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018B1 -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018B1
KR101184018B1 KR1020100033450A KR20100033450A KR101184018B1 KR 101184018 B1 KR101184018 B1 KR 101184018B1 KR 1020100033450 A KR1020100033450 A KR 1020100033450A KR 20100033450 A KR20100033450 A KR 20100033450A KR 101184018 B1 KR101184018 B1 KR 101184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support frame
frame
woo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040A (ko
Inventor
지병윤
정도현
오재헌
이준우
차두송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033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01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목재를 이용한 옹벽의 벽면이 사면의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고정 형성되거나 또는 사면의 경사각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하여 목재로 이루어지는 옹벽면에 작용하는 토압을 감소시켜 절, 성토지의 사면 안정성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LOG WITH THE TILT ANGEL OF INCLINE PLANE}
본 발명은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간벌재 및 임도 개설시 생산되는 지장목을 이용해 임도의 절, 성토지의 사면을 안정시킬 수 있는 옹벽 구조물 형성시, 사면 방향의 경사각을 갖도록 경사 조절이 가능한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임도(林道)나 보도 등의 도로를 개설하기 위한 공사에 있어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용으로 절, 성토지의 사면에 석축 옹벽, 일반적으로는 콘크리트 옹벽 등이 주로 설치되어 왔다.
이와 같은 석축이나 콘크리트 옹벽 등은 중량물인 파쇄된 석축용 돌을 사용하거나, 양생되지 않는 콘크리트 반죽을 사용하므로 그 만큼 공사가 어렵고 공기(工期)가 길 뿐 아니라 이들 종래의 옹벽은 주로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되므로 지나치게 인위적이어서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국내에는 그 동안 산림녹화사업을 꾸준히 실행해 온 결과 산림이 울창해져 나무를 심기보다는 가꾸는 작업이 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숲가꾸기 사업의 일환으로 빽빽하게 들어선 나무를 간벌(間伐)하여 보다 건강하고 우수한 나무를 육성하는 간벌로 인하여 다량의 간벌재가 생산되고 있으며, 특히 임도 개설시 다량의 지장목이 발생하나 마땅한 사용처가 부족한 실정이다.
더욱이, 임도나 보도 등의 도로를 개설시 발생하는 사면의 안정화를 위해 설치되는 옹벽의 경우, 대부분 수직형의 구조물을 채택하고 있으나, 사면의 형상 및 방향을 고려하여 토압을 적절하게 분산시킬 필요가 있어 경사조절형 목재옹벽이 필요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벌재 및 임도 개설시 발생하는 지장목을 이용해 임도의 절, 성토지의 사면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면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하여 간벌재 및 지장목으로 이루어지는 옹벽면에 작용하는 토압을 줄일 수 있도록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은, 임도의 절, 성토지의 사면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를 두고 연속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옹벽 프레임; 및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옹벽 프레임들에 양단부가 끼워지며 옹벽면을 이루도록 적층되는 복수의 목재를 포함하고, 상기 옹벽 프레임은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게 체결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상에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기설정된 경사각을 가지며 체결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 사이에 상기 목재의 일측 단부가 끼워지며 적층되게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고정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 고정 프레임에 양단이 체결되며 경사지게 설치되어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임도의 절, 성토지의 사면방향으로 경사각을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은, 임도의 절, 성토지의 사면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를 두고 연속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옹벽 프레임; 및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옹벽 프레임들에 양단부가 끼워지며 옹벽면을 이루도록 적층되는 복수의 목재를 포함하고, 상기 옹벽 프레임은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방에 제1 고정 브래킷 블록이 고정 설치되며, 후방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제1 체결공들이 형성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게 체결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제1 고정 브래킷 블록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양측에 각각 상기 목재의 일측 단부가 끼워지며 적층되게 스페이서에 의해 기설정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상기 제1 체결공들에 체결 고정되는 제2 고정 브래킷 블록; 상기 제1 고정 프레임의 중심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 체결공들에 체결 고정되는 제3 고정 브래킷 블록; 및 상기 제2 고정 브래킷 블록과 상기 제3 고정 브래킷 블록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임도의 절, 성토지의 사면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각 조절 가능하게 지지 고정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의 경사각은 60°내지 80°범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말뚝을 이용해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옹벽 프레임들의 상기 제1 고정 프레임들 상단부가 제1 연결바에 의해 기설정 간격을 가지고 연속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옹벽 프레임들의 상기 제1 고정 프레임들이 서로 교차하는 제2 연결바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재는 간벌재 또는 지장목이 주된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 방부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은 현행 숲가꾸기 등으로 수집되고 있는 간벌재 및 임도 개설시 발생되는 지장목을 활용하여 사면 안정화를 위한 옹벽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사면 안정화를 위한 옹벽 구조물의 친환경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간벌재 및 지장목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콘크리트 기초가 필요 없이 시공이 가능하고, 옹벽 프레임을 이루는 각각의 프레임들이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이송이 편리하고 현장에서 직접 분해 조립이 가능하며, 성토부의 경우에도 터파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인력으로도 시공이 가능하고, 성토부와 같이 시공 이전에 설치가 가능해짐으로써 훼손지의 발생을 줄이며, 안정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에 따르면, 목재를 이용한 옹벽의 벽면이 사면의 경사각과 동일 경사각을 이루도록 고정 형성되거나 또는 사면의 경사각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하여 목재로 이루어지는 옹벽의 벽면에 작용하는 토압을 감소시켜 절, 성토지의 사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목재를 이용한 경사 조절형 옹벽 구조물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옹벽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옹벽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옹벽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옹벽 프레임의 경사각 조절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을 도시한 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목재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1; 이하, 옹벽 구조물이라 한다)은 임도(5) 개설시 절, 성토지(6)의 사면(7)의 안정을 위해 기설정된 거리를 두고 연속되게 복수의 옹벽 프레임들(100)이 설치되고, 인접하는 한 쌍의 옹벽 프레임들(100)에 양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며 벽면을 이루도록 적층되는 복수의 목재들(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옹벽 프레임들(100)는 사면(7) 방향으로 경사각을 가지며, 이들 사이에 사이에 끼워져 벽면을 이루는 목재들(200)은 현행 숲가꾸기 등으로 수집되고 있는 간벌재, 또는 임도 개설시 생산되는 지장목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간벌재 및 지장목의 활용함으로써 시공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옹벽 구조물(1)을 이루기 위한 목재들(200)은 토압을 견들 수 있도록 통나무 형태의 간벌재 및 지장목을 대략 90cm 내지 120cm 길이 이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옹벽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옹벽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옹벽 프레임(100)은 제1 지지 프레임(110), 제2 지지 프레임(120), 제3 지지 프레임(130) 제1 고정 프레임(140), 제2 고정 프레임(150), 스페이서(160), 보강 프레임(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지지 프레임(110)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제1 방향(옹벽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지지 프레임(120)은 제1 지지 프레임(110)의 중심부에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옹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프레임(110)은 "ㄷ"자 형강으로 이루어지며, 제2 지지 프레임(120) 및 제3 지지 프레임(130)은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140, 150)의 경사각(θ)에 대응되게 소정의 굴절각(예각 및 둔각)을 가지는 절곡 형성되는 형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의 양단부에 말뚝(미도시)을 이용해 옹벽 프레임(100)이 고정되도록 제1 고정공(111) 및 제2 고정공(121)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처럼,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을 서로 교차하도록 체결시켜 옹벽 프레임(1)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기초가 필요 없이 시공이 가능하다.
제1 고정 프레임(140) 및 제2 고정 프레임(150)은 제1 지지 프레임(110)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기설정된 경사각(θ)을 가지며 서로 나란하게 체결 고정된다.
여기서, 제1 고정 프레임(140)과 제2 고정 프레임(150)이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이루는 경사각(θ)은 임도(5) 개설시 절, 성토지(6)의 사면(7)의 경사각에 대응되게 60°내지 80°범위 이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페이서(160)는 제1 고정 프레임(140) 및 제2 고정 프레임(150) 사이에 목재 일측 단부가 끼워지며 경사지게 적층되도록 제1 고정 프레임(140) 및 제2 고정 프레임(150) 사이의 간격을 고정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페이서(160)는 제1 고정 프레임(140)과 제2 고정 프레임(150) 사이의 간격이 대략 굵기 9cm에서 20cm의 목재를 끼울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체결하는 한 쌍의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1 고정 프레임(140)은 제2 지지 프레임(120)에 체결되어 제1 지지 프레임(110) 상에 고정되고, 제2 고정 프레임(150)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120)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3 지지 프레임(130)에 체결되어 제1 지지 프레임(110) 상에 고정된다.
한편, 제3 지지 프레임(130)의 길이는 제1 지지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프레임(170)은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1 고정 프레임(140)에 양단이 체결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제1 고정 프레임(140) 및 제2 고정 프레임(150)의 토압에 의한 휨 강성을 보강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보강 프레임(170)은 제1 고정 프레임(140) 및 제2 고정 프레임(150)에 토압이 작용할 경우 벽면 전방으로 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보강 프레임(170)은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140, 150)이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사면(7)의 경사각(θ)과 대응되는 경사각(θ)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길이로 제작되어 교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프레임(100)을 이루는 제1 지지 프레임(110),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140, 150), 제2 지지 프레임 및 제3 지지 프레임(120, 130)들은 각각 10kg 미만으로 구성되어, 운반시 신체에 부담이 없도록 적당하게 나누어 운반할 수 있고, 현장에서 직접 조립하여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어 성토 사면과 같이 자재의 운반이 어려운 곳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옹벽 프레임들의 설치하는 과정에서 인접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옹벽 프레임(100)들은 제1 연결바(180)와 제2 연결바(19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게 설치된다.
제1 연결바(180)는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옹벽 프레임들(100)의 제1 고정 프레임(140)의 상부를 연결하며 옹벽 프레임들(100)이 일렬로 연속되게 설치되도록 체결된다.
제2 연결바는(190)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옹벽 프레임(100)의 제1 고정 프레임(140)의 중심 및 하부를 "X"자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연결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옹벽 구조물(1)은 운반된 프레임들(110 내지 210)을 이용해 옹벽 프레임(100) 조립하고, 임도(5) 개설을 위한 절, 성토지(6)의 사면(7)을 따라 조립된 옹벽 프레임들(100)을 설치한다.
그리고, 옹벽 프레임들(100)의 제1 고정 프레임(140) 및 제2 고정 프레임(150)들 사이에 일정 길이로 절단된 통나무 형태의 목재(200; 간벌재 또는 지장목재)를 끼우고, 뒤채움을 실시하여 옹벽 구조물의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옹벽 구조물(1)은 현행 숲가꾸기 등으로 수집되고 있는 간벌재 및 임도(5) 개설시 생산되는 지장목을 활용하여 사면 안정화를 위한 옹벽을 형성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간벌재 및 지장목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옹벽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제1 지지 프레임(110) 및 제2 지지 프레임(120)이 서로 교차하며 일체로 형성되어 목재(200)가 끼워지는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140, 150)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서 콘크리트 기초가 필요 없이 시공이 가능 하며, 옹벽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제1 지지 프레임(110), 제2 지지 프레임(120), 제3 지지 프레임(130), 제1 고정 프레임(140), 제2 고정 프레임(150) 및 보강 프레임(170)들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에서 직접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성토부의 경우에도 터파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인력으로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 이전에 성토부에 설치가 가능함으로서 훼손지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특히, 목재를 이용한 옹벽의 벽면이 사면의 경사각(θ)과 같은 방향의 경사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목재로 이루어지는 옹벽의 벽면에 작용하는 토압을 감소시켜 절, 성토지의 사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옹벽 프레임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옹벽 프레임의 경사각 조절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1)의 옹벽 프레임(300)은, 제1 지지 프레임(310), 제2 지지 프레임(320), 제1 고정 프레임(340), 제2 고정 프레임(350), 스페이서(360), 보강 프레임(370), 및 고정 브래킷 블록(330, 380, 39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옹벽 프레임(300)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옹벽 프레임(100)과 비교하여 제1 고정 프레임(340)과 제2 고정 프레임(350)의 하단부가 일체로 제1 지지 프레임(310)의 전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제1 고정 브래킷 블록(33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340, 350)을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370)의 양단부가 각각 제1 고정 프레임(310)에 체결되는 제2 고정 브래킷 블록(380)과, 제1 지지 프레임(340)의 체결되는 제3 고정 브래킷 블록(390)에 체결 고정되며, 제2 고정 브래킷 블록(380)과 제3 고정 브래킷 블록(390)사이의 보강 프레임(370)의 길이를 조절하여 구조물의 경사를 60°내지 80°사이로 조정할 수 있다.
제2 고정 브래킷 블록(380)은 제1 고정 프레임(340)의 중간부에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 체결공들(미도시)에 체결되어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제1 지지 프레임(310)의 중심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 체결공들(미도시)에 체결되어 위치가 조절된다.
따라서, 보강 프레임(370)의 양단을 고정하는 제2 고정 브래킷 블록(380)과 제3 고정 브래킷 블록(390)이 체결 고정되고, 보강 프레임(370)의 길이를 조정하여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 (340, 350)이 제1 지지 프레임(310)과 이루는 경사각(θ)을 좀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옹벽 구조물(1)은 임도(5)의 절, 성토지(6)의 사면(7) 경사각(θ)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하여 목재로 이루어지는 옹벽의 벽면에 작용하는 토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절, 성토지(6)의 사면 안정성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옹벽 구조물 5: 임도
6: 절, 성토지 7: 사면
100, 300: 옹벽 프레임 110, 310: 제1 지지 프레임
111: 제1 고정공 120, 320: 제2 지지 프레임
121: 제2 고정공 130: 제2 지지 프레임
140, 340: 제1 고정 프레임 150, 350: 제2 고정 프레임
160, 360: 스페이서 170, 370: 보강 프레임
180: 제1 연결바 190: 제2 연결바
200: 목재 330: 제1 고정 브래킷 블록
380: 제2 고정 브래킷 블록 390: 제3 고정 브래킷 블록
θ: 옹벽 프레임 경사각

Claims (7)

  1. 임도의 절, 성토지의 사면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를 두고 연속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옹벽 프레임; 및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옹벽 프레임들에 양단부가 끼워지며 옹벽면을 이루도록 적층되는 복수의 목재를 포함하고,

    상기 옹벽 프레임은,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게 체결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상에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기설정된 경사각을 가지며 체결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 사이에 상기 목재의 일측 단부가 끼워지며 적층되게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고정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 고정 프레임에 양단이 체결되며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이루는 상기 경사각이 상기 임도의 절, 성토지의 사면과 동일 경사각을 갖도록 하는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2. 임도의 절, 성토지의 사면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를 두고 연속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옹벽 프레임; 및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옹벽 프레임들에 양단부가 끼워지며 옹벽면을 이루도록 적층되는 복수의 목재를 포함하고,

    상기 옹벽 프레임은,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방에 제1 고정 브래킷 블록이 고정 설치되며, 후방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제1 체결공들이 형성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게 체결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상기 제1 고정 브래킷 블록에 하단부가 일체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양측에 각각 상기 목재의 일측 단부가 끼워지며 적층되게 스페이서에 의해 기설정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상기 제1 체결공들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제2 고정 브래킷 블록;
    상기 제1 고정 프레임의 중심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 체결공들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제3 고정 브래킷 블록; 및
    상기 제2 고정 브래킷 블록과 상기 제3 고정 브래킷 블록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임도의 절, 성토지의 사면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각 조절 가능하게 지지 고정하는 보강 프레임을 포함하는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프레임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이루는 상기 경사각이 60°내지 80°범위 이내인 것을 포함하는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말뚝을 이용해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는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옹벽 프레임들의 상기 제1 고정 프레임들 상단부가 제1 연결바에 의해 기설정 간격을 가지고 연속되게 연결되는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옹벽 프레임들의 상기 제1 고정 프레임들이 서로 교차하는 제2 연결바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목재는 간벌재, 지장목 또는 방부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인 것을 포함하는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KR1020100033450A 2010-04-12 2010-04-12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KR101184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450A KR101184018B1 (ko) 2010-04-12 2010-04-12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450A KR101184018B1 (ko) 2010-04-12 2010-04-12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040A KR20110114040A (ko) 2011-10-19
KR101184018B1 true KR101184018B1 (ko) 2012-09-27

Family

ID=4502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450A KR101184018B1 (ko) 2010-04-12 2010-04-12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665B1 (ko) * 2013-07-09 2014-01-03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친환경 복합 목재 옹벽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목재 옹벽 구조체
KR101506952B1 (ko) * 2013-08-30 2015-04-07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각도조절식 옹벽
RU2684788C2 (ru) * 2014-08-18 2019-04-15 Хайрэм (Ва) Пти Лтд Система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й насыпи защитного ограждения
CN106120852B (zh) * 2016-07-06 2018-08-28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挡土墙的加固方法及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713A (ja) 2001-03-28 2002-10-09 Miyagi Prefecture 木材パネル、土留部材および木材固定工法
JP2002339368A (ja) 2001-05-15 2002-11-27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土木用鋼製枠構造体およびその補修方法
KR100481126B1 (ko) 2002-12-24 2005-04-07 주식회사 포스코 옹벽을 구성하는 l형 조립식 강재틀 및 이를 이용한옹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713A (ja) 2001-03-28 2002-10-09 Miyagi Prefecture 木材パネル、土留部材および木材固定工法
JP2002339368A (ja) 2001-05-15 2002-11-27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土木用鋼製枠構造体およびその補修方法
KR100481126B1 (ko) 2002-12-24 2005-04-07 주식회사 포스코 옹벽을 구성하는 l형 조립식 강재틀 및 이를 이용한옹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040A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625B2 (en) Retaining wall support posts
KR101184018B1 (ko) 목재를 이용한 경사조절형 옹벽 구조물
KR101106956B1 (ko) 목재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200417800Y1 (ko) 토목 공사용 연결 조립체
KR100656117B1 (ko) 목재로 형성된 사면 지지 블럭
CN211256543U (zh) 一种带有护栏的树池篦子
JP2002294713A (ja) 木材パネル、土留部材および木材固定工法
KR100481126B1 (ko) 옹벽을 구성하는 l형 조립식 강재틀 및 이를 이용한옹벽구조
KR101339826B1 (ko) 판형 각재를 이용한 보강토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027320B1 (ko)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KR100787591B1 (ko) 곡선부 적용 가능한 강재틀 옹벽구조
JP3201899U (ja) 木製防護体
KR101406896B1 (ko) 방부목 판재에 의한 장식판재 장착 및 시공법
JP2004270280A (ja) 擁壁ブロック
JP4111770B2 (ja) 側溝用枠体
KR100929366B1 (ko) 목재생태블록 및 목재생태블록을 이용한 법면공사 시공방법
KR101589287B1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KR20060023600A (ko) 쏘일네일과 끼움틀을 이용한 조립식 사면 보강장치와 그시공방법
JP4428674B2 (ja) 丸太構造体
JP2011122355A (ja) 土留構造体
JP2525137Y2 (ja) 鋼製植栽法枠
KR200424147Y1 (ko) 배면지반 반력 및 변위 부축을 이용한 역제형 환경목석재블록 합벽
JPH0354184Y2 (ko)
JP2006274776A (ja) 丸太積擁壁
JP3130293B2 (ja) 木柵及び木柵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