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257B1 -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 Google Patents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257B1
KR102576257B1 KR1020220127140A KR20220127140A KR102576257B1 KR 102576257 B1 KR102576257 B1 KR 102576257B1 KR 1020220127140 A KR1020220127140 A KR 1020220127140A KR 20220127140 A KR20220127140 A KR 20220127140A KR 102576257 B1 KR102576257 B1 KR 102576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ervoir
storage
pai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곤
Original Assignee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127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수층 및 저류층을 구비한 다층 구조의 지반 포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포장 구조물은 지반 위에 형성되며, 복수의 저류 블록이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포설되어 구축되는 저류층과, 저류층의 상면에 투수성을 갖는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패브릭층과, 패브릭층의 상면에 쇄석골재로 형성되는 쇄석층과, 쇄석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투수 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포설되어 구축되는 투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PAVEMENT STRUCTURE HAVING WATER PERMEABLE AND WATER STORAGE FUCTION}
본 발명은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수층 및 저류층을 구비한 다층 구조의 지반 포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에 따라 불투수성 재질의 포장도로의 면적이 증가되면서, 자연적인 배수 면적이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이로 인해, 하천 및 지하수에는 지하수 유입 부족으로 인한 수질 악화 문제가 발생하고, 도심 지역에는 배수 용량 부족으로 인한 홍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자연적인 물순환이 필요하며, 자연적인 물순환을 구축하기 위한 대안으로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이 제시되고 있다. 이때, 지반 포장 구조물은 하층에 우수(雨水)가 저장 가능한 공간을 가지며, 공간에 저장된 우수를 서서히 지반에 흡수시킨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32786호는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우수 저장부가 형성된 하부 블록과 하부 블록의 상부에 배치되며 우수 저장부로 빗물을 안내하는 상부 블록을 포함하는 포장 블록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우수 저장부가 하부 블록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것으로, 상부 블록의 파손 시, 우수 저장부가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블록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공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우수 저장부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인접한 저류 블록 간의 결합이 가능한 지반 포장 구조물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32786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우수 저장부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인접한 저류 블록 간의 결합이 가능한 지반 포장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반 위에 형성되며, 복수의 저류 블록이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포설되어 구축되는 저류층과, 저류층의 상면에 투수성을 갖는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패브릭층과, 패브릭층의 상면에 쇄석골재로 형성되는 쇄석층과, 쇄석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투수 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포설되어 구축되는 투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류 블록은, 다면체 몸체의 한 쌍의 측면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 쌍의 측면에 볼록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직선형의 우수 저장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볼록부는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종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며, 오목부는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종단면적이 점차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류 블록은 다면체 몸체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두 쌍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의 가장자리에 각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결합홈이 함몰 형성되며, 하면에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제1결합홈 사이마다 제2결합홈이 함몰 형성되고, 결합돌기는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상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저류 블록의 연직 상향 적층 시, 제1결합홈에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경우, 아래위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저류 블록은 일렬로 적층되고, 제2결합홈에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경우, 아래위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저류 블록은 상호 어긋나게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류 블록은 다면체 몸체의 측면에 우수 저장부와 교차되는 우수 이동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류층은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저류 블록 사이마다 탄성을 갖는 고정판이 배치되며, 고정판은 중심부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사각평판 형태의 메인판과, 메인판의 양단에서 각각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연장판과, 각 제1연장판의 일단에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2연장판을 포함하고, 저류 블록은 볼록부의 돌출 방향에 위치한 볼록부의 제1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삽입공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메인돌기 및 메인돌기의 일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메인돌기가 관통한 고정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돌출부와, 오목부의 함몰 방향에 위치한 오목부의 제1내측면에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와, 제1내측면의 양단에 위치한 오목부의 한 쌍의 제2내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부를 더 포함하며, 제2연장판은 고정홈부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저류 블록 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반 포장 구조물은 자연적인 물순환 체계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지반 포장 구조물 중 저류층을 이루는 저류 블록은 외주면이 요철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결합구 없이 인접한 저류 블록과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신속하고 용이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반 포장 구조물 중 최상층에 위치한 투수층이 파손된다 하더라도, 우수 저장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우수 저장부의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포장 구조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류 블록으로 구축되는 저류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류 블록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저류 블록으로 구축되는 저류층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류 블록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류 블록 및 고정판을 포함하는 저류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류 블록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고정판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포장 구조물(1)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지반 포장 구조물(1)은 저류층(10), 패브릭층(20), 쇄석층(30) 및 투수층(40)이 연직상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저류층(10)은 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 층으로, 지반(G) 위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저류 블록(11)이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포설되어 구축될 수 있다. 이때, 저류층(10)은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브릭층(20)은 저류층(10)의 유동에 의한 쇄석층(30)의 꺼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층으로, 저류층(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브릭층(20)은 투수성을 갖는 섬유 재질인 지오텍스타일로 형성될 수 있다.
쇄석층(30)은 물을 투수하며, 투수층(40)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층으로, 패브릭층(20)의 상면에 쇄석골재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투수층(40)은 물을 투수하는 기능을 가지며 외부로 노출되는 층으로, 쇄석층(3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투수 블록(41)이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포설되어 구축될 수 있다. 이때, 투수층(40)은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수 블록(41)은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 표면이 불투수층으로 형성되며,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관통 형성되는 블록체(411) 및 블록체(411)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우수 유입용 투수 코어(4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류 블록(11)으로 구축되는 저류층(10)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저류 블록(11)은 다면체 몸체(111)의 한 쌍의 측면에 볼록부(112)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한 쌍의 측면에 오목부(113)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볼록부(112)가 형성된 다면체 몸체(111)의 한 쌍의 측면은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측면일 수 있으며, 오목부(113)가 형성된 다면체 몸체(111)의 다른 한 쌍의 측면도 상호 인접한 두 개의 측면일 수 있다.
볼록부(112)는 다면체 몸체(111)의 측면에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형성되어 다면체 몸체(111)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종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13)는 다면체 몸체(111)의 측면에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형성되어 다면체 몸체(11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내측 방향으로 종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 수 있다.
볼록부(112) 및 오목부(113)는 횡단면적이 사다리꼴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오목부(113)의 횡단면적은 볼록부(112)의 횡단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류 블록(11)은 다면체 몸체(111)에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우수 저장부(114)가 직선형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우수 저장부(114)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류 블록(11)은 다면체 몸체(111)에 세 개의 우수 저장부(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어느 하나의 우수 저장부(114)는 상호 대향되는 볼록부(112)와 오목부(113)를 가로지를 수 있다.
한편, 저류 블록(11)은 시멘트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금형에 타설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저류 블록(11)의 오목부(113)에 인접한 다른 저류 블록(11a)의 볼록부(112a)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저류 블록(11a)간에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저류 블록(11')으로 구축되는 저류층(10')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류 블록(11')은 볼록부(112')가 다면체 몸체(111')의 측면의 상단부로부터 높이방향 절반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오목부(113')가 다면체 몸체(111')의 측면의 하단부로부터 높이방향 절반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볼록부(112') 및 오목부(113')는 다면체 몸체(111')의 높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저류 블록(11')의 오목부(113')의 바닥면이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저류 블록의 볼록부(112')의 하면을 받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인접한 저류 블록(11)간에 부등침하와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저류 블록(11')은 다면체 몸체(111')의 상면 가장자리에 다면체 몸체(111')의 상면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L)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두 쌍의 결합돌기(1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면체 몸체(111')의 하면 가장자리에 결합돌기(115')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결합홈(116')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15')는 다면체 몸체(111')의 상면에 볼록부(112') 및 오목부(113)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면체 몸체(111')의 상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저류 블록(11')은 다면체 몸체(111')의 하면에 중심선(L)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제1결합홈(116') 사이마다 제2결합홈(117')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결합홈(117')은 양측에 위치한 제1결합홈(116')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저류 블록(11')의 연직 상향 적층 시, 저류 블록(11'a)의 결합돌기(115'a)가 다른 저류 블록(11')의 제1결합홈(116')에 삽입되는 경우, 아래위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저류 블록(11')은 일렬로 적층될 수 있다. 반면, 저류 블록(11')의 연직 상향 적층 시, 저류 블록(11'a)의 결합돌기(115'a)가 다른 저류 블록(11')의 제2결합홈(117')에 삽입되는 경우, 아래위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저류 블록(11')은 상호 어긋나게 적층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저류층(10') 형성 시, 연직 상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저류 블록(11')을 상호 엇갈리게 배치하거나, 일렬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류 블록(11')은 우수 저장부(114')가 관통하는 다면체 몸체(111')의 어느 하나의 측면(이하, 관통 측면)에 우수 저장부(114')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우수 이동홈(118')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우수 이동홈(118')은 각 우수 저장부(114')마다 형성될 수 있으며, 다면체 몸체(111')의 관통 측면에 상단부부터 하단부까지 형성되어 다면체 몸체(11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수 이동홈(118')이 형성됨으로 인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저류층(10')은 우수 저장 시, 최하층에 위치한 층부터 순차적으로 우수가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류 블록(11'') 및 고정판(13'')을 포함하는 저류층(10'')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저류층(10'')은 복수의 저류 블록(11'')이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포설되어 구축될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저류 블록(11'') 사이마다 탄성을 갖는 고정판(13'')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판(13'')은 금속 재질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오목부(113'')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고정판(13'')은 중심부에 삽입공(131'')이 관통 형성되는 사각평판 형상의 메인판(132''), 메인판(132'')의 양단에서 각각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연장판(133'') 및 제1연장판(133'')의 일단에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2연장판(1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공(131'')은 원형의 메인공(1311'') 및 메인공(1311'')과 연통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보조공(1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판(133'')은 메인판(132'')에 대하여 둔각으로 절곡되며, 제2연장판(134'')은 메인판(132'')과 평행을 이루도록 절곡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류 블록(11'')은 돌출부(119''), 함몰부(120'') 및 고정홈부(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19'')는 볼록부(112'')의 제1측면(1121'')에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고정판(13'')의 삽입공(13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191'') 및 삽입돌기(1191'')의 일단부 외주면에 수직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11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볼록부(112'')의 제1측면(1121'')은 볼록부(112'')의 돌출 방향에 위치한 측면일 수 있다.
돌출부(119'')는 우수 저장부(114'')의 종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19'')는 우수 저장부(114'')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공(1312'')과 걸림돌기(1192'') 간에는 90의 위상차가 날 수 있다.
함몰부(120'')는 오목부(113'')의 제1내측면(1131'')에 돌출부(119'')가 삽입 가능한 형태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목부(113'')의 제1내측면(1131'')은 오목부(113'')의 함몰 방향에 위치한 측면일 수 있다.
제1내측면(1131'')이 우수 저장부(114'')가 관통하는 측면인 경우, 우수 저장부(114'')는 함몰부(120'')를 대신할 수 있다.
고정홈부(121'')는 오목부(113'')의 한 쌍의 제2내측면(1132'')에 각각 제2연장판(134'')이 삽입 가능한 형태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목부(113'')의 제2내측면(1132'')은 오목부(113'')의 제1내측면(1131'')의 양단에 위치하여 제1내측면(1131'')과 접하는 측면일 수 있다.
한편, 고정홈부(121'')는 다면체 몸체(111'')의 측면의 상단부부터 하단부까지 형성되어 다면체 몸체(11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인해,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저류 블록은 어느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록부(112'')는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판(132'')과 연결된 제1연장판(133'')의 일단부에서 제2연장판(134'')과 연결된 제1연장판(133'')의 타단부로 갈수록, 볼록부(112'')와 제1연장판(133'') 사이에는 점차 넓어지는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격공간의 최대폭은 제2연장판(134'')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한 쌍의 제1연장판(133'')을 볼록부(11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2연장판(134'')을 고정홈부(121'')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제2연장판(134'')을 고정홈부(121'')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저류 블록(11'')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저류 블록(11'')간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멀어지는 방향은 함몰부(120'')로부터 돌출부(119'')를 인출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저류 블록(11')의 결합돌기(115'), 제1결합홈(116'), 제2결합홈(117') 및 우수 이동홈(118')은 제3실시예에 따른 저류 블록(11'')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지반 포장 구조물
10 : 저류층
20 : 패브릭층
30 : 쇄석층
40 : 투수층

Claims (6)

  1. 지반 위에 형성되며, 복수의 저류 블록이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포설되어 구축되는 저류층과,
    상기 저류층의 상면에 투수성을 갖는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패브릭층과,
    상기 패브릭층의 상면에 쇄석골재로 형성되는 쇄석층과,
    상기 쇄석층의 상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투수 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포설되어 구축되는 투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저류 블록은,
    다면체 몸체의 한 쌍의 측면에 볼록부가 형성되며, 다른 한 쌍의 측면에 볼록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직선형의 우수 저장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저류층은,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저류 블록 사이마다 탄성을 갖는 고정판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은,
    중심부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사각평판 형태의 메인판과,
    상기 메인판의 양단에서 각각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1연장판과,
    상기 각 제1연장판의 일단에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2연장판을 포함하며,
    상기 저류 블록은,
    상기 볼록부의 돌출 방향에 위치한 상기 볼록부의 제1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메인돌기 및 상기 메인돌기의 일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돌기가 관통한 고정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 쌍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의 함몰 방향에 위치한 상기 오목부의 제1내측면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와,
    상기 제1내측면의 양단에 위치한 상기 오목부의 한 쌍의 제2내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장판은, 상기 고정홈부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저류 블록 간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종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며,
    상기 오목부는,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종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 블록은,
    상기 다면체 몸체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두 쌍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하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각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결합홈이 함몰 형성되며, 하면에 상호 대칭되는 한 쌍의 제1결합홈 사이마다 제2결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상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저류 블록의 연직 상향 적층 시, 상기 제1결합홈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경우, 아래위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저류 블록은 일렬로 적층되고,
    상기 제2결합홈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경우, 아래위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저류 블록은 상호 어긋나게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 블록은,
    상기 다면체 몸체의 측면에 상기 우수 저장부와 교차되는 우수 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6. 삭제
KR1020220127140A 2022-10-05 2022-10-05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KR102576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140A KR102576257B1 (ko) 2022-10-05 2022-10-05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140A KR102576257B1 (ko) 2022-10-05 2022-10-05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257B1 true KR102576257B1 (ko) 2023-09-08

Family

ID=8801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140A KR102576257B1 (ko) 2022-10-05 2022-10-05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2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490Y1 (ko) * 2005-05-14 2005-10-05 쿼리스톤(주) 소하천 식생블럭
KR20110139019A (ko) * 2010-06-22 2011-12-28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평면부지의 직접배수방식 빗물처리 저류시설, 그 저류시설에 이용되는 직접배수방식 빗물처리 저류시설용 저류 블록 및 배수 블록
KR101426354B1 (ko) * 2013-08-30 2014-08-06 주식회사 코뉴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32786B1 (ko) 2017-07-17 2018-04-13 (주)콘텍이엔지 빗물의 침투 및 저류용 포장블록
KR101868974B1 (ko) * 2017-10-26 2018-06-19 민남기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490Y1 (ko) * 2005-05-14 2005-10-05 쿼리스톤(주) 소하천 식생블럭
KR20110139019A (ko) * 2010-06-22 2011-12-28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평면부지의 직접배수방식 빗물처리 저류시설, 그 저류시설에 이용되는 직접배수방식 빗물처리 저류시설용 저류 블록 및 배수 블록
KR101426354B1 (ko) * 2013-08-30 2014-08-06 주식회사 코뉴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32786B1 (ko) 2017-07-17 2018-04-13 (주)콘텍이엔지 빗물의 침투 및 저류용 포장블록
KR101868974B1 (ko) * 2017-10-26 2018-06-19 민남기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9538B2 (ja) 特にコンクリートから成るプレート状舗石
KR20010099883A (ko) 저수 블록, 저수 블록용 연결 부재 및 빗물 저장/침투구조물
KR101227275B1 (ko) 도로포장용 블록,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81466B1 (ko) 홍수 방지를 위한 강우 즉시 투수 및 저류 도로포장 시스템
JP2003193543A (ja) グランドなどの水抜き工法およびその水抜き工法に使用する部材
KR102576257B1 (ko)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JP2008546930A (ja) 複数の敷石を敷き詰めた施工キット
KR101665326B1 (ko) 직투수공을 갖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침투 및 저류 포장시스템
KR100925049B1 (ko) 다층 블록 포장을 이용한 수자원 보존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20190042153A (ko) 차도 및 보도를 위한 블럭격자틀
KR102503288B1 (ko) 저류 블록
KR101282096B1 (ko)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KR102235676B1 (ko) 다용도 모듈형 블록틀
WO2013151020A1 (ja) 雨水貯留積層構造体に用いる構造部材
KR102239977B1 (ko) 바닥 배수판 및 바닥 배수판 시스템
JP4488934B2 (ja) 地下水槽充填材
KR101842997B1 (ko) 블록을 이용한 차도 포장구조 및 차도 포장 시공방법
JP2021088911A (ja) 透水性舗装部材用の嵌合部材
JP3717353B2 (ja) 貯水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構造物
JP4445892B2 (ja) 軽量盛土貯水構造体
CN216663666U (zh) 一种适合不同路面的基层透水工字砖
KR20070033504A (ko) 보도블록 시공 보조장치 및 시공방법
KR102252400B1 (ko) 포장용 저류 블록
CN216040491U (zh) 一种双层嵌入式透水互锁防溅人行道道板
CN109056442A (zh) 装配式人行走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