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628Y1 - 옹벽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628Y1
KR200382628Y1 KR20-2004-0035152U KR20040035152U KR200382628Y1 KR 200382628 Y1 KR200382628 Y1 KR 200382628Y1 KR 20040035152 U KR20040035152 U KR 20040035152U KR 200382628 Y1 KR200382628 Y1 KR 200382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blocks
stacked
bi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도
Original Assignee
송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도 filed Critical 송기도
Priority to KR20-2004-0035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6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6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 및 경사진 곳에 차례대로 적층(수직 쌓기)하거나 또는 계단식으로 어슷하게 설치(들여쌓기)하여 벌, 조류(작은 새) 등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우천시 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각각의 블록의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며, 블록간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블록의 전면에는 요철형상의 모양부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식생홈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중공홀의 전방 방향과 뒤쪽 방향에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시공 시 작업자가 블록과 블록을 결속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고정홈에 삽입하여 블록을 적층하므로 블록간의 결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작업이 용이하며 시간이 단축되고, 블록과 블록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전면공에 형성된 식생홈에서 꽃, 벌, 조류 등이 서식하므로 환경친화적으로 설치되고, 하나의 블록을 이용하여 직선과 곡선의 경계가 없이 블록이 쌓아질 수 있으므로 토사의 압력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고, 곡선분의 각도를 임의로 조정하여 블록을 적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옹벽용 블록{The Retaining wall for a block}
본 고안은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 및 경사진 곳에 차례대로 적층(수직 쌓기)하거나 또는 계단식으로 어슷하게 설치하여 벌, 조류(작은 새) 등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우천시 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블록의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며, 블록간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용으로 사용하는 블록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를 말한다
그리고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로서,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강뚝에 쌓을 때 등에 필요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① 블록 쌓기: 예로부터 널리 쓰이는 축벽(築壁)이 이것에 속하며 현재는 콘크리트블록이 많이 사용된다.
② 중력식(重力式) 콘크리트 옹벽: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로 되었는데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채택된다.
③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되며, 역T형식, 부벽식(扶壁式:L자형) 등 여러 형식이 있다. 이 밖에 강판이나 목책(木柵)을 이용한 간단한 것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옹벽을 만들 시에는 그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고, 또한 축벽 자체가 토압을 이기도록 설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축벽을 받치는 구조물이 함께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토압으로부터 축벽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토압으로부터 축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의 경우 토압이 가해지는 반대편에 설치되므로 주변의 환경과 어울리지 못하고 또한 축벽 자체에 식물 또는 조류 등이 서식을 못하므로 주변의 환경을 해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또한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형성하고자 쌓을 때 기존에는 소정의 위치에 블록을 적층하여 옹벽 형상을 갖춘 상태에서 블록과 블록이 서로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철근을 끼웠으나, 적층되는 블록에 형성된 구멍에 철근을 끼우기란 매우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변의 환경을 생각하여 나무재질로 된 축벽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나무와 나무 사이로 토사가 흘러내리고, 그로 인하여 축벽의 어느 일측으로 토압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축벽이 무너지는 경우까지 발생하므로 보행자에게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전면에 식생을 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잡석을 메워 넣을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블록과 블록이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공이 형성된 것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블록의 경우 전면에는 식생을 함으로 주변의 환경과 어울리기는 하나 후면쪽에 잡석이 채워지는 블록의 경우에는 토사에 의해 축대가 무너지거나 또는 토사가 도로 쪽으로 흘러내려 주변을 지나는 사람으로부터 불안감을 갖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블록의 경우 블록을 적층하고, 적층된 블록에 형성된 구멍에 잡석을 채워 토사의 압력을 이기도록 하는데, 통상적으로 블록을 쌓는 현장에서는 공사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중장비를 이용하여 적층된 블록의 상부에 잡석을 채워 구멍을 매우고 있으나, 이렇게 중장비를 이용하여 잡석을 매우는 경우 잡석의 크기가 제 각각이어서 어떤 구멍에는 채워지는 반면에 어떤 구멍에는 큰돌 하나만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잡석이 채워지는 경우에는 빗물에 의해 토사가 블록의 배면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는 빗물이 흐르는 주변의 흙, 돌 등이 수분을 흡수하나, 구멍에 큰돌하나만이 있는 경우에는 그 돌이 물을 흡수하는 양이 한정되어 있고, 또한 블록의 배면쪽에서 물길이 형성되는 경우 빗물에 의해 조금씩 토사가 흘러내리므로 인하여 많은 양의 비가 내릴 경우에는 토사가 도로로 유입되는 것은 물론 블록의 뒤쪽에 토사가 계속적으로 흘러내리므로 인하여 블록자체가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건축할 시에 행정기관에서 제시하는 시방서를 기준으로 하여 공사를 진행하여야 하나 대부분의 공사현장에서는 보이는 부분에 대해서는 시방서에 맞게 공사를 진행하나 상기와 같이 보이지 않는 부분 즉 잡석을 채우는 과정과 같이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시방서의 지침에 의거하여 공사를 진행하지 않고 공사자의 편의대로 공사를 진행하므로 인하여 현재 건축되어 있는 블록용 옹벽이 부실화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옹벽의 경우 설치되는 각도를 소정의 각도를 넘어서면 옹벽용 블록으로는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는 적층되는 블록과 블록이 서로 가까이 위치된 상태에서 적층되고, 동시에 하부에 위치되는 블록의 식생홈의 일측이 맞물린 상태에서 적층되기 때문에 설치되는 각도가 소정의 각도를 넘어서면 블록을 사용하지 못하고 식생블록과 같은 다른 블록으로 시공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벌, 작은 새, 꽃 등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하여 주위의 환경과 어울리도록 함과 동시에 토사의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가 편리하게 블록을 적층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옹벽용 블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블록을 설치할 시에 작업자가 시방서에 의거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작업자의 임의대로 작업이 진행될 수 없도록 하여 보이지 않는 부분 즉 잡석을 채우는 부분 등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부분도 시방서에 의거하여 작업이 진행되도록 하여 부실공사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옹벽용 블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고정핀이 설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블록에 있어서, 블록의 전면에는 요철형상의 모양부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식생홈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중공홀이 형성되고, 중공홀의 앞쪽 방향과 뒤쪽 방향에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을 수직 쌓기 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며,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의 수직 쌓기 한 상태에서 코너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코너에 설치되는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을 들여쌓기 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10)이 구비되고, 블록(10)의 상부 소정 위치에는 고정홈(11)이 다수개 형성되며, 고정홈(11)은 전면쪽에 3개 배면쪽 방향에 3개가 형성되고, 고정홈(11)과 고정홈(11)의 사이에는 중공홀(12)이 형성된다.
블록(10)의 전면에는 돌출부(20)가 형성되며, 돌출부(20)의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작은 묘목, 새, 벌 등이 서식할 수 있는 식생홈(21)이 형성되고, 식생홈(21)의 바닥에는 물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다수의 배수공(22)이 형성된다.
돌출부(20)의 일측면에는 단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모양부(23)가 형성되고, 모양부(23)는 단면이 파도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블록(10)의 양측에는 지지돌기(30)가 형성되며, 지지돌기(30)의 일측은 소정 각도의 경사면(31)을 가지며 형성되고, 지지돌기(30)에는 공간부(32)가 형성된다.
공간부(32)는 다른 블록(10)이 인접하였을 시에 잡석(흙과 작은 돌 등)이 채워질 수 있도록 채움공(33)이 형성되고, 이때 형성되는 채움공(33)은 옹벽이 설치되는 길이 방향대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형성되고, 블록(10)이 코너에 설치될 시에는 채움공(33)의 형상이 변화되어 도 5a와 도 5b 같이 형성된다.
또한 블록(10)의 전체적인 형상이 사(士)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리고 돌출부(20)는 블록(10)에 형성된 공간부(32)와 타측 공간부(32)의 사이에 형성된 두께보다는 크고, 블록(10)의 후면에 형성된 지지돌기(3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지지돌기(3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32)의 일측면은 지지돌기(30)에 형성된 경사면(31)과 같은 각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0) 측면(모양부가 형성되지 않은 면)의 방향과 같은 직선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블록(10)은 수직 쌓기, 들여쌓기(계단식 형상)를 할 수 있으며, 블록(10)을 적층 할 시에 블록(10)을 돌려서 배면이 전면쪽으로 전면이 배면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블록(10)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적층시킬 수 있다.
블록(10)에 형성된 중공홀(12)의 내측면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0)의 측면에 형성된 지지돌기(3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32)의 측면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32)의 측면에 형성된 각도와 같은 각도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블록(10)을 수직 쌓기 또는 들여쌓기를 하기 위해서는 블록(10)이 쌓여지는 위치에 기초공사를 행하며, 이때 기초공사는 본 고안의 블록(10)과 같이 수직 쌓기, 들여쌓기를 할 시에 기본적으로 행하는 공사이다.
기초공사가 완료된 상태에서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옹벽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블록(10)을 위치시키면, 블록(10)에 형성된 공간부(32)와 타 블록(10)의 공간부(32)가 서로 인접되어 채움공(33)이 형성된다.
블록(10)에 형성된 중공홀(12)과 채움공(33)에 작업자가 흙 또는 잡석을 채우게 되는데, 이때 채워지는 잡석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면서 채워지게 되고, 채워지는 잡석의 크기가 각기 다르므로 인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골라내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본 고안에서는 잡석이 채워질 때 크기가 큰 잡석이 채움공(33)의 내측에 위치되면 그 크기에 의해 블록(10)이 일측으로 비껴나거나 어긋나게 되므로 작업자는 채움공(33)에서 크기가 큰 잡석을 골라낼 수밖에 없도록 하여 시방서의 기준에 따라 공사를 진행하도록 한다.
기초 공사가 완료된 상태에서 블록(10)을 일차적으로 설치하고, 설치된 블록(10)에 상기에서와 같이 잡석을 블록(10)과 그 배면에 채운 상태에서 다시 그 상부에 블록(10)을 설치하는데, 이때 설치되는 블록(10)은 수직 쌓기를 하는 경우에는 블록(10)과 블록(10) 사이의 상부에 블록(10)이 위치되도록 설치한다.
블록(1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공간부(32)에 채워져야 하는 잡석은 그 층에 설치되는 블록(10)을 완전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채우고, 그 다음에 상부에 위치할 블록(10)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을 통해 계속적으로 적층시킨다.
블록(10)이 적층된 상태에서 블록(10)과 블록(10)이 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블록(10)이 형성된 고정홈(11)에 고정부재(40)를 삽입하여 설치한다.
고정홈(11)에 설치되는 고정부재(40)는 그 상부에 위치하는 블록(10)의 지지돌기 일측에 고정부재(40)의 상부가 위치되고, 다시 그 상부로 설치되는 블록(10)의 경우에도 그 하부에 설치된 블록(10)의 고정홈(11)에 고정부재(40)가 설치되므로 인하여 블록(10)의 상하방향으로 블록(10)과 블록간(10)의 고정이 이루어짐으로 블록(10) 간의 지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블록(10)의 상부에 고정부재(40)가 설치되고, 다시 고정부재(40)에 블록(10)의 지지돌기(30)가 위치되도록 설치함으로 인하여 후방에서 가해지는 토사의 압력이 다른 블록(10)쪽으로 전가되므로 인해 토사의 압력이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블록(10)을 설치한 상태에서 바로 고정부재(40)를 설치한 상태에서 다시 블록(10)을 설치하는 방법을 통해 옹벽이 형성되도록 하므로 공사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블록(10)의 적층시 블록(10)의 설치가 매우 유리한데, 이는 하나의 고정부재(40)에 다수의 블록(10)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블록(10)과 블록(10) 사이마다 고정부재(40)가 각각 설치되므로 옹벽 설치 공사가 매우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들여쌓기의 경우에는 기초공사가 행하여진 후 기초공사를 행한 상부에 기초공사가 이루어진 길이방향으로 블록(10)을 설치하고, 이때 블록(10)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돌기(30)가 서로 맞닿아지도록 설치한다.
블록(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잡석을 이용하여 블록(10)의 고정홈(11)에 채우는데, 이때 블록(10)과 블록(10)에 형성된 고정홈(11)이 서로 인접되므로 인하여 채움공(33)이 형성되고, 채움공(33)이 형성된 부분에 잡석을 채운다.
채움공(33)에 잡석이 채워질 때 그 크기가 큰 잡석의 경우에는 블록(10)과 블록(10)의 지지돌기(30)가 맞닿아진 상태를 해체하여 어느 한 블록(10)이 어긋나게 되고, 이때 작업자가 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그 부분에 다른 잡석을 채워 시방서에서 예시하는 공사방법에 따라 시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10)의 상부에 블록(10)을 들여쌓는데, 이때에는 블록(10)의 전면방향과 후면방향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11) 중에서 후면부에 형성된 고정홈(11)에 적층되는 블록(10)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홈(11)이 위치되도록 한다.
적층되는 블록(10)의 후면방향 좌측에 위치한 고정홈(11)과 하부에 설치된 블록(10)의 전면방향 우측에 형성된 고정홈(11)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블록(10)을 적층하고, 적층된 블록(10)의 공간부(32)에 의해 형성된 채움공(33)에 잡석을 채워 블록(10)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블록(1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고정홈(11)에 고정부재(40)를 설치한다.
고정부재(4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부는 수직 쌓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40)와 다른 고정부재(40)를 서로 꼬아지도록 하여 블록(10)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블록(10)을 들여쌓기 할 시에 돌출부(20)가 전면(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전면방향)쪽으로 향하도록 하며, 이때 그 상부에 어슷하게 적층되는 블록(10)은 돌출부(20)가 후면 쪽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블록(10)에 형성된 지지돌기(30)가 서로 맞대어 지도록 형성하여 채움공(33)을 형성한다.
이때 설치되는 블록(10)의 경우 돌출부(20)가 전면쪽으로만 향하도록 적층된 블록(10)의 경우에는 채움공(33)의 일측이 오픈된 상태로 설치되나,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적층되는 블록(10)의 경우에는 채움공(33)의 일측이 오픈되지 않고 닫친 상태로 설치된다.
채움공(33)의 일측이 오픈되지 않은 상태로 블록(10)이 설치되면, 지지돌기(30)의 일측에 경사면(31)이 형성된 부분이 다른 블록(10)과 맞닿진 상태로 설치되므로 토사의 압력이 가해질 시에 지지돌기(30)의 측면쪽에 다른 블록(10)이 지지하는 형태를 갖추기 때문에 토사의 압력을 분산함과 동시에 블록(10)을 다른 블록(10)이 지지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블록(10)의 전면과 후면을 교차되도록 설치하거나 한 층은 전면부가 다른 한층은 후면부가 위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환경에 따라 블록(10)의 설치를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블록(10)을 수직 쌓기 또는 들여쌓기 한 상태에서 빗물이 블록(10)의 전면 쪽으로 흘러내리는 경우 전면에 형성된 돌출부(20)에 의해 빗물의 흐름이 방해되어 도로 쪽으로 한꺼번에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는 비가 많이 오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리고 블록(10)의 전면에 형성된 돌출부(20)의 식생홈(21)쪽으로 빗물이 2차적으로 흡수된 나머지 빗물이 블록(10)의 전면을 타고 흘러 내려가고, 또한 블록(10)의 전면이 엇갈리게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블록(10)의 돌출부(20) 사이로 흐르는 빗물은 그 하방향에 적층된 블록(10)이 돌출부(20)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강수량이 많은 날에도 빗물에 의해 도로 쪽으로 빗물이 한꺼번에 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블록(10)을 이용하여 적층할 시에 직선, 곡선의 경계가 없이 부드럽게 적층할 수 있으며, 이는 곡선이 형성되는 각도에 따라 달리 적층되나, 블록(10)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돌기(30)의 경사면(31)을 서로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적층하거나 지지돌기(30)의 일측을 다른 블록(10)의 지지돌기(30) 일측과 맞닿은 상태에서 곡선이 형성된 각도에 따라 조절하면서 적층하므로 블록(10)을 시공 할 시에 별도의 코너용 블록(10)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부분에 계단과 같은 적층방법을 이용하여 블록(10)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소정의 각도를 넘어서는 경사면에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계단식으로 설치하므로 인하여 상방향으로 적층되는 블록(10)의 돌출부에 의해 가려지는 것이 방지되어 식생홈에 심어지는 꽃, 작은 묘목의 성장이 원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주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식생되는 식물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1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40)에 고정되는 블록(10)의 지지돌기(30)가 어느 위치에 설치에 따라 수직쌓기, 들여쌓기를 행하여지므로 옹벽이 설치되는 위치에 장소에 다라 변화시키면서 적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돌기(30)의 크기, 공간부(32)의 확대 및 축소, 고정홈(11)의 위치조정은 제조업자의 사정에 따라 달리하여 블록(1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블록(10)의 측면에 형성된 공간부(32)의 형상이 사각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었으나, 이 또한 제조업체의 사정에 따라 반원형, 반 타원형, 오각형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부(32)의 형상에 따른 변화는 당업자라면 누구나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본 고안의 범주안에 속한하다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은 시공 시 작업자가 블록과 블록을 결속시키기 위한 고정핀을 고정홈에 삽입하여 블록을 적층 하므로 블록간의 결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시간이 단축되고, 블록의 전면에 형성된 식생홈에서 꽃, 벌, 조류 등이 서식할 수 있으며, 환경친화적으로 설치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하나의 블록을 이용하여 직선과 곡선의 경계가 없이 블록이 쌓아질 수 있으므로 토사의 압력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곡선(코너)부분의 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하므로 블록의 적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을 적층할 시에 설치되는 각도가 소정의 각도를 넘어서는 경우에도 다른 블록으로 대체하지 않고 옹벽용 블록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고정부재에 다수의 블록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블록과 블록 사이마다 고정부재가 각각 설치되므로 인하여 블록의 적층이 원활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을 수직 쌓기 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의 수직 쌓기 한 상태에서 코너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코너에 설치되는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을 들여쌓기 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록 11 : 고정홈
12 : 중공홀 20 : 돌출부
21 : 식생홈 22 : 배수공
23 : 모양부 30 : 지지돌기
31 : 경사면 32 : 공간부
33 : 채움공 40 : 고정부재

Claims (7)

  1. 전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고정핀이 설치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블록에 있어서,
    블록(10)의 전면에는 요철형상의 모양부(23)를 갖는 돌출부(20)가 형성되고, 돌출부(20)에는 다수의 배수공(22)이 형성된 식생홈(21)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중공홀(12)이 형성되고, 중공홀(12)의 앞쪽 방향과 뒤쪽 방향에는 고정부재(40)가 설치되는 고정홈(11)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블록(10)은 지지돌기(30) 중앙부에 잡석이 채워질 수 있도록 공간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블록(10)은 지지돌기(30)와 다른 블록(10)의 지지돌기(30)가 맞닿으면 채움공(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돌기(30)의 일측은 경사면(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5. 제2항에 있어서,
    블록(10)은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32)의 일측면이 경사각 또는 직선의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6.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출부(20)는 블록(10)에 형성된 공간부(32)와 타측 공간부(32)의 사이에 형성된 두께보다는 크고, 블록(10)의 후면에 형성된 지지돌기(3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7. 제 2항, 제 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10)에 형성된 중공홀(10)의 내부 측면은 블록(10)의 측면에 형성된 공간부(32)의 측면과 같은 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KR20-2004-0035152U 2004-12-10 2004-12-10 옹벽용 블록 KR200382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152U KR200382628Y1 (ko) 2004-12-10 2004-12-10 옹벽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152U KR200382628Y1 (ko) 2004-12-10 2004-12-10 옹벽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628Y1 true KR200382628Y1 (ko) 2005-04-22

Family

ID=4368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152U KR200382628Y1 (ko) 2004-12-10 2004-12-10 옹벽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6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394B1 (ko) * 2009-03-27 2009-08-28 송도희 식생 옹벽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394B1 (ko) * 2009-03-27 2009-08-28 송도희 식생 옹벽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3001816A (es) Zapatas integradas.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100704408B1 (ko) 식생용 블럭
KR100990517B1 (ko) 조립식 친환경 식생블록
KR100481160B1 (ko) 옹벽용 블록
KR200382628Y1 (ko) 옹벽용 블록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200378431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KR100925887B1 (ko) 블록크린 사방댐.
KR101501733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앵커고정 옹벽 구조물
KR100607605B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200381308Y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101334749B1 (ko)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KR100709103B1 (ko) 메가그린블럭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KR100736269B1 (ko)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는 근입식 블록 옹벽 및 그시공방법
KR200406758Y1 (ko) 변화형 친환경 블록
KR100746128B1 (ko)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KR100593186B1 (ko) 친환경적 옹벽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