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359B1 - 목재 옹벽 - Google Patents

목재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359B1
KR100929359B1 KR1020070102390A KR20070102390A KR100929359B1 KR 100929359 B1 KR100929359 B1 KR 100929359B1 KR 1020070102390 A KR1020070102390 A KR 1020070102390A KR 20070102390 A KR20070102390 A KR 20070102390A KR 100929359 B1 KR100929359 B1 KR 100929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lique
diagonal
downward
upward
bin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026A (ko
Inventor
이동흡
손동원
김외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7010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3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3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통형 목재의 중앙부가 서로 교차되도록 반복 적층되어 전면은 톱니모양으로 형성되고, 평면은 사각형태의 공간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지는 친환경적인 목재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의 단면을 갖는 다수개의 베이스부재가 지면에 사선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동일한 단면의 원통형 목재로 형성된 다수개의 상향사선부재와 하향사선부재가 서로 교차되어 반복 적층된 목재 옹벽에 있어서, 상기 상향사선부재와 하향사선부재의 양단부 하부에는 단부결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양단부 각각의 단부결착홈 사이에는 중앙결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의 중앙 상부에 상기 상향사선부재의 중앙결착홈이 끼움결합되고, 양단부 상부에 상기 상향사선부재와 이웃하는 또 다른 상향사선부재의 단부결착홈이 끼움결합되며, 상기 상향사선부재의 중앙 상부에 상기 하향사선부재의 중앙결착홈이 끼움결합되고, 양단부 상부에 상기 하향사선부재와 이웃하는 또 다른 하향사선부재의 단부결착홈이 끼움결합되어 상기 상향사선부재와 하향사선부재가 반복 적층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원통형 목재, 베이스부재, 상향사선부재, 하향사선부재, 결착홈

Description

목재 옹벽{The timber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목재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통형 목재의 중앙부가 서로 교차되도록 반복 적층되어 전면은 톱니모양으로 형성되고, 평면은 사각형태의 공간부가 수평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지는 친환경적인 목재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토목에서 땅깎기 또는 흙 쌓기를 한 비탈면에는 외부적인 기후 요인, 흙의 압력 및 기타 원인으로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옹벽이 시공되어있다.
종래에는 절토면 하부를 기초다짐하고, 기초 다짐된 상부에 거푸집 및 철근을 가설한 후 가설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기간의 양생과정을 거쳐서 완공되는 콘크리트 옹벽이 많이 이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상기의 콘크리트 옹벽은 시공기간이 길고, 설치 시 배출되는 절토량이 많아 미리 토치장을 확보해야 하는 등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주변녹지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옹벽의 전면이 절토면과 평행한 형태를 갖는 콘크리트로 덮혀져 있음으로써 생태 단면적이 낮아 작은 식물이나 곤충 및 동물이 서식할 수 없고, 옹벽의 전후가 단절되어 자연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콘크리트에 의하여 복사열과 반사열이 증가됨에 따라 도시열섬(Heat Island)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콘크리트 옹벽은 자연적인 지형을 고려하지 않고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절토에 의한 지형훼손이 심하여 본래의 지형에 맞는 구조물의 축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구조물과 별도로 계단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본 발명은 원통형 목재가 적층되어 사각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공간부에 흙을 채워 화초를 식재하거나, 원통형 목재를 적층하여 친환경적인 목재 옹벽, 목재 계단 및 목재 옹벽 화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 지형에 따라 높이와 배열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목재 옹벽의 전면이 톱니모양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입체감을 높여 생태면적을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복사열과 반사열을 대폭 줄여 도시열섬현상을 방지하는 데 있다. 또한,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를 목재 옹벽이 머금고 있음으로써 친환경적인 목재 옹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의 단면을 갖는 다수개의 베이스부재(F)가 지면에 사선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부재(F)의 상부에 동일한 단면의 원통형 목재로 형성된 다수개의 상향사선부재(A)와 하향사선부재(B)가 서로 교차되어 반복 적층되며,
상기 상향사선부재(A)와 하향사선부재(B)의 양단부 하부에는 단부결착홈(10b)이 형성되고, 상기 양단부 각각의 단부결착홈(10b) 사이에는 중앙결착홈(10a)이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F)의 중앙 상부에 상기 상향사선부재(A)의 중앙결착홈(10a)이 끼움결합되고, 양단부 상부에 상기 상향사선부재(A)와 이웃하는 또 다른 상향사선부재(A)의 단부결착홈(10b)이 끼움결합되며, 상기 상향사선부재(A)의 중앙 상부에 상기 하향사선부재(B)의 중앙결착홈(10a)이 끼움결합되고, 양단부 상부에 상기 하향사선부재(B)와 이웃하는 또 다른 하향사선부재(B)의 단부결착홈(10b)이 끼움결합되어 상기 상향사선부재(A)와 하향사선부재(B)가 반복 적층되어지는 목재옹벽에 있어서,
상기 목재 옹벽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재(F),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면서 그 길이가 짧은 사이드베이스부재(F'), 사이드상향부재(A') 및 사이드하향부재(B')가 적층되어지되, 상기 사이드상향부재(A') 및 사이드하향부재(B')의 양단부 하부에는 단부결착홈(10b')이 형성되며,
상기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의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의 중앙 하부에 중앙결착홈(10a)이 2개 이상 형성되어 계단식으로 적층되어지고,
상기 다수개의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에 의해 사각형태의 공간부(S)가 다수개 형성되어지되,
상기 공간부(S) 중 하나 이상의 공간부(S)에는 상기 사이드상향부재(A') 또는 사이드하향부재(B')의 단부결착홈(10b')이 각각 다단으로 끼움결합되어 디딤판(P)이 형성됨으로써 다단계 목재 계단이 형성되고,
상기 디디판(P)이 형성되지 않은 공간부(S)에는 흙이 채워지고 화초가 식재되어 목재 화단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자연지형을 훼손하지 않고 지형의 형태에 맞추어서 높낮이와 배열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절치량을 최소화하여 자연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절토한 토양을 구조물의 내부 즉, 공간부에 채움으로써 별도의 토치장이 필요없어 시공비용이 절약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목재 옹벽의 전면이 들쑥 날쑥한 톱니모양으로 형성되어짐으로써 입체감을 높여 작은 동물들의 은신처를 제공하고, 생태면적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옹벽의 재질이 친환경적인 목재로 되어있어 복사열과 반사열을 산란시켜 도시열섬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원통형 목재는 간벌재를 원주가공하여 가압으로 방부처리 한 목재를 사용하므로 부후나 충해에 의해 목재 중의 탄소가 대기 중으로 환원되는 것을 지연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를 오랫동안 저장하게 하여 지구온난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단면을 갖는 다수개의 베이스부재(F)가 지면에 사선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부재(F)의 상부에 동일한 단면의 원통형 목재로 형성된 다수개의 상향사선부재(A)와 하향사선부재(B)가 서로 교차되도록 반복 적층되어 사각형태의 공간부(S)가 다수개 형성되어진다.
상기 상향사선부재(A)와 하향사선부재(B)의 하부에는 3개 이상의 결착홈(10)이 형성되어지되, 양단부 하부에는 단부결착홈(10b)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결착홈(10b)의 사이에 중앙결착홈(1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착홈(10)의 깊이는 상기 베이스부재(F),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의 반지름과 동일하도록 하여 적층되어지는 원통형 목재들 간에 틈이 발생되지 않고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부재(F)가 지면에 사선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부재(F)의 상부에 상기 베이스부재(F)와 사선방향으로 중앙부가 서로 교차되도록 상향사선 부재(A)가 적층되어지되, 상기 베이스부재(F)의 중앙 상부에 상기 상향사선부재(A)의 중앙결착홈(10a)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F)의 양단부 상부에 상기 상향사선부재(A)와 이웃하는 또 다른 상향사선부재(A)의 단부결착홈(10b)이 끼움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향사선부재(A)의 상부에 상기 베이스부재(F)와 같은 사선방향으로 하향사선부재(B)가 적층되어지되, 상기 상향사선부재(A)의 중앙 상부에 상기 하향사선부재(B)의 중앙결착홈(10a)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상향사선부재(A)의 양단부 상부에 상기 하향사선부재(B)와 이웃하는 또 다른 하향사선부재(B)의 단부결착홈(10b)이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상향사선부재(A)와 하향사선부재(B)가 반복 적층되어 전면은 톱니모양으로 형성되고 평면은 사각형태의 공간부(S)가 수평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목재 옹벽의 최하단에 적층되는 즉, 지면에 닿게 배열되는 베이스부재(F)에는 결착홈(10)이 없는 것이 원칙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결착홈(10)을 형성하여 지면과의 마찰을 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F),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가 배열되는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경우에 따라 대칭되는 방향으로도 놓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재 옹벽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재(F),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면서 그 길이가 짧은 사이드베이스부재(F'), 사이드상향부재(A') 및 사이드하향부재(B')가 서로 교차되도록 적 층되어 더 이상 목재 옹벽이 연장되지 않고 마감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상향부재(A') 및 사이드하향부재(B')의 양단부 하부에도 단부결착홈(10b')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상향사선부재(A)의 일측 단부 상부에 상기 사이드하향부재(B')의 단부결착홈(10b')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사이드상향부재(B') 의 타측 단부 상부에 상기 사이드상향부재(A')의 일측 단부결착홈(10b')이 끼움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사이드상향부재(A')와 사이드하향부재(B')의 일측 단부가 서로 교차되어 적층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F),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의 결합부에는 길이가 긴 육각머리스크류(30)가 하향으로 끼워져 보강 결합되어짐으로써 결합부위가 토압이나 기타의 원인으로 인하여 들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목재 옹벽의 공간부(S)에 흙을 채우고, 화초를 식재하여 사용함으로써 절토한 토양을 별도의 토치장을 마련하여 처리할 필요가 없어 시공비용이 절약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목재 옹벽의 전면이 들쑥 날쑥한 톱니모양으로 형성되어짐으로써 입체감을 높여 작은 동물들의 은신처를 제공하고, 생태면적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3과 같이 절토면의 경사를 따라 상기 목재 옹벽을 다단으로 들여 쌓기 하여 절토면이 붕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경사면의 기울기에 따라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원통형 목재를 높이 쌓고,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는 원통형 목재를 낮게 쌓아 목재 옹벽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곡선의 지형에서는 원통형 목재의 하부에 형성된 중앙결착홈(10a)의 위치를 정중앙이 아닌 단부결착홈(10b)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여 원통형 목재의 끼움각도를 조절하여 적층할 수 있는 것으로써, 요(凹)형의 지형에서는 중앙결착홈(10a)의 위치가 전면에 가깝게 형성되도록 하여 끼움결합하고, 철(凸)형의 지형에서는 상기 중앙결착홈(10a)의 위치가 후면에 가깝게 형성되도록 하여 원통형 목재를 끼움결합하는 것이다.
도 5는 목재 옹벽의 공간부(S)에 디딤판(P)이 형성되어 목재 계단이 제공된 사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써, 목재 옹벽의 공간부(S)에 화단 뿐만 아니라 사이드상향부재(A') 또는 사이드하향부재(B')의 단부결착홈(10b')이 각각 다단으로 끼움결합되어 디딤판(P)이 형성되어 다단계 목재 계단이 제공된다.
즉, 상기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의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의 중앙 하부에 중앙결착홈(10a)이 2개 이상 형성되어 계단식으로 적층되어지고, 상기 다수개의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에 의해 다수개의 사각형태의 공간부(S)가 형성되어지게되고, 상기 공간부(S) 중 하나 이상의 공간부(S)에는 상기 사이드상향부재(A') 또는 사이드하향부재(B')의 단부결착홈(10b')이 각각 다단으로 끼움결합되어 디딤판(P)이 형성됨으로써 다단계 목재 계단이 형성되고, 상기 디디판(P)이 형성되지 않은 공간부(S)에는 흙이 채워지고 화초가 식재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F),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의 길이가 연장되어 설치됨으로써 지형에 따라 다양한 목재 옹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길이가 연장된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의 중앙 하부에는 중앙결착홈(10a)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서로 교차되어 견고하게 결합되어 진다.
삭제
상기 베이스부재(F), 상향사선부재(A), 하향사선부재(B)와 사이드베이스부재(F'), 사이드상향사선부재(A'), 사이드상향사전부재(B'), 그리고 길이가 연장된 베이스부재(F"), 상향사선부재(A"), 하향사선부재(B")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곡 선의 지형에서도 용이하게 다양한 형태의 또 다른 목재 옹벽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길이가 연장된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를 이용한 목재 옹벽의 일측 및 양측 단부가 더 이상 연장되지 않고 마감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지형에 따라 사이드베이스부재(F), 사이드상향사선부재(A') 및 사이드하향사선부재(B') 대신에 베이스부재(F),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 것으로, 지형에 따라 구조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의 분해 사시도.
도3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옹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A : 상향사선부재 B : 하향사선부재
F : 베이스부재 P : 디딤판
S : 공간부 10 : 결착홈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원통형의 단면을 갖는 다수개의 베이스부재(F)가 지면에 사선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부재(F)의 상부에 동일한 단면의 원통형 목재로 형성된 다수개의 상향사선부재(A)와 하향사선부재(B)가 서로 교차되어 반복 적층되며,
    상기 상향사선부재(A)와 하향사선부재(B)의 양단부 하부에는 단부결착홈(10b)이 형성되고, 상기 양단부 각각의 단부결착홈(10b) 사이에는 중앙결착홈(10a)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F)의 중앙 상부에 상기 상향사선부재(A)의 중앙결착홈(10a)이 끼움결합되고, 양단부 상부에 상기 상향사선부재(A)와 이웃하는 또 다른 상향사선부재(A)의 단부결착홈(10b)이 끼움결합되며, 상기 상향사선부재(A)의 중앙 상부에 상기 하향사선부재(B)의 중앙결착홈(10a)이 끼움결합되고, 양단부 상부에 상기 하향사선부재(B)와 이웃하는 또 다른 하향사선부재(B)의 단부결착홈(10b)이 끼움결합되어 상기 상향사선부재(A)와 하향사선부재(B)가 반복 적층되어지며,
    상기 목재 옹벽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재(F),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면서 그 길이가 짧은 사이드베이스부재(F'), 사이드상향부재(A') 및 사이드하향부재(B')가 적층되어지되, 상기 사이드상향부재(A') 및 사이드하향부재(B')의 양단부 하부에는 단부결착홈(10b')이 형성되며,
    상기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의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의 중앙 하부에 중앙결착홈(10a)이 2개 이상 형성되어 계단식으로 적층되어지는 목재 옹벽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F),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의 결합부는 육각머리스크류(30)로 보강 결합되어지며,
    상기 다수개의 상향사선부재(A) 및 하향사선부재(B)에 의해 사각형태의 공간부(S)가 다수개 형성되어지되,
    상기 공간부(S) 중 하나 이상의 공간부(S)에는 상기 사이드상향부재(A') 또는 사이드하향부재(B')의 단부결착홈(10b')이 각각 다단으로 끼움결합되어 디딤판(P)이 형성됨으로써 다단계 목재 계단이 형성되고,
    상기 디디판(P)이 형성되지 않은 공간부(S)에는 흙이 채워지고 화초가 식재되어 목재 화단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원통형 목재에 형성된 결착홈(10)의 깊이는 상기 원통형 목재의 반지름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옹벽.
KR1020070102390A 2007-10-11 2007-10-11 목재 옹벽 KR100929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390A KR100929359B1 (ko) 2007-10-11 2007-10-11 목재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390A KR100929359B1 (ko) 2007-10-11 2007-10-11 목재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026A KR20090037026A (ko) 2009-04-15
KR100929359B1 true KR100929359B1 (ko) 2009-12-03

Family

ID=4076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390A KR100929359B1 (ko) 2007-10-11 2007-10-11 목재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3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985A (ko) * 2005-01-27 2006-08-01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간벌재를 이용한 틀재형 옹벽
KR200426893Y1 (ko) * 2006-07-07 2006-09-20 (주) 녹지원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985A (ko) * 2005-01-27 2006-08-01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간벌재를 이용한 틀재형 옹벽
KR200426893Y1 (ko) * 2006-07-07 2006-09-20 (주) 녹지원 생태계 보호를 위한 목재방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026A (ko)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050B1 (ko) 식생블럭 프레임 및 식생블럭
US3269125A (en) Hillside stabilizing construction
US20140259902A1 (en) Landscape edging system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100481160B1 (ko) 옹벽용 블록
KR100929359B1 (ko) 목재 옹벽
US20090185870A1 (en) Retaining wall block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107751B1 (ko) 식생블럭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85172B1 (ko) 식재수단이 형성된 옹벽구조물
JP5108744B2 (ja) 緑化路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敷設した緑化路面
KR20060086985A (ko) 간벌재를 이용한 틀재형 옹벽
KR101720146B1 (ko) 원목우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2421287B1 (ko)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
US96116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slab foundation
TWM461652U (zh) 水土保持植栽磚
JP4851501B2 (ja) 斜面崩落防止構造
KR100736169B1 (ko) 둥근면 절개지에 설치되는 간벌재를 이용한 틀재형 옹벽
KR101027320B1 (ko) 각재를 이용한 목재 옹벽
KR102332781B1 (ko) 조립식 화분
KR200432345Y1 (ko) 식생블럭 프레임 및 식생블럭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93505B1 (ko) 조립식 식생 방음벽 담장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070304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101331826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0929366B1 (ko) 목재생태블록 및 목재생태블록을 이용한 법면공사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