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096B1 -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096B1
KR101282096B1 KR1020110002176A KR20110002176A KR101282096B1 KR 101282096 B1 KR101282096 B1 KR 101282096B1 KR 1020110002176 A KR1020110002176 A KR 1020110002176A KR 20110002176 A KR20110002176 A KR 20110002176A KR 101282096 B1 KR101282096 B1 KR 10128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support
layer
sidewalk block
sidewalk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770A (ko
Inventor
최강진
Original Assignee
최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강진 filed Critical 최강진
Priority to KR102011000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0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0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한 쌍의 경계석(11, 14) 사이에, 지층(13)을 평탄하게 정리한 후 그 상측에 보도블록층(17)을 구비하는 인도(10)에서, 상기 지층(13)과 상기 보도블록층(17) 사이에 구비되는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층(13) 위에, 각각 개별 보도블록(17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다수의 상하방향으로 난 통공(150a)을 가지며 적어도 그 상부면이 평탄한 일정한 두께의 판상의 다공성 지지부재(150)가 복수개 서로 결합된 다공성 지지층(15)을 포함하되, 다공성 지지부재(150) 각각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테두리부(151, 152, 153, 154)를 구비하고 이 테두리부(151, 152, 153, 154)에 상하로 대칭적인 오목한 홈(151a, 151b; 153a, 153b)이 적어도 한 쌍 형성되며, 인접한 두 개의 다공성 지지부재(150)의 테두리부(151, 153)가 서로 접할 때 각각 상하로 대칭적인 한 쌍의 홈(151a, 151b, 153a, 153b)도 서로 접하며, 이 서로 접하고 있는 홈에 후크형 클립(180)이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인접한 다공성 지지부재(150)들이 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보도블록의 부분 침하를 방지하면서도, 투수성 구조를 가지며,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종래 널리 사용하는 통상적인 경계석과 보도블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적용가능성이 높다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SUBSIDENCE PREVENT STRUCTURE OF FOOTWAY}
본 발명은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도블록과 지면 사이에 복수의 다공성 지지부재를 병렬 설치하되, 복수의 후크형 클립을 각각의 다공성 지지부재의 테두리에 다수 형성된 오목한 홈에 맞추어 상하방향에서 교호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도블록 사이를 침투하는 물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공들을 통과하여 지하로 스며들 수 있게 하여 식물생장에 필요한 지하수 확보가 용이토록 한 새로운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주행하는 차도(1)와 사람이 이동하는 인도(또는 보도)(10)로 구분되어 시공된다. 인도의 경우, 지표층을 평탄하게 정리한 후 그 위에 보도블록의 평탄도를 보장하기 위한 버퍼층으로서 모래층을 깔고, 이 모래층 위에 보도블록층을 시공하게 되며, 보도블록층의 좌우에는 한편으로 인도와 차도를 구분짓고 다른 한편으로 인도와 인접 토지를 구분짓기 위한 경계석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보도블록을 이용한 인도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표면 중 일부의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 보도블록들도 하부의 지표면을 따라 울퉁불퉁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걷기에도 불편한 상태로 변하게되며 안전상의 문제도 있었다.
또 보도블럭이 울퉁불퉁하여 사람의 보행이나 이동구들의 이동으로 인한 보도블록의 파손이 빨리 진행되어 보수 내지는 재시공되는 시점이 빨라져 경제적 손실도 크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종래에 보도블록을 시공한 인도의 평탄도를 유지하기 위한 제안으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589444호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구조"의 등록공보와 국내 등록특허 제10-0699328호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블록 설치의 개선구조"의 등록공보에는 보도블록의 하부에 격자형 지지틀을 설치하고 보도블록 사이에는 배수부재를 설치한다는 구조를 기재하고 있다. 이는 인도 양측의 경계석에 그 양단부가 지지된 지지틀에 의하여 보도블록이 지표면의 침하에도 불구하고 일정하게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빗물 등이 인도 표면을 흘러 측면으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지표면에 흘러내려 지표가 침하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도로 전체에 걸쳐 즉 차도 뿐만이 아니라 인도까지도 빗물이 스며들지 못하고 표면을 흐르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의 도로는 통상적으로 인도의 외측에도 콘크리트 등으로 씌워져 있는 도시 환경에 의하면 빗물이 거의 지하로 스며들 수 있는 여지가 없게 된다. 그러나 도시 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도로에는 많은 가로수나 조경수, 초화류, 잔디등 지피식물등이 심겨져 있으며, 이러한 가로수나 조경수와 같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이 인도를 통하여 지표로 스며들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목의 생육에서 생존까지 많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지지틀의 양단이 양측 경계석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구조를 하므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경계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고 특별히 제작한 경계석만을 사용해서 보도블럭을 시공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도블록의 하부면도 십자형의 홈이 형성되어 이 격자형 지지틀이 끼워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널리 사용하는 통상적인 보도블록을 전혀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시공시 전용의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제한이 가해지고 이는 시공시간과 비용을 상승시킬 수 있어 그 유용성이 적었다.
따라서 보도블록을 설치하는 인도의 구조에 있어서 지표의 부분 침하에도 불구하고 보도블록의 요철을 방지하면서, 빗물이 인도 지하로 스며들 수 있도록 투수성 구조를 가지며,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종래 널리 사용하는 통상적인 여러 형태의 경계석과 보도블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적용가능성이 높은 새로운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에 대한 기술적 요구는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보도블록 침하방지구조에서 야기되는 각종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도블록과 지면 사이에 복수의 다공성 지지부재를 병렬 설치하되, 복수의 후크형 클립을 각각의 다공성 지지부재의 테두리에 다수 형성된 오목한 홈에 맞추어 상하방향에서 교호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의 시공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도블록 사이를 침투하는 물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공들을 통과하여 지하로 스며들 수 있게 하여 식물생장에 필요한 지하수 확보가 용이토록 한 새로운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종래 널리 사용하는 통상적인 여러 형태의 경계석과 보도블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적용가능성이 높은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는,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경계석 사이에, 지층을 평탄하게 정리한 후 그 상측에 복수의 보도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도블록층을 구비하는 인도에서, 상기 지층과 상기 보도블록층 사이에 구비되는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층 위에, 각각 개별 보도블록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다수의 상하방향으로 난 통공을 가지며 적어도 그 상부면이 평탄한 일정한 두께의 판상의 다공성 지지부재가 복수개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다공성 지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지지부재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이 테두리부 중 적어도 일부 위치에서 상하로 대칭적인 오목한 홈이 적어도 한 쌍 형성되며, 인접한 두 개의 다공성 지지부재의 테두리부가 서로 접할 때 각각 상하로 대칭적인 한 쌍의 홈도 서로 접하며, 이 서로 접하고 있는 홈에 후크형 클립이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인접한 다공성 지지부재들이 서로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부재 각각은 사각형의 형태이고 그 통공은 격자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내벽부에 의하여 형성되고, 가장 바깥쪽에는 모두 4개의 테두리부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두 개 또는 네 개의 테두리부에 상기 대칭적인 홈이 복수 쌍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칭적인 홈에 맞추어 끼워지는 후크형 클립의 두께는 상기 다공성 지지부재의 홈의 깊이와 동일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홈에 맞추어 끼워지는 복수의 후크형 클립은 동일한 테두리부에서 각각 상부홈측에서 끼워지는 것과 하부홈측에서 끼워지는 것이 교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다공성 지지층과 상기 다수의 보도블록으로 이루어진 보도블록층 사이에는 상기 다공성 지지층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보도블록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투수성의 마찰층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층은 얇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다공성 지지층과 상기 지층 사이에는 평탄도를 위하여 채워지는 모래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부재의 통공에는 투수성 충진재가 채워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보도블록과 지면 사이에 복수의 다공성 지지부재를 병렬 설치하되, 복수의 후크형 클립을 각각의 다공성 지지부재의 테두리에 다수 형성된 오목한 홈에 맞추어 상하방향에서 교호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지표면의 부분 침하에도 불구하고 보도블록 시공면이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의 시공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보도블록 사이를 침투하는 물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공들을 통과하여 지하로 스며들 수 있게 하여 식물생장에 필요한 지하수의 자연 공급이 용이하다. 이때 보도블럭은 투수블럭으로 시공했을때 더 효과적이다. 또한 종래 널리 사용하는 통상적인 어떠한 형태의 경계석과 보도블록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적용가능성이 높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도로의 개략적인 횡방향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중 다공성 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중 다공성 지지부재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중 다공성 지지부재의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중 다공성 지지부재의 결합 부분 중 후크형 클립의 겹합된 상태를 더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및 단면도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도(10)를 구성하는 구조이다. 이는 빗물이 인도 하부의 지하로 자유롭게 스며들 수 있도록 하는 투수성이며, 지표면의 부분 침하 발생시라 하더라도 보도블록층이 지표면과는 어느 정도 독립적으로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침하방지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 인도(10)는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경계석(11, 14) 사이에, 지층(13)을 평탄하게 정리한 후, 그 상측에 복수의 보도블록(170)을 결합한 보도블록층(17)을 구비하며, 이에 더하여 지층(13)과 보도블록층(17) 사이에 다공성 지지층(15)으로 이루어지는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를 더 구비한다.
이 다공성 지지층(15)은 다수의 통공(150a)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다공성 지지부재(15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다공성 지지부재(150)는 적어도 상부면이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공성 지지부재(150) 상부에 보도블록(170)들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통공(150a)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보도블록층(17)을 구성하는 개별 보도블록(17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이어야 하는데, 이는 보도블록(170)이 통공(150a)을 통과하여 내려앉는 것을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다공성 지지부재(150)는 대체로 그 높이(H)가 보도블록(170)의 높이보다 같거나 작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일정하게 같은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 내부에 구비되는 내벽부(155, 156)들과 테두리부(151, 152, 153, 154)는 모두 동일한 높이, 즉 상하방향으로 모두 같은 길이를 가진다.
특히 다공성 지지부재(150)의 테두리부((151, 152, 153, 154) 중 일부는 적어도 일부 위치에서 상하로 대칭적인 오목한 홈(151a, 151b; 153a, 153b)이 적어도 한 쌍 형성된다. 즉 테두리의 상부에서 오목한 상부홈(151a, 153a)과 테두리의 하부에서 오목한 하부홈(151b, 153b)이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하부 홈들(151a, 151b, 153a, 153b)은 후크형 클립(180)이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서로 다른 인접한 다공성 지지부재(150)가 결합되도록 하는 위치를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지지부재(150)는 대체로 사각형의 형태이고 모두 4개의 테두리부(151, 152, 153, 154)를 가진다. 도시된 예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1테두리부(151)와 제3테두리부(153)에 상하부 홈들(151a, 151b; 153a, 153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비록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다른 마주보는 제2테두리부(152) 및 제4테두리부(154)에는 이러한 상하부홈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4개의 테두리부 모두에 상하부홈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는 서로 마주보는 제1테두리부(151)와 제3테두리부(153)가 인도의 길이방향을 향하며, 상하부 홈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테두리부(152) 및 제4테두리부(154)는 경계석(11, 14)을 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인도의 폭(도 3 내지 도 5에서 X방향)은 약 1.5 m 정도이며, 그 길이(도 3 내지 도 5에서 Y방향)는 도로 사정에 따라 몇백미터씩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도로의 인도를 시공할 때, 다공성 지지부재(150)를 폭 1.5 m이며 수백미터의 길이를 가진 크기로 제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다수의 다공성 지지부재(150)를 서로 연결해야만 할 필요가 있다.
다공성 지지부재(150)는 도시된 예에서 폭 1.5m에 길이 2 m 정도로 제작될 수 있고, 이를 길이 방향쪽으로 서로 결합하여 수백미터의 다공성 지지층(15)을 구성할 수 있다. 다공성 지지부재(150)의 크기는 이 외에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며, 다공성 지지부재(150)의 폭은 10 cm, 20cm, 30cm, 50 cm, 60cm, 80cm, 100cm, 120cm, 150 cm, 또는 200 cm 로 다양하게 미리 제작하여 두고, 시공되어야 할 인도의 치수에 맞추어 길이방향뿐만 아니라 그 폭방향으로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다는 것도 역시 자명하다.
도시된 예에서 다공성 지지부재(150)는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다수의 내벽부(155, 156)에 의하여 다수의 사각형 형태의 통공(150a)이 한정되는 격자판의 형태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만 한정될 필요는 없다. 다공성 지지부재(150)는 PVC(폴리염화비닐)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서 압출 성형될 수 있으며, 통공(150a)의 형태를 사각형이 아닌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삼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는 사람이 통행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인도(10)에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주차장 바닥을 보도블록층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예에서와 같이 사람보다 무거운 물체(차량)가 통행하는 지역에도 역시 시공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무거운 물체의 통행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강도가 필요하므로 다공성 지지부재(150)는 강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또는 강철과 같은 보다 강도 높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비록 서로 빈 공간없이 결합되는 형태가 사각형이 가장 단순하기 때문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다공성 지지부재(150)의 형태는 사각형이 바람직하지만, 벌집형태와 같이 육각형도 가능하고, 삼각형도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있어서, 통공(150a)을 한정하는 내벽부(155, 156)가 서로 수직교차하는 직선의 형태인 것은 가장 간단한 구조이며, 이러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다공성 지지부재(150)를 서로 연결할 때,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크형 클립(180)을 사용한다.
이 후크형 클립(180)은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평평한 상부면을 가지는 상부벽(181)과, 이 상부벽(181)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82, 184)과, 각각의 측벽(182, 184)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후크부(183, 185)를 구비한다.
두 개의 다공성 지지부재(150)가 서로 접할 때 두 개의 다공성 지지부재(150)의 테두리부(151, 153)가 서로 인접하게 되면, 인접한 테두리부(151, 153)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홈(151a, 151b, 153a, 153b)도 서로 인접하게 된다. 후크형 클립(180)은 이렇게 서로 인접되어 있는 두 테두리부(151, 153)의 두 쌍의 상,하부홈(151a, 151b, 153a, 153b)에 맞추어 끼워짐으로써 서로 인접하고 있는 두 개의 다공성 지지부재(150)의 테두리부(151, 153)가 서로 결합되게 한다.
끼워진 후크형 클립(180)은 특히 그 상부면이 테두리부(151, 153)의 상부면과 평탄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후크형 클립(180)의 높이(H) 즉 측벽(182, 184)의 길이는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지지부재(150)의 테두리부의 높이(H), 즉 홈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후크형 클립(180)의 상부벽(181)의 상하방향으로의 두께가 상, 하부홈(151a, 151b, 153a, 153b)의 상하방향의 깊이와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상하부홈(151a, 151b, 153a, 153b)은 하나의 테두리부(151, 153)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이에 맞추어 끼워지는 복수의 후크형 클립(180)이 결합된다. 이때 동일한 테두리부(151, 153)에서 각각 상부홈(151a, 153a)측에서 끼워지는 것과 하부홈(151b, 153)측에서 끼워지는 것이 교호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서로 결합된 두 개의 다공성 지지부재(150)의 결합부위가 상부측에서 아래로 향하는 힘을 더욱 강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가장 간단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마찰층(16)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마찰층(16)은 다공성 지지부재(150)로 이루어진 다공성 지지층(15)과 다수의 보도블록(170)으로 이루어진 보도블록층(17) 사이에 다공성 지지층(15)의 상부면으로부터 다수의 보도블록(170)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한다. 마찰층(16)은 투수성을 가지면서 다공성 지지부재(150)의 통공(150a)을 통해 빠져 나가지 않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예컨대 얇은 부직포(160)와 같은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도블록 침하방지구조를 가지는 인도(10)의 단면 구성에 있어서, 다공성 지지층(15)과 지층(13) 사이에는 평탄도를 위하여 채워지는 얇은 두께의 모래층(1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층(13) 위에 직접 다공성 지지층(15)이 구비될 수 있지만, 모래층(12)이 더 설치되는 경우 평탄도를 맞추기 더 쉬워질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다공성 지지층(15)을 구성하는 다공성 지지부재(150)의 통공(150a)은 그대로 빈 공간으로 남아있을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이 통공(150a)에는 예를 들어 흙이나 모래 또는 다른 플라스틱 입자 등으로 이루어진 투수성 충진재가 채워질 수 있다. 이 경우 다공성 지지층(15)의 견고성이 강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지표면의 부분 침하등 원인으로 보도블록이 지표면을 따라 울퉁불퉁하게 되는데에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가 제공되는데, 그 구조가 단순하다. 즉 다공성 지지부재(150)들 사이를 후크형 클립(180)을 끼워 시공하므로 시공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용이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보도블록 사이를 침투하는 물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공들을 통과하여 지하로 스며들 수 있게 하여 식물생장에 필요한 지하수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종래 널리 사용하는 통상적인 경계석과 보도블록을 변형할 필요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적용가능성이 높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차도 10 : 인도
11, 14 : 경계석 12 : 모래층
13 : 지층 15 : 다공성 지지층
150 : 다공성 지지부재 151, 152, 153, 154 : 테두리부
151a, 153a : 상부홈 151b, 153b : 하부홈
155, 156 : 내벽부 180 : 후크형 클립
181 : 상부벽 182, 184 : 측벽
183, 185 : 후크부 150a : 통공
16 : 마찰층 160 : 부직포
17 : 보도블록층 170 : 보도블록

Claims (8)

  1. 삭제
  2.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경계석(11, 14) 사이에, 지층(13)을 평탄하게 정리한 후 그 상측에 복수의 보도블록(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도블록층(17)을 구비하는 인도(10)에서, 상기 지층(13)과 상기 보도블록층(17) 사이에 구비되는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층(13) 위 및 상기 보도블록층(17) 아래에, 각각 개별 보도블록(17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다수의 상하방향으로 난 통공(150a)을 가지며 적어도 그 상부면이 평탄한 일정한 두께의 판상의 다공성 지지부재(150)가 각각의 테두리 측에서 인접함으로써 복수개 서로 병렬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다공성 지지층(15)을 포함하되;
    상기 다공성 지지부재(150) 각각은 사각형의 형태이고 그 통공(150a)은 격자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내벽부(154, 156)에 의하여 형성되고, 가장 바깥쪽에는 모두 4개의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테두리부(151, 152, 153, 154)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두 개 또는 네 개의 테두리부(151, 153)에 각각 상하 대칭적으로 오목한 형태의 홈(151a, 151b; 153a, 153b)이 적어도 한 쌍 형성되며; 또한
    인접한 두 개의 다공성 지지부재(150)의 두 테두리부(151, 153)가 서로 접할 때, 접하는 두 테두리부(151, 152) 중에서 하나의 테두리부(151)에 형성된 한 쌍의 홈(151a, 151b)에 다른 하나의 테두리부(153)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홈(153a, 153b)이 서로 접하는 방식으로 접하게 되며, 이 서로 접하는 상하로 대칭적인 각각의 두 쌍의 홈들(151a, 151b, 153a, 153b)에 하나의 후크형 클립(180)이 끼워 맞추어지는 방식으로, 인접한 다공성 지지부재(150)들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칭적인 홈(151a, 151b, 153a, 153b)에 맞추어 끼워지는 후크형 클립(180)의 높이(H)는 상기 다공성 지지부재(150)의 높이(H)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홈(151a, 151b, 153a, 153b)에 맞추어 끼워지는 복수의 후크형 클립(180)은 동일한 테두리부(151, 153)에서 각각 상부홈(151a, 153a)측에서 끼워지는 것과 하부홈(151b, 153)측에서 끼워지는 것이 교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부재(150)로 이루어진 다공성 지지층(15)과 상기 다수의 보도블록(170)으로 이루어진 보도블록층(17) 사이에는 상기 다공성 지지층(15)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보도블록(170)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투수성의 마찰층(1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찰층(16)은 얇은 부직포(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부재(150)로 이루어진 다공성 지지층(15)과 상기 지층(13) 사이에는 평탄도를 위하여 채워지는 얇은 두께의 모래층(1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부재(150)의 통공(150a)에는 투수성 충진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KR1020110002176A 2011-01-10 2011-01-10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KR10128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76A KR101282096B1 (ko) 2011-01-10 2011-01-10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76A KR101282096B1 (ko) 2011-01-10 2011-01-10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770A KR20120080770A (ko) 2012-07-18
KR101282096B1 true KR101282096B1 (ko) 2013-07-04

Family

ID=4671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176A KR101282096B1 (ko) 2011-01-10 2011-01-10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8086A1 (en) * 2020-02-19 2021-08-26 Stephen Jones Edge restraint with mechanism for restricted horizontal mov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349B1 (ko) 2016-11-03 2017-03-02 한우식 블록 간격유지구조
CN111778806A (zh) * 2020-07-16 2020-10-16 丁月平 一种用于人行道地砖铺设工艺及其地砖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6A (ja) * 1997-06-11 1999-01-06 Higashi Nippon Kaihatsu Kk 可撓性平板敷設路盤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96208Y1 (ko) * 2005-06-24 2005-09-21 지성훈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20050108898A (ko) * 2004-05-14 2005-11-17 주식회사공간세라믹 보도블록의 모서리깨짐방지와 자동줄눈형성을 위한장치물과 이를 이용한 보도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6A (ja) * 1997-06-11 1999-01-06 Higashi Nippon Kaihatsu Kk 可撓性平板敷設路盤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50108898A (ko) * 2004-05-14 2005-11-17 주식회사공간세라믹 보도블록의 모서리깨짐방지와 자동줄눈형성을 위한장치물과 이를 이용한 보도 시공방법
KR200396208Y1 (ko) * 2005-06-24 2005-09-21 지성훈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8086A1 (en) * 2020-02-19 2021-08-26 Stephen Jones Edge restraint with mechanism for restricted horizontal mov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770A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7839C (en) Surfaces using structural modules
US8366343B2 (en) Apparatus for fluid storage using paver blocks
KR20120065375A (ko) 물의 유동을 관리하기 위한 조립체 및 모듈
US8459896B2 (en) Permeable paving system
KR101282096B1 (ko)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KR101027006B1 (ko) 투수블록 구조체
KR101020718B1 (ko) 지반보강용 지오셀과 중공형 섬유보강 투수블록을 이용한 지반침투형 포장구조
KR101231177B1 (ko)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KR101019181B1 (ko) 도로용 블록을 이용한 도로의 포장구조
CN103835310A (zh) 一种框格式重力挡土墙
KR101959680B1 (ko) 방초 투수보도블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03049611U (zh) 一种框格式重力挡土墙
KR200462236Y1 (ko) 투수 보도판석용 케이스
KR101201570B1 (ko)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KR100989448B1 (ko)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포장 공법
KR100926539B1 (ko) 지열과 우수의 순환을 통한 석재포장 보도의 온도 습도 조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석재포장 보도의 시공방법
CN211848704U (zh) 一种用于铺设人行道的架空支座
KR20120041183A (ko) 잔디 패드를 구비한 보도 블럭 케이스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CN212670189U (zh) 一种快速渗透的社区人行路面结构
TWM558811U (zh) 土壤支撐單元及土壤支撐裝置
CA2793351C (en) Permeable paving system
KR20120117598A (ko) 저류조를 가진 조립식도로블록 및 시공방법
KR20110080466A (ko) 저수저감 투수블럭
CN204023498U (zh) 一种异形中空地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