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320B1 -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 Google Patents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320B1
KR101027320B1 KR1020080073823A KR20080073823A KR101027320B1 KR 101027320 B1 KR101027320 B1 KR 101027320B1 KR 1020080073823 A KR1020080073823 A KR 1020080073823A KR 20080073823 A KR20080073823 A KR 20080073823A KR 101027320 B1 KR101027320 B1 KR 101027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ch
transverse member
retaining wall
support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437A (ko
Inventor
이동흡
손동원
김외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8007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3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원주목을 이용한 목재 옹벽과는 달리, 4면 제재된 각재를 이용함으로써, 원주가공을 하지 않기 때문에 가공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조수율 역시 20% 이상 향상되어 원자재 가격을 다운시킬 수 있도록 하며, 원주목에 비하여 결체되는 부분이 더욱 긴밀하게 조립되고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되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며, 하나 이상의 받침목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목재 옹벽의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결력을 높임은 물론, 구조적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노치재, 전면횡부재, 후면횡부재, 각재, 마름모형, 안착홈

Description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Retaining wall made of squared lumber}
본 발명은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간벌재를 원주목으로 가공하여 목재 옹벽을 조립하는 것과는 달리, 각재 즉 4면 제재하고 그 모서리를 이용하여 체결력을 높인 것이다.
임도(林道)나 보도 등의 작업도로를 개설하는 공사 및 도로공사, 하안공사, 공원의 계단식 화목식재공사에 있어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용으로 절개지의 사면에 석축옹벽, 일반적으로는 콘크리트 옹벽 등 다양한 방법의 옹벽이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석축이나 콘크리트 옹벽 등은 중량물인 파쇄된 석축용 돌을 사용하거나 양생되지 않는 콘크리트 반죽을 사용하므로 그만큼 공사가 어렵고 공기(工期)가 길뿐 아니라 이들 종래의 옹벽은 주로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되므로 지나치게 인위적이어서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간벌재를 이용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친환경적인 목재 옹벽을 제공하였는 바, 주로 리기다소나무 원주목이 중심이었다. 이는 도시공간 에서 원주목을 사용하였을 때 도시경관과 잘 어울리기 때문이고, 상기 리기다소나무는 방부제 주입이 매우 양호한 수종으로 야외에서 사용되는 토목용재로서 국산재 중에서 가장 적합한 수종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리기다소나무는 원목의 원구와 말구의 차이가 심하고 초살도가 급하기 때문에 원주목으로 가공할 때 평균 제조수율이 30% 정도로 지극히 낮은 수종이며, 이로 인한 원자재의 가격 상승률도 높아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보다 약 30% 정도의 높은 가격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원주목을 이용한 목재 옹벽이 갖는 제조수율 및 비용 등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치재, 전면횡부재 및 후면횡부재로서 마름모형의 각재를 이용함으로써, 원주가공을 하지 않기 때문에 가공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조수율 역시 20% 이상 향상되어 원자재 가격을 다운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치재의 상, 하를 향하는 모서리에 안착홈을 형성하고 이에 전면횡부재와 후면횡부재의 모서리를 안착시킴으로써, 원주목에 비하여 결체되는 부분이 더욱 긴밀하게 조립되고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되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횡부재와 전면횡부재의 사이 또는 후면횡부재와 후면횡부재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받침목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하여 전면횡부재 또는 후면횡부재의 휨변형을 방지하고, 구조적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전면횡부재 또는 후면횡부재의 이음매 부분의 내측에는 이음매 받침목을 추가로 설치하여, 횡부재의 연결을 원활히 함으로써, 목재 옹벽의 구조적 안전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노치재와 상기 노치재의 양단부에 안착되어 이웃하는 노치재를 연결하는 전면횡부재 및 후면횡부재가 반복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목재 옹벽에 있어서, 상기 노치재는 마름모형의 각재로 되어 모서리가 상, 하를 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전면횡부재와 후면횡부재도 마름모형의 각재로 되어 모서리가 상, 하를 향하도록 적층되어지되, 상기 노치재의 상, 하를 향하는 모서리 양단부에는 상기 전면횡부재와 후면횡부재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상부 안착홈과 하부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면횡부재의 하부 모서리는 상기 노치재의 전단부 상부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전면횡부재의 상부 모서리는 상측에 적층되는 또 다른 노치재의 전단부 하부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후면횡부재의 하부 모서리는 상기 노치재의 후단부 상부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전면횡부재의 상부 모서리는 상측에 적층되는 또 다른 노치재의 후단부 하부 안착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횡부재와 상, 하로 이웃하는 전면횡부재의 사이 또는 상기 후면횡부재와 상, 하로 이웃하는 후면횡부재의 사이에는 마름모형의 각재로 되는 받침목이 노치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받침목(4)과 노치재(1)는 상호 교번되어 수직선상에 위치되어지되, 상기 받침목은 상, 하를 향하는 모서리 중앙부에 상기 전면횡부재 또는 후면횡부재의 상, 하부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상부 받침홈과 하부 받침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받침홈과 하부 받침홈에 전면횡부재 또는 후면횡부재가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횡부재와 상, 하로 이웃하는 전면횡부재의 이음매 부분 또는 상기 후면횡부재와 상, 하로 이웃하는 후면횡부재의 이음매 부분의 내측에는 각재로 되는 이음매 받침목이 노치재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이음매 받침목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노치재의 상, 하부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상부 노치재 받침홈과 하부 노치재 받침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음매 받침목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횡부재 또는 후면횡부재의 내측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횡부재 받침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노치재 받침홈에 노치재의 상부 모서리가 위치되고, 상기 횡부재 받침홈에 상기 전면횡부재 또는 후면횡부재의 이음매 부분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주가공을 하지 않기 때문에 가공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조수율 역시 20% 이상 향상되어 원자재 가격을 다운시킬 수 있도록 하며, 원주목에 비하여 결체되는 부분이 더욱 긴밀하게 조립되고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되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받침목 또는 이음매 받침목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목재 옹벽의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하여 체결력을 높임은 물론, 구조적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노치재(1),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로 된다.
먼저 본 발명의 목재 옹벽(A)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노치재(1)와 상기 노치재(1)의 양단부에 안착되어 이웃하는 노치재(1)를 연결하는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가 반복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데,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노치재(1)의 개수나 반복 적층의 회수 등은 제한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노치재(1),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는 모두 해마다 다량으로 채취되는 리기다소나무나 잣나무의 간벌재를 가공한 것인데, 방부제를 가압주입하여 목재의 변재부는 물론 내부의 심재까지 방부제가 균일하게 침투하도록 방부처리하여 가혹한 사용 환경조건에서도 20년을 상회하는 내용연수가 보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노치재(1),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는 모두 마름모형의 각재로 되는 것을 이용함으로써, 가공공정 및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노치재(1)는 모서리가 상, 하를 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도 모서리가 상, 하를 향하도록 적층되어지는 데, 도 6과 같이, 상기 노치재(1)의 상, 하를 향하는 모서리 양단부에는 상기 전면횡부재(2)와 면횡부재(3)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상부 안착홈(11)과 하부 안착홈(1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노치재(1)와 전, 후면횡부재(2)(3)가 반드시 동일한 단면, 즉 동일한 크기의 마름모형으로 될 필요는 없으나, 조립시의 편의나 상기 안착홈(11)(11')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크기의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치재(1)의 상, 하부 안착홈(11)(11')은 전, 후면횡부재(2)(3)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형상이므로, V자 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A)은 노치재(1)를 모서리가 상, 하를 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열한 후, 상기 노치재(1)의 상부 전단부 노치홈(11)에 상기 전면횡부재(2)의 하부 모서리 안착시키고, 상부 후단부 노치홈(11)에 상기 후면횡부재(3)의 하부 모서리를 안착시킨 후, 그 상부에 또 다른 노치재(1)를 수평 방향으로 배열하되, 또 다른 노치재(1)의 하부 전단부 노치홈(11')에는 상기 전면횡부재(2)의 상부 모서리가 위치되도록 하고, 하부 후단부 노치홈(11')에는 상기 후면횡부재(3)의 상부 모서리가 위치되도록 하여 조립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의 양측 끝단은 노치재(1)의 노치홈(11)(11')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여, 좌, 우로 이웃하는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의 연결이 전면횡부재(2) 또는 후면횡부재(3)의 하측에 위치하는 노치재(1)의 상부 안착홈(11), 그리고 상측에 위치하는 노치재(1)의 하부 안착홈(11')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목재 옹벽(A)의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상, 하로 이웃하는 전면횡부재(2) 및 상, 하로 이웃하는 후면횡부재(3)가 동일한 노치재(1) 상에서 연결되지 않도록 목재 옹벽(A)의 끝단에서 조립을 시작할 때 장재와 단재를 교호로 배치시킨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 역시 동일한 노치재(1) 상에서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노치재(1)와, 상기 노치재(1)와 상, 하로 이웃하는 노치재(1)는 도 2a 내지 2c와 같이 상호 교차되도록 지그재그로 적층되어질 수도 있고, 도 3a 내지 3c와 같이 상기 노치재(1)와, 상기 노치재(1)와 상, 하로 이웃하는 노치재(1)는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적층될 수도 있는 바, 그 적층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노치재(1)와 상, 하로 이웃하는 노치재(1)가, 도 2a 내지 2c와 같이, 상호 교차되도록 지그재그로 적층되더라도, 목재 옹벽(A)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노치재(1)와 상, 하로 이웃하는 노치재(1)는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적층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도 4a 및 4c와 같이, 전면횡부재(2)와 상, 하로 이웃하는 전면횡부재(2)의 사이 또는 후면횡부재(3)와 상, 하로 이웃하는 후면횡부재(3)의 사이에는 받침목(4)이 추가로 설치되면, 상기 받침목(4)에 의해 하중이 분산됨으로써,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의 휨변형이 방지되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목(4)은 도 7과 같이, 마름모형의 각재로 되어, 상, 하를 향하는 모서리에 상부 받침홈(41)과 하부 받침홈(4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받침 홈(41)(41')의 형상은 전, 후면횡부재(2)(3)의 상, 하부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 즉 V자 홈으로 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받침목(4)은 상기 전면횡부재(2)와 상, 하로 이웃하는 전면횡부재(2)의 사이 또는 상기 후면횡부재(3)와 상, 하로 이웃하는 후면횡부재(3)의 사이에 설치되는 데, 노치재(1)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 받침홈(41)에는 상기 받침목(4)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전면횡부재(2) 또는 후면횡부재(3)의 하부 모서리가 위치되고, 하부 받침홈(41')에는 상기 받침목(4)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되는 전면횡부재(2) 또는 후면횡부재(3)의 상부 모서리가 각각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목(4)의 설치시에는, 받침목(4)과 상, 하로 이웃하는 받침목(4)이 수직이 되도록 설치하여야만 수직하중이 분산되어, 전면횡부재(2) 또는 후면횡부재(3)의 휨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가장 바람직하게 노치재(1)를 수직선상이 아닌 교차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할 시, 노치재(1)가 위치되지 않은 부분에 상기 받침목(4)을 위치시켜 받침목(4)과 노치재(1)가 상호 교번되어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받침목(4)이 노치재(1)와 수직선상에 위치되어야만 상부하중을 고르게 분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전면횡부재(2) 또는 후면횡부재(3)를 연결하여 설치하여야 할 경우, 좌, 우로 이웃하는 전면횡부재(2)의 연결부분(L) 또는 좌, 우로 이웃하는 후면횡부재(3)의 연결부분(L'), 즉 이음매 부분(L)(L')에는 이음매 받침목(5)이 설치되어, 그 이음매 부분(L)(L')의 연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음매 받침목(5)은 전면횡부재(2)의 이음매 부분(L) 또는 후면횡부재(3)의 이음매 부분(L')의 내측 및 상기 노치재(1)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전면횡부재(2)의 이음매 부분(L) 또는 상기 후면횡부재(3)의 이음매 부분(L')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이음매 받침목(5)은 각재로 되어 모서리가 아닌 면이 상, 하를 향하도록, 즉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체결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이음매 받침목(5)은 각재로 이루어져, 도 8a 및 8b와 같이,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노치재(1)의 상, 하부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상, 하부 노치재 받침홈(51)(51'), 즉 V자 형의 노치재 받침홈(51)(51')이 형성되고, 상기 이음매 받침목(5)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횡부재(2) 또는 후면횡부재(2)의 내측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횡부재 받침홈(52), 즉 〉자 형의 횡부재 받침홈(52)이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 노치재 받침홈(51)(51')에 노치재(1)가 위치되고 상기 횡부재 받침홈(52)에 상기 전면횡부재(2) 또는 후면횡부재(2)의 이음매 부분(L)(L')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전면횡부재(2)를 연결하여 설치하거나 상기 후면횡부재(3)를 연결하여 설치하여야 할 경우, 일반적으로 노치재(1)의 상부 중앙에서 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나, 부재 길이의 오차 등으로 인하여 그 연결이 노치재(1)의 중 앙에서 연결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이음매 받침목(5)을 통해 그 연결을 원활히 하는 것이다.
또한 도 5d 와 같이, 노치재(1)가 상호 교차되어 지그재그형태로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이음매 받침목(5)의 상부 횡부재 받침홈(51)에는 노치재(1)가 아닌, 받침목(4)이 위치되는 것이다.
더욱이 첨부된 도 2a 내지 도 5d, 도 9 및 도 11에서와 같이, 목재 옹벽(A)의 최하단, 즉 최초 설치되는 목재는 노치재(1)가 될 수도 있고,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가 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형태를 제한하지 않으며, 바닥지반이 콘크리트 기초이거나 암반일 경우 최하단에 설치되는 노치재(1) 또는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는 하측을 향하는 모서리의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제거된 형태, 즉 지면에 닿는 부분이 평면을 이루도록 하측 모서리를 제거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그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것이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A)은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설치되어 공원 등의 화목식재 기초공사, 임도나 보도 등의 작업도로를 개설할 시 흙막이, 절토면과 성토벽의 옹벽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바, 도 10과 같이 상, 하로 적층되는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의 개수를 일측으로 갈수록 적어지도록 하여 계단형이 되도록 시공할 수도 있으며, 상기 계단형으로 시공된 목재 옹벽(A)의 공간부 상측으로 는 다수개의 노치재(1)가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에 안착되도록 추가로 설치되어 계단으로의 활용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인 것으로, 그 실시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목재 옹벽(A)의 노치재(1),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의 내측으로 형성된 공간부(S)에 상기 전면횡부재(2)의 내측으로 야자매트(M)를 설치하고, 흙이나 잡석을 채우는 흙채움(6)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야자매트(M)는 흙채움(6) 시 흙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데, 야자매트(M)를 대신하여 씨드(Seed)매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흙채움(6)이 되어진 목재 옹벽(A)의 상부면에는 관목식재(7)가 식재될 수 있다. 상기 목재 옹벽(A)의 하단 전면에는 횡방향으로 배수로(8)가 설치되고, 하단 후면에는 횡방향으로 유공관(9)이 설치되어 배수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우수 등에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면횡부재(2)와 전면횡부재(2)의 사이의 공극에도 화목 등의 식재가 가능하여 자연환경미화에 이용할 수도 있으며, 볼트너트나 직결나사못 등을 사용하지 않고 블록쌓기식으로 걸쳐 놓을 경우는 해체가 용이하고 재이용이 가능하므로 가설공사 등에 이용할 수도 있고, 고정식으로 사용할 경우 연결부위를 볼트너트나 직결나사못으로 결체하면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 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원주목을 이용한 목재 옹벽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목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목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치재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목을 나타낸 정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 받침목을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 받침목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노치재 2: 전면횡부재 3: 후면횡부재
4: 받침목 5: 이음매 받침목 6: 흙채움
7: 관목식재 8: 배수로 9: 유공관
11, 11': 안착홈 41,41': 받침홈 51, 51': 노치재 받침홈
52: 횡부재 받침홈

Claims (7)

  1.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노치재(1)와 상기 노치재(1)의 양단부에 안착되어 이웃하는 노치재(1)를 연결하는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가 반복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목재 옹벽(A)에 있어서,
    상기 노치재(1)는 마름모형의 각재로 되어 모서리가 상, 하를 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도 마름모형의 각재로 되어 모서리가 상, 하를 향하도록 적층되어지되,
    상기 노치재(1)의 상, 하를 향하는 모서리 양단부에는 상기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의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상부 안착홈(11)과 하부 안착홈(1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면횡부재(2)의 하부 모서리는 상기 노치재(1)의 전단부 상부 안착홈(11)에 안착되고 상기 전면횡부재(2)의 상부 모서리는 상측에 적층되는 또 다른 노치재(1)의 전단부 하부 안착홈(11')에 안착되며,
    상기 후면횡부재(3)의 하부 모서리는 상기 노치재(1)의 후단부 상부 안착홈(11)에 안착되고, 상기 전면횡부재(2)의 상부 모서리는 상측에 적층되는 또 다른 노치재(1)의 후단부 하부 안착홈(11')에 안착되며,
    상기 노치재(1)와, 상기 노치재(1)와 상, 하로 이웃하는 노치재(1)는 상호 교차되도록 지그재그로 적층되어지되, 목재 옹벽(A)의 양측단부에 위치하는 노치재(1)와 상, 하로 이웃하는 노치재(1)는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적층되고,
    상기 전면횡부재(2)와 상, 하로 이웃하는 전면횡부재(2)의 사이 또는 상기 후면횡부재(3)와 상, 하로 이웃하는 후면횡부재(3)의 사이에는 마름모형의 각재로 되는 받침목(4)이 노치재(1)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받침목(4)과 노치재(1)는 상호 교번되어 수직선상에 위치되어지되,
    상기 받침목(4)은 상, 하를 향하는 모서리 중앙부에 상기 전면횡부재(2) 또는 후면횡부재(3)의 상, 하부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상부 받침홈(41)과 하부 받침홈(4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받침홈(41)과 하부 받침홈(41')에 전면횡부재(2) 또는 후면횡부재(3)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전면횡부재(2)와 상, 하로 이웃하는 전면횡부재(2)의 이음매 부분(L) 또는 상기 후면횡부재(3)와 상, 하로 이웃하는 후면횡부재(3)의 이음매 부분(L')의 내측에는 각재로 되는 이음매 받침목(5)이 노치재(1)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이음매 받침목(5)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노치재(1)의 상, 하부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상부 노치재 받침홈(51)과 하부 노치재 받침홈(5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음매 받침목(5)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횡부재(2) 또는 후면횡부재(3)의 내측 모서리와 대응되는 형상의 횡부재 받침홈(52)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 노치재 받침홈(51)에 노치재(1)의 상부 모서리가 위치되고, 상기 횡부재 받침홈(52)에 상기 전면횡부재(2) 또는 후면횡부재(3)의 이음매 부분(L)(L')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옹벽(A)은 상, 하로 적층되는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의 개수를 일측으로 갈수록 적어지도록 하여 계단형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옹벽(A)의 노치재(1),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의 내측으로 형성된 공간부(S)에는 상기 전면횡부재(2)의 내측으로 야자매트(M)가 설치되고 흙채움(6)이 되며, 상기 흙채움(6)이 되어진 목재 옹벽(A)의 상부면에는 관목식재(7)가 식재되어지고, 상기 목재 옹벽(A)의 하단 전면에는 횡방향으로 배수로(8)가 설치되고, 하단 후면에는 횡방향으로 유공관(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KR1020080073823A 2008-07-29 2008-07-29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KR101027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823A KR101027320B1 (ko) 2008-07-29 2008-07-29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823A KR101027320B1 (ko) 2008-07-29 2008-07-29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37A KR20100012437A (ko) 2010-02-08
KR101027320B1 true KR101027320B1 (ko) 2011-04-06

Family

ID=4208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823A KR101027320B1 (ko) 2008-07-29 2008-07-29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96B1 (ko) * 2011-03-28 2013-06-27 대한민국 정각재 목재를 스틸바로 끼워 맞춤한 목재옹벽, 이에 이용되는 정각재 및 목재옹벽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131Y1 (ko) * 2004-03-04 2004-06-23 주식회사 경보기술단 옹벽 축조용 가로보 격자 어셈블리
KR200369435Y1 (ko) * 2004-08-31 2004-12-03 주식회사 경보기술단 낙석 방지 및 녹화처리를 위한 격자형 조립식 옹벽
KR200426893Y1 (ko) * 2006-07-07 2006-09-20 (주) 녹지원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KR100656117B1 (ko) * 2006-08-30 2006-12-11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목재로 형성된 사면 지지 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131Y1 (ko) * 2004-03-04 2004-06-23 주식회사 경보기술단 옹벽 축조용 가로보 격자 어셈블리
KR200369435Y1 (ko) * 2004-08-31 2004-12-03 주식회사 경보기술단 낙석 방지 및 녹화처리를 위한 격자형 조립식 옹벽
KR200426893Y1 (ko) * 2006-07-07 2006-09-20 (주) 녹지원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KR100656117B1 (ko) * 2006-08-30 2006-12-11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목재로 형성된 사면 지지 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37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320B1 (ko)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KR100481160B1 (ko) 옹벽용 블록
CN112832196A (zh) 一种装配式大孔隙生态框格结构及边坡防护结构
KR101184018B1 (ko)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CN210315636U (zh) 一种装配式建筑地基抗震结构
CN207904939U (zh) 一种生态护坡植草板
CN205741832U (zh) 一种透水行道面层铺装结构
CN214573720U (zh) 一种装配式大孔隙生态框格结构及边坡防护结构
KR20060086985A (ko) 간벌재를 이용한 틀재형 옹벽
KR100603920B1 (ko) 화분일체식 방음벽형 옹벽
CN112761112A (zh) 一种四孔铆接生态大框格结构及生态护坡结构
JP2003313974A (ja) 構築用長尺ブロック
KR100777944B1 (ko) 옹벽 축조용 유니트와 그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KR100736169B1 (ko) 둥근면 절개지에 설치되는 간벌재를 이용한 틀재형 옹벽
KR100993505B1 (ko) 조립식 식생 방음벽 담장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929366B1 (ko) 목재생태블록 및 목재생태블록을 이용한 법면공사 시공방법
KR101406896B1 (ko) 방부목 판재에 의한 장식판재 장착 및 시공법
CN216892750U (zh) 园林地面铺装结构
KR100773489B1 (ko) 친환경 조경 녹화블록 설치구조
KR20100001503U (ko) 비탈면 보호용 격자틀
KR101106956B1 (ko) 목재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JP2010150764A (ja) 緑化路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敷設した緑化路面
KR200424147Y1 (ko) 배면지반 반력 및 변위 부축을 이용한 역제형 환경목석재블록 합벽
KR101070304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SE2030240A1 (en) A reinforcement grid spa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