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944B1 - 옹벽 축조용 유니트와 그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 Google Patents

옹벽 축조용 유니트와 그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944B1
KR100777944B1 KR1020050074385A KR20050074385A KR100777944B1 KR 100777944 B1 KR100777944 B1 KR 100777944B1 KR 1020050074385 A KR1020050074385 A KR 1020050074385A KR 20050074385 A KR20050074385 A KR 20050074385A KR 100777944 B1 KR100777944 B1 KR 100777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taining wall
units
construction
r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425A (ko
Inventor
경 택 임
Original Assignee
경 택 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 택 임 filed Critical 경 택 임
Priority to KR1020050074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794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9Granu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개지, 호안 옹벽, 경사지 보강 및 펜스의 기단부축조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유니트와 그러한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니트는 내측에 잡석들을 유지시키도록 서로 평행한 가로부재(11)와, 그 가로부재들에 양단부가 고정수단으로 연결되어 지지하는 두개의 이격된 지지부재(12)들을 포함하며, 측방향과 서로 연결배치되고 상방향으로 잡석의 크기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내측에서 유지되는 잡석들에 의해 옹벽을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절개지 옹벽이나 하안 옹벽, 경사면을 계단식으로 축조 및 펜스 기단부의 축조에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종래와 같이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유니트에 의해 유지되는 잡석들로써 배수가 원활하고 안전한 옹벽을 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잡석들 사이에 흙이 쌓여 풀이 자랄 수 있게 되어 더욱 견고한 자연적인 옹벽으로 될 수 있게 되므로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고 절개지나 하안벽의 경사도에 적합하게 후퇴시켜 배치고정할 수 있으므로 옹벽 축조 작업을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옹벽축조용 유니트

Description

옹벽 축조용 유니트와 그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AN UNIT FOR BREAST WALLS AND A METHOD FOR BUILDING BREAST WALLS THEREB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옹벽축조용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축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축조용 프레임 구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용 프레임 구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프레임에 의한 옹벽 축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옹벽의 모서리부위 축조를 위하여 유니트들로 프레임의 모서리부위 구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옹벽축조용 유니트의 다른 예로서 지지부재가 가로부재에 대하여 직각으로 결합된 유니트와, 도 1의 유니트를 함께 사용하여 프레임을 구축 하는 것을 보여준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유니트 11 : 가로부재
12 : 지지부재 20 : 프레임
70 : 펜스 71 : 기단부
72 : 지주 73 : 판넬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 절토면이나 성토면등의 경사면에 축조되는 옹벽과 같은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나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 소정 크기의 잡석을 일정 구역내에 유지시켜 옹벽을 구축하도록 하는, 친환경적이며 시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을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둑이나 하천 제방, 절개지나 성토지역의 경사면에는 안전과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옹벽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러한 옹벽은 종래에 주로 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하거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이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경사면용 옹벽의 경우에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여름철 집중 호우시에 옹벽이 붕괴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친환경적인 콘크리트로 인하여 하천 제방의 경우 수초가 식생하지 못함에 따라 물고기가 서식하기 어려우며, 하천의 유속이 빨라져 하천에서 물이 체류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최근 대두되는 물부족 현상을 악화시키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콘크리트 옹벽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환경 친화적인 공법의 요구에 부응하여 식생가능한 콘크리트 블럭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기대하는 만큼의 식물의 착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식물 착생을 위한 별도 재료 비용의 추가 부담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03-0074050호에는 제재목을 이용한 조경옹벽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는 콘크리트를 경사지게 타설한 바탕위에 제재목의 세로목과 가로목을 경사지게 우물정자로 조립하고 그 속에 자갈로 채워 배수가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 우고 후면에는 부직포를 깔고, 옹벽하단에는 배수용 유공관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위 인용공보에에 개시된 조경옹벽 시공방법에서는 목재와 자갈을 이용하는 점에서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지만, 가로목고 세로목을 서로 맞물림결합되도록 홈을 가공해야 하고, 수직으로만 적층되어 옹벽 시공시 바탕면을 콘크리트로 경사지게 타설하고 배수용 유공관을 형성함에 따라 시공시 정밀도가 요구되어 고가의 인건비가 소요되는 숙련자들을 필요로 하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 었을 뿐만 아니라, 단지 수직 상방으로만 적층되는 구조로 인하여 경사면의 옹벽에 적용함에 있어서 제약이 있었으며 이경우 콘크리트 기단부를 경사지게 구축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콘크리트에 의한 옹벽 축조와 목재를 이용한 조경옹벽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옹벽을 구성하는 잡석을 제위치에 유지시키도록 두개의 가로부재들과, 그 상면에서 가로부재들을 연결하도록 양단부가 고정된 연결지지부재들로 이루어지고, 적층가능하게 조립되는 옹벽축조용 유니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본 발명의 옹벽축조용 유니트들을 측방과 상방으로 연결 고정하여 프레임을 형성하고, 그 내측 공간에 상하 유니트들 사이의 간격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잡석들로 채워 유니트들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잡석이 빠져나가지 않고 유지되게 하는 방식으로 시멘트와 같은 결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잡석들에 의한 옹벽을 축조하는 유니트를 이용한 축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유니트는 내측에 잡석들을 유지시키도록 서로 평행한 가로부재와, 그 가로부재들에 양단부가 고정수단으로 연결되어 지지하는 두개의 이격된 지지부재들을 포함하며, 측방향과 서로 연결배치되고 상방향으로 잡석의 크기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내측에서 유지되는 잡석들에 의해 옹벽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기 지지부재 들은 가로부재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유니트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방법은 평행한 가로부재들이 지지부재들에 의해 연결된 유니트들을 측방으로 서로 연결배치함과 함께 상방으로 이격되게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하여 유니트들로 옹벽 축조를 위한 프레임을 조립하고, 상기 유니트들로 이루어진 프레임 내부에 상하 유니트들 사이의 간격보다 큰 직경의 잡석, 자갈들로 채워 유니트들속에서 유지되게 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옹벽 축조용 프레임의 하층 유니트배열에서 서로 인접하여 측방으로 배치되는 유니트 위에 다른 유니트를 뒤집어진 상태로 그 지지부재가 하측의 서로 이웃하여 배열된 두개의 유니트들의 지지부재에 반대방향으로 맞물리게 배치하여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유니트들의 측방향 이동에 대하여 저지력을 갖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층의 유니트를 하층의 유니트에 대하여 후방으로 후퇴되게 배치하여 유니트들로 조립된 프레임에 잡석이 채워져 축조되는 옹벽의 노출면이 경사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옹벽축조를 위한 프레임의 모서리부위의 축조를 위하여, 하층의 유니트배열의 단부 유니트 위에 다른 유니트를 뒤집어서 경사지게 배치하되, 상측 유니트의 가로부재에 경사지게 고정된 지지부재를 그 하측의 단부 유니트의 지지부재와 같은 방향으로 맞물리게 배치하여 하층의 단부 유니트에 대하여 상측 유니트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유니트(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축조용 유니트(10)는 두개의 서로 이격된 가로부재(11)들과, 그 가로부재들의 상면에 양단부가 결합되여 연결하는 두개의 지지부재(12)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12)들은 일단부의 연장선이 예각으로 만나도록 일단부가 타단부 보다 근접되게 배치되어 스크류볼트로 고정된다.
상기 유니트는 예를들어 길이 3.6m인 한재의 목재를 1.2m의 3개로 3등분하고 그중 두개는 각각 가로부재(11)로 사용하며, 나머지 1.2m는 다시 이등분하여 60cm짜리 길이의 두개의 지지부재(12)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유니트는 한 재의 목재를 짜투리 없이 온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니트의 치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그 재료도 목재, 예를들어 부식 및 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처리된 방부목이 바람직하며, 그러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재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재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높지 않는 옹벽 축조를 위하여 유니트(10)들을 조립하여 옹벽축조용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옹벽축조용 프레임(20)은 유니트(10)를 2개의 지지부재(12)가 상하로 인접한 유니트의 2개의 지지부재(12)와 서로 접촉되어 맞물리게 배치하고 상방으로는 스크류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조립되어 옹벽으로 축조한다.
이러한 옹벽 축조용 유니트 프레임 조립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옹벽 축조용 프레임의 최하단층 유니트배열에서 서로 인접하여 측방으로 배치되는 유니트(10) 위에는 하층 유니트를 뒤집어진 상태로 상층에 배치하되, 상하 유니트들의 지지부재(12)들이 측면에서 서로 접촉하여 맞물리게 배치하여 측방향으로의 유니트 이동에 대하여 저지력을 갖는 구조로 배치된 상태에서 스크류볼트로 하측의 유니트에 고정되어 제 2열의 유니트 배열(30)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제 2열의 유니트 배열(30) 위에는 유니트(10)들을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적층하여 다시 스크류볼트로 체결고정하여 제3열의 유니트 배열(40)을 구성하고, 그 위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상하 유니트들을 그 지지부재들이 그 측면들이 서로 접촉하여 맞물리게 배치되어 제 4열의 유니트 배열(50)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상방향으로 축조된다.
따라서, 상방향으로 배열되는 유니트들 사이에는 지지부재(12)의 직경 또는 높이 만큼의 간격이 형성되지만, 유니트들로 이루어지는 프레임(20)속에 채워지는 잡석이나 자갈들을 유니트의 지지부재의 직경보다 큰 것으로 사용함으로써 잡석들이 상하 유니트들 사이의 간격을 통해 빠져 나가지 못하고 유지되며, 잡석들 사이의 공극을 통하여 잡석들 사이로 인입되는 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게 되고, 결국 유니트들로 조립되는 프레임(20)속에서 유지되는 잡석들로 옹벽이 형성된다. 이로써, 시멘트와 같은 결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잡석들이 옹벽을 이루도록 유지되므로 친환경적이다.
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를 사용하여 기본적인 수직 형상의 옹벽 축조를 위한 프레임 조립을 설명하였으나, 실제 절개지등의 옹벽 축조에서는 그 높이에 따라 안전을 위하여 노출면이 경사지게 축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열의 유니트배열(30)과 4열의 유니트배열(50)들의 유 니트들을 각각 그 바로 하측의 유니트 배열들의 유니트들 위에서 그로부터 후방으로 후퇴되게 배치함으로써 옹벽 전면의 경사각도를 간편하게 조정하여 축조할 수 있으며, 그 경사각도는 절개지의 각도에 따라 미리 결정된다.
도 7 내지 도 9에는, 상층 유니트(10)을 뒤집어서 그 지지부재(12)들이 하층의 유니트(10)의 지지부재(12)들 사이에 끼워지게 배치하여 조성된 경사면을 계단식으로 축조하기 위한 프레임 조립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계단식 축조를 위한 유니트들사이의 물림깊이는 유니트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들의 배치각도에 따라, 즉 유니트의 지지부재들 사이의 배치각도가 클수록 상층 유니트의 지지부재들의 물림깊이가 더 깊게 되고, 그에 따라 조립되는 유니트들로 된 프레임의 상방향의 경사각도는 급경사로 되고, 유니트들 사이의 물림깊이가 작을수록 경사각도는 보다 완만해진다. 이러한 유니트들 사이의 맞물림 결합을 위한 지지부재들의 배치각도는 축조하려는 옹벽의 경사도를 감안하여 미리 설정하여 유니트를 제조하게 된다.
도 10는 본 발명에 의한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축조를 위한 프레임의 모서리부위의 축조를 위한 프레임 모서리부위의 조립을 보여주고 있다. 프레임의 최하층의 유니트배열의 단부 유니트(10) 위에 다른 유니트(10)를 뒤집어서 경사지게 배치하되 지지부재(12)가 그 하측의 단부 유니트의 지지부재(12)와 맞물리게 배치하며, 옹벽 모서리 부위에 대응된 하층의 유니트들을 도 10과 같이 서로 경사져 엇갈리게 배치하고, 그 위 상층에 유니트(10)를 2개의 지지부재(12)들이 하층의 측방으로 서로 이웃한 2개의 유니트(10)를 각각의 인접한 지지부재들과 측면에서 맞물리게 배치된다. 따라서, 축조되는 옹벽의 규모를 감안하여 복수개의 유니트들을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배열하여 옹벽의 둥근 모서리부위를 축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유니트(60)는 가로부재(61)에 고정 배치되는 지지부재(62)를 가로부재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하며, 이러한 유니트(60)는 옹벽의 직선부분의 축조에 사용되며, 도 3의 경사지게 배치된 지지부재(12)를 갖는 유니트(10)가 모서리부위 축조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부의 유니트(60)와 결합하여 축조할 수 있음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니트를 이용하여 펜스(70)를 축조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통상적으로 펜스는 기단부(71)와, 그 기단부에 고정된 지주(72) 및 지주에 장착되는 판넬(73)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유니트는 상기한 펜스의 기단부(71) 축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같은 방식으로 유니트들을 수직으로 4-5단으로 적층시켜 기단부를 축조하고 그 축조과정에서 유니트내에 잡석이나 자갈등으로 채움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자연적인 정취를 풍기는 펜스 기단부가 완성된다. 펜스 판넬을 고정하기 위한 지주(72)는 축조되는 유니트에 스크류볼트등으로 체결하여 안정되게 고정하고, 그 지주에는 펜스 판넬을 장착하기 위한 고정구(74)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유니트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옹벽이나 펜스를 축조하는데 뿐만 아니라 가로수 주변에 보호대로서 축조할 수도 있으며, 이때 계단형으로 축조된 유니트는 의자 대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음이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라, 단위 길이의 가로부재들 사이에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유니트를 이용하여 유니트들을 적층되게 결합배치하고 그 사이에 유니트 구성 부재들의 직경 보다 큰 크기의 자갈이나 잡석을 유니트내에 유지시키도록 하여 절개지 옹벽이나 하안 옹벽, 경사면을 계단식으로 축조 및 펜스 기단부의 축조에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종래와 같이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유니트에 의해 유지되는 잡석들로써 배수가 원활하고 안전한 옹벽을 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잡석들 사이에 흙이 쌓여 풀이 자랄 수 있게 되어 더욱 견고한 자연적인 옹벽으로 될 수 있게 되므로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하층의 유니트들에 대한 상층의 유니트들의 위치를 절개지나 하안벽의 경사도에 적합하게 후퇴시켜 배치고정할 수 있으므로 옹벽 축조 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격자형 구조의 유니트들을 적층하여 축조하는 옹벽 축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들을 평행하게 이격된 가로부재(11)들에 2개의 세로방향의 지지부재(12)가 가로부재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고정하여 형성하고,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하여 하층을 이루는 유니트(10) 위에 상층을 이루도록 하층 유니트(10)를 뒤집어서 배치하되, 상하로 서로 이웃하는 유니트들의 지지부재(12)들이 서로 측면에서 접촉하여 맞물리게 하여 유니트들의 측방향 이동에 대하여 저지력을 갖도록 배치하는 방식으로 반복하여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층의 유니트를 하층의 유니트에 대하여 후방으로 후퇴되게 배치하여 유니트들로 조립된 프레임에 잡석이 채워져 축조되는 옹벽의 노출면이 경사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옹벽의 모서리부위의 축조를 위하여, 하층의 유니트 배열에서 측방향으로 인접한 유니트(10)들을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여 엇갈리게 배치하고, 그 위의 상층의 유니트(10)를 뒤집어진 상태로 배치하되 그 지지부재(12)들이 하층의 측방향으로 이웃한 유니트들 각각의 인접한 지지부재(12)들과 측면에서 서로 접촉하여 맞물리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KR1020050074385A 2005-08-12 2005-08-12 옹벽 축조용 유니트와 그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KR100777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385A KR100777944B1 (ko) 2005-08-12 2005-08-12 옹벽 축조용 유니트와 그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385A KR100777944B1 (ko) 2005-08-12 2005-08-12 옹벽 축조용 유니트와 그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466U Division KR200402897Y1 (ko) 2005-08-12 2005-08-12 옹벽 축조용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425A KR20070019425A (ko) 2007-02-15
KR100777944B1 true KR100777944B1 (ko) 2007-11-23

Family

ID=4163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385A KR100777944B1 (ko) 2005-08-12 2005-08-12 옹벽 축조용 유니트와 그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7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6366A (zh) * 2020-05-25 2020-09-08 上海市水利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海堤栅栏板护坡生态化改造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636A (ja) * 1994-11-30 1996-06-11 Higashikanbaragun Shinrin Kumiai 土留め、護岸等の建設用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19575Y1 (ko) 2000-11-22 2001-04-02 김달환 축조용 조립식 격자블록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636A (ja) * 1994-11-30 1996-06-11 Higashikanbaragun Shinrin Kumiai 土留め、護岸等の建設用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19575Y1 (ko) 2000-11-22 2001-04-02 김달환 축조용 조립식 격자블록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425A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100402843B1 (ko) 블록식 녹화 옹벽
RU2321701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запруды
KR100777944B1 (ko) 옹벽 축조용 유니트와 그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200402897Y1 (ko) 옹벽 축조용 유니트
JP3364432B2 (ja) 石材擁壁
KR200219575Y1 (ko) 축조용 조립식 격자블록의 구조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100923315B1 (ko) 식생 및 어소 옹벽.
JP2003313974A (ja) 構築用長尺ブロック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100680246B1 (ko) H빔과 선반블록을 이용한 녹화 옹벽
KR100603920B1 (ko) 화분일체식 방음벽형 옹벽
KR200235107Y1 (ko) 블록식 녹화 옹벽
CN220013546U (zh) 土石坝下游坝坡混凝土框格护坡
CN218466576U (zh) 一种装配式挡土墙
KR100601126B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KR200419606Y1 (ko)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KR200250172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세트
KR200345934Y1 (ko) 선반식 녹화 옹벽의 앵커링 구조
KR200409796Y1 (ko) H빔과 선반블록을 이용한 녹화 옹벽
KR200415620Y1 (ko) 하천 게비온 호안의 식생블럭
JPH0771038A (ja) 土木用の土留ユニットと該ユニットを使用した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