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614B1 -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 Google Patents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614B1
KR100919614B1 KR1020080059276A KR20080059276A KR100919614B1 KR 100919614 B1 KR100919614 B1 KR 100919614B1 KR 1020080059276 A KR1020080059276 A KR 1020080059276A KR 20080059276 A KR20080059276 A KR 20080059276A KR 100919614 B1 KR100919614 B1 KR 100919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frame
revetment
ri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612A (ko
Inventor
조원준
Original Assignee
조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준 filed Critical 조원준
Priority to KR102008005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6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2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1Devices for applying linings on banks or the water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도 시설의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에 관한 것으로, 하천의 바닥 또는 측부에 설치되는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에 있어서, 긴 육면체 형상으로 각 양단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종횡방향으로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대응되게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이 조립되어 결합 연결구에 의해 수직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관통구멍이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사다리꼴 형태의 제1 또는 제2의 조립블록과; 상기 프레임의 관통구멍에 결합 연결구를 수직 및 수평으로 관통하여 결합 연결구의 최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운반과 시공이 편리하여 과중한 작업부담을 경감시켜서 작업시간 및 작업인원을 감축할 수 있고, 결합하여 조립 설치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은 강도가 높고 단가 또한 낮으며 미생물의 생장에도 유익한 환경을 조성하여 수중 생태계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천이나 호수, 강기슭이나 제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토사나 유수의 유입으로 인한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풀이나 잔디 등이 생육할 수 있도록 하며 굴곡을 이루는 하천 기슭의 경사면을 따라 복수의 방틀형 블록 간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견밀한 시공이 가능한 것으로, 다수의 프레임을 결합시에 결합수단으로 철재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합성수지 재질의 결합연결구를 사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철재 볼트로 방틀목을 관통하여 조립한 허술한 조립의 부식에 의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유격이 없도록 유도하여 손상 없이 견고하게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각도를 갖는 제1 또는 제2의 조립블록을 통해 다양한 사다리꼴 모양의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으로 조립함으로써 굴곡을 이루는 하천 등의 사면을 따라 쉽게 시공할 수 있고 견고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확보할 수 있다.
더불어,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내의 물의 양을 깊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하거나, 방틀과 방틀사이에 낮은 단차를 두어 경사면에서 물이 많이 흐를 수 있도록 하고, 단차가 생기는 부분에 삼각대를 설치함으로써 어도의 경사도를 최대한 완만하게 확보함으로써, 방류되는 물의 유량 및 유속에 관계없이 어류의 안전하고 용이한 이동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The crib block for a vegetation and shore protection which has a fishway facilities}
본 발명은 하천의 바닥과 하천의 측부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내부에 적층되는 자갈들이 어류들의 안식처 역할을 하여 줌으로써 자연 생태계를 복원하여 주는 환경 친화적인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더불어 식재수단을 통해 식재된 수생식물에 의해 오염된 하천수를 효율적으로 자연 정화할 뿐만 아니라 방류되는 물의 유량 및 유속에 관계없이 어류의 안전하고 용이한 이동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변의 침식 방지와 식생지를 제공하고 하천의 제방이나 저수지, 절개지 등에 경사면에 시공하여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식생 가능하고 장마나 호우에 물의 흐름 속도를 둔화시켜 식생 식물과 하천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결합된 블록 간의 이음부의 공차를 없애기 위한 기능적 특성을 구비하는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에 관한 것이다.
호수나 강, 하천, 해안, 저수지 댐 등의 수변은 여러 어류와 수중, 수변 생물이 어우러져 다양하고 복잡한 수변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태방틀은 이러한 수변 생태계에 있어 호안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홍수 시 어류 및 수중생물들이 서식하거나 피난할 수 있는 어소 공간부를 마련하고 어소 내부에 수질정화 기능이 있는 담체를 충전함으로써 하천 생태계를 건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어소 및 수질정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호안용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수로를 축조하여 주게 되면 식물의 뿌리들이 자랄 수 있는 생육 공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식물들이 자랄 수 없게 되고, 빗물의 침투를 막아 홍수를 유발하면서 동시에 하천의 범람을 유발하는 결점이 있으며 하천 생태계를 지배하고 있는 동식물 특히 어류의 서식에 대한 고려를 도외시하고 오직 하천의 경관만을 고려하여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방틀을 제작할 경우 수직 연결 기둥을 사용하거나 목재에 홈을 파서 목재끼리 연결하는 등 제작단가가 높고 제작공정이 어렵거나 복잡하였고 방틀의 재질이 목재이기 때문에 수중이나 해변가에 설치되는 방틀은 물과 습기에 의하여 쉽게 썩거나 부서지고 모양이 변하는 등 내구성이 상당히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호안 블록은 도로변이나 하천의 제방 및 저수지, 절개지 등의 경사면에 시공하여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양단에 대칭을 이루는 평면 형태의 블록을 지그재그로 배열하여 지면에 매립하거나 중첩시키고 별도의 체결 부재 등으로 체결하여 일체화하며 표면에 식생을 위해 통공을 형성하고 흙을 채워 식물이나 잔디 등을 심어 놓은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마춤형 퍼즐 형태의 조립식 블록은 일반적으로 재활용된 폐타이어 부재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설치와 운반 등이 용이하여 대부분의 하천 제방이나 경사면을 비롯한 호안을 위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호안블록은 주변의 도회 자연경관과 하천의 자연생태 기반을 훼손하고 특히 콘크리트나 재생 폐타이어 등은 동식물과 조류 및 어류 등의 서식환경을 파괴하고 하천의 자정능력을 상실시켜 수질오염을 초래함으로 고유한 환경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근래에는 생태환경을 고려하는 방틀형 블록이 개시되고 있으며, 이는 직육면체를 이루는 방틀을 마련하기 위해 방틀을 구성하는 방틀목을 구비하여 90도의 각도를 유지한 채 서로 가로 측과 세로 측으로 맞물리게 적층하여 최 상단부에서 교차되는 코너 부위에 체결부재를 수직상으로 관통하여 하나의 직육면체 블록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크기를 달리하는 암석이나 자갈 등을 충입하여 이루어지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일부 극복하고자 방부목을 사용하였으나 방부약제에 농축된 크롬의 독성이 방부처리 작업자는 물론 수중 생태계의 생물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환경부에서는 “취급제한, 금지물질에 관한 규정”이라는 제명으로 입법예고를 통하여 상기 “취급제한, 금지물질에 관한 규정”의 내용은 오산화 비소와 이를 0.1% 이상 함유한 혼합물질 및 그 중 하나를 처리한 목제품 등 모든 용도로 제조, 수입 사용 등을 금지, 폼알데하이드 및 이를 1% 이상 함유한 혼합물질을 사용 가구용 무늬목 제조, 수입, 사용 등을 금지 내용을 담고 있어 이를 이용하는 종래의 방틀형 호안 블록은 그 사용이 제한 내지 금지되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방틀은 방틀목을 가로 측과 세로 측으로 맞물리게 적층하여 최 상단부에서 교차되는 코너 부위에 체결부재를 수직상으로 관통시켜 제작함으로써 그 체결되는 코너 부위에서 방틀목 내부의 팽창압력 등으로 체결부위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는 연쇄적인 파손을 유발하여 방틀 전체가 붕괴되는 문제를 유발하는 것이다.
또한, 직육면체의 방틀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방틀형 블록은 경사면이나 굴곡면에 복수로 마련하여 방틀형 블록 간을 체결하는 경우 굴곡의 경사도에 따라 연결 부위의 외주면으로 틈이 발생되며 이를 메우기 위해 별도의 부재를 선상(扇狀)으로 마련하여 발생한 틈 사이에 끼워 맞추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는 전체적인 결합구조와 구조물의 시공이 복잡하고 선상 부재의 취약성에 의해 전체적인 견고성을 약화시키며 외관의 일체성을 약화시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방부목으로 제작되던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합성수지 재질의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으로 제작하여 수중생태계 생물에 무해하고 장기간 사용 가능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제공하고 각도 조절이 용이한 조립과정을 통해 굴곡을 이루는 하천 등의 사면을 따라 쉽게 시공할 수 있고 식재된 수생식물에 의해 생물의 생장에도 유익한 환경을 조성하며 방류되는 물의 유량 및 유속에 관계없이 어류의 안전하고 용이한 이동환경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친환경적이고 내구성이 뛰어난 친환경소재의 플라스틱 방틀목을 사용하고 코너 부위에 별도의 제1 또는 제2의 조립블록을 마련하여 상기 블록에 친환경소재의 방틀목을 체결하고 상부에서 수직상으로 이를 관통함으로써 제1 또는 제2의 조립블록과 방틀목 간의 체결강도가 뛰어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방틀형 식생 호안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제공함에 있어서, 수생식물에 유해한 방부목 대신에 합성수지 재질의 방틀을 제작하며 철재 볼트에 의한 결합 방식 대신에 합성수지 재질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조립함으로써, 각도 조절이 용이하며 견고하게 조립 가능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조립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내부에 수생식물을 식재 가능하도록 식재수단을 마련하고 수위 변화에 따른 식물의 식생 위치가 조절되어 식물이 식재된 식재수단이 항상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부력수단을 구비하며, 더불어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낮은 단차를 두어 경사면에서 물이 많이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어도의 경사도를 최대한 완만하게 확보하여 방류되는 물의 유량 및 유속에 관계없이 어류의 안전하고 용이한 이동환경을 제공하고자 단차가 생기는 부분에 삼각대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의 조립블록은 평면상에서 가로 측으로 체결되는 방틀목과 세로 측으로 체결되는 방틀목 간의 교차되는 부위의 경사각을 달리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방틀 블록으로 조립시에 육면체의 평면상 형태가 직사각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형태(사다리꼴이나 마름모꼴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굴곡을 가지는 하천의 기슭이나 제방의 경사면에 매립이나 지상 적층시에 방틀 블록 간의 결합부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견밀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재는 합성수지로서 압출 방식에 의해 빠르게 제작할 수 있고 소재의 특성상 가벼워 운반에도 용이하며 시공이 편리하여 과중한 작업부담을 경감시켜서, 작업시간 및 작업인원을 감축할 수 있으며, 결합하여 조립 설치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은 강도가 높고 단가 또한 낮다.
또한 종래의 방부목에 의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과 달리 소재가 안전하여 미생물의 생장에도 유익한 환경을 조성하여 수중 생태계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다수의 프레임을 결합시에 결합수단으로 철재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합성수지 재질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철재 볼트의 부식에 의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손상 없이 견고하게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다양한 각도를 갖는 제1 또는 제2의 조립블록을 통해 다양한 사다리꼴 모양의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조립함으로써 굴곡을 이루는 하천 등의 사면을 따라 쉽게 시공할 수 있고 견고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식재수단을 통해 식재된 수생식물에 의해 오염된 하천수를 효율적으로 자연 정화할 뿐만 아니라 하천의 자정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수심의 변동에 따라 프레임 사이로 물이 자연스럽게 유입, 유출되고 공기의 주입을 가능하게 하여 어류의 산란장소, 치어의 안전한 보호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수위 변화에 따른 식물의 식생 위치가 조절되어 식물이 식재된 식재수단이 항상 수면에 떠 있게 되어 갈수기 때 발생하는 식물의 고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낮은 단차를 두어 경사면에서 물이 많이 흐를 수 있도록 하고, 단차가 생기는 부분에 삼각대를 설치함으로써 어도의 경사도를 최대한 완만하게 확보함으로써, 방류되는 물의 유량 및 유속에 관계없이 어류의 안전하고 용이한 이동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의 조립블록의 구조를 상세하여 보인 일부확대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의 프레임의 일 실시 구조를 상세하여 보인 일부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의 조립블록으로 프레임을 결합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제1의 조립블록에 의한 결합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제1의 조립블록에 의한 다른 결합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부력수단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하천에 설치한 모습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9b는 본 발명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이 하천기슭에 굴곡형태로 설치된 모습을 보인 일부확대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경사면에 설치한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200 : 프레임
210, 220, 410, 420, 610 : 관통구멍 300 : 끼움부
400 : 제1의 조립블록 500, 520 : 결합 연결구
510 : 고정수단 600 : 제2의 조립블록
700 : 식재수단 710 : 흡수체
720 : 구멍 730 : 중량체
731 : 식생부재 800 : 부력수단
900 : 삼각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의 바닥과 측부에 설치되는 긴 육면체 형상으로 각 양단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종횡방향으로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대응되게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이 조립되어 결합 연결구에 의해 수직 및 수평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관통구멍의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사다리꼴 형태의 제1의 조립블록과;
상기 프레임의 관통구멍에 결합 연결구를 수직 및 수평으로 관통하여 결합 연결구의 최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각 양단에 관통구멍(210)이 형성된 다수의 프레임(200) 과; 상기 프레임(200)을 종횡방향으로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0)에 대응되게 끼움부(300)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0)이 조립되어 결합 연결구(500)에 의해 수직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0)의 관통구멍(210)의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410)이 형성된 사다리꼴 형태의 제1의 조립블록(400)과; 상기 프레임(200)의 관통구멍(210)에 결합 연결구(500)를 수직관통하여 결합 연결구(500)의 최하단을 고정하는 고정수단(510)으로 구성된다.
또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제1 또는 제2의 조립블록이 개별적으로 파손되어 교체 작업이 필요한 경우,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파손된 제1 또는 제2의 조립블록만을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측부에서 연결구를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제1 또는 제2의 조립블록으로서, 상기 제1의 조립블록(400)의 끼움부(300)가 형성되지 않은 내측면에 결합 연결구(520)에 의해 수평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0)의 관통구멍(220)의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420)이 형성된 사다리꼴 형태의 제1의 조립블록(400)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도 1b에서와 같이 프레임(200)이 가로와 세로로 교차하는 상기 제1의 조립블록(400)의 상부 평면상에 형성되는 각도(θ)는 60°~ 120°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각도(θ)를 달리하는 제1의 조립블록(400)을 네 방향의 각 코너에 위치하고 프레임(200)을 결합하는 경우 전체적인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100)의 구조를 마름모 형태나 사다리꼴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케 되는 특징이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프레임의 일 실시 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일부확대 사시도로서, 상기 프레임(200)은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제작시에 제1의 조립블록(400)과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201)의 제조시에 플라스틱 재를 사용하여 각목형상으로 압출 성형하되 전면에서 배면으로 관통되게 삽입공(20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201)에 삽입공(204)을 형성하는 것은 하중을 경량화하면서 삽입공(204)의 내부에 물성이 다른 보강 심지부(203)를 삽입함으로써 내구성 향상과 미생물의 배양 및 서식처를 제공한다.
특히 몸체(201)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는 강도가 우수하고 압출성형이 용이한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공으로 강도 보강에 따른 내구성 향상과 미생물의 배양 및 서식을 위해 보강 심지부(203)가 삽입된다.
상기 보강 심지부(203)는 자연친화적으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지푸라기(207)를 꼬아 만든 여러 개의 줄을 한데 묶어 다시 꼬아 동아줄처럼 만들어 삽입한다.
따라서 상기 보강 심지부(203)는 지푸라기(207)를 꼬으면 스크류처럼 삽입공(204)에 삽입되어 있어 몸체(201)의 외부에서 사방으로 충격이 가해져도 균일하게 지지하여 우수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보강 심지부(203)는 지푸라기(207)를 구하지 못할 경우에는 식물성 섬유(예, 마닐라 등)를 사용하여 지푸라기(207)처럼 꼬아 삽입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201)의 상면에는 식생 및 호안 블록을 밟고 지나가는 관찰자를 위해 미끄럼 방지와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의 소음을 차단하도록 방진 돌기(202)가 사방으로 배열되며, 상기와 같이 방진 돌기(202)를 배열한 이유는 생태계를 관찰하는 사람들의 발걸음 소리에도 물고기, 곤충, 개구리 등이 놀라서 숨어 버리기 때문에 신발 바닥과 프레임(200)의 상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작게 하여 소음발생을 최소화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몸체(201)에 형성된 방진 돌기(202)는 성형과정에서 반구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201)의 양 측면을 따라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204)과 통공되도록 미세 구멍(206)을 타공하고, 상기 미세 구멍(206)을 통해 미생물이 보강 심지부로 출입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보강 심지부(203)에서 미생물이 배양 및 서식할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200)의 양 측면에 곤충 또는 개구리 등이 미끄러워지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몸체(208)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요철형상을 갖는 주름부(205)를 일체로 형성한 구조가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1의 조립블록(400)에 종횡방향으로 조립되어 서로 교차하는 상기 프레임(200)에 의해 형성되는 턱을 없애고자 한 발명을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의 조립블록으로 프레임을 결합한 결합사시도로서, 긴 육면체 형상으로 각 양단의 상면은 관통구멍(미도시됨)이 형성되고 각 양단의 측면은 어슷하게 절단된 다수의 프레임(200)과; 상기 양단의 측면에 절단면을 갖는 프레임(200)의 절단면끼리 종횡방향으로 맞대고 결합 연결구(500)로 수직관통하여 상기 결합 연결구(500)의 최하단을 고정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0)의 양단의 관통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610)이 형성된 오각형 형태의 제2의 조립블록(600)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프레임(200), 제1의 조립블록(400), 결합 연결구(500), 제2의 조립블록(600)의 소재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발암물질이 없는 고분자(Polymer)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적어도 두 개 이상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 소재는 압출 방식에 의해 빠르게 제작할 수 있고 소재의 특성상 가벼워 운반에도 용이하며 시공이 편리하여 과중한 작업부담을 경감시켜서, 작업시간 및 작업인원을 감축할 수 있으며, 결합하여 조립 설치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은 강도가 높고 단가 또한 낮다.
또한 종래의 방부목에 의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과 달리 소재가 안전하여 미생물의 생장에도 유익한 환경을 조성하여 수중 생태계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다수의 프레임을 결합시에 결합수단으로 철재 볼트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발암물질이 없는 고분자 재질의 결합 연결구(500)를 사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철재 볼트의 부식에 의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손상 없이 견고하게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제1의 조립블록에 의한 결합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다양한 각도를 갖는 제1의 조립블록을 통해 다양한 사다리꼴 모양의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조립함으로써 굴곡을 이루는 하천 등의 사면을 따라 쉽게 시공할 수 있고 견고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로서, 상기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내부에는 흡수체(710)가 내부에 충진된 식재수단(700)이 수직으로 장착되고, 여분의 공간에 채워지는 중량체(730)에 의하여 상기 식재수단(7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수체(710)는 수지필터나 스폰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내부에 채워지는 중량체(730)는 돌, 세라믹재, 흙 중 어느 하나이거나 돌, 세라믹재, 흙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식재수단(700)을 통해 식재된 수생식물에 의해 오염된 하천수를 효율적으로 자연 정화할 뿐만 아니라 하천의 자정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수심의 변동에 따라 프레임 사이로 물이 자연스럽게 유입, 유출되고 공기의 주입을 가능하게 하여 어류의 산란장소, 치어의 안전한 보호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b는 본 발명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로서, 식재수단을 제거하고 상기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내부에 채워지는 중량체(730)의 상부에 잔디와 수목이 생육할 수 있도록 식생부재(731)를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중량체(730)의 하단에서 상부로 갈수록 재질을 달리하여 다양한 식생환경을 마련하거나 저중심 설계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부력수단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로서, 상기 식재수단(700)은 수위의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수면에 떠 있도록 부력을 갖는 부력수단 (800)이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부력수단(800)을 통해 수위 변화에 따른 식물의 식생 위치가 조절되어 식물이 식재된 식재수단이 항상 수면에 떠 있게 되어 갈수기 때 발생하는 식물의 고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100)은 방틀을 조립하되, 조립하는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100)의 높이를 달리하여 이웃하는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100)의 한쪽 면이 낮은 단차를 전·후·좌·우에 연속적으로 두어 강이나 호수 및 하천의 수위가 낮은 경우, 낮은 단차를 가지는 일측으로만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100)의 높이를 달리하고, 이웃하는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100)의 단차가 생기는 부분에 45도 경사를 이루는 삼각대(900)를 설치하여 물고기들이 쉽게 넘나들 수 있도록 어도를 형성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100)의 낮은 단차를 두어 경사면에서 물이 많이 흐를 수 있도록 하고, 단차가 생기는 부분에 삼각대를 설치함으로써 어도의 경사도를 최대한 완만하게 확보함으로써, 방류되는 물의 유량 및 유속에 관계없이 어류의 안전하고 용이한 이동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하천에 설치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도로서 굴곡을 이루는 하천의 바닥 또는 사면을 따라 쉽게 시공할 수 있고,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이 하천기슭에 굴곡 형태로 설치된 모습을 보인 일부확대 사용상태도로서 굴곡을 이루는 하천기슭의 바닥 또는 경사면을 따라 굴곡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경사와 각도를 달리하는 블록을 마련할 수 있어 쉽게 시공할 수 있고, 방틀형 식생 호안 블록의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100)은 하천이나 제방의 경사면에 방틀형 식생 호안 블록(100)을 설치하되 경사면을 수평하게 다짐작업 후 방틀형 식생 및 호완 블록(100)을 적층하여 높이에 따른 블록(100) 간에 경사면이 발생되고 이로써 단차에 의해 수해 등에 의해 토사 등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속도를 둔화시킬 수 있으며 옹벽이나 격벽의 파손시에도 붕괴된 파편이 하천에 유입되지 않고 단차를 이루는 단턱에 걸려 수해 복구에 따른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굴곡을 이루는 하천 등을 포함한 하천, 호수, 해변가 등에 설치 가능하며 어류의 이동을 저해하는 댐, 방파제 등에 어도 시설물로서 이용가능하며, 관상용 수생식물의 식재가 가능하여 공원의 수중 시설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생태환경을 고려하는 친환경적인 소재와 견고성을 구비함으로써, 식생 및 호안 블록으로 설치시 반영구적으로 기능성과 내구성을 제공하며, 블록 간의 이음부가 빈틈없이 매끄럽게 이루어지고 체결력이 뛰어나도록 평면상의 경사각을 자유로이 설계할 수 있는 기능성 식생 및 호안 블록을 제공하여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뛰어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변화시키지 아니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1)

  1. 하천의 바닥이나 하천기슭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에 있어서,
    긴 육면체 형상으로 각 양단의 상면은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각 양단의 측면은 어슷하게 절단된 다수의 프레임(200)과;
    상기 양단의 측면에 절단면을 갖는 프레임(200)의 절단면끼리 종횡방향으로 맞대고 결합 연결구(500)으로 수직관통하여 상기 결합 연결구(500)의 최하단을 고정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0)의 양단의 관통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구멍(610)이 형성된 오각형 형태의 제2의 조립블록(6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내부에는 흡수체(710)가 내부에 충진된 식재수단(700)이 수직으로 장착되고, 여분의 공간에는 상기 식재수단(700)을 지지하도록 중량체(730)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710)는 수지필터나 스폰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수단(700)은 수위의 변화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수면에 떠 있도록 부력을 갖는 부력수단(80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 결합 연결구(500), 제2의 조립블록(600)의 소재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발암물질이 없는 고분자(Polymer)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적어도 두 개 이상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내부에 채워지는 중량체(730)는 돌, 세라믹재, 흙 중 어느 하나이거나 돌, 세라믹재, 흙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을 조립하되, 조립하는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높이를 달리하여 이웃하는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의 한쪽 면이 낮은 단차를 전·후·좌·우에 연속적으로 두어 경사면에서 물이 많이 흐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8. 삭제
  9. 삭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틀형 식생 호안 블록의 내부에 채워지는 중량체(730)의 상부에 잔디와 수목이 생육할 수 있도록 식생부재(731)를 마련하고, 중량체(730)는 상단과 하단 사이가 재질과 크기를 달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11. 삭제
KR1020080059276A 2008-06-23 2008-06-23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100919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276A KR100919614B1 (ko) 2008-06-23 2008-06-23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276A KR100919614B1 (ko) 2008-06-23 2008-06-23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607A Division KR100891738B1 (ko) 2007-09-04 2007-09-04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612A KR20090024612A (ko) 2009-03-09
KR100919614B1 true KR100919614B1 (ko) 2009-09-29

Family

ID=4069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276A KR100919614B1 (ko) 2008-06-23 2008-06-23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823B1 (ko) 2012-11-05 2012-12-27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하천 및 수변 공사용 방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943B1 (ko) * 2005-10-07 2006-04-07 주식회사 초원기업 생태어소 방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943B1 (ko) * 2005-10-07 2006-04-07 주식회사 초원기업 생태어소 방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823B1 (ko) 2012-11-05 2012-12-27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하천 및 수변 공사용 방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612A (ko) 2009-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4728B2 (ja) 魚巣マングローブ護岸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護岸工法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100479351B1 (ko) 기능성 세라믹 수질정화 방틀
KR200426893Y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KR100627039B1 (ko) 화분형태 식생축조호안블록
KR100919614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20100065450A (ko) 환경친화형 호안블록을 이용한 법면 시공방법
KR100567943B1 (ko) 생태어소 방틀
KR200418683Y1 (ko) 생태블록
JPH05302312A (ja) 生態系改善型護岸構造
KR20110117857A (ko)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20090012420A (ko) 어소블록
KR200298530Y1 (ko) 어초블록
KR200274533Y1 (ko) 하천의 생태옹벽
KR20100015300A (ko)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켜 주면서 물고기 서식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생태하천 수로를 이용하여 자연형 하천을 조성하는 자연친화적인 공법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101075105B1 (ko) 어소겸용 식생블록
KR200289866Y1 (ko) 저목식재블럭
KR200413594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KR200250172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세트
KR101166215B1 (ko) 옹벽형 방틀
KR200356104Y1 (ko) 바구니형 식생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