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974B1 -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 Google Patents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974B1
KR101868974B1 KR1020170139925A KR20170139925A KR101868974B1 KR 101868974 B1 KR101868974 B1 KR 101868974B1 KR 1020170139925 A KR1020170139925 A KR 1020170139925A KR 20170139925 A KR20170139925 A KR 20170139925A KR 101868974 B1 KR101868974 B1 KR 101868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ilding
rice
engaging
engag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남기
Original Assignee
민남기
대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남기, 대성산업(주) filed Critical 민남기
Priority to KR1020170139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한 크기의 블록을 적층식으로 간편하게 조립하여 다양한 논두렁 높이에 대응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어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인 논두렁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용수의 공급이나 배수 작업이 원활해지게 할 수 있으며, 용수공급이나 약품투입에 필요한 각종 배관들을 블록 내부로 간편하게 정리하여 배관의 파손 등을 방지함으로써 견고하고 정돈된 느낌의 논두렁을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은,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에 있어서, 상부 폭 방향 양측으로 단턱을 이루도록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제1 결합홈이 요입 형성되고,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토사수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일정 깊이만큼 지면에 묻혀 고정되는 베이스블록과; 저면에 상기 제1 결합홈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 폭 방향 양측으로 단턱을 이루도록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제2 결합홈이 요입 형성되며,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블록 상부로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 결합되는 높이조절블록과; 저면에 상기 제2 결합홈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면이 평탄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블록 상부로 적층 결합되는 상부마감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FABRICATED BLOCK FOR CONSTRUCTING RIDGE BETWEEN RICE PADDIES}
본 발명은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한 크기의 블록을 적층식으로 간편하게 조립하여 다양한 논두렁 높이에 대응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어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인 논두렁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업용수의 공급이나 배수 작업이 원활해지게 할 수 있으며, 용수공급이나 약품투입에 필요한 각종 배관들을 블록 내부로 간편하게 정리하여 배관의 파손 등을 방지함으로써 견고하고 정돈된 느낌의 논두렁을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에는 이웃하는 논과의 경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흙을 북돋우어서 논두렁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논두렁에 의해 형성된 길을 통하여 작업자가 보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흙으로 형성된 논두렁은 흙이 쉽게 흘러내리므로 작업자가 논두렁을 자주 구축하게 되어 작업자의 노동력이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것이며, 흙으로 구축된 논두렁이 소실되기 쉬워서 논두렁의 경계가 명확하지 못한 실정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논두렁은 논과 논 사이의 흙을 이용하여 제방형태로 축조시킨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견고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우천시나 여름장마때와 같은 경우에 논두렁이 쉽게 허물어져 내리게 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흙으로 쌓아진 논두렁에는 그 자체에 유기질의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어 필요없는 잡초가 쉽게 자라나게 되어 이러한 잡초를 제거시키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였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플라스틱이나 F.R.P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조립부재를 서로 짜맞춘 형태로 결합시켜 논두렁을 설치하거나, 또는 논바닥에 직접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논두렁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조립강도가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논두렁으로 사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으로, 이는 시공이 복잡하고 시공 후 일정기간 동안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요구되므로 시공기간이 길었다.
즉,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논두렁은 시공이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길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논두렁 사이의 논 바닥 상에 대한 수위조절을 위해서는 별도의 배수구가 요구되므로 배수구를 별도로 형성하여야 함은 물론, 배수구에 대한 배수의 제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논두렁에 대하여 기제작된 블록을 적용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블록 내부를 통한 관수 및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구획된 논 바닥 상에 대한 수위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논의 바닥 상에 식재된 벼에 대하여 비료나 약제살포, 살수(撒水)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라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4295호 “논두렁 구축용 블록”과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논두렁 구축용 블록”을 살펴보면,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을 다수 개 사용하여 농지를 분할 구획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어 지면에 묻히는 지지부의 상부에 일체로 세워지는 벽체부를 구비하고, 연결구멍을 구비한 보강부가 상기 지지부와 벽체부 사이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형성되며, 인접한 두 개의 블록의 연결구멍에 볼트와 너트로 설치 연결함으로써 인접한 두 개의 블록을 연결함으로써 다수 개로 농지를 분할 구획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논두렁의 높이가 블록 하나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블록 하나의 부피가 매우 크게 제작되어 운반 및 취급이 불편하고, 협소한 논 사이로 중장비가 투입되어 시공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힘들게 될 뿐만 아니라, 계단식 논과 같이 높은 경계면 사이에서의 사용이 어렵게 되는 것은 물론, 배수나 월류의 조절을 위한 별도의 고정개폐판이나 조정개폐판을 별도 설치하여야 하는 등 구성이 복잡한 문제 또한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4295호 2010.04.14.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 각각이 일정 길이와 높이를 갖는 콤팩트한 크기로 제작되어 장비의 큰 도움 없이 인력만으로 논두렁 구축에 따른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작된 블록 다수개를 필요 높이에 따라 적층식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어 논과 논 사이의 경계에서 필요한 논두렁 높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논과 논 사이의 높은 절토부나 경계면에서 옹벽 또는 보강토블록과 같은 역할을 겸용할 수 있도록 적층 시공되어 경사지 등에서의 논 사이의 경계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식 블록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시공되는 경우 곡선형의 경계면을 이루는 논 부지 형태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시공성이 뛰어난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업용수를 공급 또는 배수시키기 위한 배관과 약품 투입용 배관 등을 외부로 노출하지 않고 블록 내부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농업용수가 블록의 측면과 상면을 통해 논과 논 사이로 유통되거나 월류할 수 있도록 하여 농업용수의 공급 및 배수가 용이함과 동시에 논에서 사용되는 각종 배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견고하고 정돈된 느낌의 논두렁을 용이하게 구축함으로써 미관의 향상과 함께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은,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에 있어서, 상부 폭 방향 양측으로 단턱을 이루도록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제1 결합홈이 요입 형성되고,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토사수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일정 깊이만큼 지면에 묻혀 고정되는 베이스블록과; 저면에 상기 제1 결합홈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 폭 방향 양측으로 단턱을 이루도록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제2 결합홈이 요입 형성되며,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블록 상부로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 결합되는 높이조절블록과; 저면에 상기 제2 결합홈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면이 평탄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블록 상부로 적층 결합되는 상부마감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은 콘크리트 재질로 콤팩트하게 제작된 다수개의 블록을 이용하여 인력만으로 논두렁을 쉽고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논과 논 사이의 경계에서 필요한 논두렁 높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은 논과 논 사이의 높은 절토부나 경계면에서 옹벽 또는 보강토블록과 같은 역할을 겸용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은 조립식 블록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시공되는 경우 곡선형의 경계면을 이루는 논 부지 형태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시공성이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은 농업용수의 공급 및 배수가 용이하고, 논에서 사용되는 각종 배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견고하고 정돈된 느낌의 논두렁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어 미관의 향상은 물론,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의 다른 결합 예를 도시한 측면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논두렁의 시공예를 도시한 평면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이하에서는 '조립식 블록'이라 한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의 다른 결합 예를 도시한 측면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논두렁의 시공예를 도시한 평면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1)은,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에 있어서, 베이스블록(10)과, 높이조절블록(20) 및 상부마감블록(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블록(10), 상기 높이조절블록(20) 및 상기 상부마감블록(30)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적층 결합되며, 최하단부에 시공되는 상기 베이스블록(10)의 하부가 일정 높이만큼 지면에 묻히도록 시공되어 논과 논 사이의 경계 또는 논과 외부와의 경계가 분할 구획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동일한 구성의 다른 조립식 블록(1')이 연이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블록(10)은 본 발명 상기 조립식 블록(1)의 기초를 이루는 구성으로, 상기 높이조절블록(20) 및 상기 상부마감블록(30)과 일체로 적층 조립될 수 있도록 하단부 일부가 지면에 묻히도록 터파기 등의 작업을 통해 시공된다.
상기 베이스블록(10)은 일정 길이를 갖고, 상부 폭 방향 양측으로 소정 폭의 단턱(11a,11b)을 이루도록 상면의 중앙 부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제1 결합홈(11)이 요입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결합홈(11)이 대략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블록(10)은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토사수용홈(12)이 요입 형성된다.
상기 토사수용홈(12)은 상기 베이스블록(10)의 하단부가 논의 지면에 일정 깊이만큼 묻히도록 하는 경우 땅속에 박히는 형태로 견고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1)은 상기 토사수용홈(12)이 상기 베이스블록(10)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한 쌍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토사수용홈(12)은 지면에서의 토사 압력에 대하여 상호 대응하는 저항력을 갖는 토압지지면(12a,12b)이 대칭 구조로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토사수용홈(12)은 한 쌍의 상기 토압지지면(12a,12b)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만곡되는 아크형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토사수용홈(12)은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저면에 상호 마주보는 대칭 구조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토사수용홈(12) 내부로 최대한 토사가 공백 없이 채워지도록 함과 동시에 토압이 폭 방향의 외측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저면 중앙 부분으로 돌출된 돌기부(13)를 중심으로 상기 토압지지면(12a,12b) 한 쌍이 양측에서 균형을 이루며 토압에 대한 저항력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은 상기 베이스블록(10)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블록(10) 상부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 적층되어 본 발명 조립식 블록(1)의 필요한 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은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상면으로 형성된 상기 제1 결합홈(11)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도록 저부로 제1 결합부(21)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은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결합부(21)가 제1 결합홈(11)에 끼워지도록 놓는 경우 폭 방향의 양측 하단부가 상기 제1 결합홈(11)의 양측에 형성된 단턱(11a,11b)에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상부로 안정되게 적층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은 상부 폭 방향 양측으로 소정 폭의 단턱(22a,22b)을 이루도록 상면의 중앙 부분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제2 결합홈(22)이 요입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홈(22)은 상기 제1 결합홈(11)과 대동소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 결합홈(22)은 후술되는 상기 상부마감블록(30)이 상부로 끼움 결합되어 적층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은 저면에 형성된 상기 제1 결합부(21)가 상기 제2 결합홈(22)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조립식 블록(1,1')은 상기와 같은 높이조절블록(20)의 구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계단식 농지와 같이 논과 논 또는 밭 사이의 높은 절토부나 경계면이 형성된 경우 상기 높이조절블록(20,20')이 3개나 4개 또는 그 이상 다수개가 연속 적층될 수 있기 때문에 경계면의 필요 높이에 대응하여 시공이 용이하게 될 수 있어 옹벽블록이나 보강토블록과 같은 역할을 하도록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에 따른 효율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은 상기 제1 결합부(21)의 양측면에 만곡면(2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은 상기 제1 결합부(21)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의 가장자리 폭이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제1 결합홈(11)의 폭보다 소정 크기만큼 작게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제1 결합부(21)는 각각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부분이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보다 튀어나오도록 만곡면(21a)이 형성되는데, 이때 길이방향으로 이웃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상기 베이스블록(10) 사이에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이 적층된 경우 상기 만곡면(21a)에 의해 상기 제1 결합부(21)가 상기 제1 결합홈(11) 상에서 일정 각도만큼 좌우 회전 가능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논두렁 경계를 이루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이어지는 본 발명 조립식 블록(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블록(1,1')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시공되는 경우 곡선형 또는 굴곡형의 경계면을 이루는 논 부지 형태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1,1')은 상기 높이조절블록(20)에 수로관통공(23)이 더 요입 형성된다.
상기 수로관통공(23)은 논에 농업용수 등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배관(P1)이 본 발명 조립식 블록(1,1') 내부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로관통공(23)은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의 제2 결합홈(22)의 중앙 부분에서 소정 깊이만큼 길이방향의 가장자리까지 이어지도록 요입 형성된다.
따라서,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 본 발명 조립식 블록(1,1')이 적층식으로 조립 시공되는 과정에서 간편하게 매설될 수 있으며, 일정 길이만큼 본 발명 조립식 블록(1,1') 다수개를 이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배관(P1)이 상기 수로관통공(23)을 통해 측면 방향에서 삽입되며 내설되는 등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부마감블록(30)은 상기 베이스블록(10) 및 상기 높이조절블록(20)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블록(10,10')이 일정 높이로 쌓인 상태에서 최상층을 마감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부로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상부마감블록(30)은 저면에 상기 제2 결합홈(22)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부(3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부(31)가 상기 베이스블록(20)의 상기 제1 결합부(21)와 대동소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 결합부(31)가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의 제2 결합홈(22)에 끼워지도록 놓는 경우 폭 방향의 양측 하단부가 상기 제2 결합홈(22)의 양측에 형성된 단턱(22a,22b)에 안착되며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의 상부로 안정되게 적층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마감블록(30)은 보행자가 도보로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면이 평탄면(32)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마감블록(30)의 상기 평탄면(32)에 한 쌍의 배관삽입홈(32a,32b)이 마련된 것이 특징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배관삽입홈(32a,32b)은 상기 상부마감블록(30)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으로 이어지도록 소정 깊이로 요입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배관삽입홈(32a,32b)은 상기 평탄면(32)의 폭 방향으로 소정 이격되게 한 쌍이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배관삽입홈(32a,32b)은 각각 다른 깊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제2 배관(P2) 및 제3 배관(P3)이 상기 평탄면(32)에 내설되거나 크게 돌출되지 않도록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업용수의 공급이나 약품 공급을 위한 배관 등이 길게 늘어져 꼬이는 문제나 보행자로부터 밟혀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1,1')은 상기와 같은 수로관통공(23)의 구성을 통해 농업용수 등의 공급 및 배수가 원활할 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논 또는 외부 측으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 조립식 블록(1,1')의 상기 높이조절블록(20)에는 측면유로(2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마감블록(30)에는 수직유로(33)가 각각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측면유로(24)는 외부에서 상기 수로관통공(23)을 향하여 폭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요입 형성된다. 즉, 본 발명 조립식 블록(1,1')이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연속 이어지게 설치되는 경우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의 측면 방향으로 물이 유통하는 배수로가 논두렁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측면유로(24)는 상기 베이스블록(10) 상부로 적층된 상태의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의 일정 높이 지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논바닥에 채워지는 물의 높이가 일정량만큼 초과한 경우 이웃하는 논 또는 외부 측으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보행자가 이동하게 되는 상기 상부마감블록(30)으로까지 물이 차지 않기 때문에 보행이 자유롭게 되는 것은 물론, 이웃하는 주변 논들과 상호 균일하게 일정 높이로 물을 채울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유로(33)는 상기 상부마감블록(30)의 상면에서 상기 수로관통공(23)을 향하여 상하로 연결되게 요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상부마감블록(30)의 길이방향 일측 가장자리에 요입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수직유로(33)는 본 발명 조립식 블록(1,1')이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연속 이어지게 설치되는 경우 논두렁의 일정 간격마다 수직한 배수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상부마감블록(30)으로 물이 월류하거나 고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상부마감블록(30)의 상면에 있는 물이 상기 수직유로(33)를 통해 상기 수로관통공(23)으로 유입되고, 상기 수로관통공(23)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측면유로(24)를 통해 이웃하는 논 또는 외부 측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물과의 접촉이 빈번한 논두렁에서 상기 상부마감블록(30)의 평탄면(32)은 항상 건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보행이 종래에 비해 매우 안전할 뿐만 아니라, 물이 논두렁을 월류하는 과정에서 물의 배수가 최대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1,1')은 상기 높이조절블록(20)의 수로관통공(23)의 바닥면에 하방으로 만곡 처리된 하부안착면(23a)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마감블록(30)의 제2 결합부(31) 저면에는 상기 하부안착면(23a)에 대응하여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만곡 처리된 상부안착면(31a)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마감블록(30)이 상기 높이조절블록(20) 상부로 적층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로관통공(23) 내에 물이 비어있는 경우 또는 물이 가득찬 경우 상기 수로관통공(23)에 설치된 상기 제1 배관(P1)이 상기 하부안착면(23a)과, 상부안착면(31a) 상에 안착 또는 지지된 상태로 유동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은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 조립식 블록
10 베이스블록
11 제1 결합홈
12 토사수용홈
12a,12b 토압지지면
13 돌기부
20,20' 높이조절블록
21 제1 결합부
22 제2 결합홈
23 수로관통공
23a 하부안착면
24 측면유로
30 상부마감블록
31 제2 결합부
31a 상부안착면
32 평탄면
32a,32b 배관삽입홈
33 수직유로

Claims (6)

  1.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에 있어서,
    상부 폭 방향 양측으로 단턱을 이루도록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제1 결합홈이 요입 형성되고,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토사수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일정 깊이만큼 지면에 묻혀 고정되는 베이스블록과; 저면에 상기 제1 결합홈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부 폭 방향 양측으로 단턱을 이루도록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제2 결합홈이 요입 형성되며,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블록 상부로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 결합되는 높이조절블록과; 저면에 상기 제2 결합홈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면이 평탄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블록 상부로 적층 결합되는 상부마감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블록은, 상기 제2 결합홈에서 소정 깊이의 수로관통공이 더 요입 형성되고,
    상기 상부마감블록은, 상면에서 상기 수로관통공을 향하여 상하로 연결되는 수직유로가 길이방향의 일측 가장자리에 더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수용홈은, 상기 베이스블록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한 쌍이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토사수용홈은 지면에서의 토사 압력에 대하여 상호 대응하는 저항력을 갖는 토압지지면이 대칭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감블록은,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이어지도록 소정 깊이로 요입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소정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배관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배관삽입홈은 각각 다른 깊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블록은, 길이방향으로 이웃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상기 베이스블록 사이에 적층된 경우 좌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결합부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의 가장자리 폭이 상기 베이스블록의 제1 결합홈의 폭보다 소정 크기만큼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블록은, 외부에서 상기 수로관통공을 향하여 폭 방향으로 연결되는 측면유로가 길이방향의 일측 가장자리에 더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블록은, 상기 수로관통공의 바닥면에 하방으로 만곡 처리된 하부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마감블록은, 상기 제2 결합부 저면에서 상기 하부안착면에 대응하여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만곡 처리된 상부안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1020170139925A 2017-10-26 2017-10-26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101868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925A KR101868974B1 (ko) 2017-10-26 2017-10-26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925A KR101868974B1 (ko) 2017-10-26 2017-10-26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974B1 true KR101868974B1 (ko) 2018-06-19

Family

ID=6279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925A KR101868974B1 (ko) 2017-10-26 2017-10-26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9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287B1 (ko) 2021-12-30 2022-07-18 김종군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
KR102576257B1 (ko) * 2022-10-05 2023-09-08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775B1 (ko) * 2005-11-18 2007-01-02 합자회사 대청인더스트리 옹벽 조립장치
KR100954295B1 (ko) 2009-07-13 2010-04-26 이영암 논두렁 구축용 블록
KR20100054005A (ko) * 2008-11-13 2010-05-24 이재홍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
JP2016217036A (ja) * 2015-05-22 2016-12-22 株式会社ビバーチェ 構築用組み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775B1 (ko) * 2005-11-18 2007-01-02 합자회사 대청인더스트리 옹벽 조립장치
KR20100054005A (ko) * 2008-11-13 2010-05-24 이재홍 건축용 적층블럭 및 이를 이용한 수직벽체
KR100954295B1 (ko) 2009-07-13 2010-04-26 이영암 논두렁 구축용 블록
JP2016217036A (ja) * 2015-05-22 2016-12-22 株式会社ビバーチェ 構築用組みブロ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287B1 (ko) 2021-12-30 2022-07-18 김종군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
KR102576257B1 (ko) * 2022-10-05 2023-09-08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8766B2 (en) Structural cells, matrices and methods of assembly
US10045490B2 (en) Modular cell and matrix for supporting a load bearing feature
US10267028B2 (en) Module and method for managing water and other fluids
US10597861B2 (en) Modular stormwater retention system
US20120020746A1 (en) Modular block
MXPA03001816A (es) Zapatas integradas.
AU2014244169B2 (en) Permeable paving system
US9739046B2 (en) Modular stormwater retention and management system
KR101868974B1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100868986B1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KR101678127B1 (ko) 토목용 블록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JP7124224B2 (ja) 浅深度部への応用のための地下流体管理用のモジュール及びアセンブリ
KR102159375B1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CA3064722C (en) Modular storm water retention system
EP2808447A1 (en) Paving stone, paving and use of a paving
KR200382628Y1 (ko) 옹벽용 블록
US10214891B2 (en) Modular stormwater capture system
KR20150139160A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80006277A (ko) 수직 축조형 식생블록 및 그 식생블록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