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682Y1 - 세굴방지용 식생블럭 - Google Patents

세굴방지용 식생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682Y1
KR200447682Y1 KR2020090014018U KR20090014018U KR200447682Y1 KR 200447682 Y1 KR200447682 Y1 KR 200447682Y1 KR 2020090014018 U KR2020090014018 U KR 2020090014018U KR 20090014018 U KR20090014018 U KR 20090014018U KR 200447682 Y1 KR200447682 Y1 KR 200447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groove
block body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산엠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산엠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산엠앤씨
Priority to KR2020090014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6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굴방지용 식생블럭에 관련되며, 특징을 살펴보면, 하부블럭(10)과 상부블럭(20)이 일체로 형성되어 블럭본체(100)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블럭(10)은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네 모서리에 제1측면결속홈(12)과 제1고리(14)가 구비되며, 상부블럭(20)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기둥으로 형성되면서 중앙부에 제1중앙결속턱(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블럭본체의 하부블럭이 지반을 긴밀하게 보호하여 세굴현상이 방지되면서 상부블럭이 적층시공되는 블럭본체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수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특히 블럭본체를 적층시공시 상하부에 위치되는 블럭본체가 고리를 통하여 연결되면서 측면결속홈과 중앙결속턱에 의해 4개소에서 맞물려 결속력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특히 다층으로 시공하더라도 측홈을 통하여 지반표층으로 수직관통되는 식생홀이 형성되어 수중식물이 지반에 뿌리를 내리고 건강하게 자생하는 효과가 있다.
세굴, 블럭본체, 중앙결속턱, 중앙결속홈, 식생홈, 측면결속홈

Description

세굴방지용 식생블럭{Scour prevention Block for plants}
본 고안은 세굴방지용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충부, 호안부 또는 교각 주변이나 보의 하단에 설치하여 세굴방지 및 수중식물이 자라날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세굴방지용 식생블럭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세굴 현상은 홍수나 유속이 빠른 수중에서 바닥토층이 서서히 유실되는 현상으로서, 호안, 교각 등의 수중구조물이 침하되거나 전도되어 수중구조물이 붕괴되는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현상은 수중에서 서서히 진행되므로 육안관측이 어려워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예컨대, 세굴현상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유속과 유속을 방해하는 구조물사이에서 발생되는 와류로인해 다양한 형태로 발생되는바, 주로 교각 주위에서 발생하는 와류 중 교각 전면에서 발생하여 하강류에 의해 발생하는 와류를 말굽형 와류(horseshoe vortex), 교각 직하류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후류형 와류(wake vortex) 및 트레일링 와류(trailing vortex) 현상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세굴면적이 확장되면서 지반이 약해져 교각이 붕괴되거나 유실되는 지반과의 마찰로 인해 교각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므로 수중에 구조물을 시공시 반듯이 세굴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에 종래에 특허공개번호 10-2008-0030988호에서 세굴 방지 블록의 원통형 중공부 벽면상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중공부 내충전물의 유동 및 이탈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 돌기와 충전물 사이의 충분한 공간 확보로 실질적어류 서식지를 제공하는 등의 자연 친화적 요소를 구비하고, 또한 연결 고리를 블록 몸체 상단면상 함몰부 내에설치함으로써 블록들 사이의 상호 결속과 운반이 용이한 세굴 방지 블록 및 그 제작을 위한 성형 틀이 선공개된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기술은 세굴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나, 시공 및 사용상에 있어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따랐다.
첫째, 다단으로 복층 시공시 도넛 형 몸체 내부에 돌기가 수용된 상태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상부에 위치되는 블록과 하부에 위치되는 블록이 반듯이 지그재그형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야 하므로 시공방식의 다변화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둘째, 단층으로 시공시 도넛 형 몸체 중심부의 공간 및 인접하는 블록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인해 세굴이 감소되기보다는 증가되는 인자가 되고, 또 2단으로 적층시공시 상하블록사이의 공간에서 2차적인 와류현상이 발생되어 지반의 유실이 가속화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시공후 상하부블록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자갈, 사석 등 속채움부재를 반듯이 수용해야 번거로운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특히 시공위치의 지형조건에 따라 적층방식의 변경이 가능한 범용성이 제공되고, 지반유실을 방지하면서 수중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자연친회적인 세굴방지용 식생블럭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특징은 하부블럭(10)과 상부블럭(20)이 일체로 형성되어 블럭본체(100)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블럭(10)은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네 모서리에 제1측면결속홈(12)과 제1고리(14)가 구비되며, 상부블럭(20)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기둥으로 형성되면서 중앙부에 제1중앙결속턱(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네 모서리에 제1측면결속홈(12)과 제1고리(14)가 구비되는 하부블럭(10)과, 하부블럭(10)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기둥으로 형성되면서 중앙부에 제1중앙결속턱(22)이 형성되는 상부블럭(20)이 구비되는 블럭본체(100); 및 상기 블럭본체를 종방향으로 2분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제2중앙결속턱(36)과, 모서리에 제2측면결속홈(32)과 제2고리(34)가 구비되고, 측면에 제2식생홈(38)이 종방향으로 절개되는 마감블럭본체(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블럭(10)의 저면 중앙부에 제1중앙결속턱(22)과 동일한 형상의 제1중앙결속홈(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럭본체(100)의 측면 중앙위치에 제1식생홈(18)이 종방향으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블럭본체의 하부블럭이 지반을 긴밀하게 보호하여 세굴현상이 방지되면서 상부블럭이 적층시공되는 블럭본체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수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특히 블럭본체를 적층시공시 상하부에 위치되는 블럭본체가 고리를 통하여 연결되면서 측면결속홈과 중앙결속턱에 의해 4개소에서 맞물려 결속력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특히 다층으로 시공하더라도 측홈을 통하여 지반표층으로 수직관통되는 식생홀이 형성되어 수중식물이 지반에 뿌리를 내리고 건강하게 자생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굴방지용 식생블럭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2b는 본 고안에 따른 세굴방지용 식생블럭의 지그재그 배열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굴방지용 식생블럭의 지그재그 배열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세굴방지용 식생블럭의 직렬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세글방지용 식생블럭의 식생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세굴방지용 식생블럭에 관련되며, 이때 세굴방지용 식생블럭은 수 중에 시공되는 구조물 주변 바닥에 좌우방향으로 연속시공 및 다단으로 적층시공되어 유속에 의한 세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블럭(10)과 상부블럭(20)이 일체로 형성되는 블럭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블럭본체(100)는 하부블럭(10)과 상부블럭(20)이 일체로 형성되어 블럭본체(100)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블럭(10)은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네 모서리에 제1측면결속홈(12)과 제1고리(14)가 구비되며, 상부블럭(20)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기둥으로 형성되면서 중앙부에 제1중앙결속턱(22)이 형성된다.
하부블럭(10)은 보다 넓은 면적의 지면을 덮으면서 좌우방향으로 연속시공되는 다수의 블럭이 서로 긴밀하게 밀착시공되도록 사각판형태로 형성되고, 제1측면결속홈(12)상에 구비되는 제1고리(14)를 통하여 서로 결속된다. 이때 제1측면결속홈(12)은 블럭본체(100)를 다층으로 적층시공시 상부블럭(20)의 제1중앙결속턱(22)과 맞물리도록 제1중앙결속턱(22)의 모서리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1에서는 직각홈으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함)
그리고, 상부블럭(20)은 하부블럭(10)이 지반표층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중량부로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블럭본체(100)를 다층으로 적층시공시 상하부에 위치되는 본체블럭(100)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수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원기둥으로 형성된 상부블럭(20)으로 인해 본체블럭간에 공간부가 형성되더라도 하부블럭(10)이 지반표층을 덮은상태로 유지되므로 공간부를 통한 세굴 현상이 방지된다.
또, 상부블럭(20) 상면에 제1중앙결속턱(22)이 형성되는바, 제1중앙결속턱(22)은 블럭본체(100)를 다층으로 적층시공시 상부에 위치되는 블럭본체(100)의 제1측면결속홈(12)과 맞물려 결속된다. 즉 블럭본체(100)를 단층으로 좌우연속시공하고, 그 위에 블럭본체(100)를 2단으로 추가 시공시, 도 2a 내지 2b처럼 하부에 위치되는 블럭본체(100)의 제1중앙결속턱(22)을 중심으로 90도 등각위치에 선택적으로 블럭본체(100)가 적층되면서 제1측면결속홈(12)이 하부에 위치되는 블럭본체(100)의 제1중앙결속턱(22)에 각각 맞물리도록 시공된다. 이에 다층으로 적층시공시 상하부에 위치되는 블럭본체(100)가 4개소에서 맞물려 견고하게 결속되므로 초시배열상태가 장구히 유지된다.
이때, 상기 하부블럭(10)의 저면 중앙부에 제1중앙결속턱(22)과 동일한 형상의 제1중앙결속홈(26)이 형성된다. 제1중앙결속홈(26)은 제1중앙결속턱(22)과 동일한 사각홈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블럭본체(100)을 직렬로 다단 적층시공시 서로 맞물리는 구로를 가진다. 이에 세굴현상이 발생되는 위치에 따라 설치공간이 좁아 블럭본체(100)를 횡방향으로 1~2개이상 배치가 곤란한 경우, 도 4처럼 블럭본체(100)를 종방향으로 직렬 시공하더라도 제1중앙결속턱(22)과 제1중앙결속홈(26)이 서로 긴밀하게 맞물려 블럭본체(100)간의 결속력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블럭본체(100)의 측면 중앙위치에 제1식생홈(18)이 종방향으로 절개된다. 도 1에서는 제1식생홈(18)이 반구형으로 절개된 상태를 도시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삼각, 사각, 유선형 등으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식생홈(18)은 블럭본체(100)을 좌우방향으로 연속시공시 서로 대응하는 인접하는 블럭본체(100)의 제1식생홈(18)과 연결되어 블럭본체(100)사이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식생공이 형성된다. 이때 제1식생홈(18)은 종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지반과 연통되면서 블럭본체(100)를 2단이상으로 적층시공하더라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종방향으로 연통형성되어 식물의 뿌리가 지반에 식립된 상태로 건강하게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실시예 2]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세굴방지용 식생블럭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6에서 세굴방지용 식생블럭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제 1실시예의 세굴블럭에 있어서의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앞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굴블럭은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네 모서리에 제1측면결속홈(12)과 제1고리(14)가 구비되는 하부블럭(10)과, 하부블럭(10)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기둥으로 형성되면서 중앙부에 제1중앙결속턱(22)이 형성되는 상부블럭(20)이 구비되는 블럭본체(100); 및 상기 블럭본체를 종방향으로 2분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제2중앙결속턱(36)과, 모서리에 제2측면결속홈(32)과 제2고리(34)가 구비되고, 측면에 제2식생홈(38)이 종방향으로 절개되는 마감블럭본체(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부블럭(10)의 저면 중앙부에 제1중앙결속턱(22)과 동일한 형상의 제1중앙결속홈(26)이 형성된다. 제1중앙결속홈(26)은 제1중앙결속턱(22)과 동일한 사각홈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이는 블럭본체(100)을 직렬로 다단 적층시공시 서로 맞물리는 구로를 가진다. 이에 세굴현상이 발생되는 위치에 따라 설치공간이 좁아 블럭본체(100)를 횡방향으로 1~2개이상 배치가 곤란한 경우, 블럭본체(100)를 종방향으로 직렬 시공하더라도 제1중앙결속턱(22)과 제1중앙결속홈(26)이 서로 긴밀하게 맞물려 블럭본체(100)간의 결속력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블럭본체(100)의 측면 중앙위치에 제1식생홈(18)이 종방향으로 절개된다. 제1식생홈(18)이 반구형으로 절개된 상태를 도시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삼각, 사각, 유선형 등으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식생홈(18)은 블럭본체(100)을 좌우방향으로 연속시공시 서로 대응하는 인접하는 블럭본체(100)의 제1식생홈(18)과 연결되어 블럭본체(100)사이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식생공이 형성된다.
이때 제1식생홈(18)은 종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지반과 연통되면서 블럭본체(100)를 2단이상으로 적층시공하더라도 수직방향으로 종방향으로 연통형성되어 식물의 뿌리가 지반에 식립된 상태로 건강하게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블럭본체(30)는 블럭본체(100)를 지그재그배열로 적층시공시 측단에 형성되는 블럭본체(100)사이의 공간을 마감하기 위한 블럭으로서, 도 7처럼 마감블럭(30)에 의해 블럭본체(100)사이의 빈공간이 마감되어 측단에 위치되는 블럭본체(100)가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시멘트, 골재 등을 포함하는 충진재를 사용하 여 블럭본체(100) 측단을 보강하지 않더라도 시공후 내구성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때, 마감블럭본체(30)는 모서리에 형성된 제2측면결속홈(32)이 하부에 위치되는 블럭본체(100)의 제1중앙결속턱(22)과 맞물린 상태로 제2고리(34)에 의해 연결되고, 상면에 제2중앙결속턱(36)이 상부에 위치되는 블럭본체(100)의 제1측면결속홈(12)과 맞물리는 2중결속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중 마감블럭본체(30)의 국부적인 유실이 방지된다.
그리고 마감블럭본체(3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식생홈(38)은 미리시공된 블럭본체(100)의 제1식생공(18)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됨에 따라 식물의 뿌리가 지반에 식립된 상태로 건강하게 자라날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굴방지용 식생블럭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2b는 본 고안에 따른 세굴방지용 식생블럭의 지그재그 배열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굴방지용 식생블럭의 지그재그 배열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세굴방지용 식생블럭의 직렬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세글방지용 식생블럭의 식생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세굴방지용 식생블럭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세굴방지용 식생블럭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Claims (4)

  1. 하부블럭(10)과 상부블럭(20)이 일체로 형성되어 블럭본체(100)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블럭(10)은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네 모서리에 제1측면결속홈(12)과 제1고리(14)가 구비되며, 상부블럭(20)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기둥으로 형성되면서 중앙부에 제1중앙결속턱(22)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블럭(10)의 저면 중앙부에 제1중앙결속턱(22)과 동일한 형상의 제1중앙결속홈(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굴방지용 식생블럭.
  2. 사각판으로 형성되어 네 모서리에 제1측면결속홈(12)과 제1고리(14)가 구비되는 하부블럭(10)과, 하부블럭(10)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기둥으로 형성되면서 중앙부에 제1중앙결속턱(22)이 형성되는 상부블럭(20)이 구비되는 블럭본체(100); 및
    상기 블럭본체를 종방향으로 2분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면에 제2중앙결속턱(36)과, 모서리에 제2측면결속홈(32)과 제2고리(34)가 구비되고, 측면에 제2식생홈(38)이 종방향으로 절개되는 마감블럭본체(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굴방지용 식생블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럭(10)의 저면 중앙부에 제1중앙결속턱(22)과 동일한 형상의 제1중앙결속홈(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굴방지용 식생블럭.
  4. 제 1항 내지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100)의 측면 중앙위치에 제1식생홈(18)이 종방향으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굴방지용 식생블럭.
KR2020090014018U 2009-10-28 2009-10-28 세굴방지용 식생블럭 KR200447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018U KR200447682Y1 (ko) 2009-10-28 2009-10-28 세굴방지용 식생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018U KR200447682Y1 (ko) 2009-10-28 2009-10-28 세굴방지용 식생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682Y1 true KR200447682Y1 (ko) 2010-02-11

Family

ID=4421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018U KR200447682Y1 (ko) 2009-10-28 2009-10-28 세굴방지용 식생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6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964B1 (ko) * 2018-05-28 2018-11-07 권병수 초목의 식생 공간 확보 및 지반 보수가 용이한 호안블록 어셈블리
KR20230065541A (ko) *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서진건설 근고블럭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850Y1 (ko) * 2002-09-07 2003-02-12 박승범 환경친화형 식생블록
KR200346774Y1 (ko) 2003-08-13 2004-04-06 오승섭 식생용 호안블록
KR200376251Y1 (ko) 2004-12-01 2005-03-10 (주)에코청진 식생 호안블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850Y1 (ko) * 2002-09-07 2003-02-12 박승범 환경친화형 식생블록
KR200346774Y1 (ko) 2003-08-13 2004-04-06 오승섭 식생용 호안블록
KR200376251Y1 (ko) 2004-12-01 2005-03-10 (주)에코청진 식생 호안블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964B1 (ko) * 2018-05-28 2018-11-07 권병수 초목의 식생 공간 확보 및 지반 보수가 용이한 호안블록 어셈블리
KR20230065541A (ko) *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서진건설 근고블럭
KR102549761B1 (ko) * 2021-11-05 2023-07-03 주식회사 서진건설 근고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2955B2 (ja) 拡張が容易な人工漁礁機能付き消波ブロック
KR200447682Y1 (ko) 세굴방지용 식생블럭
KR102350021B1 (ko) 잠제 기능을 지니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적층 구조체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100522174B1 (ko) 레고형 옹벽블럭
KR102350819B1 (ko) 화로형 인공어초
KR200426901Y1 (ko) 하천 시설용 다용도 블록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KR100977533B1 (ko) 인공 어초
KR200284981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100919614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100708599B1 (ko) 하천 시설용 다용도 블록
KR100521899B1 (ko) 조류소통을 위한 해수 교환 방파제
KR200387076Y1 (ko) 인공어초
JP4013210B2 (ja) 河川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KR101366667B1 (ko) 장구형상 어초
KR100476836B1 (ko)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56104Y1 (ko) 바구니형 식생호안블록
KR200364435Y1 (ko) 호안블록
KR200248974Y1 (ko) 호안블록
KR20020077329A (ko) 격자형 망태블럭
KR200327407Y1 (ko) 식물자생용 호안블럭
JP2006177002A (ja) 水中生態系復元ブロック及びその設置構造
KR200274517Y1 (ko) 조류소통을 위한 해수 교환 방파제
JP2001090043A (ja) 護岸ブロック及び護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