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354B1 -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354B1
KR101426354B1 KR1020130103822A KR20130103822A KR101426354B1 KR 101426354 B1 KR101426354 B1 KR 101426354B1 KR 1020130103822 A KR1020130103822 A KR 1020130103822A KR 20130103822 A KR20130103822 A KR 20130103822A KR 101426354 B1 KR101426354 B1 KR 101426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weight
core
storage block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재기
권혁우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뉴
Priority to KR102013010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류 블록체 단독으로 포장블록을 형성하거나 저류 블록체 사이에 코아블록체를 구비하여 포장블록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저류조를 제조할 수 있고 우수한 투수성에 의해 빗물 등의 물이 고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저류 블록체 및 코아블록체 자체가 상당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Water-storage tank block using unsintered inorganic bind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우수한 투수성에 의해 빗물이 고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장블록 자체가 상당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발달에 따라 건축물 등 각종 구조물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주차장 시설 등 지표의 포장율의 상승에 따라서 호우 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투함이 없이 우수관로를 통해 하수도나 하천으로 곧바로 유입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강수량에 따라 하수도나 하천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허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홍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와 반대로 우수의 하천 유입량이 적어지면 지하수량이 부족해지고, 이는 가뭄은 물론 갈수기에 하천이 말라 수질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투수가 불가능한 지표 포장율의 상승에 따라 호우 시 배수기능에 한계점이 있어, 보도의 경우는 물고임의 현상으로 통행에 불편을 초래 하며 차도의 경우는 수막현상 및 물보라(물튀김)의 발생으로 교통사고 증가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운행 시 빗물에 의한 표면의 반사광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감소시키고 눈의 피로를 증가시켜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하여, 최근에는 빗물을 저류하여 필요 시 하천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빗물저류조 등이 설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저류조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방법과 기 제작된 콘크리트 저류블록들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상기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시공하는 방법은 공사시간이 길어지고 공사비도 증가하는 한편 안전사고의 발생 확률이 높아 기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조립 시공하는 방법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투수성이 우수하여 표면층에 물이 고이지 않으며 호우 시 빗물을 다량 저장하여 홍수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조립만으로 용이하게 저류조를 형성할 수 있는 블록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227275호 한국등록특허 제1052857호 한국등록특허 제120403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투수성에 의해 빗물이 고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장블록 자체가 상당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포장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포장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은 측면에 형성된 볼록결합구; 상기 볼록결합구가 형성된 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측면에 볼록결합구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오목결합구; 및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관통구;로 이루어진 저류 블록체를 포함하며,
저류 블록체는 비소성 무기 결합재, 강섬유, 무기물 섬유질, 셀라이트, 골재, 모래, 안료, 황토 및 페트로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류 블록체의 내부에 보강철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에 각각 형성된 볼록결합구 및 오목결합구가 상기 저류 블록체의 네 개의 측면에 모두 형성되어 다수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는 1 내지 3개로 형성되며, 관통구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저류 블록체가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류 블록체 사이에 구비되는 코아블록체를 더 포함하며, 코아블록체는 비소성 무기 결합재, 강섬유, 무기물 섬유질, 셀라이트, 골재, 모래, 안료, 황토 및 페트로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아블록체는 일 측면에 상기 저류 블록체의 볼록결합구와 대응되는 코아오목결합구; 및 상기 코아오목결합구가 형성된 일 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측면에 상기 저류 블록체의 오목결합구와 대응되는 코아볼록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아블록체의 내부에 보강철근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소성 무기 결합재는 고로슬래그 70 내지 80 중량%, 레드머드 5 내지 10 중량%, 석영, 세니딘, 정장석 및 알바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광석 1 내지 5 중량%, 석고 10 내지 20 중량%, 황산알루미늄 0.5 내지 2 중량%, 생석회 또는 소석회 0.5 내지 1 중량%, 석회석 0.5 내지 3 중량% 및 조경제 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섬유는 스틸 화이버, 구리 화이버 및 글라스 화이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섬유질은 35-80 메쉬(mesh)로 분쇄되며, 수분함량이 5% 미만일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섬유질은 김, 미역, 파래 등의 해조류, 땅콩껍질, 대나무, 짚, 옥수수 및 야자수 열매로 이루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장블록의 시공방법은 저류 블록체 사이에 코아블록체를 구비하는 시공방법으로서, 시공면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정리된 표면에서 제1 저류 블록체의 볼록결합구와 코아블록체의 코아오목결합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코아블록체의 코아볼록결합구와 제2 저류 블록체의 오목결합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류 블록체 및 코아블록체는 비소성 무기 결합재, 강섬유, 무기물 섬유질, 셀라이트, 골재, 모래, 안료, 황토 및 페트로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류 블록체 및 코아블록체 각각의 내부에 보강철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철근은 저류 블록체 및 코아블록체의 일 측 표면 근처에 구비되며, 보강철근이 근처에 구비된 상기 일 측 표면이 시공면의 표면과 맞닿도록 시공될 수 있다.
상기 강섬유는 스틸 화이버, 구리 화이버 및 글라스 화이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섬유질은 35-80 메쉬(mesh)로 분쇄되며, 수분함량이 5%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블록은 투수성이 우수하고, 빗물 등의 물이 고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장블록 자체가 상당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포장블록이 다량의 빗물 등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홍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포장노면의 온도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포장블록은 6가 크롬 용출 등이 발생하지 않아 포장블록을 통과한 빗물이 오염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저류 블록체 또는 저류 블록체와 코아블록체끼리 끼우는 조립 과정만으로 다양한 크기의 포장블록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비용 및 효율성이 증대된다.
또한, 저류 블록체 사이에 구비되는 코아블록체는 우수 등의 유출량을 더욱 저감할 수 있고, 홍수를 억제할 수 있으며, 우수한 열섬제어 효과를 보인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류 블록체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상기 도 1a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c는 상기 도 1a의 B-B'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구현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류 블록체가 다수개로 구비된 포장블록(저류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류 블록체 사이에 구비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코아블록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다른 구현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류 블록체와 코아블록체가 다수개로 구비된 포장블록(저류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우수한 투수성에 의해 빗물이 고이지 않으며, 저류 블록체 단독 또는 저류 블록체와 코아블록체로 이루어진 포장블록 자체가 상당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포장블록은 일 구현예로 다수개의 저류 블록체가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류 블록체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상기 도 1a의 A-A'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c는 상기 도 1a의 B-B'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2는 일 구현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류 블록체가 다수개로 구비된 포장블록(저류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류 블록체(100)는 네 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블록체로서, 일 측면에 형성된 볼록결합구(110), 상기 볼록결합구(110)가 형성된 일 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측면에 볼록결합구(110)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오목결합구(120)가 네 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이 서로 관통되도록 측면의 중심부에 관통구(13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관통구(130)는 저류 블록체(100)의 네 개의 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에만 1 내지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록결합구(110)는 일 측면에 2 내지 4개의 유닛 형태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오목결합구(120)는 상기 볼록결합구(110)와 체결되므로 볼록결합구(110)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저류 블록체(100)를 다수개로 결합하여 저류조를 형성 시 각각의 저류 블록체(100)에 형성된 볼록결합구와 오목결합구를 서로 끼워서 쉽게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저류 블록체의 볼록결합구와 제2 저류 블록체의 오목결합구를 연속적으로 끼움으로써 저류조용 포장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류 블록체(100)의 관통구(130)가 서로 연결되도록 다수개로 연결하는 것이다(도 2).
서로 연결된 관통구(130)는 빗물 등 물의 이동 통로가 되어 하수도, 하천 또는 토양으로 빗물 등의 물을 흘려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블록은 다른 구현예로 저류 블록체 사이에 코아블록체를 구비하여 연속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류 블록체 사이에 구비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코아블록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다른 구현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류 블록체와 코아블록체가 다수개로 구비된 포장블록(저류조)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아블록체(200)는 네 개의 측면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블록체로서, 일 측면에 상기 저류 블록체의 볼록결합구(110)와 대응되는 코아오목결합구(220); 및 상기 코아오목결합구(220)가 형성된 일 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측면에 상기 저류블록의 오목결합구(120)와 대응되는 코아블록결합구(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코아블록체(200)는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이 서로 관통되도록 관통구를 형성하여 저류 블록체(100)의 관통구(130)와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코아블록체(200)의 폭은 저류 블록체(100)의 폭과 동일하며, 길이는 저류 블록체(100) 길이의 1/3 내지 1/4 수준으로서, 저류 블록체(100)들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코아블록체(200)는 저류 블록체(100)에 비하여 공극이 크게 형성되어 저류 블록체(100)에서 흡수하지 못한 물을 코아블록체(200)가 다량 흡수할 수 있어 저류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우수 등의 유출량이 저감되고, 홍수를 억제할 수 있으며, 우수한 열섬제어 효과를 보인다.
상기 코아오목결합구(220)는 볼록결합구(110)와 체결되므로 블록결합구(110)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며, 코아볼록결합구(210)는 오목결합구(120)와 체결되므로 오목결합구(120)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저류 블록체(100) 및 코아블록체(200)는 내부에 격자 모양의 보강철근(140)을 구비할 수 있다(도 1c). 구체적으로, 저류 블록체(100) 및 코아블록체(200)의 일 표면 쪽으로 보강철근을 구비하여 인성강도 등을 향상시켜 저류 블록체(100) 및 코아블록체(200)의 표면이 깨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보강철근이 구비된 저류 블록체(100) 및 코아블록체(200)의 표면을 시공면과 맞닿도록 시공하여 차 또는 사람들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쉽게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공방법은 시공면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리된 표면에서 제1 저류 블록체의 볼록결합구와 제2 저류 블록체의 오목결합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시공방법은 시공면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정리된 표면에서 제1 저류 블록체의 볼록결합구와 코아블록체의 코아오목결합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코아블록체의 코아볼록결합구와 제2 저류 블록체의 오목결합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포장블록은 노반, 쿠션모래, 포장블록 순으로 시공되는데, 본 발명의 저류 블록체 16 cm를 기준으로 저류 블록체(100) 1 ㎡ 당 일시 저류량은 5 내지 10 L이며, 코아블록체(200) 1 ㎡ 당 일시 저류량은 10 내지 15 L이다.
본 발명의 저류 블록체(100) 및 코아블록체(200)는 (a)비소성 무기 결합재, (b)강섬유, (c)무기물 섬유질, (d)셀라이트, (e)골재, (f)모래, (g)안료, (h)황토 및 (i)페트로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형성된다.
(a) 비소성 무기 결합재
비소성 무기 결합재는 (a-1)고로슬래그, (a-2)레드머드, (a-3)광석, (a-4)석고, (a-5)황산알루미늄, (a-6)생석회 또는 소석회, (a-7)석회석 및 (a-8)조경제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a-1)고로슬래그는 제철공장 등에서 부산물로 연간 약 850만 톤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통상의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구입이 용이하다.
이러한 고로슬래그의 함량은 70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75 중량%이다. 고로슬래그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a-2)레드머드는 알루미나(Al2O3), 이산화티타늄(TiO2) 등과 같은 세라믹이 풍부한 부산물 알카리토 금속 화합물로서, 고로슬래그가 수화하는데 필요한 Na 이온을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레드머드는 보크사이트 원료 광물에서 베이어법(알루미나가 다량 존재하는 원료 광물에 수산화나트륨(NaOH)을 가하여 수산화알루미늄을 추출하는 방법)에 의해 수산화알루미늄을 추출하고 남은 슬러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5 ~ 20 μm의 크기를 갖는 미분체이며, 약 30%의 수분 함량을 가지는 슬러지 형태(반죽 형태)로 산출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 베이어법, 즉 'Al2O3 + 2NaOH → 2NaAlO2 + H2O'는 고농도의 수산화나트륨(NaOH)을 사용함으로써 레드머드를 수소 이온 농도(pH) 12 이상의 강알카리성으로 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레드머드 슬러지에 남은 수산화나트륨(NaOH)은 백화 현상 및 크랙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건축물의 미관과 구조적 강도 면에서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이는 레드머드는 석영, 세니딘, 정장석 및 알바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광석 및 황산알루미늄(바람직하게는 결정수를 함유한 황산알루미늄)과 혼합되면 치밀한 골격구조가 형성되어 블록의 강도가 증진되고 백화 및 크랙이 발생되지 않는다.
레드머드의 함량은 5 내지 10 중량%로서,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보다 향상된 강도를 가질 수 없으며, 10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백화현상 및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a-3)석영, 세니딘, 정장석 및 알바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광석은 통기성, 보수성, 강도가 우수하므로 블록의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석은 알칼리성 광석으로서 고로슬래그, 레드머드, 황산알루미늄 및 강섬유와의 혼합에 의하여 블록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백화현상 및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광석의 공극크기는 광석의 굵기에 따라 가변적이므로 투수량을 고려하여 광석의 굵기를 1 내지 2.5 mm로 한다.
상기 광석의 함량은 1 내지 5 중량%로서,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 보습성 및 통기성이 저하되고 백화현상 및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재령이 지남에 따라 강도가 큰 폭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5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a-4)석고는 천연석고 또는 탈황석고 등으로서, 이수, 반수, Ⅲ형 무수 또는 Ⅱ형 무수 등 어떤 형태로든 이용이 가능하다. 더욱이, 현재 일반 폐기물로 분류되어 있는 폐인산석고의 경우 국내 비료공장에서 부산물로서 연간 약 200만 톤 이상이 배출되고 있으며, 약 2천만 톤 가량의 폐석고가 적치장에 적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폐석고의 처리문제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인바, 본 발명에서는 중화 또는 하소 등의 간단한 전처리를 통해 쉽게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석고를 10 내지 20 중량% 혼화함으로써 슬래그의 산성피막을 파괴하여 수식이온을 용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특히 슬래그 내부의 알루미나 성분과 반응하여 에트린가이트(ettringite)(Calcium Sulphur Aluminat: 3CaO·Al2O3·3CaSO4·32H2O)를 다량 생성시켜 침상의 에트린가이트에 의한 네트워크 매트릭스를 형성시켜 강도를 발현시킨다.
이때 석고를 10 중량% 미만으로 혼화하는 경우에는 비소성 무기 결합재의 강도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는데, 이것은 고로슬래그에 함유되어 있는 C3A 성분을 완전히 에트린가이트로 전환시킬 수 있는 석고량의 부족으로 인하여 여분의 C3A 성분은 물과 반응하여 수화알루민산칼슘을 생성하거나 이미 생성된 에트린가이트 중의 석고와 반응하여 강도 발현이 에트린가이트보다 훨씬 작은 모노셀페이트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석고를 과량 혼화할 경우에는 고로슬래그와 반응하지 못한 여분의 석고가 수화생성물 사이에 응집상태로 존재하면서 이들의 결합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오히려 강도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 (a-5)황산알루미늄은 무수황산알루미늄 혹은 결정수를 함유한 황산알루미늄으로서 공업용(소위 17% 황산알루미늄-17% Al2O3, 또는 약 57% Al(SO4)2)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안에 포함된 불순물은 본 발명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아니한다. 황산알루미늄은 무기 결합재 내에서 약간의 발열로 인해 고로슬래그의 반응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고로슬래그에 함유된 알루미나 성분이 석고와 반응하여 에트린가이트를 위주로 하는 수화물을 생성하여 치밀한 골격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블록의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황산알루미늄의 함량은 0.5 내지 2 중량%로서, 함량이 2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초기에 유동성을 급격하게 감소시키고 재령이 지남에 따라 강도를 큰 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a-6)생석회 또는 소석회는 저가의 공업용 제품으로서 국내에서 다량 생산되며, 본 발명에서는 0.5 내지 1 중량%를 혼화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다. 이것은 석회의 용해도가 25 ℃에서는 1.13g/ℓ이고, 20 ℃에서 1.25g/ℓ이므로 소량만 가지고도 강알칼리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고로슬래그 표면의 쇄상결합에 의한 불투수성 피막을 강알칼리 작용(pH〉12.5)에 의하여 빠르게 파괴하여 내부에 포위되어 있던 SiO4 2 - 또는 Al2O3을 용출시킨다. 용출된 SiO4 2 -와 Al2O3 이온은 석고와 반응하여 수화물을 생성한다. 이 반응은 초기에 활발히 진행되지만, 그 후에는 서서히 진행된다. 만약에 1 중량% 초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석회의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재빨리 과포화되어 결정체로 석출되는데, 수산화칼슘의 결정체는 강도가 없으므로 잉여량이 존재할 경우에는 결정체량이 많을수록 압축강도는 작아진다.
이와 같이, 고로슬래그에 레드머드, 석영, 석고, 생석회 또는 소석회, 황산알루미늄을 상기 비율에 따라 첨가하고, 여기에 물성증진제로서 석회석 0.5 내지 3 중량% 및 조경제 0.5 내지 2 중량%를 첨가함으로써 색도 및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먼저, 석회석 미분말을 0.5 내지 3 중량% 정도 혼합하면 강도가 5 내지 10% 정도 증가된다. 이것은 고로슬래그의 수화반응에서 생성되는 공극을 충전시켜 밀실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그 중의 일부는 에트린가이트 중의 황산염을 치환하여 결정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치환된 황산염이 고로슬래그의 반응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석회석을 3 중량% 초과로 첨가하더라도 그 효과는 거의 증진되지 않는다.
또한, 조경제의 첨가에 의하여 초기강도가 약 5 내지 7% 정도 향상되는데, 이는 조경제의 첨가에 의한 고로슬래그의 수화반응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조경제로는 염화칼슘, 물유리, 탄산나트륨 등을 분체상태로 또는 물에 용해하여 이용할 수 있다. 첨가되는 조경제는 0.5 내지 2 중량%이고, 그 초과량을 첨가하더라도 그 효과는 거의 증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로슬래그, 레드머드, 석영, 석고, 생석회 또는 소석회, 황산알루미늄, 석회석 및 조경제를 혼화한 후 혼화한 혼합물을 볼밀이나 튜브밀에서 4,000 내지 6,000 ㎠/g의 분말도로 미분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고로슬래그를 주재료로 하는 비소성 무기 결합재는 소성과정 없이 혼합 및 분쇄과정 만을 걸쳐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기 및 장기 재령에서 우수한 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다.
(b)강섬유
본 발명에 사용된 강섬유는 그 자체로도 블록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e)골재와 (a)비소성 무기 결합재에 포함된 광석의 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블록의 강도를 더욱 우수하게 향상시킨다.
강섬유로는 스틸 화이버, 구리 화이버 및 글라스 화이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강섬유의 함량은 비소성 무기 결합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이며,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블록을 구성하는 다른 물질들의 혼합을 방해할 수 있으며, 제조단가가 상승한다.
(C) 무기물 섬유질
본 발명에 사용된 무기물 섬유질은 투수성을 향상시키고 낮은 온도 및 높은 온도(예컨대, 여름철 및 겨울철 온도)에서 영구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무기물 섬유질은 블록을 강하게, 예컨대 점탄성 거동을 감소시켜 이에 따른 변형을 감소시키거나 블록의 강성도를 증가시켜 영구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강성도 증가는 블록의 동적강성을 크게하여 재료의 하중 분산능력 증대, 구조적 강도 및 수명을 증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무기물 섬유질은 섬유질이 풍부하여 황토, 셀라이트 및 비소성 무기 결합재의 고로슬래그, 레드머드와 결합되면 치밀한 골격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인장강도, 굽힘강도, 충격강도가 우수해지며, 빗물 등의 물을 상당량 머금을 수 있다. 이러한 무기물 섬유질은 분말로 가공이 용이하고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다.
본 발명의 무기물 섬유질은 35 내지 80 메쉬(mesh),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메쉬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무기물 섬유질 분말의 크기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황토, 고로슬래그 및 레드머드와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투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무기물 섬유질은 100 ℃이상인 건조기로 수분 함량이 5%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키는데, 이렇게 수분을 조절하면 강도 증진제 등을 첨가하지 않아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무기물 섬유질의 수분 함량이 5% 초과인 경우에는 폭발성을 갖기 때문에 위험하며, 빗물 등이 저류 블록체 및 코아블록체에 스며들면 블록이 급격히 팽창되어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섬유질은 김, 미역, 파래 등의 해조류, 땅콩껍질, 대나무, 짚, 옥수수 및 야자수 열매로 이루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무기물 섬유질의 함량은 비소성 무기 결합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이며,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무기물 섬유질의 특성을 발휘할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블록의 물성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d) 셀라이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셀라이트는 무기물 섬유질과 결합하여 블록의 보수성, 투수성 및 강도의 증대를 가져온다.
이러한 셀라이트의 함량은 비소성 무기 결합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이다. 셀라이트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우수한 보수성, 투수성 및 강도를 가질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블록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e)골재
본 발명에 사용된 골재는 다수의 공극을 더욱 형성시킴으로써 투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골재는 평균입경이 25 내지 50 mm, 20 내지 25 mm, 15 내지 20 mm, 8 내지 13 mm 또는 1 내지 3 mm 중 선택된 어느 한 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쇄석골재와 재생골재를 5:5, 7:3 또는 3:7 중 어느 하나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으로서, 단위중량이 1350 내지 1450 kg/m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코아블록체에 사용되는 골재의 입경은 10 내지 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골재는 폐콘크리트, 폐도자기, 폐타일, 폐보드류 및 폐판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골재의 함량은 저류 블록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소성 무기 결합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40 중량부로 혼합되며, 코아블록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소성 무기 결합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70 중량부로 혼합된다. 골재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배수면적이 넓지 않아 투수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f)모래, (g)안료, (h)황토 및 (i) 페트로폼 추출물
상기 (f)모래, (g)안료, (h)황토 및 (i)페트로폼 추출물은 비소성 무기 결합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30 내지 60 중량부, 1 내지 20 중량부, 10 내지 30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로 사용된다.
(f)모래는 황토와 결합시 절건 비중과 강도를 증가시킴과 더불어, 황토의 흡수율을 저감시킴으로써, 길이 변화율을 최소화하게 된다.
(g)안료는 백색의 비소성 무기 결합재의 착색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변의 경관에 어우러질 수 있는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황토는 토양의 주요 성분으로서, 블록이 최대한 주변의 경관에 어우러질 수 있도록 토양에 가까운 형태로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g)페트로폼 추출물은 나프탈렌 추출 유황산을 주성분으로 하여 유기질 탄소, Fe, Ca, P, Na, K의 성분과 에소시에이트 계면활성제, 실리게이트 수지, 트리포이트게이트수지와 약간의 무기염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포장블록의 고화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비소성 무기 결합재는 강도가 높고 착색이 용이한 것으로, 수화 작용 후 경화될 때 황토 입자 간의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때에 따라 황토의 색상으로 착색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f)모래, (h)황토 및 (i)페트로폼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수밀성이 극대화되어 동파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황토블록과 달리 고강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1. 비소성 무기 결합재의 제조
고로슬래그 72.5 중량%에 레드머드 7 중량%, 석영 3 중량%, 무수석고 12 중량%, 황산알루미늄 1.5 중량%, 생석회 1 중량%, 석회석 2 중량%, 조경제 1 중량%(물에 용해시켰음)를 혼합하고, 이를 5,000 cm2/g의 분말도를 갖도록 분쇄하여 비소성 무기 결합재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비소성 무기 결합재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레드머드를 사용하지 않고 비소성 무기 결합재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비소성 무기 결합재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고로슬래그를 사용하지 않고 비소성 무기 결합재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비소성 무기 결합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물 섬유질(60 메쉬, 수분함량 4%) 20 중량부, 스틸 화이버 10 중량부, 셀라이트 3 중량부, 골재 40 중량부, 모래 30 중량부, 안료 5 중량부, 황토 15 중량부 및 페트로폼 추출물 3 중량부로 이루어진 화합물 금형에 투입하여 저류 블록체 반제품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골재는 평균입경이 25 내지 50 mm인 쇄석골재와 폐콘크리트를 7:3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성형된 저류 블록체 반제품을 열판넬이 구비된 47 ℃의 양생실에서 24 시간 동안 양생 건조한 후 표면을 쇼트가공처리하여 저류 블록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비소성 무기 결합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물 섬유질(60 메쉬, 수분함량 5%) 30 중량부, 스틸 화이버 9 중량부, 셀라이트 5 중량부, 골재 70 중량부, 모래 30 중량부, 안료 5 중량부, 황토 15 중량부 및 페트로폼 추출물 3 중량부로 이루어진 화합물 금형에 투입하여 코아블록체 반제품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골재는 평균입경이 10 내지 20 mm인 쇄석골재와 폐콘크리트를 7:3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성형된 코아블록체 반제품을 열판넬이 구비된 47 ℃의 양생실에서 24 시간 동안 양생 건조한 후 표면을 쇼트가공처리하여 코아블록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강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저류 블록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무기물 섬유질을 사용하지 않고 저류 블록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무기물 섬유질의 수분함량이 10%인 것을 사용하여 저류 블록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셀라이트를 사용하지 않고 저류 블록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비소성 무기 결합재 대신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사용하여 저류 블록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비소성 무기 결합재 대신 제조예 3에서 제조된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사용하여 저류 블록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골재를 사용하지 않고 저류 블록체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저류 블록체(250*250*60mm)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전공극율: ‘포러스 콘크리트의 공극율 시험방법(안)’의 용적법에 의한 전공율 측정을 한다.
- 전공극율(%)=[1-(W2-W1)/V1] X 100
(V1: 공시체의 용적, W1: 공시체의 수중중량, W2: 24시간 기중 방치후의 기중중량)
2. 투수계수: KS F 4419(콘크리트의 투수계수 시험방법)에 의한 측정을 한다.
3. 유출계수: 5분 동안 2000L의 물을 뿌린 후 포장블록의 유출량을 측정한다.
- 유출계수 = 최대 강수유출량/(강우강도 X 배수면적)
4. 미끄럼 저항: KS F 2375(콘크리트의 미끄럼 저항성 시험방법)에 의한 측정을 한다.
5. 온도 저감: 포장블록 표면의 온도 및 포장블록 표면으로부터 1.2 m 떨어진 대기 온도를 측정한다.
6. 휨강도: KS F 2408(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방법)에 의한 측정을 한다.
7. 인장강도: KS F 2423(콘크리트의 인장강도 시험방법)에 의한 측정을 한다.
8. 압축강도: KS L 5201 : 2006(시멘트의 응결시간 시험방법)에 의한 측정을 한다.
9. 6가 크롬용출시험: 환경부의 폐기물 공정시험법에 의해 실시한다. 블록(28일, 20 ℃, 기중양생) 100 g을 증류수(0.1N HCl용액을 가하여 pH 5.8-6.3으로 조정) 1000 ml가 담긴 2000 ml의 삼각플라스크에 넣은 후 상온, 상압에서 진탕횟수 약 200 회/min(진폭 4-5 cm)로 6 시간 연속 진탕한다. 그 후 1.0 ㎛의 유리섬유 여과지를 이용하여 진탕한 증류수를 여과하고 추출하여 6가크롬 용출시험을 실시한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일반 아스팔트
전공극율(%) 26.9 33.7 26.4 20.4 25.3 26.5 26.8 25.9 10.3 10.4
투수계수(mm/sec) 4.0 5.6 3.8 2.7 3.3 3.0 3.5 3.5 0.8 0.9
유출계수 0.45 0.31 0.51 0.88 0.64 0.80 0.49 0.50 0.97 0.95
미끄럼 저항(BPN) 74 75 73 71 70 70 72 70 61 58
온도저감
(℃)
표면온도 30.7 28.9 31.8 33.8 32.3 33.1 32.2 32.4 32.8 45.0
대기온도 24.5 21.4 27.6 28.9 26.9 28.5 25.7 25.7 26.4 34.2
휨강도(kgf/㎠) 146 139 109 110 121 120 119 117 114 112
인장강도(kgf/㎠) 64 66 42 43 56 55 53 51 48 45
압축강도
(N/㎟)
재령3일 37.5 38.4 25.3 25.5 33.1 3.8 30.7 28.9 28.7 26.9
재령7일 52.4 53.7 32.1 32.6 40.8 41.8 42.8 38.5 35.6 33.9
재령28일 80.1 81.4 59.4 60.4 67.5 64.5 65.1 64.2 62.4 59.8
6가 크롬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저류 블록체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코아블록체는 비교예 1 내지 4 및 일반 아스팔트에 비하여 품질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강도, 투수성 및 미끄럼 저항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온도저감 효과가 일반 아스팔트에 비해서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출계수가 적은 것으로 보아 저류 블록체 및 코아블록체가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비교예 3의 저류 블록체는 빗물에 노출 후 급격하게 팽창되어 크랙이 발생하였다.
노반이 10 cm, 쿠션모래가 3 cm의 두께로 도포된 상면 위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포장블록을 설치 시 포장블록내의 일시 저류량은 각각 7.6 L(실시예 1), 8.8L(실시예 2), 6.7L(비교예 1) 1.4L(비교예 2), 3.9L(비교예 3), 3.8L(비교예 4), 7.5L(비교예 5), 7.2L(비교예 6), 6.8L(비교예 7) 1.7(일반 아스팔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100: 저류 블록체 110: 볼록결합구
120: 오목결합구 130: 관통구
140: 보강철근 200: 코아블록체
210: 코아볼록결합구 220: 코아오목결합구

Claims (16)

  1. 측면에 형성된 볼록결합구;
    상기 볼록결합구가 형성된 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측면에 볼록결합구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오목결합구; 및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관통구;로 이루어진 저류 블록체를 포함하되,
    상기 저류 블록체는 내부에 보강철근이 구비되고, 1 ㎡ 당 일시 저류량이 5 내지 10 L이며; 비소성 무기 결합재, 강섬유, 무기물 섬유질, 셀라이트, 골재, 모래, 안료, 황토 및 페트로폼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비소성 무기 결합재는 고로슬래그 70 내지 80 중량%, 레드머드 5 내지 10 중량%, 석영, 세니딘, 정장석 및 알바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광석 1 내지 5 중량%, 석고 10 내지 20 중량%, 황산알루미늄 0.5 내지 2 중량%, 생석회 또는 소석회 0.5 내지 1 중량%, 석회석 0.5 내지 3 중량% 및 조경제 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강섬유는 스틸 화이버, 구리 화이버 및 글라스 화이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며,
    상기 무기물 섬유질은 35-80 메쉬(mesh)로 분쇄되며, 수분함량이 5% 미만인 김, 미역 및 파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해조류; 땅콩껍질; 대나무; 짚 및 옥수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에 각각 형성된 볼록결합구 및 오목결합구가 상기 저류 블록체의 네 개의 측면에 모두 형성되어 다수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1 내지 3개로 형성되며, 관통구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저류 블록체가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 블록체 사이에 구비되는 코아블록체를 더 포함하며, 코아블록체는 비소성 무기 결합재, 강섬유, 무기물 섬유질, 셀라이트, 골재, 모래, 안료, 황토 및 페트로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블록체는
    일 측면에 상기 저류 블록체의 볼록결합구와 대응되는 코아오목결합구; 및
    상기 코아오목결합구가 형성된 일 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측면에 상기 저류 블록체의 오목결합구와 대응되는 코아볼록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블록체의 내부에 보강철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저류 블록체 사이에 코아블록체를 구비하는 시공방법으로서,
    시공면의 표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정리된 표면에서 제1 저류 블록체의 볼록결합구와 코아블록체의 코아오목결합구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코아블록체의 코아볼록결합구와 제2 저류 블록체의 오목결합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저류 블록체 및 코아블록체는 내부에 보강철근이 구비되고, 비소성 무기 결합재, 강섬유, 무기물 섬유질, 셀라이트, 골재, 모래, 안료, 황토 및 페트로폼 추출물을 포함하며,
    평균입경이 25 내지 50 mm, 20 내지 25 mm, 15 내지 20 mm, 8 내지 13 mm 또는 1 내지 3 mm 중 선택된 어느 한 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쇄석골재와 재생골재를 5:5, 7:3 또는 3:7 중 어느 하나의 중량비로 혼합한 골재를 이용한 상기 저류 블록체는 1 ㎡ 당 일시 저류량이 5 내지 10 L이고, 10 내지 20 mm인 크기를 가지는 쇄석골재와 재생골재를 5:5, 7:3 또는 3:7 중 어느 하나의 중량비로 혼합한 골재를 이용한 상기 코아블록체는 1 ㎡ 당 일시 저류량이 10 내지 15 L이고,
    상기 비소성 무기 결합재는 고로슬래그 70 내지 80 중량%, 레드머드 5 내지 10 중량%, 석영, 세니딘, 정장석 및 알바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광석 1 내지 5 중량%, 석고 10 내지 20 중량%, 황산알루미늄 0.5 내지 2 중량%, 생석회 또는 소석회 0.5 내지 1 중량%, 석회석 0.5 내지 3 중량% 및 조경제 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강섬유는 스틸 화이버, 구리 화이버 및 글라스 화이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며,
    상기 무기물 섬유질은 35-80 메쉬(mesh)로 분쇄되며, 수분함량이 5% 미만인 김, 미역 및 파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해조류; 땅콩껍질; 대나무; 짚 및 옥수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의 시공방법.
  13. 삭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은 저류 블록체 및 코아블록체의 일 측 표면 근처에 구비되며, 보강철근이 근처에 구비된 상기 일 측 표면이 시공면의 표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의 시공방법.
  15. 삭제
  16. 삭제
KR1020130103822A 2013-08-30 2013-08-30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26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822A KR101426354B1 (ko) 2013-08-30 2013-08-30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822A KR101426354B1 (ko) 2013-08-30 2013-08-30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354B1 true KR101426354B1 (ko) 2014-08-06

Family

ID=5174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822A KR101426354B1 (ko) 2013-08-30 2013-08-30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3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702A (ko) * 2016-10-05 2016-10-18 정경진 절곡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중공재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의 시공방법
KR101878286B1 (ko) * 2015-05-29 2018-07-16 박지운 분할 조립형 pc 블록을 갖는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CN108483549A (zh) * 2018-03-30 2018-09-04 同济大学 雨水径流污染物的净化方法以及含石英砂的净化材料
KR102576257B1 (ko) * 2022-10-05 2023-09-08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406A (ja) * 1994-06-27 1996-01-16 Takeshige Shimonohara 化粧板
KR101214596B1 (ko) 2011-01-12 2012-12-24 그렉 조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269120B1 (ko) 2013-02-19 2013-05-29 주식회사 코뉴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무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406A (ja) * 1994-06-27 1996-01-16 Takeshige Shimonohara 化粧板
KR101214596B1 (ko) 2011-01-12 2012-12-24 그렉 조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269120B1 (ko) 2013-02-19 2013-05-29 주식회사 코뉴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무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286B1 (ko) * 2015-05-29 2018-07-16 박지운 분할 조립형 pc 블록을 갖는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KR20160120702A (ko) * 2016-10-05 2016-10-18 정경진 절곡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중공재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의 시공방법
KR101691624B1 (ko) * 2016-10-05 2017-01-09 정경진 절곡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중공재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의 시공방법
CN108483549A (zh) * 2018-03-30 2018-09-04 同济大学 雨水径流污染物的净化方法以及含石英砂的净化材料
KR102576257B1 (ko) * 2022-10-05 2023-09-08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투수 및 저류 기능을 갖는 지반 포장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444B1 (ko)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틈새투수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9120B1 (ko)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무늬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1977B1 (ko)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흙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624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칼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128424B1 (ko) 비소성 시멘트를 이용한 투수블록 제조방법 및 이러한 투수블록
CN101289310B (zh) 一种低温陶瓷透水砖及其生产方法
KR101205491B1 (ko) 광촉매 코팅이 구비된 비소성 시멘트 투수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113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환경친화형 칼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214596B1 (ko)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575791B1 (ko) 흙 콘크리트 조성물
CN106045416A (zh) 一种绿色环保高强透水砖
KR101526286B1 (ko) 투수성 및 보수성을 가지는 비소성 보차도용 바닥포장 구조물
KR101673838B1 (ko) 복합 투수 기능을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보차도용 바닥포장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6354B1 (ko)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71146B1 (ko) 보투수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투수성 포장 시공방법
KR101241820B1 (ko) 비소성 시멘트를 이용한 옹벽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5497B1 (ko) 비소성 시멘트를 이용한 식생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4887B1 (ko) 친환경 흙콘크리트 조성물
KR101421044B1 (ko)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투수블록
KR101440407B1 (ko) 친환경 황토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ehagia Construction of an unpaved road using industrial by-products (bauxite residue)
EP2305620B1 (en) The use of a concrete material comprising aggregates, cement and a cement additive comprising a mixture of three zeolites for making a prefab construction material.
KR101069249B1 (ko) 시멘트를 첨가하지 않는 비소성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3132B1 (ko) 흙을 주재로 하는 바인더 조성물
KR102455242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공기 정화 기능 및 중금속 흡착 기능을 갖는 천연 광물을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럭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