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647B1 -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647B1
KR102065647B1 KR1020190046528A KR20190046528A KR102065647B1 KR 102065647 B1 KR102065647 B1 KR 102065647B1 KR 1020190046528 A KR1020190046528 A KR 1020190046528A KR 20190046528 A KR20190046528 A KR 20190046528A KR 102065647 B1 KR102065647 B1 KR 102065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female
male
binding groove
block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102019004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7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of monolithic form, e.g.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vetment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축선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기둥의 형태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 및 그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암형의 돌출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면 및 그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수형의 돌출부와, 상기 암형의 돌출부 일측면을 따라 다수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해류가 흐를 수 있게 요철을 형성하여 수산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제1서식부 및 상기 암형의 돌출부와 수형의 돌출부 사이의 몸체에 다수 형성되어 상기 중공으로 해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연통되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EASILY EXPANDABLE ARTIFICIAL REEF WITH WAVE DISSIPATING BLOCK FUNCTION}
본 발명은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파도 에너지를 흡수 및 용승류를 형성시켜 월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는 해안 회유성 어류 및 연근해에 서식하는 어패류 등의 은신처, 서식처, 또는 산란 장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바다속에 설치되는 인공 구조물을 말한다.
이와 같은 인공어초는 콘크리트나 강재 등을 사용하여 구형, 다면체와 같은 형태로 제작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해조류의 번식, 패류의 착생, 어류의 위집, 와류의 형성 등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서 이들 각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복잡한 형태로 설계되어 제작되고 있다.
즉, 기존의 인공어초는 다수개의 프레임에만 의지하여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할 뿐더러 제작방식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그 전체적인 외형도 사면체나 육면체 등과 같은 다면체의 형태를 가짐에 따라서 해저 환경에 대응하여 확장되거나 축소되기에는 어려운 결합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인공어초의 초기 제작단계에서 해저 환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설계되어 해저에 적용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인공어초를 해저에 투하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인공어초나 소파블록은 해저면의 모래가 파도에 의해 유실되는 과정에서 모래에 의해 덮여지거나 파도에 의해 유동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또한 파도가 방파제나 방조제를 넘는 파도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월파(越波)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지 않아 소파제로 사용하기에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해수면의 상승 또는 태풍에 의해 매년 월파에 의한 사고가 발생되기 때문에 월파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 있는 바, 현재에는 단순히 방파제 또는 방조제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방식으로 월파를 방지하기 때문에 방파제 또는 방조제의 시공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KR 10-1751116 B (2017.06.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확장되어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을 제공하고, 파도의 힘을 줄이는 잠제(潛堤) 기능도 가짐에 따라서 월파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축선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기둥의 형태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 및 그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암형의 돌출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면 및 그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수형의 돌출부와, 상기 암형의 돌출부 일측면을 따라 다수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해류가 흐를 수 있게 요철을 형성하여 수산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제1서식부 및 상기 암형의 돌출부와 수형의 돌출부 사이의 몸체에 다수 형성되어 상기 중공으로 해류가 흐를 수 있게 연통되는 관통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암형의 돌출부는 상기 수형의 돌출부가 상기 몸체의 축선방향으로 결속되는 결속 홈을 형성하되, 상기 결속 홈은 병목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속 홈은 상기 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대편 연장부를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와 절곡부의 입구는 상기 수형의 돌출부가 상기 결속 홈에 결속될 때 수형의 돌출부를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의 축선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해류가 흐를 수 있게 요철을 형성하여 수산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제2서식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로 인출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걸림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절곡부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와 상대편 몸체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축선의 길이를 달리하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몸체와 상대편 몸체가 결속되었을 때 높이 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 홀은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서 중공으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하는 쐐기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이 형성된 몸체의 양 끝단은 상기 암형의 돌출부와 수형의 돌출부와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관통 홀이 형성된 암형의 돌출부와 수형의 돌출부 사이에 상기 몸체의 축선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해류가 흐를 수 있게 요철을 형성하여 수산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제3서식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에 의하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다수개의 몸체가 다수의 틈새 또는 관통 홀에 의해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수산생물(어패류)이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서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몸체가 암형의 돌출부와 수형의 돌출부에 의해 수평/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도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몸체들이 파력에 의해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틈새 및 관통 홀을 통하여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몸체 내부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어 다수의 몸체 내에서 파도 에너지를 흡수하고, 몸체 내부의 해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수산생물의 서식 환경을 개선하고 이로부터 풍부한 어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저면 또는 해수면에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며 용승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육지를 향해 이동하는 파도의 파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잠제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월파에 의한 안전사고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가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가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는 축선을 따라 중공(112)이 형성된 기둥의 형태를 갖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 및 그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암형의 돌출부(120), 몸체(110)의 타측면 그 그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수형의 돌출부(130), 암형의 돌출부(120) 일측면을 따라 다수 형성되되, 몸체(110)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해류가 흐를 수 있게 요철을 형성하여 수산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제1서식부(140), 암형의 돌출부(120)와 수형의 돌출부(130) 사이의 몸체(110)에 다수 형성되어 중공(112)으로 해류가 흐를 수 있게 연통되는 관통 홀(1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몸체(110), 암형의 돌출부(120), 수형의 돌출부(130), 제1서식부(140), 관통 홀(150)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에 의하면, 수산생물이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서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뿐만 아니라 몸체(110)로 향하는 해류의 흐름 중 일부를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시켜 파력을 감소시키며 해저의 상황에 알맞게 몸체(110)를 견고하게 수평/수직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몸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의 형태를 갖되 축선을 따라 중공(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기둥형태를 갖을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의 축선을 따라 형성되는 중공(11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 8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10)는 해류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콘크리트재와 같은 하중이 무거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해저면과 맞닿게 되는 몸체(110)의 하부에 해저면을 파고드는 스파이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암형의 돌출부(120)는 몸체(110)의 일측면 및 그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수형의 돌출부(130)는 몸체(110)의 타측면 및 그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몸체(110)에 형성된 암형의 돌출부(120)와 상기한 몸체(110)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몸체(110)에 형성된 수형의 돌출부(130)가 몸체의 축선 방향으로 조립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몸체(110)와 몸체(110)의 연결을 견고히 할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의 상황에 알맞게 몸체(110)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암형의 돌출부(120)는 몸체(110)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몸체(110)에 형성된 수형의 돌출부(130)와 결속될 수 있게 결속 홈(122)이 형성되는데, 결속 홈(122)은 몸체(110)의 축선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결속 홈(122)은 병목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웃한 몸체(110)에 형성된 수형의 돌출부(130)와 결속되었을 때 몸체(110)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수평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병목의 형상을 갖는 결속 홈(122)을 암형의 돌출부(120)에 형성하기 위해 결속 홈(122)은 몸체(110)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연장부(122a) 및 상기 연장부(122a)의 끝단에서 상대편 연장부를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122b)로 구성된다.
또한, 암형의 돌출부(120)는 수산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제1서식부(140)가 마련되는데, 제1서식부(140)는 암형의 돌출부(120) 일측면을 따라 다수 형성된다. 이러한 제1서식부(1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해류가 흐를 수 있게 요철을 형성하여 수산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즉, 제1서식부(140)는 절곡부(122b)의 외측면에 몸체(110)의 축선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요철을 형성하여 수산생물의 서식처가 되거나 이동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수형의 돌출부(130)는 연결부(134)와 헤드부(135)로 구성되는데, 연결부(134)는 몸체(110)로부터 연장되고 암형의 돌출부(120)에 형성된 결속 홈(122)을 이루는 한 쌍의 연장부(122a) 사이로 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헤드부(135)는 연결부(134)의 끝단에서 몸체(110)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암형의 돌출부(120)에 형성된 결속 홈(122)을 이루는 한 쌍의 연장부(122a) 사이에 걸림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몸체(110)와 몸체가 수평적으로 분리되지 않는 견고한 구조를 갖게 되고 이에 따라 파력에 의해 몸체(110)와 몸체가 분리되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수형의 돌출부(130)를 구성하는 연결부(134)는 절곡부(122b)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몸체(110)와 이웃한 몸체가 암형의 돌출부(120)와 수형의 돌출부(130)에 의해 연결될 때 절곡부(122b)와 상대편 몸체(110)를 이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수형의 돌출부(130)를 구성하는 연결부(134)가 결속 홈(122)을 구성하는 절곡부(122b)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에 따라 절곡부(122b)와 상대편 몸체(110)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수산생물(어패류)이 서식 또는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암형의 돌출부(120)는 연장부(122a) 및 절곡부(122b)로 결속 홈(122)이 형성될 때 수형의 돌출부(130)가 결속 홈(122)에 용이하게 결속될 수 있게 연장부(122a)와 절곡부(122b)의 입구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의 돌출부(130)를 안내하는 경사면(123)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123)은 결속 홈(122)의 입구에서 내부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몸체(110)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몸체의 수형의 돌출부(130)가 몸체(110)의 축선 방향으로 결속될 때 결속 홈(122)의 입구에 형성된 경사면(123)에 의해 수형의 돌출부(130)가 안내되어 수형의 돌출부(130)를 용이하게 암형의 돌출부(120)에 결속시켜 해저에서 이루어지는 몸체(110)와 몸체의 조립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123)은 결속 홈(122)의 입구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의 돌출부(130)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수형의 돌출부(130)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우 결속 홈(122)에 형성된 경사면(123)과 수형의 돌출부(130)에 형성된 경사면이 면접촉하면서 수형의 돌출부(130)를 암형의 돌출부(120)에 형성된 결속 홈으로 안내하게 되어 몸체(110)와 몸체의 조립과정에서 발생하는 암형의 돌출부(120)와 수형의 돌출부(130)가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결속 홈(122)을 구성하는 연장부(122a)는 수산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제2서식부(124)가 형성되는데, 제2서식부(124)는 몸체(110)의 축선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해류가 흐를 수 있게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암형의 돌출부(120)와 수형의 돌출부(130) 사이의 몸체(110)에 다수의 관통 홀(150)이 형성된다. 관통 홀(150)은 몸체에 형성된 중공으로 해류가 흐를 수 있게 중공(112)과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관통 홀(150)은 몸체(110)의 외측면에서 중공으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하는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수산생물이 관통 홀(150)을 통해 몸체(110)의 중공(112)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될 뿐만 아니라 몸체(110)로 향하는 해류의 흐름 중 일부를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시켜 파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특히, 관통 홀이 쐐기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몸체(110)를 향하는 해류의 흐름 중 일부를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시켜 몸체(110)의 축방향으로 분출시키는 상승류를 형성하여 몸체(110)를 향하는 해류와 상승류를 만나게 하여 몸체(110)를 향하는 해류의 파력을 감소시게 된다.
또한, 관통 홀(150)이 형성된 몸체(110)는 암형의 돌출부(120)와 수형의 돌출부(130) 사이에 제3서식부(16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3서식부(160)는 몸체(110)의 축선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해류가 흐를 수 있게 요철을 형성하여 수산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암형의 돌출부(120), 수형의 돌출부(130)가 마련되는 몸체(110)는 축선의 길이를 달리하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마련되어 몸체(110)와 이웃하는 몸체가 암형의 돌출부(120)와 수형의 돌출부(130)에 의해 결속되었을 때 높이 차를 갖게 된다.
즉, 몸체(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축선방향(수직방향)으로 적층되게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몸체(110)의 축선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해저의 상황에 알맞게 몸체(110)를 수직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암형의 돌출부(120), 수형의 돌출부(130)가 마련되는 몸체(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의 돌출부(120)와 수형의 돌출부(130)와 단차(h)를 형성하게 되어 다수의 몸체(110)가 축선방향으로 적층될 때 몸체(110)와 몸체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수산생물이 몸체(110)의 중공(112)으로 출입하는 입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에 의하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다수의 몸체(110)가 다수개의 틈새 또는 관통 홀에 의해 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수산생물(어패류)이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서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몸체(110)가 암형의 돌출부(120)와 수형의 돌출부(130)에 의해 수평/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도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파력에 의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틈새 및 관통 홀(150)을 통하여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몸체(110) 내부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어 다수의 몸체(110) 내에서 파도 에너지를 흡수하고, 몸체(110) 내부의 해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수산생물의 서식 환경을 개선하고 이로부터 풍부한 어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저면 또는 해수면에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확장되고, 또한, 용승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육지를 향해 이동하는 파도의 파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잠제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월파에 의한 안전사고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10 : 몸체 112 : 중공
120 : 암형의 돌출부 122 : 결속 홈
122a : 연장부 122b : 절곡부
123 : 경사면 124 : 제2서식부
130 : 수형의 돌출부 134 : 연결부
135 : 헤드부 140 : 제1서식부
150 : 관통 홀 160 : 제3서식부

Claims (5)

  1. 축선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기둥의 형태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면 및 그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2개의 암형의 돌출부;
    상기 몸체의 타측면 및 그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2개의 수형의 돌출부;
    상기 암형의 돌출부 일측면을 따라 다수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해류가 흐를 수 있게 요철을 형성하여 수산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제1서식부; 및
    상기 암형의 돌출부와 수형의 돌출부 사이의 몸체에 다수 형성되어 상기 중공이 연통되고 서로 이웃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몸체간에 형성되는 공간부들이 연통되어 어패류의 이동 및 해수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관통 홀;을 포함하는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로서,
    상기 암형의 돌출부는 상기 수형의 돌출부가 상기 몸체의 축선방향으로만 삽입 및 분리 가능하고 몸체의 축선방향의 수직방향으로는 삽입 및 분리가 불가능한 결속 홈을 형성하되, 상기 결속 홈은 병목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암형의 돌출부에 상기 수형의 돌출부가 몸체의 축선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 가능하되,
    상기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다수개의 몸체 중에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몸체의 높이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 홈은
    상기 몸체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대편 연장부를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와 절곡부의 입구는
    상기 수형의 돌출부가 상기 결속 홈에 결속될 때 수형의 돌출부를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의 축선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해류가 흐를 수 있게 요철을 형성하여 수산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제2서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형의 돌출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사이로 인출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한 쌍의 연장부 사이에 걸림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절곡부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절곡부와 상대편 몸체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KR1020190046528A 2019-04-22 2019-04-22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KR102065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528A KR102065647B1 (ko) 2019-04-22 2019-04-22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528A KR102065647B1 (ko) 2019-04-22 2019-04-22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647B1 true KR102065647B1 (ko) 2020-01-13

Family

ID=6915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528A KR102065647B1 (ko) 2019-04-22 2019-04-22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054B1 (ko) * 2020-03-26 2020-08-12 하림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780A (ko) * 2007-09-28 2009-04-01 최원호 인공어초 블록
KR20140060598A (ko) * 2012-11-09 2014-05-21 주식회사 해양수산연구개발 궤도형 인공 어초
KR101751116B1 (ko) 2015-07-21 2017-06-27 민부기 다각형 인공어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780A (ko) * 2007-09-28 2009-04-01 최원호 인공어초 블록
KR20140060598A (ko) * 2012-11-09 2014-05-21 주식회사 해양수산연구개발 궤도형 인공 어초
KR101751116B1 (ko) 2015-07-21 2017-06-27 민부기 다각형 인공어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054B1 (ko) * 2020-03-26 2020-08-12 하림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672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JP7482955B2 (ja) 拡張が容易な人工漁礁機能付き消波ブロック
KR102084051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2065647B1 (ko)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KR102144054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JP5097035B2 (ja) サンゴ増養殖用構造物の格子状構造物の連結具
KR102116080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0721453B1 (ko) 어소 옹벽 겸용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00137A (ko) 생태하천의 친환경적 호안 구조
KR102102877B1 (ko) 연체동물용 인공어초
KR101134548B1 (ko)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KR101280330B1 (ko) 세굴방지용 기초블럭
KR100547001B1 (ko) 친환경적인 생태형 호안 블록 구조
KR101494898B1 (ko) 하천용 인공 어초
KR102152944B1 (ko) 조립식 인공 어초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228745Y1 (ko) 기초어상블럭
KR100467285B1 (ko) 하천저면의 생태보호시설
KR101387168B1 (ko) 하상용 세굴방지블록
JPH07138927A (ja) 魚巣ブロック
KR100874467B1 (ko) 인공어초
KR200414892Y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20070082018A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100402162B1 (ko) 호안블럭
KR20050054061A (ko) 어소블럭
JPH07138926A (ja) 魚巣内装型護岸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