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606Y1 -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 Google Patents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606Y1
KR200419606Y1 KR2020060009553U KR20060009553U KR200419606Y1 KR 200419606 Y1 KR200419606 Y1 KR 200419606Y1 KR 2020060009553 U KR2020060009553 U KR 2020060009553U KR 20060009553 U KR20060009553 U KR 20060009553U KR 200419606 Y1 KR200419606 Y1 KR 200419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frame
river
lower fix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호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주)에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원 filed Critical (주)에코원
Priority to KR2020060009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6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개지 또는 하천 등에 설치되어 절개지가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재비용이 절감되고, 공사가 용이하면서 견고한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은,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에는 연결대가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의 진행방향과 사선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사지, 붕괴, 조립형

Description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Slope Barri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이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이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된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을 계단형으로 쌓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에 고정말뚝을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에 고정말뚝을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의 공간을 사석과 흙으로 채우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상부에 놓여지는 방틀을 작게 형성하여 계단식으로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18은 도 17을 이용하여 원형의 방틀로 형성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9는 도 17을 이용하여 별 모양의 방틀로 형성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틀 110 : 상부고정대
120 : 하부고정대 130 : 연결대
130a : 보조연결대 140 : 공간
200 : 고정말뚝
본 고안은 절개지에 설치되어 절개지가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재비용이 절감되고, 공사가 용이하면서 견고한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에 관한 것이다.
절개지와 주거지 주변의 급경사를 가진 토사는 붕괴시 인명사고와 직결되기 때문에 절개지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시멘트를 이용하여 붕괴 방지벽을 쌓거나 벽돌을 이용하여 절개지가 붕괴는 것을 막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시멘트나 별돌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지 않아 땅속생물에 악영향이 미치고, 도심의 환경을 파괴하여 각박한 환경을 형성하며, 추가 공사시 시멘트를 철거하는 번거로움과 추가 비용이 소요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기존의 방틀은 볼트와 같은 연결체가 각층마다 필요하게 되어 연결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공사의 어려움이 발 생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사가 용이하고 견고하며, 절개지와 하천변의 침수를 방지하는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경관이 미려하며, 재료를 절감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절개지를 보호할 수 있는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은,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에는 연결대가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의 진행방향과 사선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놓여지며,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의 사이에는 연결대(130)를 고정한다.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에 연결대(130)를 고정하는 방법은 공지된 바와 같이 못이나 볼트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고정대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므로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거나, 또는 다각형, 원형인 고정대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설치의 편의성을 고려하면 단면이 사각인 고정대가 바람직하다.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를 연결대(130)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방틀(100)에서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를 연결하는 연결대(130)는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의 진행방향과 사선으로 고정한다.
사선으로 고정되는 연결대(13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도록 두 개 이상의 연결대(130)를 고정하여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의 사이에 삼각형 형상의 공간(140)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서로 엇갈리는 사선으로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를 연결하는 연결대(130)에 의해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틀(100)이 형성되면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방틀(100)을 적층시킨다.
다수개의 방틀(100)을 적층시키면서 쌓을 때는 가장 하부에 놓여지는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에 볼트를 고정하고 그 위에 쌓이는 방틀(100)에는 볼 트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여 볼트가 다른 방틀(100)의 구멍에 끼워지면서 서로 결합되도록 하며 마지막에는 너트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방틀(100)을 쉽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수개의 방틀(100)이 적층되면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으로 쌓으면서 연결대(130)에 의해서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140)에 자갈이나 흙과 같은 채움재를 채우면서 쌓는다.
연결대(130)에 의해서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40)을 채우는 채움재는 흙 또는 자갈로 통일하여 채우거나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갈과 흙을 번갈아 가면서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 채움재의 유실이 예상되는 곳에는 천연섬유 재질의 유실방지망에 자갈이나 모래, 흙을 채워넣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공간(140)에는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므로 절개지나 하안에 적합한 식물을 식재할 수 있고, 식생매트나 식생롤, 반구형 식생매트를 공간(140)에 위치시켜 식물이 자라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계단형으로 방틀(100)을 쌓을 때는 계단의 간격을 고려하여 설치하고 다시 층수의 높이를 고려하여 바닥다침을 하여 같은 넓이로 설치하며, 더욱 견고한 시공을 할 때는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지 쪽의 방틀(100)의 공간(140) 꼭짓점 쪽에 고정말뚝(200) 관통하면서 지면에 고정되도록 박아 방틀(10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절개지 및 하천용으로 사용되는 방틀(100)은 일반 가정집의 화단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방틀(100)의 경사면 압력이 대각선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수직으로 받는 압력보다 분산하는 효과가 크고 트러스형으로 변형 설계가 가능하여 경사나 붕괴 가능지역을 쉽고 편리하며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일반적인 방틀(100)보다 방틀(100)을 작게 형성하여 계단식으로 쌓는 것으로 절개면 쪽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 사용되는 방틀로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130)를 서로 밀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 한 개를 생략한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연결대(130)에 의해서 형성되는 삼각형의 공간(140) 내부에 보조연결대(130a)로 다시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를 연결하여 더욱 견고하게 방틀(100)을 형성한다.
도 1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를 연결하는 연결대(130)를 어느 한쪽 사선 방향으로만 고정하여 연결대(130)에 의해서 고정되는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40)이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되도록 형성한다.
도 1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에 두 개의 연결대(130)를 서로 엇갈리는 사선으로 고정하여 방틀(100)을 삼각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방틀(100)의 꼭짓점 쪽을 연결하여 방틀(100)을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방틀(1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방틀에 삼각형의 공간이 형성하고 공간에 자갈이나 흙을 채우기 때문에 공사가 편리하며, 절개지에서 내려우는 힘을 삼각형 모양이 힘을 나누는 역활을 해주어 더욱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적층되는 다수개의 방틀이 내부에 충진된 자갈이나 흙과 같은 채움재를 잡아주기 때문에 홍수나 기타 자연현상으로 인한 채움재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삼각형의 방틀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절개지 뿐만 아니라 물속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방틀은 종래의 방틀과 달리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여 절개지나 하천의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크고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절개지 또는 하안에 적층되어 사용되는 방틀에 있어서;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에는 연결대가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의 진행방향과 사선으로 고정되면서 중간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를 연결하면서 고정하는 연결대는 서로 엇갈리는 사선으로 고정되면서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삼각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를 두 개 이상으로 형성하여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의 사이에 여러개의 삼각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를 두 개 이상으로 형성하여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의 사이에 여러개의 삼각형을 형성하며, 삼각형의 중앙에는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의 수직방향으로 보조연결대를 고정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에 연결대가 고정되면서 형성되는 삼각형의 꽂지점 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다각형이나 원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를 연결하면서 고정하는 연결대를 두 개 이상 형성하여 상부고정대와 하부고정대의 사이에 다수개의 평행사변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KR2020060009553U 2006-04-11 2006-04-11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KR200419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53U KR200419606Y1 (ko) 2006-04-11 2006-04-11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53U KR200419606Y1 (ko) 2006-04-11 2006-04-11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457A Division KR20070101110A (ko) 2007-01-03 2007-01-03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606Y1 true KR200419606Y1 (ko) 2006-06-21

Family

ID=4929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553U KR200419606Y1 (ko) 2006-04-11 2006-04-11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6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049B1 (ko) 2008-04-08 2009-02-10 정경진 생태활성형 호안 방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049B1 (ko) 2008-04-08 2009-02-10 정경진 생태활성형 호안 방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20070033301A (ko) 식생형 중공블록
KR20090069865A (ko) 받침대를 사용한 친환경 경사면 구축방법
KR200419606Y1 (ko)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CN211006526U (zh) 一种适合于生态敏感区的公路土质边坡绿色生态防护结构
KR20100065450A (ko) 환경친화형 호안블록을 이용한 법면 시공방법
KR100872836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03507Y1 (ko) 식생형 중공블록
KR100433496B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20070101110A (ko) 절개지 및 하천용 방틀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20020090781A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JP5108744B2 (ja) 緑化路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敷設した緑化路面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200268968Y1 (ko) 하천 시공용 다기능블록
JP2003313974A (ja) 構築用長尺ブロック
KR100777944B1 (ko) 옹벽 축조용 유니트와 그 유니트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KR200429330Y1 (ko) 와이어 매트리스 축조블록
KR200250172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세트
KR20070047137A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0475104B1 (ko) 사면 및 호안옹벽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CN219568954U (zh) 一种新型步道生态挡土墙
RU2432430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лавинорезов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200283005Y1 (ko) 도로 비탈면의 유실방지용 합성골판 콘크리트블록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