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596B1 -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4596B1 KR101214596B1 KR1020110002940A KR20110002940A KR101214596B1 KR 101214596 B1 KR101214596 B1 KR 101214596B1 KR 1020110002940 A KR1020110002940 A KR 1020110002940A KR 20110002940 A KR20110002940 A KR 20110002940A KR 101214596 B1 KR101214596 B1 KR 1012145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water
- cement
- permeable concrete
- aggreg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9000010882 bottom ash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29920000876 geopolymer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3638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0881 fly as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499 joint compou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01854 alkali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50000008044 alkali metal hydr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115 Sodium Silic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NTHWMYGWWRZVTN-UHFFFAOYSA-N Sod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Na+].[Na+].[O-][Si]([O-])=O NTHWMYGWWRZVT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911 sod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7170 Cocos nucife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111 Potassium silic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NNHHDJVEYQHLHG-UHFFFAOYSA-N Potass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K+].[K+].[O-][Si]([O-])=O NNHHDJVEYQHLH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LWIHDJKSTIGBAC-UHFFFAOYSA-K Tripotass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K+].[O-]P([O-])([O-])=O LWIHDJKSTIGBAC-UHFFFAOYSA-K 0.000 claims description 4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913 potass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353 potassium silic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398 Portland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1732 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160 potas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1100000489 sensitizer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798 tripotassium phosph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ODINCKMPIJJUCX-UHFFFAOYSA-N calcium monoxide Chemical compound [Ca]=O ODINCKMPIJJUC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9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Chemical compound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36975 Permeability coef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883 coal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893 sla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PNEYBMLMFCGWSK-UHFFFAOYSA-N AI2O3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910 alkali metal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KWYUFKZDYYNOTN-UHFFFAOYSA-M potass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K+] KWYUFKZDYYNOT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487 silica fum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JHLNERQLKQQLRZ-UHFFFAOYSA-N Calc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Ca+2].[Ca+2].[O-][Si]([O-])([O-])[O-] JHLNERQLKQQLR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IVNPJMFVYWSIS-UHFFFAOYSA-N silic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Si-]#[O+] LIVNPJMFVYWSI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ZPWVASYFFYYZEW-UHFFFAOYSA-L Dipotass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OP([O-])([O-])=O ZPWVASYFFYYZE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23 S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1 calc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96 dipotas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97 dipotass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M hydroxyl anion Chemical compound [OH-] XLYOFNOQVPJJNP-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60 ir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00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0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65—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materials, e.g. concrete layers of different structure, special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와 지오폴리머를 사용하고 바텀애시를 골재로 사용하여 물성이 우수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결합재로서 시멘트와 지오폴리머, 골재로서 바텀애시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에 고성능 감수제 및 강도 보강재를 첨가하여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CO2가 대량 발생되는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이고, 시멘트 콘크리트에 비하여 저수축율을 가지며, 내열성, 굽힘강도, 내동해성, 내구성, 고강도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CO2가 대량 발생되는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이고, 시멘트 콘크리트에 비하여 저수축율을 가지며, 내열성, 굽힘강도, 내동해성, 내구성, 고강도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합재로 시멘트와 지오폴리머를 사용하고 바텀애시를 골재로 사용하여 투수성, 강도, 내동해성 및 내화학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도로의 보도나 광장 등의 포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터록킹 블록은 투수성이 매우 낮은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이 사용되고 있어 우천 시에 빗물의 대부분은 지표면에 따라 유동하여 도로의 하수구로 배수되고 있다. 따라서 강수량이 일시에 급격히 많아지는 경우 우수가 지하로 흡수되지 않아 시가지의 범람이 잦아지고 있다. 한편 호안이나 도로 변의 산 절개벽면 등에 시공되고 있는 녹화블록도 식물생장을 위해 다공질이나 투수성의 콘크리트 제품이 요구되고 있으며, 공원 내의 도로, 주차장, 자전거 도로 등에도 열섬 효과의 억제, 양호한 배수효과 등을 얻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투수성 블록이나 포장재가 요구되고 있다.
투수성 불록이나 도로 포장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 제품과 달리 균일한 입도의 굵은 골재를 사용하므로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적당한 투수성을 유지하면서 압축 및 굽힘강도가 높은 투수성 블록이나 포장 콘크리트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이들의 구성 재료들이 환경친화적인 재료들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
최근에는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플라이애시와 바텀애시의 재활용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연간 약 일천만 톤 이상 발생되는 플라이애시의 효과적인 활용방안도 요구되고 있다.
그동안 개발된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중에서 투수성 콘크리트에 관한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포틀랜드 시멘트 20~25중량%, CSA계 시멘트 2~4중량%, 브레인 입도 4,000~5,000㎠/g인 미분말 플라이애시 3~6중량%, 브레인 입도가 4,000~5,000㎠/g인 고로 슬래그 3~6중량% 및 굵은 골재로서 입경이 5~20㎜인 바텀애시 60~70중량%를 포함하는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다양한 색상의 천연 골재 70~90중량부, 고로 슬래그 5~15중량부, 활성 플라이애시 5~15중량부, 가성석회 2.5~7.5중량부로 혼합 구성되고, 골재의 상층부와 하층부는 각각 2~8㎜와 13~40㎜ 골재 크기의 슬러리로 이루어진 복층형 투수평판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 제올라이트는 고온으로 양생하여야 생성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높고, 활성 플라이애시를 얻기 위해서는 또 다른 열처리를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시멘트 결합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나 에폭시 또는 멜라민 수지 등을 결합제로 사용한 투수성 블록제품에 있어서는 바텀애시의 다공성 공극이 수지에 의해 메워져 투수성 및 보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시멘트, 조골재, 및 규산칼슘수화물 분말인 분말상 혼화제, 고성능 감수제 및 물을 사용하여 50kg/㎠이상의 굽힘강도를 가진 폴러스 콘크리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규산칼슘 수화물과 실리카흄 등의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4에는 50 kg/㎠이상의 굽힘강도를 가지고, 0.1㎝/sec이상의 투수계수를 갖는 현장 타설 투수성 콘크리트의 결합재 조성물로서 실리카흄, 울라스토나이트의 혼화재를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32.5중량부, 24중량부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포장용 결합재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서는 고가인 실리카흄 등의 혼화재를 사용하고 있어 경제성이 의문시되며, 골재로는 폐기물인 바텀애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자연산 쇄석이나 자연산 골재를 사용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텀애시를 골재로 사용하는 투수성 콘크리트의 단점인 낮은 굽힘 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새로운 투수성 콘크리트에 있어서 골재를 바텀애시로 대체하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혼화재를 사용하여 규격에 적합한 투수성 콘크리트의 개발이 필요하고, 결합재로서 시멘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멘트 생산시에 CO2가 대량 발생(시멘트 1톤 생산 시에 CO2 약 1톤 발생)되기 때문에 지구환경에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결합재인 시멘트의 사용량을 대폭 줄이고, 폐기물인 바텀애시를 골재로 사용하여 투수성 및 굽힘강도가 높은 콘크리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는 결합재로서 시멘트와 지오폴리머, 골재로서 바텀애시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에 고성능 감수제 및 강도 보강재를 첨가하여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는 포트랜드시멘트이고, 상기 지오폴리머는 플라이애시, 알칼리규산염 및 알칼리수산화물이나 레드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에 있어서, 상기 지오폴리머는 플라이애시 60~75중량%, 알칼리수산화물 또는 레드머드 5~20중량%, 규산소다 또는 규산칼륨 5~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에 있어서, 상기 바텀애시 골재는 1~3㎜, 3~5㎜, 5~10㎜의 크기로 선별한 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에 있어서, 상기 감수제는 나프타린산, 카아복실산 및 인산칼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재는 아크릴이나 비닐의 유기질 섬유 또는 야자수나 코코넛 열매를 건조하여 분쇄한 식물성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콘크리트는 결합재로서 시멘트와 지오폴리머가 각각 10~20중량%와 5~20중량%, 골재로서 바텀애시 60~8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에 있어서, 상기 감수제는 상기 결합재 사용량에 대해 0.1~0.5%를 첨가하고, 상기 강도보강재는 상기 혼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1~3중량%를 첨가하며, 물은 물/결합재의 비가 0.15~0.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투수성 콘크리트를 형틀에 주입하고, 상기 형틀을 진동기 상에 장착한 후, 0.5~3분간 진동시켜 상기 형틀내의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진동이 완료된 상기 형틀을 스팀 가열실에서 60~90℃로 1~2시간 경화시킨 후, 탈형하여 상온에서 최소한 10시간 양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조시에 CO2가 대량 발생되는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이고, 시멘트 콘크리트에 비하여 저수축율을 가지며, 내열성, 굽힘강도, 내동해성, 내구성, 고강도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화력발전소에서 폐기물로 다량 발생하는 플라이애시와 레드머드를 결합재로 사용하고, 바텀애시를 골재로 사용하므로 그 제조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바텀애시 외형 사진
도 2는 플라이애시의 현미경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조된 투수 콘크리트 판재 및 블록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조된 투수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플라이애시의 현미경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조된 투수 콘크리트 판재 및 블록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조된 투수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회분(ash)이란 석탄이나 폐기물 등을 소각(incineration) 또는 연소(combustion) 한 후에 미연소로 잔재하는 무기물로 정의된다. 애시(Ash)의 대부분이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그 이외에도 폐기물 소각로와 열병합 발전소 및 기타 산업현장에서 연소공정으로 인하여도 발생되고 있다. 애시는 연소물의 잔재물이라는 점에서 곧 무기물질(예, SiO2, Al2O3, Fe2O3, CaO 등)로서 재활용 가능한 재료에 속한다.
석탄분말을 연소시시면 유기물은 연소되고, 무기물은 "회분(ash)"으로 남아 있게 된다. 이 회분은 보일러 내에 분산되는 상태에서 일부는 응집되어 보일러 내벽 등에 부착되어 괴상의 형태를 이루게 되고, 가볍고 미세한 입자는 배기 과정에서 전기 집진기에 의해서 채취된다. 보일러 내벽 등에 부착되는 괴상의 회분을 이른바 "바텀애시"라고 부르고, 집진기에 의해서 채취되는 재를 "플라이애시"라고 부른다.
대부분의 석탄회분 중 집진설비 내에서 포집되는 플라이애시의 양은 약 85% 정도이고 나머지 약 15% 정도가 보일러 내벽에 부착되었다가 바닥에 떨어져 채취되는 바텀애시이다.
바텀애시는 보일러의 벽면이나 예열기, 절단기 등에 부착되어 있다가 자중이나 부하변동 제진장치 등에 의하여 보일러 바닥에 떨어져 호퍼(hopper)내에 집적된 후 분쇄기에 의해 분쇄되어 폐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폐기되는 바텀애시는 짙은 회색의 불균일한 괴상으로 관찰되는데 유리질 혹은 다공질의 표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임의의 크기를 가진 불규칙한 괴상형태의 입자이다. 바텀애시의 주 화학성분으로 SiO2, Al2O3, Fe2O3, CaO, MgO, Na2O 및 K2O를 포함한다. 이중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산화철(Fe2O3)의 성분비가 각각 70.0~45.4%, 28.3~15.9%, 14.3~2.0%의 순으로 바텀애시의 화학성분들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바텀애시에는 플라이애시나 제강 슬래그나 동제련 슬래그와 같이 많은 양의 유리상(Glass paste)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지만 장기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도의 유리상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바텀애시의 물리적 특성으로서, 바텀애시의 색상은 대부분 회색을 띄고 있으며 짙은 황색과 검정색 회백색에 이르기까지 생성 환경에 따라 여러 색상을 띠고 있다. 미연탄소 입자는 검정색을 띠고, 실리카와 알루미나 성분이 많은 것은 회백색과 황색을 띠고 있다. 바텀애시는 결합재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입자모양이나 화학성분 등의 조건이 맞지 않는다.
또, 바텀애시의 비중은 2.1에서 2.7정도이고, 바텀애시의 건조중량은 720~1,600㎏/㎥이며, 가소성은 없으며 흡수율은 2.0%~10.0%정도로 대단히 광범위하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는 이와 같은 바텀애시 골재와 무기질 시멘트 및 지오포리머의 결합재와 첨가제로서 감수제와 아크릴이나 유기질 비닐 섬유 또는 야자수나 코코넛 열매 섬유 등의 강도 보강제를 첨가하고, 물과 함께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고온 경화한 후에 상온에서 양생시켜 다양한 형태의 투수성 콘크리트 제품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투수성 콘크리트 제품은 50㎏/㎠이상(KSF 4419 제8.1항 "굽힘강도 시험방법"에 의거)의 굽힘강도를 갖고, 0.08㎝/sec이상(KSF 4419 제8.4항 "투수성 시험방법"에 의거)의 투수계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에서 사용되는 바텀애시는 화력발전소에서 분쇄하여 폐기 매립되는 석탄재를 입도가 1~15㎜, 바람직하게는 1~10㎜입도로 분급하고, 분급된 골재를 1, 3, 5 및 10㎜인 체로 체질하여 1~3㎜, 3~5㎜, 5~10㎜의 크기로 입도를 조정한 균일한 크기의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텀애시의 화학조성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고, 외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성분 | SiO2 | Al2O3 | Fe2O3 | CaO | MgO | K2O | Na2O | TiO2 |
중량% | 57.40 | 26.25 | 5.67 | 1.75 | 0.11 | 1.68 | 1.05 | 0.80 |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플라이애시는 화력발전소에서 석탄 연소시 발생되는 석탄회분이 비산되어 전기집진기에 포집된 20㎛이하 크기의 구상입자로서, 그 화학성분은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고, 외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성분 | SiO2 | Al2O3 | Fe2O3 | CaO | MgO | K2O | Na2O | TiO2 |
중량% | 52.20 | 28.90 | 9.77 | 0.83 | 0.30 | 1.38 | 0.35 | 1.98 |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레드머드는 보오크사이드를 바이어프로세스로 수산화알루미나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강알칼리의 분말상의 폐기물(KC주식회사의 상품명 "스칼릿파우더")로서 그 입도는 10㎛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서, 그 화학성분은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성분 | SiO2 | Al2O3 | Fe2O3 | CaO | MgO | K2O | Na2O | TiO2 |
중량% | 20.30 | 22.40 | 15.50 | 8.90 | 0.30 | 0.03 | 11.00 | 6.67 |
한편, 강도 보강재는 아크릴이나 비닐 등의 유기질 섬유 또는 야자수나 코코넛 열매를 건조하여 분쇄한 식물성 섬유를 사용한다.
강도 보강재의 사용량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의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2~2.0중량%를 첨가한다.
감수제는 나프타린산, 카아복실산 또는 인산수소칼륨을 사용하고,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결합재 사용량에 대하여 0.1~0.5중량%를 첨가한다.
물/결합재의 비는 0.15~0.25의 중량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오폴리머는 플라이애시, 알칼리수산화물, 알칼리 규산염으로 구성되고, 알칼리수산화물은 수산화소듐, 수산화칼륨 또는 레드머드를 사용하며, 알칼리규산염은 규산소듐, 규산칼륨을 사용한다. 그 배합비율은 플라이애시 60~75중량%, 알칼리수산화물(NaOH) 또는 레드머드 5~20중량%, 규산소다(Na2SiO3) 5~20중량%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는 결합재로서 시멘트와 지오폴리머를 각각 10~20중량%, 5~20중량%, 골재로서 바텀애시 60~85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감수제는 결합재인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의 사용량에 대하여 0.1~0.5중량%, 강도보강재는 결합재와 골재 혼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유기질 섬유 1~3중량%을 각각 첨가하며, 물은 물/결합재의 비가 0.15~0.25의 중량비가 되도록 첨가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콘크리트는 결합재인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의 양이 각각 10중량% 및 5중량% 미만인 경우에 투수계수는 우수하나 굽힘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의 양이 각각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 굽힘강도는 높아지나 투수계수가 저하된다. 따라서, 투수계수와 굽힘강도가 바람직한 값을 갖는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의 양은 시멘트 15~18중량%, 지오폴리머 10~15중량%가 바람직하다.
한편, 물/결합재의 비가 0.15미만인 경우에는 결합재가 골재표면에 부착되는 부착력이 감소되고, 0.25를 초과하면 굽힘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물의 양은 물/결합재의 비는 0.15~0.25가 바람직하고, 0.20~0.23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텀애시 골재는 1~3㎜, 3~5㎜, 5~10㎜의 크기로 선별한 것을 사용한다.
표 4는 상기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의 배합비율을 변화시켜 가면서 투수성 콘크리트 제품을 제조하여 그 물성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 분 |
결합재(중량%) | 바텀애시 골재(중량%) | 첨가제 | 압축 강도 (㎏/㎠) |
굽힘 강도 (Mpa) |
투수계수 (㎝/sec) |
||||
시멘트 | 지오 폴리머1 ) |
1-3㎜ |
3-5㎜ |
5-10㎜ |
감수제2 ) (%) |
섬유 보강재3 ) (중량%) |
||||
실시예1 | 20 | 20 | 10 | 25 | 25 | 0.2 | 1.0 | 320 | 5.3 | 8x10-2 |
실시예2 | 15 | 20 | 10 | 25 | 30 | 0.2 | 1.0 | 300 | 5.0 | 1.5x10-1 |
실시예3 | 10 | 15 | 10 | 33 | 32 | 0.2 | 1.0 | 280 | 4.5 | 3.5x10-1 |
실시예4 | 10 | 10 | 17 | 31 | 32 | 0.2 | 1.5 | 220 | 3.9 | 8.0x10-1 |
실시예5 | 10 | 5 | 17 | 36 | 32 | 0.2 | 1.5 | 230 | 3.0 | 8.5x10-1 |
실시예6 | 15 | 15 | 10 | 28 | 32 | 0.2 | 2.0 | 310 | 5.4 | 2.0x10-1 |
실시예7 | 20 | 15 | 10 | 30 | 25 | 0.2 | 2.0 | 330 | 5.4 | 9.0x10-2 |
비교예1 | 20 | - | 12 | 36 | 32 | 0.2 | - | 180 | 2.8 | 8.0x10-1 |
비교예2 | 30 | - | 10 | 28 | 32 | 0.2 | - | 200 | 3.0 | 6.0x10-1 |
비교예3 | 40 | - | 10 | 20 | 30 | 0.2 | - | 230 | 3.5 |
주1) 지오폴리머 결합재 : 플라이애시 70중량%, 레드머드 20중량%, Na2SiO3 5중량%, NaOH 5중량%
2) 감수제는 결합재 사용량에 대한 비율
3) 강도보강재는 결합재 및 골재로 이루어지는 혼합물 100중량%에 대한 첨가량
4) 시험체의 가로, 세로, 높이는 220*110*80㎜의 직육면체임.
이하, 본 발명의 투수성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공정을 도 4에 따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조된 투수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결합재인 시멘트 10~20중량%, 지오폴리머 5~20중량%와 바텀애시 골재 60~8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에 결합재 사용량에 대하여 0.1~0.5%의 감수제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1~3중량%의 유기질 섬유를 첨가하며, 물/결합재의 비가 0.15~0.25의 중량비가 되도록 물을 첨가한 후 혼합한 콘크리트를 준비한다(S10).
상기 S10 단계에서 혼합된 콘크리트를 일정 크기의 형틀에 주입하고, 콘크리트가 주입된 형틀을 진동기 상에 장착한 후, 바람직하게는 0.5~3분간, 더 바람직하게는 1~2 분간 진동시켜 형틀 내에서 콘크리트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여 형상을 갖추도록 한다(S20).
여기에서 사용되는 형틀은 도 3에 도시된 평판이나 불록을 제조하기 위한 형태이다. 그 형태는 포장도로, 보도, 주차장, 자전거 도로 등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므로 그 형틀 내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S20 단계에서 진동이 완료된 형틀을 스팀 가열실에서 60~90℃로 1~2시간, 바람직하게는 60℃에서 1시간동안 경화시킨다(S30).
상기 S30 단계에서 경화된 블록이나 판재 등의 콘크리트 제품을 형틀로부터 탈형 시킨다(S40). 탈형 시기는 형틀의 크기나 높이 등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온도가 상온 상태로 저하되었을 때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형된 콘크리트 제품은 햇볕이 직접 조사되지 않고 통풍이 잘되는 상온의 장소에서 최소 10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1 주일동안 양생시킨다(S50).
이와 같이 제조된 시험체의 압축강도, 굽힘강도 및 투수계수가 표 3에 나타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고형 폐기물인 바텀애시를 골재로서 사용하고, 플라이애시를 원료로 사용하는 지오폴리머를 결합재로 사용함으로써, 석탄재를 재활용하는 산업분야에서 그 활용이 가능하고, 지오폴리머 결합재를 시멘트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지구의 탄소발생량을 대폭 저감하기 위한 친환경분야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의 단점인 내화학성, 특히 내산성, 내폭열성, 저수축율을 갖는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여 건축재의 흡음재료(방음벽), 내산성 수로관, 전주, 구조물의 구축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Claims (9)
- 결합재로서 포트랜드시멘트와 지오폴리머, 골재로서 바텀애시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에 고성능 감수제 및 강도 보강재를 첨가하여 혼합한 것으로,
상기 혼합물은 결합재로서 시멘트와 지오폴리머가 각각 10~20중량%와 5~20중량%, 골재로서 바텀애시 60~85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오폴리머는 플라이애시, 알칼리수산화물 또는 레드머드, 규산소다 또는 규산칼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텀애시 골재는 1~3㎜, 3~5㎜, 5~10㎜의 크기로 선별한 골재로서 상기 혼합물 총량에 대하여 1~3㎜인 것을 10~17중량%, 3~5㎜인 것을 25~33중량%, 5~10㎜인 것을 25~32중량%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성능 감수제는 상기 결합재 사용량에 대해 0.1~0.5중량%를 첨가하고, 상기 강도보강재는 상기 결합재와 골재 혼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1~3중량%를 첨가하며, 물은 물/결합재의 비가 0.15~0.25의 중량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콘크리트.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폴리머는 플라이애시 60~75중량%, 알칼리수산화물 또는 레드머드 5~20중량%, 규산소다 또는 규산칼륨 5~20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콘크리트.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성능 감수제는 나프타린산, 카아복실산 및 인산칼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콘크리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재는 아크릴이나 비닐의 유기질 섬유 또는 야자수나 코코넛 열매를 건조하여 분쇄한 식물성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콘크리트. - 삭제
- 삭제
- 상기 특허청구범위 제 1항, 제 3항, 제 5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투수성 콘크리트를 형틀에 주입하고, 상기 형틀을 진동기 상에 장착한 후, 0.5~3분간 진동시켜 상기 형틀내의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진동이 완료된 상기 형틀을 스팀 가열실에서 60~90℃로 1~2시간 경화시킨 후, 탈형하여 상온에서 최소한 10시간 양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940A KR101214596B1 (ko) | 2011-01-12 | 2011-01-12 |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940A KR101214596B1 (ko) | 2011-01-12 | 2011-01-12 |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1687A KR20120081687A (ko) | 2012-07-20 |
KR101214596B1 true KR101214596B1 (ko) | 2012-12-24 |
Family
ID=4671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2940A KR101214596B1 (ko) | 2011-01-12 | 2011-01-12 |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4596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6354B1 (ko) | 2013-08-30 | 2014-08-06 | 주식회사 코뉴 |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509444B1 (ko) * | 2013-11-11 | 2015-04-09 | 주식회사 코뉴 |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틈새투수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510672B1 (ko) * | 2013-10-08 | 2015-04-13 | 주식회사 코뉴 |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식재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518443B1 (ko) * | 2013-08-21 | 2015-05-11 | 주식회사 알씨산업 | 산업폐기물을 골재로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품의 제조방법 |
KR101760216B1 (ko) * | 2016-08-26 | 2017-07-20 | 그렉 조 | 강도가 향상된 플라이애쉬 발포체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강도가 향상된 플라이애쉬 발포체 블록 |
KR101768388B1 (ko) * | 2016-08-26 | 2017-08-14 | 그렉 조 | 플라이애쉬 발포체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플라이애쉬 발포체 블록 |
KR101896251B1 (ko) | 2018-03-05 | 2018-09-10 |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 투수성과 보수성을 함께 구비한 경량 보도블록 |
KR20190039483A (ko) * | 2019-04-01 | 2019-04-12 | 김창석 | 토목용 조성물,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도로시설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설 |
KR102000102B1 (ko) | 2018-11-19 | 2019-07-15 | (주)이스텍 | 고강도 스마트 투수콘크리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고강도 스마트 투수콘크리트 제품 |
KR20230014131A (ko) | 2021-07-20 | 2023-01-30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표면 개질 폐유리골재를 활용한 열섬 저감 블록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67536B (zh) * | 2016-05-11 | 2019-08-09 | 河北建设勘察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常温下赤泥和粉煤灰地质聚合物材料配方及其制备方法 |
CN105837067B (zh) * | 2016-05-11 | 2019-02-19 | 河北建设勘察研究院有限公司 | 一种赤泥和粉煤灰地质聚合物材料配方及其制备方法 |
CN106007418B (zh) * | 2016-05-11 | 2019-02-01 | 河北建设勘察研究院有限公司 | 一种脱碱赤泥和粉煤灰地质聚合物材料配方及其制备方法 |
KR101724125B1 (ko) * | 2016-12-01 | 2017-04-06 | (주)삼성건업 | 콘크리트 단면보수재 조성물 |
CN110606720B (zh) * | 2019-10-08 | 2022-03-29 | 浙江天地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高掺量粉煤灰基透水砖的制备方法 |
CN111847995B (zh) * | 2020-05-28 | 2021-06-01 | 山东高速集团有限公司 | 一种赤泥基固废透水混凝土及其制备方法与应用 |
CN111995269B (zh) * | 2020-08-06 | 2022-03-29 | 广东同创科鑫环保有限公司 | 一种赤泥基胶凝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KR102477116B1 (ko) * | 2021-10-15 | 2022-12-14 | (주)삼진콘크리트 | 바텀 애시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럭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콘크리트 블럭 |
KR102455242B1 (ko) * | 2022-07-04 | 2022-10-17 | 김광일 |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공기 정화 기능 및 중금속 흡착 기능을 갖는 천연 광물을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럭 및 그 제조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1637B1 (ko) * | 2006-12-01 | 2007-07-20 | 최경득 |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은 환경친화형 블록 |
KR100846821B1 (ko) * | 2007-01-22 | 2008-07-16 | 카운슬 오브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 플라이 애쉬로부터 지오폴리머 물질을 제조하는 공정 |
-
2011
- 2011-01-12 KR KR1020110002940A patent/KR1012145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1637B1 (ko) * | 2006-12-01 | 2007-07-20 | 최경득 |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은 환경친화형 블록 |
KR100846821B1 (ko) * | 2007-01-22 | 2008-07-16 | 카운슬 오브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 플라이 애쉬로부터 지오폴리머 물질을 제조하는 공정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8443B1 (ko) * | 2013-08-21 | 2015-05-11 | 주식회사 알씨산업 | 산업폐기물을 골재로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품의 제조방법 |
KR101426354B1 (ko) | 2013-08-30 | 2014-08-06 | 주식회사 코뉴 | 비소성 결합재를 이용한 빗물투수와 저류가 가능한 포장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510672B1 (ko) * | 2013-10-08 | 2015-04-13 | 주식회사 코뉴 |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식재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509444B1 (ko) * | 2013-11-11 | 2015-04-09 | 주식회사 코뉴 | 비소성 무기 결합재를 이용한 틈새투수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760216B1 (ko) * | 2016-08-26 | 2017-07-20 | 그렉 조 | 강도가 향상된 플라이애쉬 발포체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강도가 향상된 플라이애쉬 발포체 블록 |
KR101768388B1 (ko) * | 2016-08-26 | 2017-08-14 | 그렉 조 | 플라이애쉬 발포체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플라이애쉬 발포체 블록 |
KR101896251B1 (ko) | 2018-03-05 | 2018-09-10 |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 투수성과 보수성을 함께 구비한 경량 보도블록 |
KR102000102B1 (ko) | 2018-11-19 | 2019-07-15 | (주)이스텍 | 고강도 스마트 투수콘크리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고강도 스마트 투수콘크리트 제품 |
KR20190039483A (ko) * | 2019-04-01 | 2019-04-12 | 김창석 | 토목용 조성물,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도로시설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설 |
KR102067925B1 (ko) * | 2019-04-01 | 2020-01-17 | 김창석 | 토목용 조성물을 이용한 배수시설 |
KR20230014131A (ko) | 2021-07-20 | 2023-01-30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표면 개질 폐유리골재를 활용한 열섬 저감 블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1687A (ko) | 2012-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4596B1 (ko) |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 |
Siddique | Utilization of coal combustion by-products in sustainable construction materials | |
KR101198327B1 (ko) | 슬러지 폐기물을 이용한 경량 건축자재의 제조 방법 | |
KR100592781B1 (ko) | 바텀애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 |
CN110606720B (zh) | 一种高掺量粉煤灰基透水砖的制备方法 | |
CN108129084B (zh) | 一种煤矸石钢渣复配麦秸秆灰制备高强透水砖的方法 | |
JP2008247728A (ja) | 保水性ブロックの製造方法 | |
CN112321269B (zh) | 一种二氧化碳碳化的再生透水砖及其制备工艺 | |
Namkane et al. | Utilization of coal bottom ash as raw material for production of ceramic floor tiles | |
KR101066194B1 (ko) | 바텀애시 보수성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03992071B (zh) | 一种利用抛光砖废渣生产混凝土砌砖的制作工艺 | |
JP3188200B2 (ja) | 人工軽量骨材の製造方法 | |
KR100448330B1 (ko) | 석탄회를 이용한 인공골재 및 그 제작방법 | |
KR101518443B1 (ko) | 산업폐기물을 골재로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품의 제조방법 | |
KR100967819B1 (ko) | 폴리실리콘 제조공정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활용한 성토재용 조성물, 성토재 및 그 제조방법 | |
EP2305620B1 (en) | The use of a concrete material comprising aggregates, cement and a cement additive comprising a mixture of three zeolites for making a prefab construction material. | |
JP2005060159A (ja) | 無機系廃棄物を活用した保水、透水性セラミックス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80127562A (ko) | 투수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보도 블럭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보도 블럭의 제조방법 | |
CN1931774B (zh) | 再生房渣石灰稳定土及其制备方法 | |
JP2008075270A (ja) | 保水性ブロック | |
KR101022895B1 (ko) | 가로수 보호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 |
KR20190014396A (ko) | 석재가공 중 발생하는 폐기물을 재활용한 블록 및 그 제조방법 | |
KR100960874B1 (ko) | 흙 길 포장 공법 | |
KR102073375B1 (ko) | 우드칩이 포함된 친환경 흙 포장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흙 포장도로 시공공법 | |
Patankar et al. | Effect of concentration of alkaline solutions on the development of geopolymer mort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