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570B1 -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570B1
KR101201570B1 KR1020100126129A KR20100126129A KR101201570B1 KR 101201570 B1 KR101201570 B1 KR 101201570B1 KR 1020100126129 A KR1020100126129 A KR 1020100126129A KR 20100126129 A KR20100126129 A KR 20100126129A KR 101201570 B1 KR101201570 B1 KR 101201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upright
grid
upright portion
g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873A (ko
Inventor
이희영
Original Assignee
이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영 filed Critical 이희영
Priority to KR102010012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5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나 보도, 또는 주차장, 옥상 또는 사면 등에서 지표면에 포설되어 토사를 구획된 형태로 유지하여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자연형태의 지표면을 보호하면서 식물 등의 자연스러운 성장을 유도하여 녹화가 가능하게 하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과, 그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외측벽(10)에 의해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격자내측벽(11)에 의해 내부가 복수개의 사각형 소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사각형 소공간에는 토사가 채워지도록 지표면에 포설되는 격자판(1)으로서, 돌출연장부(21)와 직립부(22)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2)가, 상기 직립부(22)의 내면과 외측벽(10)의 외면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도록 외측벽(10)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직립부(22)의 상부에서 내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격자판의 외측벽(10) 외면에는, 직립부(22)의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파여 있는 형태의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3)의 아래쪽에는 절취부(31)가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격자판이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오목부(3)가 형성된 외측벽이, 결합부재(2)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벽의 상기 직립부(22)의 내면과 외측벽 외면 사이 간격에 끼워지면서, 상기 직립부(22)의 돌출부와 오목부(3)가 서로 맞물리면서 체결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과, 그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Eco-Matrix Panel and Connecting Structure of Eco-Matrix Panels}
본 발명은, 도로나 보도, 또는 주차장, 옥상 또는 사면 등에서 지표면에 포설되어 지표면의 토사를 구획된 형태로 유지하여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자연형태의 지표면을 보호하면서 식물 등의 자연스러운 성장을 유도하여 녹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격자판과 그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격벽에 의해 내부가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복수개가 용이한 방법에 의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과, 그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나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 또는 주차장 등을 형성할 때, 토사의 유실 등으로 인하여 도로면 등이 굴곡되지 않고 평탄하게 만들 목적으로 지표면 위에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포장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지표면에 포설되는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포장은 불투수성이기 때문에, 우수 등의 지표수가 이러한 불투수성 포장을 투과하지 못하고 포장면을 따라 흘러 그냥 하천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땅속으로 스며드는 지표수의 유입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지하수위가 점점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지하수의 부족(지하수위 저하)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지하수에 의한 수압 저하로 인하여 지반 침하 현상이 발생하여 건물 안전에 악영향을 주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투수콘크리트 등으로 블록을 제조하여, 도로 등에 투수성 블록을 포설하려는 시도가 종종 이루어지고 있으나, 투수성 블록은 충분한 투수성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투수성 블록을 포설하게 되면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식물식생 면적이 극히 적기 때문에 지표의 녹화에는 매우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나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 또는 주차장 등을 형성할 때, 지표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표수가 용이하게 그리고 자연스럽게 지표면으로 흡수되어 땅속으로 스며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와 같은 불투수성 포장으로 인한 지하수 부족 현상 발생을 예방하고 식물 성장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하여 지표면을 용이하게 녹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4개의 외측벽에 의해 형성되어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사각형 내부 공간에는 격자내측벽이 설치되어 사각형 내부 공간이 작은 크기의 복수개의 사각형 소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사각형 소공간에는 토사가 채워지도록 지표면에 포설되는 격자판으로서, 외측벽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세워져 연속되는 직립부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가, 상기 직립부의 내면과 외측벽의 외면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도록 일측의 외측벽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직립부의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로 가면서 직립부의 두께가 점차로 증가하다가, 정점을 지난 후부터는 직립부의 두께가 다시 점차로 얇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직립부의 상부에서 내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격자판과 결합될 때, 이웃하는 격자판의 상기 직립부의 내면과 외측벽의 외면 사이의 간격에 끼워지게 되는 타측의 외측벽 외면에는, 직립부 내면으로 돌출된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파여 있는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벽에서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아래쪽에는, 외측벽의 하단부에서 상기 저면부의 높이만큼 절취되어 제거되어 있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격자판이 서로 결합될 때, 이웃하는 격자판의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외측벽이, 결합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벽의 상기 직립부의 내면과 외측벽 외면 사이 간격에 끼워지면서, 상기 직립부의 돌출부와 오목부가 서로 맞물리면서 체결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격자판에서, 격자내측벽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 구분되는 외측벽의 복수개 구간 중에서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구간의 외측벽은, 그 하단과 지표면 사이에 지표수가 수평하게 흐를 수 있는 간격이 존재하도록, 외측벽의 하단 높이가 줄어든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격자판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격자판을 구성하되, 상기 격자내측벽에 의해 외측벽의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로 구분된 외측벽의 복수개 구간 중에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구간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측벽이 내부로 곡선지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격자판들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었을 때, 내부로 곡선지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외측벽 구간이 서로 마주하여 끼움공간이 형성되며; 수직하게 지표면에 관입되는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의 상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있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 각각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하향연장부를 가지도록 구성된 체결쐐기부재의 상기 쐐기부가 상기 끼움공간으로 수직하게 삽입되고 지표면에 관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체결쐐기부재의 하향연장부와 쐐기부 사이에 존재하는 끼움간격에 상기 내부로 곡선지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외측벽이 각각 끼워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격자판을 도로나 보도, 주차장이나 건물의 옥상 등의 지표면에 포설하게 되면, 격자판 내부의 복수개의 사각형 소공간 내에 토사를 채울 수 있고, 따라서 지표면에 토사가 계속 존재하면서도 본 발명의 격자판에 의해서 토사가 유실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으며, 격자판의 소공간 내에 토사가 채워져 있어 식물 성장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격자판에 담긴 토사를 통해서 식물이 식재되고 용이하게 자라게 됨으로써 지표면을 쉽게 녹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자판을 이용하여 지표면을 포장하게 되면, 지표수가 용이하게 그리고 자연스럽게 지표면으로 흡수되어 땅속으로 스며들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불투수성 포장으로 인한 지하수 부족 현상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격자판을 연결함에 있어서, 결합부재와 오목부 간에 기계적인 견고한 체결방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격자판이 놓이는 하부지반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직립부 내면과 외측벽 외면 사이로부터 이웃하는 격자판의 외측벽이 쉽게 빠져나오지 않게 되고,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격자판들의 상면은 높낮이 차이로 인한 계단식의 단차가 존재하지는 않게 되어, 차량 등이 격자판 상면 위로 통행하는데 어려움을 주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격자판을 연결함에 있어서, 내부로 곡선지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외측벽 구간을 서로 마주하게 하여 끼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간을 이용하여 체결쐐기부재를 지반에 설치함으로써, 이웃하는 격자판을 더욱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격자판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본 발명의 격자판 내에 토사가 채워지고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격자판이 지표면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지표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격자판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과정에 의하여 두 개의 격자판이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각각 결합부재와 오목부 간의 결합 관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 5의 원 B부분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결합부재와 오목부 간의 결합 관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서, 결하부재와 오목부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대응되는 측단면도로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합부재와 오목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대응되는 사시도로서, 체결쐐기부재에 의한 수평저항형 결합이 추가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바라보는 방향을 달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격자판(1)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격자판(1)은 4개의 외측벽(10)으로 둘러싸여 있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는 사각형의 상자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사각형 상자형태의 격자판(1)의 하면은 전부 또는 일부가 개방되어 있다. 격자판(1)의 4개의 외측벽(10)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공간 내부에는 격자형으로 구획하는 격자내측벽(11)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격자내측벽(11)에 의해 격자판(1)의 사각형 내부 공간이 작은 크기의 복수개의 사각형 소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수직방향"은 도 1a의 화살표 z-z방향을 나타내며 "상(上)" 및 "하(下)"는 수직방향으로의 위와 아래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18은 격자판(1)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면막음판(18)이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작은 사각형 소공간으로 내부가 구획된 격자판(1)은 지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소공간 내부에 토사가 채워진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격자판(1) 내에 토사가 채워지고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격자판(1)이 지표면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지표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격자판(1)을 지표면에 포설하고, 외측벽(1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격자내측벽(11)에 의해 구획하여 형성된 격자판(1) 내부의 복수개의 사각형 소공간 내에 토사가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지표면에 토사가 계속 존재하면서도 본 발명의 격자판(1)에 의해서 토사가 유실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공간 내에 채워진 토사를 통해서 식물이 식재되고 용이하게 자라게 됨으로써 지표면을 쉽게 녹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로나 보도, 주차장이나 건물의 옥상 등에, 본 발명에 따른 격자판(1)을 포설하고 토사를 채워서 지반의 상면을 형성하게 되면, 토사의 유실도 방지하면서도 지반의 상면을 토사 상태로 보존할 수 있고, 지표수가 용이하게 그리고 자연스럽게 지표면으로 흡수되어 땅속으로 스며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와 같은 불투수성 포장으로 인한 지하수 부족 현상 발생을 예방하고, 식물 성장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하여 지표면을 용이하게 녹화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격자판(1)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는데, 특히 폐플라스틱 등을 활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자원재활용 등에 있어서도 매우 유용하다.
한편,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격자판(1)의 외측벽(10) 상면에는 미끄럼방지 돌기(19)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 돌기(19)는 격자내측벽(11)의 상면에도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자판(1)의 상면에 미끄럼방지 돌기(19)가 돌출 형성되면, 보행자나 차량이 격자판(1) 위를 통행할 때 마찰력을 증가시켜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발휘된다. 미끄럼방지 돌기(19)는 편의에 따라 구비되는 것이고 생략이 가능한 것이므로, 도 1a 및 도 1b를 제외하고 나머지 도면에서는 편의상 상기 미끄럼방지 돌기(19)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위와 같은 미끄럼방지 돌기는 외측벽(10)의 하면, 그리고 더 나아가 격자내측벽(11)의 하면에도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격자판(1)의 하면에 미끄럼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 격자판(1)이 지면에 놓였을 때, 지면과 격자판(1)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이와 같이 격자판(1)의 하면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 돌기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넓은 범위의 지표면을 덮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격자판(1)을 복수개로 연결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격자판(1) 간에 견고한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격자판(1)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격자판(1)에서 상기 외측벽(10)의 외면에는, 이웃하게 배치되어 연속될 다른 격자판과의 일체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2)가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도 3에는 두 개의 격자판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두 개의 격자판이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각각 결합부재(2)와 후술하는 오목부(3) 간의 결합 관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 5의 원 B부분에 대한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에는 편의상 2개의 격자판(1)을 각각 제1격자판(1A)과 제2격자판(1B)라고 구분하여 설명한다. 즉,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격자판 자체를 설명할 때에는 "격자판(1)"이라고 표기하고, 두 개의 격자판이 연결되는 상태를 설명할 때에는 두 개의 격자판을 각각 "제1격자판(1A)"과 "제2격자판(1B)"라고 구분하여 표기한다.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격자판(1)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재(2)는, 외측벽(10)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연장부(21)와, 상기 돌출연장부(21)의 외측 단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세워져 연속되는 직립부(2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직립부(22)의 내면과 외측벽(10)의 외면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격자판을 조립할 때에는, 제1격자판(1A)이 이미 지표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새로운 제2격자판(1B)이 수직하게 내려져서 서로 이웃하게 결합하게 되는데,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제1격자판(1A)의 상기 직립부(22) 내면(마주하는 외측벽의 외면을 향하는 면)과 외측벽(10)의 외면 사이의 간격에, 새로 배치되는 제2격자판(1B)의 외측벽이 수직하게 삽입된다. 이 때, 기계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상기 직립부(22)의 상부에서 내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직립부(22)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돌출부는, 직립부(22)의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로 가면서 직립부(22)의 두께가 점차로 증가하다가, 정점을 지난 후부터는 직립부(22)의 두께가 다시 점차로 얇아지게 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격자판(1)에서, 4개의 외측벽 중에서 위와 같이 결합부재(2)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외측벽은, 이웃하는 격자판의 외측벽에 구비된 결합부재(2)에 위와 같은 방식, 즉, 결합부재(2)의 직립부(22) 내면 방향의 간격에 외측벽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이 때, 직립부(22)와 외측벽 간에 기계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결합부재(2)가 구비되지 아니한 외측벽에는 결합부재(2)의 직립부(22) 내면으로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오목부(3)는 앞서 설명한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파여 있는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후술하는 것처럼, 직립부(22)에 형성된 돌출부의 형상이 바뀌게 되면, 그에 맞추어서 상기 오목부(3)는 관통공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2)의 직립부(22)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경우, 오목부(3)가 형성된 영역 역시 사각형의 면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외측벽(10)에서 상기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아래쪽에는, 외측벽(10)의 하단부에서 상기 돌출연장부(21)의 높이만큼 절취되어 제거되어 있는 절취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격자판 간의 결합을 위하여,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격자판의 외측벽(10)과 직립부(22)의 내면 사이에, 새로 결합되는 격자판의 상기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벽(10)이 끼워졌을 때, 상기 결합부재(2)의 돌출연장부(21)가 상기 절취부(31)에 위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이웃하는 격자판(1) 간의 상면 높이가 동일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이웃하는 제1격자판(1A)과 제2격자판(1B)이 서로 결합될 때, 결합부재(2)가 형성되어 있는 제1격자판(1A)의 외측벽과,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는 제2격자판(1B)의 외측벽이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격자판(1A)에 이웃하여 제2격자판(1B)을 수직하게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놓음으로써 이웃하는 두 개의 격자판이 서로 결합되는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2격자판(1B)의 외측벽 중에서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벽(10)이, 제1격자판(1A)의 외측벽(10)에 구비된 결합부재(2)의 직립부(22) 내면과 제1격자판(1A)의 외측벽 외면 사이에 끼워진다.
이 때, 직립부(22)는 탄성을 가지고 있고 직립부(22) 내면은 상부에서 돌출부의 정점까지는 그 두께가 점차로 증가되므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2격자판(1B)의 외측벽이 끼워짐에 따라 직립부(22)는 외측으로 밀려가게 된다. 제2격자판(1B)의 외측벽이, 제1격자판(1A)의 직립부(22)와 그에 마주하는 외측벽 사이에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직립부(22)가 탄성에 의해 다시 복원되면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직립부(22)의 돌출부가 제2격자판(1B)의 오목부(3)의 오목한 부분에 맞춰지고 직립부(22)가 오목부(3)를 가압하게 되어, 결합부재(2)와 오목부(3)가 서로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직립부(22)의 돌출부와 오목부(3) 간의 기계적 결합방식에서는 제1격자판(1A)과 제2격자판(1B)을 결합할 때,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해야만 직립부(22)의 돌출부와 오목부(3)간에 체결이 이루어지는데, 제1격자판(1A)과 제2격자판(1B)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수직방향으로도 상당한 힘이 필요하다. 즉, 직립부(22)의 돌출부와 오목부(3) 간에는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견고한 체결은 지반의 부등 침하 발생시 매우 중요한 장점을 가진다. 결합부재(2)와 오목부(3) 간의 기계적 체결방식을 가지고 있지 아니하고 제1격자판(1A)의 외측벽에 구비된 결합부재(2)의 직립부(22) 내면과 제1격자판(1A)의 외측벽 외면 사이에 제2격자판(1B)의 외측벽이 단순하게 끼워지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에서, 격자판이 놓이는 하부지반에 부등침하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이웃하는 제1격자판(1A)과 제2격자판(1B)은 서로에 대해 아무런 제약 없이 서로 수직하게 움직이게 되어, 직립부(22) 내면과 제1격자판(1A)의 외측벽 외면 사이로부터 제2격자판(1B)의 외측벽이 쉽게 빠져나와서 결과적으로 제1격자판(1A)과 제2격자판(1B)의 상면에는 높낮이 차이가 발생하여 단차가 생기는 현상이 발생한다. 지표면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격자판의 상면이 이와 같이 연속되지 못하고 계단식의 단차를 가지게 되면, 보행자나 차량 등이 단차에 걸리게 되어, 격자판 상면 위로 통행하는데 큰 지장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결합부재(2)와 오목부(3) 간에 견고한 기계적 체결방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격자판이 놓이는 하부지반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직립부(22) 내면과 제1격자판(1A)의 외측벽 외면 사이로부터 제2격자판(1B)의 외측벽이 쉽게 빠져나오지 않게 되고, 제1격자판(1A)과 제2격자판(1B)의 상면은 비록 기울어질지언정 높낮이 차이로 인한 계단식의 단차가 존재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차량 등이 격자판 상면 위로 통행하는데 어려움을 주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9에는 결합부재와 오목부 간의 결합 관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서, 결합부재와 오목부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8에 대응되는 측단면도로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합부재와 오목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직립부(22)의 내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그에 대응되는 오목부(3)는 그 형상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변형될 수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직립부(22)의 내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직립부(22)의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로 가면서 직립부(22)의 두께가 점차로 증가하다가, 정점을 지난 후부터는 급격히 직립부(22)의 두께가 줄어드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오목부(3)는 단순한 구멍 형태(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관통공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돌출부와 오목부(3)의 구성에서는, 이웃하는 제1격자판(1A)과 제2격자판(1B)이 결합되면서, 제2격자판(1B)의 외측벽 중에서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벽(10)이, 제1격자판(1A)의 외측벽(10)에 구비된 결합부재(2)의 직립부(22) 내면과 제1격자판(1A)의 외측벽 외면 사이에 끼워졌을 때,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직립부(22) 내면에서 형성될 돌출부가 구멍 형태의 오목부(3) 속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2격자판(1B)의 외측벽(도 10에서 관통공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된 외측벽(10))을 상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제2격자판(1B)이 직립부(22) 내면과 제1격자판(1A)의 외측벽 외면 사이로부터 쉽게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즉, 결합부재(2)와 오목부(3) 간에 더욱 견고한 기계적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격자판이 놓이는 하부지반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계단식의 단차 발생 가능성이 더욱 낮아지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복수개의 격자판을 서로 연결하는 본 발명의 연결구조에서는, 후술하는 것처럼, 체결쐐기부재(4)를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1에는 도 4에 대응되는 사시도로서, 체결쐐기부재(4)에 의한 수평저항형 결합이 추가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도 11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체결쐐기부재(4)의 구성을 설명하면, 체결쐐기부재(4)는, 수직하게 지표면에 관입되는 쐐기부(41)와, 상기 쐐기부(41)의 상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있는 수평부(42)와, 상기 수평부(42)의 양단 각각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하향연장부(43)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향연장부(43)와 쐐기부(41) 사이에는 끼움간격(44)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격자판(1)에서, 4개의 외측벽(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격자내측벽(11)이 배치됨으로써, 각각의 외측벽(10)은 격자내측벽(11)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분된다. 이렇게 외측벽(10)의 복수개 구간 중에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결합부재(2)가 구비된 구간이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부재(2)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구간이 존재한다. 격자내측벽(11)에 의하여 구분되는 외측벽(10)의 복수개 구간에서 결합부재(2)가 구비되지 아니한 구간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측벽(10)이 내부로 곡선지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격자판(1A)과 제2격자판(1B)이 이웃하였을 때, 이와 같이 내부로 곡선지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외측벽(10) 구간이 서로 마주하게 되면, 상기 체결쐐기부재(4)가 삽입될 끼움공간(40)이 형성된다. 즉,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로 곡선지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외측벽(10) 구간이 서로 마주하여 끼움공간(40)이 형성되면, 상기 체결쐐기부재(4)의 쐐기부(41)가 상기 끼움공간(40)으로 수직하게 삽입되어 지표면에 관입, 고정된다. 이 때, 체결쐐기부재(4)의 하향연장부(43)와 쐐기부(41) 사이에 존재하는 끼움간격(44)에는 외측벽(10)이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쐐기부재(4)가, 이웃하는 2개의 격자판 사이에 구비되는 경우, 체결쐐기부재(4)에 의해 격자판이 지표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고정되는 효과와 더불어, 격자판 사이를 벌어지게 만드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한 것처럼 체결쐐기부재(4)의 하향연장부(43)와 쐐기부(41) 사이에 존재하는 끼움간격(44)에는 외측벽(10)이 끼워지는 구성으로 인하여, 이웃하는 2개의 격자판 간의 외측벽(10)이 서로 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즉, 격자판 사이가 수평하게 이격되는 현상을, 체결쐐기부재(4)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도면에서는 상세히 표현되지 아니하였지만, 격자내측벽(11)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 구분되는 외측벽(10)의 복수개 구간 중에서 결합부재(2)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구간의 외측벽은, 하단과 지표면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도록, 그 하단의 높이가 줄어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격자내측벽(11)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 구분되는 외측벽(10)의 복수개 구간 중에서 결합부재(2)가 구비되지 아니한 구간의 외측벽의 하단이 줄어들어 있어 전체적인 수직 길이가, 결합부재(2)가 구비된 구간의 외측벽의 수직 길이보다 더 낮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측벽(10) 하단과 지표면 간에 간격이 존재하는 경우, 격자판(1)에 담긴 토사를 통해서 지표수가 유입될 때, 수직방향으로만 지표수가 흐르는 것이 아니라, 상기 외측벽(10) 하단과 지표면 간의 간격을 통해서 지표수가 수평방향으로도 흐를 수 있어 지표수가 더욱 원활하게 지표면으로 흡수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격자판이 경사면의 표면에 포설된 경우, 우수 등이 상기한 외측벽(10) 하단과 지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을 통해서 경사지게 흐를 수 있게 되어 경사면에서의 우수 등의 원활한 흐름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1: 격자판
2: 결합부재
3: 오목부
10: 외측벽
11: 격자내측벽

Claims (4)

  1. 4개의 외측벽(10)에 의해 형성되어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사각형 내부 공간에는 격자내측벽(11)이 설치되어 사각형 내부 공간이 복수개의 사각형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사각형 공간에는 토사가 채워지도록 지표면에 포설되는 격자판(1)으로서,
    외측벽(10)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연장부(21)와, 상기 돌출연장부(21)의 외측 단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세워져 연속되는 직립부(22)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2)가, 상기 직립부(22)의 내면과 외측벽(10)의 외면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도록 일측의 외측벽(10)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직립부(22)의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로 가면서 직립부(22)의 두께가 점차로 증가하다가, 정점을 지난 후부터는 직립부(22)의 두께가 줄어들므로써 상기 직립부(22)의 상부에서 내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격자판과 결합될 때, 이웃하는 격자판의 상기 직립부(22)의 내면과 외측벽(10)의 외면 사이의 간격에 끼워지게 되는 타측의 외측벽(10) 외면에는, 직립부(22) 내면으로 돌출된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파여 있는 형태 또는 구멍 형태의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벽(10)에서 상기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아래쪽에는, 외측벽(10)의 하단부에서 상기 돌출연장부(21)의 높이만큼 절취되어 제거되어 있는 절취부(31)가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격자판이 서로 결합될 때, 이웃하는 격자판의 상기 오목부(3)가 형성된 외측벽이, 결합부재(2)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벽의 상기 직립부(22)의 내면과 외측벽 외면 사이 간격에 끼워지면서, 상기 직립부(22)의 돌출부와 오목부(3)가 서로 맞물리면서 체결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
  2. 제1항에 있어서,
    격자내측벽(11)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 구분되는 외측벽(10)의 복수개 구간 중에서 결합부재(2)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구간의 외측벽은, 하단과 지표면 사이에 지표수가 수평하게 흐를 수 있는 간격이 존재하도록, 외측벽의 하단 높이가 줄어든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
  3. 4개의 외측벽(10)에 의해 형성되어 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사각형 내부 공간에는 격자내측벽(11)이 설치되어 사각형 내부 공간이 복수개의 사각형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사각형 공간에는 토사가 채워지도록 지표면에 포설되는 격자판(1)의 연결구조로서,
    상기 격자판(1)은,
    외측벽(10)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연장부(21)와, 상기 돌출연장부(21)의 외측 단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세워져 연속되는 직립부(22)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2)가, 상기 직립부(22)의 내면과 외측벽(10)의 외면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도록 일측의 외측벽(10) 외면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직립부(22)의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로 가면서 직립부(22)의 두께가 점차로 증가하다가, 정점을 지난 후부터는 직립부(22)의 두께가 다시 얇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직립부(22)의 상부에서 내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웃하는 격자판과 결합될 때, 이웃하는 격자판의 상기 직립부(22)의 내면과 외측벽(10)의 외면 사이의 간격에 끼워지게 되는 타측의 외측벽(10) 외면에는, 직립부(22) 내면으로 돌출된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또는 관통공으로 파여 있는 형태의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벽(10)에서 상기 오목부(3)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아래쪽에는, 외측벽(10)의 하단부에서 상기 돌출연장부(21)의 높이만큼 절취되어 제거되어 있는 절취부(31)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웃하는 격자판이 서로 결합될 때, 이웃하는 격자판의 상기 오목부(3)가 형성된 외측벽이, 결합부재(2)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벽의 상기 직립부(22)의 내면과 외측벽 외면 사이 간격에 끼워지면서, 상기 직립부(22)의 돌출부와 오목부(3)가 서로 맞물리면서 체결되어 이웃하는 격자판(1)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의 연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내측벽(11)에 의해 외측벽(10)의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로 구분된 외측벽(10)의 복수개 구간 중에 결합부재(2)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구간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측벽(10)이 내부로 곡선지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격자판들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었을 때, 내부로 곡선지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외측벽(10) 구간이 서로 마주하여 끼움공간(40)이 형성되며;
    수직하게 지표면에 관입되는 쐐기부(41)와, 상기 쐐기부(41)의 상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있는 수평부(42)와, 상기 수평부(42)의 양단 각각에서 하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하향연장부(43)를 가지도록 구성된 체결쐐기부재(4)의 상기 쐐기부(41)가 상기 끼움공간(40)으로 수직하게 삽입되고 지표면에 관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체결쐐기부재(4)의 하향연장부(43)와 쐐기부(41) 사이에 존재하는 끼움간격(44)에 상기 내부로 곡선지게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외측벽(10)이 각각 끼워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판의 연결구조.
KR1020100126129A 2010-12-10 2010-12-10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KR101201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129A KR101201570B1 (ko) 2010-12-10 2010-12-10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129A KR101201570B1 (ko) 2010-12-10 2010-12-10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873A KR20120064873A (ko) 2012-06-20
KR101201570B1 true KR101201570B1 (ko) 2012-11-14

Family

ID=4668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129A KR101201570B1 (ko) 2010-12-10 2010-12-10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5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65234A1 (en) * 2019-12-20 2021-06-24 2327100 Alberta Inc. Modular plant growth system
KR102557918B1 (ko) * 2023-01-16 2023-07-20 안산조경산업 주식회사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비회수식 식생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7302A (ja) 2008-05-30 2009-12-10 Nihon Kogyo Co Ltd 緑化舗装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7302A (ja) 2008-05-30 2009-12-10 Nihon Kogyo Co Ltd 緑化舗装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873A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202B1 (ko) 친환경 수로형 집수정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US20150284914A1 (en) Modular cell and matrix for supporting a load bearing feature
US8469625B2 (en) Water permeable traffic bearing system, method and drainage joint for use with same
KR101298008B1 (ko) 스톤 바스켓을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JP6192763B1 (ja) ジオグリッド・ハニカム擁壁
KR101201570B1 (ko)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MX2010010736A (es) Sistema de drenaje, aparato y metodo.
KR101959680B1 (ko) 방초 투수보도블록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83346B1 (ko) 보도블록용 배수부재
JP6186031B1 (ja) ハニカム擁壁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1231177B1 (ko)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KR101019562B1 (ko) 보도블록 및 보차도 경계석을 포함하는 도로의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110042410A (ko) 식생 블록, 식생 블록 고정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 옹벽, 그리고 그 옹벽의 시공방법
KR100593187B1 (ko) 친환경적 비탈면 보호시설
JP3668869B2 (ja) 地下貯水槽用積上げ部材
KR20170143279A (ko)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 및 투수시스템 시공방법
KR102154399B1 (ko) 배수시스템
KR10072092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CN214116147U (zh) 一种高稳定性透水砖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TWM558811U (zh) 土壤支撐單元及土壤支撐裝置
KR101288888B1 (ko) 지오그리드와 네일을 이용한 사면복구공법
KR100636630B1 (ko) 건축단지 내 보도침하 방지구조
KR200495069Y1 (ko) 경사면 보강배수벽체용 배수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