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893Y1 -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 Google Patents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893Y1
KR200426893Y1 KR2020060018416U KR20060018416U KR200426893Y1 KR 200426893 Y1 KR200426893 Y1 KR 200426893Y1 KR 2020060018416 U KR2020060018416 U KR 2020060018416U KR 20060018416 U KR20060018416 U KR 20060018416U KR 200426893 Y1 KR200426893 Y1 KR 200426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frame
frame
ecosystem
wooden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복
Original Assignee
(주) 녹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녹지원 filed Critical (주) 녹지원
Priority to KR2020060018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8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8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목재방틀의 내부에 그 주변에서 서식하는 각종 포유류 또는 어류가 자유로이 이동하며 생활할 수 있는 별도의 서식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제방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목재방틀이 설치된 주변의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개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들을 서로 교차하게 적층 시켜 그 연결부위를 연결축으로 고정하고, 상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통해 형성된 공간부들 내에 중량체를 채워 하천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에 제방을 이루도록 한 목재방틀에 있어서, 상기 목재방틀은
상기 경사면와 접하는 부위의 타측에 적층된 세로프레임들 사이에 각각 제1 간격유지대와 제2 간격유지대가 개재되어 상기 제1,2 간격유지대 사이에 그 주변에서 서식하는 포유류나 어류가 서식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서식공간의 상부에 설치된 세로프레임에는 상기 서식공간 내부로 중량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지지대가 적층/설치된다.
상기 서식공간의 상부에 설치된 세로프레임에는 상기 서식공간 내부로 중량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지지대가 적층/설치된다.
방틀, 가로프레임, 서식공간, 중량체

Description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Prevention frame forming tree for an ecosystem protection}
도 1은 종래 목재방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7a 및 도 7l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이 시공순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목재방틀 101 : 서식공간
103 : 입구 110 : 가이드프레임
120 : 세로프레임 130 : 제1 간격유지대
140 : 제2 간격유지대 150 : 지지대
160 : 연결축 170 : 연결구
180 : 차단막 190 : 기초말뚝
S : 경사면 L : 하천
본 고안은 목재방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목재방틀의 내부에 그 주변에서 서식하는 각종 포유류 또는 어류 가 자유로이 이동하며 생활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제방으로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목재방틀이 설치된 주변의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사면이나 경사면에는 집중호우, 장마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하천의 사면이나 경사면의 토사가 침식되거나 세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방공사를 시행하게 된다.
즉, 사면 또는 경사면을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콘크리트 블록을 축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은 외관상으로 미려한 느낌을 주지만 식물의 식생 및 수중저서생물의 생활환경을 파괴함으로써, 자연생태환경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제방으로써 토사의 침식 또는 세굴을 방지기능은 기본적으로 수행하면서 외관상의 미려함 및 자연생태환경을 보호할 수 자연친화적인 방틀 구조물이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목재방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목재방틀(10)은 프레임(20)과 프레임(20)을 연결수단(30)으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교차하게 연결한다. 이때, 그 내부 공간부(40)에는 중량체(50)를 채워 구성하고 있다.
즉, 커다란 바의 형태로 제공되는 목재 구조물인 프레임(20)을 연결수단(30)으로 수평,수직방향으로 교차되게 연결시켜 내부 공간부(40)를 갖는 목재방틀(10) 을 구성하고, 목재방틀(10)의 내부 공간부(40)에 자갈, 골재, 쇄석 등 무게가 나가는 중량체(50)를 채워 하천의 사면이나 각종 경사면에 시공함으로써, 토사의 침식 또는 세굴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중량체(50)들 사이로 육상식물 및 수생식물들이 서로 공존하여 식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목재방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목재방틀은 그 설치구조에 의해 각종 식물군을 형성하기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고 있지만, 하천변에서 생활하며 먹이활동을 하는 수달과 같은 반수성(半水性) 포유류나 어류들 및 그 주위에서 생활하는 동물들이 생활할 수 있는 서식지를 제공해 주지 못하기 때문에 생태보호를 위한 개선된 시설물로써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목재방틀을 하천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에 설치시 목재방틀과 그 내부에 수용된 중량체가 토사를 지지하여 우천시 토사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중량체와 중량체 사이의 틈이 면밀하지 못하지 못하고 벌어져 있기 때문에 그 벌어진 틈 사이로 토사가 유출되어 제방으로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방틀 구조물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천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목재방틀의 내부에 그 주변에서 서식하는 각종 포유류 또는 어류가 자유로이 이동하며 생활할 수 있는 별도의 서식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제방으로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목재방틀이 설치되는 주변의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천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과 목재방틀 사이에 물의 투수는 용이한 반면, 토사의 유출은 방지할 수 있는 부직포 재질의 차단막을 설치함으로써, 우천시 경사면의 토사가 목재방틀로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목재방틀이 설치되는 바닥에 목재방틀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기초말뚝을 매설함으로써, 설치된 목재방틀이 그 하중에 의해 침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들을 서로 교차하게 적층 시켜 그 연결부위를 연결축으로 고정하고, 상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통해 형성된 공간부들 내에 중량체를 채워 하천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에 제방을 이루도록 한 목재방틀에 있어서, 상기 목재방틀은
상기 경사면와 접하는 부위의 타측에 적층된 세로프레임들 사이에 각각 제1 간격유지대와 제2 간격유지대가 개재되어 상기 제1,2 간격유지대 사이에 그 주변에서 서식하는 포유류나 어류가 서식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서식공간의 상부에 설치된 세로프레임에는 상기 서식공간 내부로 중량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지지대가 적층/설치된다.
상기 서식공간의 상부에 설치된 세로프레임에는 상기 서식공간 내부로 중량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지지대가 적층/설치된다.
한편, 상기 목재방틀이 설치되는 바닥에는 설치된 목재방틀의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초말뚝이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재방틀과 경사면 사이에는 상기 경사면의 토사가 목재방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차단막은 투수성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2 내지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100)은 다수개의 가로프레임(110), 다수개의 세로프레임(120), 제1 간격유지대(130), 제2 간격유지대(140), 지지대(150), 연결축(160) 및 연결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로프레임(110)은 그 상/하부에 등간격으로 서로 대칭되는 복수개의 홈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각 홈부(112)들의 내측에는 상기 가로프레임(110)을 상/하로 관통하는 통공(1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110)은 그 일측에 요철형상의 돌기(116)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 상기 돌기(116)와 동일한 내면 형상을 갖는 연결홈(118)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세로프레임(120)은 그 상/하부에 등간격으로 서로 대칭되는 다수개의 맞물림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각 맞물림홈(121)의 내측에는 상기 세로프레임(120)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123)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세로프레임(120)들 중 지지대(150)가 개재되는 세로프레임(120)의 상/하부에는 각각 상기 지지대(1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1 결속홈(1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간격유지대(130)는 그 상/하부에 등간격으로 서로 대칭되는 복수개의 안착홈(132)이 형성되고, 상기 각 안착홈(132)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간격유지대(130)를 상/하로 관통하는 연결공(134)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간격유지대(130)의 일측에는 요철형상의 연결편(136)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간격유지대(140)는 그 상/하부에 등간격으로 서로 대칭되는 북수개의 체결홈(141)이 형성되고, 상기 각 체결홈(141)의 내측에는 상기 제2 간격유지대(140)를 상/하로 관통하는 체결공(143)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간격유지대(140)의 타측에는 상기 연결편(136)과 동일한 내주면 형상을 갖는 결합홈(145)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150)는 그 상/하부에 등간격으로 서로 대칭되는 복수개의 제2 결속홈(151)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축(160)은 그 상/하부에 나사부(16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 축(160)이 체결되는 연결구(170)는 그 내측에 너트공(171)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부(161)를 너트공(171)에 체결시 상기 나사부(161)는 너트공(171)에 1/2 정도의 깊이로 삽입/체결된다. 이에 따라, 나머지 1/2은 조립된 목재방틀(100)을 적층시 그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축(160)의 나사부(161)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목재방틀(100)과 경사면(S) 사이에는 경사면(S)의 토사가 목재방틀(100)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18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차단막(180)은 토사의 유출은 차단하며, 물은 통과하는 투수성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재방틀(100)이 설치되는 경사면(S)의 바닥에는 목재방틀(100)의 지지력을 높여주기 위한 다수개의 기초말뚝(190)이 매설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a 및 도 7l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이 시공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a~7l 내지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도 7a에서와 같이 목재방틀(100)이 설치되는 부위에 차단막(180)을 깔고, 상기 목재방틀(100)이 놓이는 바닥에 다수개 의 기초말뚝(190)을 매설한다.
이후, 도 7b에서와 같이 가로프레임(110)과 한 쌍의 제1,2 간격유지대(130,140)를 설치위치로 이동하여 정열 한 후 가로프레임(110)의 통공(114)과 제1,2 간격유지대(130,140)의 연결공(134) 및 체결공(143)에 연결축(160)을 삽입/연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축(160)의 하부에는 연결축(160)이 빠지지 않도록 연결구(170; 도6 참조)를 체결한다.
이후, 도 7c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110) 및 제1,2 간격유지대(130,140)의 상부에 세로프레임(120)들을 서로 교차하게 연결한다. 이때, 상기 가로프레임(110)의 홈부(112), 제1 간격유지대(130)의 안착홈(132) 및 제2 간격유지대(140)의 체결홈(141)에는 세로프레임(120)의 맞물림홈(121)이 연결되며, 상기 세로프레임(120)의 관통공(123)에는 연결축(160)이 삽입/연결된다.
이후, 도 7d, 7e, 7f 및 7g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110)과 제1,2 간격유지대(130,140) 및 세로프레임(120)들을 적층 시켜 연결한다.
이후, 도 7h에서와 같이 상기 세로프레임(120)들 중 제1 결속홈(125)이 형성된 세로프레임(120)의 상부에 지지대(15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제1 결속홈(125)은 지지대(150)의 제2 결속홈(151)과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목재방틀(100)의 일측에는 그 주위에서 서식하는 포유류나 어류의 서식공간(101)이 형성되고, 상기 서식공간(101)의 일측에는 제1 간격유지대(130)와 제2 간격유지대(140)를 통해 서식공간(101)으로 포유류나 어류가 진입할 수 있도록 입구(10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식공간(101)은 그 상부에 지지대(150)가 설치되어 중량체(50)가 서식공간(10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후, 도 7i, 7j, 및 7k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20)들을 순차적으로 더 적층 시켜 연결한 후, 연결축(160)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161)에 연결구(170)를 체결한다.
이때, 상기 가로프레임(110)의 홈부(112), 세로프레임(120)의 맞물림홈(121)과 제1 결속홈(125), 제1 간격유지대(130)의 안착홈(132), 제2 간격유지대(140)의 체결홈(141) 및 지지대(150)의 제2 결속홈(151)들은 서로 교차하여 접하는 부위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목재방틀(100)이 더욱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는다.
이후, 도 7l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20)들에 의해 형성된 목재방틀(100)의 각 공간부(40)에 자갈 및 사석과 같은 중량체(50)를 채워 공간부(40)를 채움으로써 시공을 마친다.
이때, 상기 하천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을 따라 연속 반복되게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목재방틀(100)은 그 접하는 부위의 돌기(116) 및 연결편(136)이 그 다음에 설치되는 목재방틀(100)의 연결홈(118) 및 결합홈(145)에 삽입/연결됨으로써, 견고한 연결관계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목재방틀(100)이 설치되는 주위에서 서식하는 동물 및 어류들은 상기 목재방틀(100)에 형성된 서식공간(101)을 통해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목재방틀(1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적 층하여 하천 및 절개지의 경사면에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방틀은 그 내부에 별도의 서식공간을 구비하여 그 주위에서 서식하는 동물 및 어류들이 생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재방틀이 설치된 주위의 자연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가로프레임(110), 세로프레임(120), 제1,2 간격유지대(130,140), 지지대(150), 연결축(160), 연결구(170)의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참조번호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200)은 연결축(160;도 6참조) 및 연결구(170);도 6참조)을 통해 연결하여 서로 적층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200)은 하천(L) 및 절개지의 낮은 경사면(S) 뿐만 아니라 산악지형과 같이 경사면(S)의 높이가 높은 지형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2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 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상기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300)은 그 상부에 연결된 가로프레임(110)과 가로프레임(110) 사이에 연결바(310)를 일측으로 돌출되게 삽입/설치한 후, 상기 돌출된 연결바(310)의 상부에 또 다른 목재방틀(100)을 적층 시켜 설치함으로써, 수직으로 형성된 경사면 및 단차를 갖는 경사면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100)에 적용되는 연결축(460)은 가로프레임(110)의 통공(114), 세로프레임(120)의 관통공(123), 제1 간격유지대(130; 도2 참조)의 연결공(134;도2 참조), 제2 간격유지대(140;도2 참조)의 체결공(143;도2 참조)들이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 각각 삽입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분할/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목재방틀(100)을 설치시 하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축(460)을 연결하여 조립함으로써, 목재방틀(100)을 용이하게 조립/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목재방틀(100)은 그 실시예에 따라 하천(L)의 수중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천수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재방틀(100)에 형성된 서식공간(101)은 하천의 상류와 하류를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통로인 어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목재방틀(100)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천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목재방틀의 내부에 그 주변에서 서식하는 각종 포유류 또는 어류가 자유로이 이동하며 생활할 수 있는 별도의 서식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제방으로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목재방틀이 설치되는 주변의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천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과 목재방틀 사이에 물의 투수는 용이한 반면, 토사의 유출은 방지할 수 있는 부직포 재질의 차단막을 설치함으로써, 우천시 경사면의 토사가 목재방틀로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목재방틀이 설치되는 바닥에 목재방틀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기초말뚝을 매설함으로써, 설치된 목재방틀이 그 하중에 의해 침하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다수개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들을 서로 교차하게 적층 시켜 그 연결부위를 연결축으로 고정하고, 상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통해 형성된 공간부들 내에 중량체를 채워 하천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에 제방을 이루도록 한 목재방틀에 있어서,
    상기 목재방틀(100)은
    상기 경사면(S)와 접하는 부위의 타측에 적층된 세로프레임(120)들 사이에 각각 제1 간격유지대(130)와 제2 간격유지대(140)가 개재되어 상기 제1,2 간격유지대(130,140) 사이에 그 주변에서 서식하는 포유류나 어류가 서식공간(101)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입구(103)가 형성되고,
    상기 서식공간(101)의 상부에 설치된 세로프레임(120)에는 상기 서식공간(101) 내부로 중량체(50)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지지대(150)가 적층/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방틀(100)이 설치되는 바닥에는 설치된 목재방틀(100)이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초말뚝(190)이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방틀(100)과 경사면(S) 사이에는 상기 경사면(S)의 토사가 목재방틀(100)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18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180)은 투수성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방틀(100)은 하천(L)의 수중보로 설치시 상기 서식공간(101)이 어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서식공간(101)이 목재방틀(100)을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KR2020060018416U 2006-07-07 2006-07-07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KR200426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416U KR200426893Y1 (ko) 2006-07-07 2006-07-07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416U KR200426893Y1 (ko) 2006-07-07 2006-07-07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584A Division KR100730507B1 (ko) 2006-07-06 2006-07-06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893Y1 true KR200426893Y1 (ko) 2006-09-20

Family

ID=4177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416U KR200426893Y1 (ko) 2006-07-07 2006-07-07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89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07B1 (ko) 2006-07-06 2007-06-20 (주) 녹지원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KR100830692B1 (ko) 2007-02-08 2008-05-20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간벌재를 이용한 조립식 식생방틀
KR100905416B1 (ko) * 2009-02-26 2009-07-01 대한민국 어초용 목재방틀 및 이를 이용한 호안 제방용 목재방틀
KR100929359B1 (ko) * 2007-10-11 2009-12-03 대한민국 목재 옹벽
KR101027320B1 (ko) * 2008-07-29 2011-04-06 대한민국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KR101277796B1 (ko) 2011-03-28 2013-06-27 대한민국 정각재 목재를 스틸바로 끼워 맞춤한 목재옹벽, 이에 이용되는 정각재 및 목재옹벽 제작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507B1 (ko) 2006-07-06 2007-06-20 (주) 녹지원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KR100830692B1 (ko) 2007-02-08 2008-05-20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간벌재를 이용한 조립식 식생방틀
KR100929359B1 (ko) * 2007-10-11 2009-12-03 대한민국 목재 옹벽
KR101027320B1 (ko) * 2008-07-29 2011-04-06 대한민국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KR100905416B1 (ko) * 2009-02-26 2009-07-01 대한민국 어초용 목재방틀 및 이를 이용한 호안 제방용 목재방틀
KR101277796B1 (ko) 2011-03-28 2013-06-27 대한민국 정각재 목재를 스틸바로 끼워 맞춤한 목재옹벽, 이에 이용되는 정각재 및 목재옹벽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6893Y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KR100730507B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JP4784728B2 (ja) 魚巣マングローブ護岸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護岸工法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20190025119A (ko)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KR101132200B1 (ko)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
KR200318120Y1 (ko) 사각 블록과 계단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유실방지법면 보호구조
JPH0762335B2 (ja) 生態系改善型護岸構造
KR101628201B1 (ko) 생태 블록 구조물
KR102015296B1 (ko)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20060082370A (ko)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KR100475103B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CN110485371A (zh) 一种柔性锚固框架及其生态护岸结构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200163563Y1 (ko) 경사면의속성녹화용블럭
KR100478158B1 (ko) 에코투인박스
KR100659639B1 (ko) 하천 사면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생태이동통로 설치구조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KR101166215B1 (ko) 옹벽형 방틀
KR100611366B1 (ko) 호안블럭
KR100645315B1 (ko) 하천 제방블록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