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287B1 -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 - Google Patents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287B1
KR102421287B1 KR1020210191914A KR20210191914A KR102421287B1 KR 102421287 B1 KR102421287 B1 KR 102421287B1 KR 1020210191914 A KR1020210191914 A KR 1020210191914A KR 20210191914 A KR20210191914 A KR 20210191914A KR 102421287 B1 KR102421287 B1 KR 102421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plants
animals
vegetation space
pad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군
Original Assignee
김종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군 filed Critical 김종군
Priority to KR102021019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2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논의 가장자리를 따라 축조되어 논두렁으로 사용하면서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 이의 구성은 설치장소 바닥에 놓여지고 그의 저면 길이방향을 따라 식생공간(21)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식생공간(21) 외측에 식생공간(21)과 연통되게 통로(22)가 구비되는 베이스(2);
상기 베이스(2)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논의 물막이와 그 상단이 보행자의 발판(31)으로 사용되고, 길이방향 양측단에 결속핀(P)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슬롯(34)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직부재(3); 및
상기 수직부재(3) 외측에 돌출되어 동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는 수평면(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Vegetation block for rice paddy construction}
본 발명은 논의 가장자리를 따라 축조되어 논두렁으로 사용하면서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논두렁은 물이 괴어 있도록 논의 가장자리를 흙으로 둘러막은 두둑을 일컷는 것이다. 흙으로 만들어진 논두렁은 농부가 논농사를 짓기 위해서 빈번하게 보행하게 되므로 지반이 약한 곳은 자주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우기 시 빗물을 흡수하여 지반이 약해진 논두렁의 가장자리를 농부가 밟으면 그 부분은 쉽게 부서져 침하되고, 이와 동시에 농부는 미끄러져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장마철에 많은 비가 장시간 내리면 외측면이 노출된 논두렁, 예컨대 낭떨어지에 위치한 논두렁은 빗물 흡수로 지반이 약해져 수압을 견디지 못할 경우 터져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 경우 보수공수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을 축조하여 논두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 논두렁에 관한 특허문헌1은 공개특허 제10-2020-0021348호의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이 2020년 02월 28일 공개되었다. 이 특허문헌1은 콘크리트로 제조되므로 흙으로 만들어진 논두렁의 제반 문제점은 해결할 수 있으나, 그 자체에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식생에 관한 구성이 전혀 없으므로 환경을 감안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토양을 보관하는 장소가 전혀 없고, 또한 논 주변에 서식하는 소동물들이 몸을 숨겨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안식처가 전혀 없으므로 자연 친화적인 논두렁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논두렁에 관한 특허문헌2는 등록특허 제10-1868974호의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이 2018년 06월 19일에 공고되었다. 이 특허문헌2의 경우도 식생을 전혀 고려하지 블록이다. 즉 콤팩트한 크기의 블록을 적층식으로 간편하게 조립하여 다양한 논두렁 높이에 대응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어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인 논두렁을 용이하게 시공하고, 농업용수의 공급이나 배수 작업을 원활하게 하고, 용수공급이나 약품투입에 필요한 각종 배관들을 블록 내부로 간편하게 정리하여 배관의 파손 등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동식물의 서식과 무관하여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논두렁용 불록에 불과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13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8974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논두렁용 콘트리트 블록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체에 소동물들이 몸을 숨겨 편안하게 서식할 수 있는 충분한 식생공간과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토양을 보관할 수 있는 장소를 조성하여 동식물이 함께 서식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동물이 식생공간으로 출입하는 통로를 복수 개 형성하고 이들의 높낮이를 다르게 배치하여 소동물이 지중 또는 지상을 통해 쉽게 식생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는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행하는 발판에 오목함과 볼록함을 갖출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보행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외측방향으로 덧살을 부가하여 발판의 폭을 넓혀 안전한 보행을 담보할 수 있는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평면 외측 가장자리에 토양의 손실을 방지하는 단턱을 구비하여 식물이 잘 서식할 수 있는 장소를 갖춘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은 설치장소 바닥에 놓여지고 그의 저면 길이방향을 따라 식생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식생공간 외측에 식생공간과 연통되게 통로가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논의 물막이와 그 상단이 보행자의 발판으로 사용되고, 길이방향 양측단에 결속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슬롯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직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 외측에 돌출되어 동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는 수평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판은 오목함과 볼록함을 갖추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발판은 외측방향으로 덧살을 부가하여 넓은 면적을 확보하여 안전한 보행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수평면은 외측 가장자리에 토양의 손실을 방지하는 단턱이 더 부착되어 식물이 안정적으로 자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통로는 복수 개 구비되고, 이들의 높낮이를 다르게 배치하여 소동물이 지중 또는 지상을 통해 쉽게 식생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베이스 저면에 소동물이 서식할 수 있는 터널형 공간을 충분히 형성하여 소동물이 몸을 숨겨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고, 또한 수직부재 외측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토양을 보관하는 수평면을 조성하여 동식물이 함께 서식할 수 있으므로 흙으로 만든 논두렁과 같이 친환경적인 논두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공간과 연통된 복수 개의 통로를 높낮이를 다르게 배치하여 소동물이 지중 또는 지상을 통해 쉽게 식생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하는 발판에 돌기를 형성하여 보행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면서 덧살 부가로 발판의 폭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안전한 보행을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면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단턱이 토양의 손실을 막아 동식물이 잘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의 조립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의 조립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의 조립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의 발판의 돌기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평면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의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1)은 설치장소 바닥에 놓여지는 베이스(2), 상기 베이스(2)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논의 물막이와 보행자의 발판(31)으로 사용되는 수직부재(3) 및 동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는 수평면(4)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2)는 설치장소 바닥에 놓여지고 그의 저면 길이방향을 따라 식생공간(21)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식생공간(21) 외측에 식생공간(21)과 연통되게 통로(22)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2)의 폭은 설치장소에 놓여질 때 안정감을 갖을 정도로 충분한 폭을 가져야 하므로, 수직부재(3)를 중심으로 양측이 수직부재(3)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다. 베이스(2)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식생공간(21)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동종의 복수 개의 블록(1)을 일렬로 조립하여 논두렁을 형성하면 식생공간(21)은 조립된 블록(1)의 길이만큼 길게 연장되므로 마치 터널과 같이 연통되므로 소동물이 몸을 숨길 수 있는 충분한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식생공간(21)의 단면을 반원형태로 도시하고 있는 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 예컨대, 삼각형,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 반타원형 등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식생공간(21)은 블록간의 조립된 틈새(미도시)를 통해 토사가 침투하는 것을 감안하여 높이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식생공간(21)으로 소동물들이 출입할 수 있도록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식생공간(21) 외측에 식생공간(21)과 연통되게 통로(22)가 구비된다. 상기 통로(22)는 논두렁 외부에서 서식하는 소동물이 식생공간(21)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식생공간(21) 외측에서 이 식생공간(21)과 연통되어야 한다. 만약 통로(22)가 식생공간(21) 내측에서 관통된다면 논에 고인 물이 이 통로(2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므로 논두렁 블록으로 사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 통로(22)는 본 발명의 길이를 감안하여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좋으며, 그들의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것은 도 6과 같이 식생공간(21) 최상부와 연통되게 한다. 그러면 최상부에 위치한 통로(22)는 퇴적된 흙에 잘 매립되지 않아 노출되기 때문에 소동물이 수시도 식생공간(21)으로 출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최하부에 위치한 통로(22)는 장시간 사용으로 흙에 매립되더라도 이 매립된 통로(22)를 통해 흙속에 사는 지렁이, 미꾸라지, 민물장어와 같은 동물이 식생공간(21)으로 출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통로(22)를 높낮이를 다르게 배치하여 지상과 지중에서 소동물이 식생공간(21)으로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부재(3)는 베이스(2)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논에 채워진 물을 차단하는 물막이용으로 사용되면서 그 상단이 보행자의 발판(31)으로 사용된다. 상기 발판(31)은 보행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엠보싱 형태, 즉 오목함과 볼록함을 갖출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돌기(3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32)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돌기(32)와 돌기(32) 사이의 간격도 보행자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최적 상태로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돌기(32)를 사각형태로 도시하고 있는 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 삼각형,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 타원형, 폐곡선형 등을 규칙 또는 불규칙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31)은 외측방향으로 덧살(33)을 부가하여 폭을 수직부재(3)보다 더 넓게 확보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담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3)는 실질적으로 논두렁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베이스(2)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상부로 돌출되고, 길이방향 양측단에 결속핀(P)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슬롯(34)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논두렁 축조를 위해 동종의 블록(1)을 일렬로 근접시키면, 각 블록(1)의 슬롯(34)이 일치되므로 상기 일치된 슬롯(34) 내부로 결속핀(P)을 삽입하면 이웃하는 2개의 블록(1)은 결속핀(P)에 구속되어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슬롯(34)은 하부까지 완전히 관통되지 않게 하여 상부에서부터 결속핀(P)을 슬롯(34) 내부로 삽입하여 최종 조립위치에 이르게 하면, 결속핀(P) 하단부가 슬롯(34) 하단부에 걸림 정지되고 결속핀(P) 상단부는 수직부재(3) 상단부와 일치되어 조립위치가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상기 수평면(4)은 수직부재(3)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동식물의 노출된 서식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6과 같이 수평면(4)은 소동물이 안정된 상태로 머물 수 있도록 평면을 유지하는 것이 좋고, 또한 식물이 자생할 수 있도록 토양(S)이 채워지면 더 바람직하다. 이 수평면(4)은 약간의 높이를 가진 곳에 위치하므로 주로 개구리, 뱀, 조류, 날개를 가진 곤충류 등이 사용할 수 있고, 여기에 토양(S)이 채워져 식물이 서식하면 이 식물이 보호막 역할을 하므로 사용 동물들은 몸을 숨길 수 있어 편안한 안식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수평면(4)은 외측 가장자리에 토양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턱(41)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단턱(41)은 여러 가지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석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턱(41)을 수평면(4)과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별도로 부착 고정시키는 이유는 단턱(41)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 단턱(41)을 성형하는 금형을 빼내기가 매우 불편하기 때문이다. 상기 단턱(41)은 도 8과 같이 앙카볼트(B)로 고정시킬 수 있고,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1)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설치장소를 중장비 등을 이용하여 식생블록(1)이 놓여지는 곳을 고르게 다진 다음 그 곳에 받침대(5)를 배치한다. 상기 받침대(5)는 일례로 도 4와 같이 1개 블록 당 3개를 준비하여 블록 저면 중앙과 양단부에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중장비를 이용하여 2개의 식생블록(1) 양측면을 근접되게 배치하면 각 식생블록(1)의 슬롯(34)이 서로 일치되므로, 이 슬롯(34) 내부에 결속핀(P)을 삽입하면 결속핀(P)에 의해 이웃하는 식생블록(1)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조립 방식으로 식생블록(1)을 순차적으로 일렬 조립하면 본 발명의 논두렁이 축조된다.
축조된 논두렁은 베이스(2) 저면에 위치한 식생공간(21)이 마치 긴 터널과 같이 서로 연결되고, 외측면에 형성된 통로(22)가 상기 식생공간(21)과 연통되므로 소동물은 이 통로(22)를 통해 식생공간(21)을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또한 수직부재(3) 외측에 형성된 수평면(4)도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거기에 토양을 채우면 식물이 자생하여 딱딱한 분위기를 나타내는 콘크리트 벽을 가려 환경 친화적인 논두렁이 된다. 그리고 수평면(4)에 서식한 동물은 자생하는 식물에 가려져 몸을 숨길 수 있으므로 편안한 안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소동물이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는 충분한 식생공간(21)과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토양을 보관할 수 있는 면적을 조성하여 동물과 식물이 함께 서식할 수 있는 점, 소동물이 출입하는 통로(22)를 복수 개 형성하고 이들의 높낮이를 다르게 배치하여 쉽게 식생공간(21)으로 출입할 수 있는 점, 보행자가 보행하는 발판(31)을 엠보싱 형태로 구성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외측방향으로 덧살(33)을 부가하여 폭을 넓게 확보하여 안전한 담보할 수 있는 점, 수평면(4) 외측 가장자리에 토양의 손실을 방지하는 단턱(41)을 구비하여 식물이 잘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점을 갖추고 있으므로 진보성을 갖춘 발명이라 하겠다.
1 : 식생블록 2 : 베이스
3 : 수직부재 4 : 수평면
21 : 식생공간 22 : 통로
41 : 단턱

Claims (5)

  1. 설치장소 바닥에 놓여지고 그의 저면 길이방향을 따라 식생공간(21)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식생공간(21) 외측에 식생공간(21)과 연통되게 통로(22)가 구비되는 베이스(2);
    상기 베이스(2)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논의 물막이와 그 상단이 보행자의 발판(31)으로 사용되고, 길이방향 양측단에 결속핀(P)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슬롯(34)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직부재(3); 및
    상기 수직부재(3) 외측에 돌출되어 동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는 수평면(4);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발판(31)은 오목함과 볼록함을 갖추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돌기(32)가 형성되고, 외측방향으로 덧살(33)을 부가하여 폭을 넓히고;
    상기 수평면(4)은 외측 가장자리에 토양의 손실을 방지하는 단턱(41)이 더 부착되고;
    상기 통로(22)는 복수 개 구비되고, 이들의 높낮이를 다르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91914A 2021-12-30 2021-12-30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 KR102421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914A KR102421287B1 (ko) 2021-12-30 2021-12-30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914A KR102421287B1 (ko) 2021-12-30 2021-12-30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287B1 true KR102421287B1 (ko) 2022-07-18

Family

ID=8270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914A KR102421287B1 (ko) 2021-12-30 2021-12-30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28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547A (ko) * 2004-07-24 2004-08-18 김길평 도로용 조립식 옹벽블록 설치구조
KR100897621B1 (ko) * 2008-11-17 2009-05-14 (주)보원엔지니어링 수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하천제방블럭
KR101087570B1 (ko) * 2011-03-31 2011-11-29 ㈜송림원 생태통로유도벽
KR101405441B1 (ko) * 2012-12-07 2014-06-11 주식회사 에스에치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KR101868974B1 (ko) 2017-10-26 2018-06-19 민남기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20190017453A (ko) * 2017-08-11 2019-02-20 이창호 배수경계블록
KR20200021348A (ko) 2018-08-20 2020-02-28 서동칠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547A (ko) * 2004-07-24 2004-08-18 김길평 도로용 조립식 옹벽블록 설치구조
KR100897621B1 (ko) * 2008-11-17 2009-05-14 (주)보원엔지니어링 수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하천제방블럭
KR101087570B1 (ko) * 2011-03-31 2011-11-29 ㈜송림원 생태통로유도벽
KR101405441B1 (ko) * 2012-12-07 2014-06-11 주식회사 에스에치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KR20190017453A (ko) * 2017-08-11 2019-02-20 이창호 배수경계블록
KR101868974B1 (ko) 2017-10-26 2018-06-19 민남기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20200021348A (ko) 2018-08-20 2020-02-28 서동칠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930B1 (ko)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200399797Y1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 블록
KR100990517B1 (ko) 조립식 친환경 식생블록
KR101701001B1 (ko) 다목적 친환경 식생블록
KR102421287B1 (ko)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
KR100481160B1 (ko) 옹벽용 블록
KR101807504B1 (ko) 시공이 편리한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KR100645294B1 (ko) 사면용 축조블록
KR101215838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140123351A (ko) 식생토낭용 연결판
KR101385172B1 (ko) 식재수단이 형성된 옹벽구조물
KR20140005776U (ko) 식생가능한 친환경 여울구조물
KR101582865B1 (ko) 지반 토사 유실방지를 위한 다기능 식생프레임 구조체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KR100975430B1 (ko) 토담 휀스
KR101041683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20200021348A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102318575B1 (ko)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TWM461652U (zh) 水土保持植栽磚
KR100695680B1 (ko) 건축단지에 설치하는 조경 식생 담장구조
US20230397545A1 (en) Arbor stake stabilization member
KR101070304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101354694B1 (ko) 생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