가 넓고 어로홈부내측부가 좁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어서, 외부에서 내부로 해수가 유입될 때 유속이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해수의 속도가 크게 증가되는 효과를 구비한 것이어서, 해수가 8개 내지 16개의 다수개의 어로홈부를 통해 유입될 수 있게 되므로, 소파 기능이 크게 증가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다수개의 어로홈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속이 빠른 해수에 의해 공간부와, 기본소파블록에 형성되는 서식부, 보조서식부, 연결소파블록에 형성되는 연통부에서 용승현상이 발생되거나 와류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승현상이 발생되거나 와류현상이 발생됨에 따라서 어패류에게 산소, 영양염류, 플랑크톤 등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고, 자정작용에 의해 어패류가 은신, 서식 및 산란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다.
또한, 다단으로 적층된 다수개의 소파블록에서 발생되는 용승현상 및 와류현상에 의해 잠제 및 방파제로 향하는 파도의 파력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월파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을 방파제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부면이 빈틈없이 채워진 상태로 마무리되어야 사람이나 동물 및 차량 등이 추락하지 않고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으므로,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빈틈없이 마무리하면서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높이의 커버 소파블록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소파블록들이 커버 소파블록과 결합될 경우,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소파블록들 간의 결합력이 더욱 증대되어 구조안정성 또한 증대될 수 있다.
이때, 커버 소파블록은 몸체가 상기 소파블록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소파블록과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도록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소파블록을 방파제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해 쪽 측면이 반듯하게 마무리되어야 선박의 접안이 용이하므로, 소파블록의 일 측면에 수평결합돌기부 및 수평결합홈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접안용 기본소파블록이 마련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 및 공간부로 구성되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기본소파블록에 형성된 서식부, 보조서식부, 어로홈부와 연결소파블록에 형성된 연통부와 공간부 및 모서리가 모따기되어 형성된 유격에 의해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해수가 통과하고 머무를 수 있도록 하여 어패류가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용승현상 및 와류가 발생되어 영양염류 및 산소가 풍부해짐으로써 어패류의 먹이인 플랑크톤이 풍부한 어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으로 구성되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은, 기본소파블록에 형성된 서식부, 보조서식부, 어로홈부와 연결소파블록에 형성된 연통부와 공간부 및 모서리가 모따기되어 형성된 유격에 의해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다수개의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 및 공간부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어 통과하기도 하고 머무르기도 하여, 파도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파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으로 구성되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은, 동일한 형태와 동일한 높이의 기본소파블록이 수평방향으로 확장되고 다단으로 적층되어 수직방향으로 확장될 뿐 아니라, 기본소파블록과 높이가 상이한 연결소파블록에 의하여 매개되어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방식의 확장이 가능하게 되며,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파력에 의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으로 구성되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은, 해저면에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 설치됨으로써 육지를 향해 이동하는 파도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파력의 감쇄나 반사파의 발생을 방지하는 소파(消波) 작용을 하는 잠제(潛堤)로서의 기능 및 방파제(防波堤)로서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월파에 의한 안전사고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으로 구성되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은, 소파블록의 형태를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으로 다양화하고 결합방식을 기본소파블록간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는 방식 및 기본소파블록이 연결소파블록에 의하여 매개되어 결합하는 방식으로 다양화함으로써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의 확장이 더욱 다양하고 용이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소파블록(100)이 연결소파블록(200)을 매개로 결합되어 수직 및 좌우방향으로 확장되어 공간부(300)를 포함하는 복합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확장된 복합체의 평면도.
도 3은 기본소파블록(100)의 사시도.
도 4는 기본소파블록(100)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기본소파블록(100)을 화살표 A-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사시도.
도 6은 도 4의 기본소파블록(100)을 화살표 A-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연결소파블록(200)의 사시도.
도 8은 연결소파블록(200)의 평면도.
본원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원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원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소파블록 및 연결소파블록의 2가지 소파블록으로 구성되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소파블록(100)이 연결소파블록(200)을 매개로 결합되어 수직 및 좌우방향으로 확장되어 공간부(300)를 포함하는 복합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확장된 복합체의 평면도이고, 도 3은 기본소파블록(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기본소파블록(100)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기본소파블록(100)을 화살표 A-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기본소파블록(100)을 화살표 A-A'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소파블록(200)의 사시도이며, 도 8은 연결소파블록(200)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은, 기본소파블록(100)과 연결소파블록(200)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이에 더하여 후술하는 공간부(300)가 더욱 포함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하 기본소파블록(A; 100)과 연결소파블록(B; 200) 각각에 관하여 설명하면서 공간부(C; 300)에 관하여는 이들 설명에 포함하여 설명한다.
A) 상기 기본소파블록(100)은, 기본소파블록몸체(110), 수직결합돌기부(111), 수직결합홈부(112), 수평결합돌기부(120), 수평결합홈부(130), 서식부(140), 보조서식부(141) 및 어로홈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B) 상기 연결소파블록(200)은, 연결소파블록몸체(210),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222),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232) 및 연통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C) 상기 공간부(300)는, 기본소파블록(100)과 연결소파블록(200) 간에 공간이 형성되어 해수가 통과하고 머무를 수 있도록 하여 어패류의 은신, 서식 기능 및 소파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는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A) 기본소파블록
먼저, 기본소파블록(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본소파블록몸체(110)는 중앙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서식부(140)를 구비한 사각기둥 형태이고, 상기 수직결합돌기부(111)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부면이 하부면 보다 좁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사각기둥 형태이고, 상기 수직결합홈부(112)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하부면으로부터 요입되되 상부면이 하부면보다 좁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사각기둥 형태로 요입된 형태이며, 상기 수직결합돌기부(111)가 그 상부에 적층되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수직결합홈부(112)에 삽입되어 기본소파블록(100)이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결합돌기부(120)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전, 후, 좌, 우 4개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외측면이 내측면보다 좁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사각기둥 형태이고, 수평결합홈부(130)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에 수평결합돌기부(120)가 형성되지 아니한 형태이며, 상기 수평결합돌기부(120)가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수평결합홈부(130)에 삽입되어 기본소파블록(100)이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결합돌기부(120)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전후 2개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후결합돌기부(121) 및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좌우 2개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좌우결합돌기부(122)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수평결합홈부(130)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전후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전후결합홈부(131) 및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좌우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좌우결합홈부(132)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전후결합돌기부(121)는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전후결합홈부(131)에 삽입되어 기본소파블록(100)이 전후방향으로 확장되고, 좌우결합돌기부(122)는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좌우결합홈부(132)에 삽입되어 기본소파블록(100)이 좌우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상기 어로홈부(150)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전후결합홈부(131) 및 좌우결합홈부(132)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어로홈부외측부(151)가 어로홈부내측부(152)보다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서식부(141)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전후결합돌기부(121) 및 좌우결합돌기부(122)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보조서식부의 외측부분이 보조서식부 내측부분보다 넓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B) 연결소파블록
다음으로, 연결소파블록(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결소파블록몸체(210)는 긴 직사각기둥 형태이고, 연통부(240)가 연결소파블록몸체(210)에 형성되고,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222)가 연결소파블록몸체(2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외측면이 내측면보다 좁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사각기둥 형태이고,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232)는 연결소파블록몸체(210)에 수평결합돌기부(120)가 형성되지 아니한 형태이며, 상기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222)가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좌우결합홈부(132)에 삽입되고,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232)에 이웃하는 다른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좌우결합돌기부(122)가 삽입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100)이 연결소파블록(200)을 매개로 결합되어 수직 및 좌우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소파블록(200)은, 연결소파블록몸체(210)에 연통부(240)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연통부는 1 내지 5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3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며, 연결소파블록(200)에는 연통부(240)가 연결소파블록몸체(210)의 20 내지 5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통부(240)가 연결소파블록몸체(210)의 30 내지 40%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연통부(240)가 형성되지 않거나, 연결소파블록몸체(210)의 20%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연통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채택할 수 없으며, 5개를 초과하거나 연결소파블록몸체(210)의 50%를 초과할 경우 구조안정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채택할 수 없는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소파블록(100)과 연결소파블록(200)이 연결되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과정이 예를 들어 설명된다.
먼저, 기본소파블록과 기본소파블록이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기본소파블록(100)의 수직결합돌기부(111)가 그 상부에 적층되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수직결합홈부(112)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100)이 수직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기본소파블록과 기본소파블록간의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첫째, 전후방향으로는 기본소파블록(100)의 전후결합돌기부(121)는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전후결합홈부(131)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100)이 전후방향으로 확장되고, 둘째, 좌우방향으로는 좌우결합돌기부(122)가 좌우방향으로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좌우결합홈부(132)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100)이 좌우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으므로, 기본소파블록(100)과 기본소파블록(100)이 결합하여 수직 및 수평(전, 후, 좌, 우)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간의 수직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연결소파블록(200)의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222)가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좌우결합홈부(132)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232)에 이웃하는 다른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좌우결합돌기부(122)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100)이 연결소파블록(200)을 매개로 결합되어 수직 및 좌우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때, 기본소파블록(100)의 높이는 동일하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연결소파블록(200)의 높이는 이웃하게 배치된 기본소파블록(100)의 높이와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소파블록(100)이 연결소파블록(200)을 매개로 결합되어 수직 및 좌우방향으로 확장될 시에, 수평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양호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만약, 연결소파블록(200)의 높이가 이웃하게 배치된 기본소파블록(100)의 높이와 동일하다면, 그 상부에 배치되는 또 다른 연결소파블록(200) 및 기본소파블록(100)은 단지 상기 하부에 배치되는 연결소파블록(200) 및 기본소파블록(100)의 윗면에 놓여진 상태가 되어 지지력은 오직 기본소파블록(100)의 수직결합돌기부(111)가 그 상부에 적층되는 기본소파블록몸체(110)의 수직결합홈부(112)에 삽입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에 의존하게 되어 수평방향의 외력에 의해 하부에 배치된 연결소파블록(200) 및 기본소파블록(100) 상에서 유동되고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기본소파블록(100)을 수직방향으로 확장시키는 과정에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기본소파블록(100)이 외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본소파블록(100)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연결소파블록(200)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소파블록(200)의 높이는 이웃하게 배치된 기본소파블록(100)의 높이를 1이라 할 때 0.5의 배수로서 0.5, 1, 1.5, 2, 2.5, 3, 3.5, 4, 4.5, 5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1, 1.5, 2, 2.5, 3의 비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5, 1, 1.5의 비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수직결합돌기부(111), 수직결합홈부(112), 전후결합돌기부(121), 좌우결합돌기부(122), 전후결합홈부(131), 좌우결합홈부(132),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222),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232) 및 연통부(240)의 모든 모서리들은 모따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따기된 구성들에 의하여 기본소파블록(100) 및 연결소파블록(200)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나타내며, 이들 소파블록들이 부드럽고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모따기된 구성들에 의하여 발생된 유격은 소파 기능 및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을 증대시키는 효과 또한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모따기된 구성에 의한 유격은 공간부(300), 서식부(140), 보조서식부(141), 어로홈부, 연통부(240)와 연통되어 어패류의 이동 및 해수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파 기능 및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기본소파블록(100)과 연결소파블록(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300)와, 기본소파블록(100)에 형성되는 서식부(140), 보조서식부(141), 어로홈부와, 연결소파블록(200)에 형성되는 연통부(240)는 서로 연통되며, 이렇게 연통될 때 모따기된 구성들에 의하여 발생된 유격은 이러한 연통을 더욱 증대시킴으로써 어패류의 이동 및 해수의 흐름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어패류가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하기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어 풍부한 어장을 형성하는 인공어초로서의 기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파랑에 의한 충격 시 해수가 흐르게 함으로써 충격을 완화시키는 소파 기능 또한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특히 중요한 구성인 어로홈부(150)에 관하여 설명하면, 기본소파블록(100)의 전후좌우 4면의 수평결합홈부(130)(전후결합홈부(131), 좌우결합홈부(132))에 형성되는 어로홈부(150)는 어로홈부외측부(151)가 직사각형 형상이고, 서식부에 접하는 사각기둥몸체의 내측면 일부에 형성되는 어로홈부내측부(152) 또한 직사각형 형상이며, 어로홈부내측부(151)의 직사각형 형상이 어로홈부외측부(152)의 직사각형 형상보다 좁게 형성된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렇게 어로홈부외측부(151)가 넓고 어로홈부내측부(152)가 좁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어서, 외부에서 내부로 해수가 유입될 때 그 유속이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해수의 속도가 서식부 내부로 갈수록 크게 증가되는 효과를 구비한 것이어서, 해수가 8개 내지 16개의 다수개의 어로홈부(150)를 통해 유입될 수 있게 되므로, 소파 기능이 크게 증가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다수개의 어로홈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속이 빠른 해수에 의해 공간부(300)와, 기본소파블록(100)에 형성되는 서식부(140), 연결소파블록(200)에 형성되는 연통부(240)에서 용승현상이 발생되거나 와류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다단으로 적층된 다수개의 소파블록에서 발생되는 용승현상 및 와류현상에 의해 잠제 및 방파제로 향하는 파도의 파력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월파를 방지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원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소파블록이 2단으로 적층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고 도면상에는 1단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2단 이상으로 적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수 없는 것이며, 본원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원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기본소파블록
110 : 기본소파블록몸체
111 : 수직결합돌기부
112 : 수직결합홈부
120 : 수평결합돌기부
121 : 전후결합돌기부
122 : 좌우결합돌기부
130 : 수평결합홈부
131 : 전후결합홈부
132 : 좌우결합홈부
140 : 서식부
141 : 보조서식부
150 : 어로홈부
151 : 어로홈부외측부
152 : 어로홈부내측부
200 : 연결소파블록
210 : 연결소파블록몸체
222 :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
232 :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
240 : 연통부
300 : 공간부

Claims (15)

  1. 기본소파블록 및 연결소파블록의 2가지 소파블록으로 구성되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에 있어서;
    A) 상기 기본소파블록은, 기본소파블록몸체, 수직결합돌기부, 수직결합홈부, 수평결합돌기부, 수평결합홈부, 서식부, 보조서식부 및 어로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본소파블록몸체는 중앙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서식부를 구비한 사각기둥 형태이고,
    상기 수직결합돌기부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부면이 하부면 보다 좁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사각기둥 형태이고,
    상기 수직결합홈부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요입되되 상부면이 하부면보다 좁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사각기둥 형태로 요입된 형태이고,
    상기 수평결합돌기부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전후 2개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후결합돌기부 및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좌우 2개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좌우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외측면이 내측면보다 좁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사각기둥 형태이고,
    상기 수평결합홈부는 기본소파블록몸체에 수평결합돌기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형태로서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전후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전후결합홈부 및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좌우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좌우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보조서식부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전후결합돌기부 및 좌우결합돌기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보조서식부의 외측부분이 내측부분보다 넓은 테이퍼 형태이고,
    상기 어로홈부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전후결합홈부 및 좌우결합홈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어로홈부외측부가 어로홈부내측부보다 넓은 형태이고;
    상기 수직결합돌기부가 그 상부에 적층되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수직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기본소파블록이 수직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고, 상기 전후결합돌기부는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전후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기본소파블록이 전후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고, 좌우결합돌기부는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좌우결합홈부에 삽입되어 기본소파블록이 좌우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며 ;
    B) 상기 연결소파블록은, 연결소파블록몸체,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 및 연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소파블록몸체는 긴 직사각기둥 형태이고,
    연통부가 연결소파블록몸체에 형성되고,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가 연결소파블록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외측면이 내측면보다 좁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사각기둥 형태이고,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는 연결소파블록몸체에 수평결합돌기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형태이며;
    상기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가 이웃하는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좌우결합홈부에 삽입되고,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에 이웃하는 다른 기본소파블록몸체의 좌우결합돌기부가 삽입됨으로써, 기본소파블록이 연결소파블록을 매개로 결합되어 수직 및 좌우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며;
    C) 기본소파블록과 연결소파블록 간에 공간이 형성되어 해수가 통과하고 머무를 수 있도록 하여 어패류의 은신, 서식 기능 및 소파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는 공간으로 구성되는 공간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파블록은, 연결소파블록몸체에 연통부가 1 내지 5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파블록은, 연통부가 연결소파블록몸체의 20 내지 5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파블록은, 연통부가 연결소파블록몸체의 30 내지 4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파블록의 높이는 이웃하게 배치된 기본소파블록의 높이를 1이라 할 때 0.5의 배수로서 0.5, 1.5, 2, 2.5, 3, 3.5, 4, 4.5 또는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의 비율은 0.5, 1.5, 2, 2.5 또는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의 비율은 0.5 또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15. 제1항에 있어서, 수직결합돌기부, 수직결합홈부, 전후결합돌기부, 좌우결합돌기부, 전후결합홈부, 좌우결합홈부,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돌기부, 연결소파블록좌우결합홈부 및 연통부의 모든 모서리들은 모따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20200036874A 2020-03-26 2020-03-26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2144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874A KR102144054B1 (ko) 2020-03-26 2020-03-26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874A KR102144054B1 (ko) 2020-03-26 2020-03-26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054B1 true KR102144054B1 (ko) 2020-08-12

Family

ID=7203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874A KR102144054B1 (ko) 2020-03-26 2020-03-26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0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423B1 (ko) * 2020-04-17 2020-12-01 하림 다양한 소파블록으로 구성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2571983B1 (ko) * 2022-11-08 2023-08-29 홍군희 파형 벽체와 수직 기둥체가 조립되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72B1 (ko) * 2018-10-30 2019-08-19 이정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2065647B1 (ko) * 2019-04-22 2020-01-13 이정우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KR102084051B1 (ko) * 2019-08-16 2020-03-03 이정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72B1 (ko) * 2018-10-30 2019-08-19 이정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2065647B1 (ko) * 2019-04-22 2020-01-13 이정우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KR102084051B1 (ko) * 2019-08-16 2020-03-03 이정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423B1 (ko) * 2020-04-17 2020-12-01 하림 다양한 소파블록으로 구성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2571983B1 (ko) * 2022-11-08 2023-08-29 홍군희 파형 벽체와 수직 기둥체가 조립되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6408B2 (ja) 拡張が容易な人工漁礁機能付き消波ブロック
KR102144054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2084051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1058167B1 (ko)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중공형 소파블럭 겸용 인공어초
KR102144053B1 (ko)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서식 및 은신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삼각형 인공어초
CN113216081A (zh) 一种潜堤和方孔网格人工鱼礁复合的生态防波堤
KR102116080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2184423B1 (ko) 다양한 소파블록으로 구성되는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0721453B1 (ko) 어소 옹벽 겸용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2065647B1 (ko)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JPH09165725A (ja) 生態系を考慮した護岸構造物
KR200163467Y1 (ko) 어소블럭
JP2971007B2 (ja) 消波機能および水棲生物の生息促進機能を有する水域構築物
KR20100133345A (ko) 어초기능을 가진 강제 소파 및 백사장 모래유실방지 구조물
KR101522923B1 (ko) 다목적 해양 인공구조물
KR200217422Y1 (ko) 얼래형 인공어초
KR100433498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가진 호안
JP2003096742A (ja) 海水交流防波堤ケーソン
KR200420315Y1 (ko) 어소 및 옹벽 겸용블록
KR200376490Y1 (ko) 철골과 로프와 철판으로 형성 되는 各형 복합어초
KR20230136720A (ko) 다기능 블록
KR200262769Y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가진 호안
KR100421059B1 (ko) 수중보 어도 블록
KR200240372Y1 (ko) 호안블록
JPS63184617A (ja) コンクリ−ト製ケ−ソ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