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279A -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 및 투수시스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 및 투수시스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279A
KR20170143279A KR1020160077321A KR20160077321A KR20170143279A KR 20170143279 A KR20170143279 A KR 20170143279A KR 1020160077321 A KR1020160077321 A KR 1020160077321A KR 20160077321 A KR20160077321 A KR 20160077321A KR 20170143279 A KR20170143279 A KR 20170143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rotruding
lower block
laminat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우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7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3279A/ko
Publication of KR2017014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 및 투수시스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블록(20)과 상기 하부블록(20)과 동일한 형상의 상부블록(30)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은 서로 일부 구간이 겹치도록 엇갈려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층되며, 상기 상부블록(30) 및 하부블록(20)은 각각 블록몸체(21)와, 상기 블록몸체(21)의 상면에 돌출되는 돌출부(25a,25b)와, 상기 돌출부(25a,25b)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돌출부(25a,25b)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요입되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층되는 상대블록의 돌출부(25a,25b)와 결합되는 결합홈(27a,27b)과, 상기 돌출부(25a,25b) 및 결합홈(27a,27b) 사이에 요입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유로(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위아래로 적층된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의 유로(34)들은 하나의 폐쇄된 유로채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적층되는 블록조립체 사이에 형성된 유로채널을 통해 우수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어 강우나 집중호우시에도 충분한 투수성이 확보된다.

Description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 및 투수시스템 시공방법{Water permeable block assembly, water permeable system having thi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적층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을 통해 유로를 형성하는 블록조립체와 이를 이용하여 투수성을 강화한 투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구분되는 보도 및 공원, 광장 등에 설치되는 종래의 인터록킹블록이나 투수콘은 보도 및 공원, 광장 등에 설치시에 빗물의 투수가 거의 이루어 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반의 침하현상으로 인한 블록의 부등침하로 인해 강우나 집중호우시 블록 표면에 물이 고여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여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 우수를 지표면으로 전달시키는 투수성 인터록킹 블록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인터록킹블록도 설치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먼지나 흙등의 이물질로 인해 의해 투수공간이 쉽게 막혀 투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지반의 투수계수와 빗물의 투수량의 차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노상으로 빗물이 유출되고, 그 과정에서 블록이 들뜨거나 부등침하(不等沈下)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 블록의 공극률을 높일 수 있으나, 이는 블록 및 블록조립체의 내구성을 떨어뜨려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낳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062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식 블록조립체를 통해 우천시에 충분한 투수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 제품의 손상시에 이를 간편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과 동일한 형상의 상부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은 서로 일부 구간이 겹치도록 엇갈려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층되며, 상기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은 각각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요입되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층되는 상대블록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결합홈과, 상기 돌출부 및 결합홈 사이에 요입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유로를 포함하며, 위아래로 적층된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의 유로들은 하나의 폐쇄된 유로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블록몸체 상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부라인을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홈은 다수개가 상기 블록몸체 상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홈라인을 구성하며, 상기 돌출부라인과 상기 결합홈라인 사이에는 유로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돌출부라인 및 결합홈라인은 각각 짝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라인 및 결합홈라인은 상기 블록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대칭이다.
상기 돌출부라인 및 결합홈라인에 각각 구비된 돌출부와 결합홈은 짝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돌출된 일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결합홈은 요입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하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과 일부구간이 겹치도록 적층되고 동일한 형상인 상부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의 마주보는 부분에는 유로채널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적층식 블록조립체와, 상기 적층식 블록조립체의 일측에 상기 적층식 블록조립체 보다 돌출되거나 적어도 같은 높이를 갖는 경계블록과, 상기 경계블록에 인접한 적층식 블록조립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에 모인 우수가 토층을 통해 전달되는 집수정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은 각각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요입되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층되는 상대블록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결합홈과, 상기 돌출부 및 결합홈 사이에 요입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유로를 포함하며, 위아래로 적층된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의 유로들은 하나의 폐쇄된 유로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유로채널은 상기 경계블록 방향으로 연장된다.
집수정에 인접하도록 유공관을 설치하는 유공관설치단계와, 토층에 투수시트 및 모래층을 설치하여 기초부를 다지는 기초부설치단계와, 상기 기초부 상에 하부블록을 설치하는 하부블록설치단계와, 상기 하부블록 상부에 동일한 형상의 상부블록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층하되 서로 일부 구간이 겹치도록 엇갈려 설치되는 상부블록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위아래로 적층된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의 유로들은 하나의 폐쇄된 유로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유로채널은 상기 유공관 방향으로 연장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 및 투수시스템 시공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블록조립체를 구성하는 각 블록자체의 투수성에 더하여, 적층되는 블록조립체 사이에 형성된 유로채널을 통해 우수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어 강우나 집중호우시에도 충분한 투수성이 확보되고, 각 블록에 구비된 돌출부와 결합홈에 의해 상하블록 사이가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어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이 서로 엇갈리게 적층되어 하나의 상부블록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이 이와 적층된 다수개의 하부블록에 분산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층식 블록조립체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안정적인 적층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1개의 금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블록조립체의 생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블록조립체가 한 종류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므로 유지보수성이 좋은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블록조립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의 일실시례를 보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블록조립체를 구성하는 하부블록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블록조립체의 일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블록조립체에 외력이 가해지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블록조립체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투수시스템을 통해 우수가 배출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투수시스템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조립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블록조립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이하 투수시스템이라 함)은 토층(1)의 상부에 모래층(5)이 형성된다. 상기 모래층(5)은 우수가 침투가능한 부분이고, 모래층(5)과 토층(1)사이에는 투수시트(3)가 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모래층(5)의 상부에는 적층식 블록조립체(10)가 설치된다. 상기 적층식 블록조립체(10)는 모래층(5) 상부에 설치되는데, 상부블록(30) 및 하부블록(20)으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적층식 블록조립체(10)는 빗물 등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수분을 토층(1)과 집수정(100)으로 원활하게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적층식 블록조립체(1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적층식 블록조립체(10)의 일측에는 경계블록(50)이 설치된다. 상기 경계블록(50)은 도로의 경계를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적층식 블록조립체(10)에 의해 구성되는 보도나 차도와 인접한 부분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경계블록(50)은 상기 적층식 블록조립체(10)의 일측에 상기 적층식 블록조립체(10) 보다 돌출되거나 적어도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계블록(50)과 인접한 하부에는 유공관(70, 有孔管)이 설치된다. 상기 유공관(70)은 집수를 위한 것으로, 경계블록(50)과 적층식 블록조립체(10)가 만나는 경계부분의 하부에 매립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적층식 블록조립체(10)에 의해 안내된 우수 등 수분이 상기 유공관(70)을 통해 집수된 후에 집수정(100)의 집수공간(11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공관(70)은 집수정(100)에 연결된다. 상기 집수정(100)은 토층(1)에 설치된 침수방지 설비로, 지하수나 빗물 등을 모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침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우수가 적층식 블록조립체(10)를 통해 1차적으로 토층(1)으로 침투하지 못하고 넘침현상(오버플로우)이 발생하더라도, 역류된 우수는 아래에서 설명될 적층식 블록조립체(10)의 유로채널(H, 도3 참조)을 통해 유공관(7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버플로우된 우수가 노면으로 배출되지 않고, 적층식 블록조립체(10)의 유로채널(H)에 의해 유공관(70) 및 집수정(100)으로 전달되어 배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집수정(100)은 유공관(70) 보다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적층식 블록조립체(1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적층식 블록조립체(10)는 상하적층된 블록(20,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은 동일한 형상이지만, 적층구조의 설명을 위하여 본 실시례에서는 이들을 각각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으로 구분하여 칭하기로 한다. 하부블록(20)의 상부에 상부블록(30)이 적층되어 총 2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상부블록(30)의 상부 또는 하부블록(20)의 하부에 별도의 구조물이 부가될 수도 있다.
상기 적층식 블록조립체(10)를 구성하는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은 동일한 형상이다. 상기 하부블록(20)과 상부블록(3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만들어지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층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하부블록(20)의 상부에서 상부블록(30)이 뒤집힌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상기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의 상면에는 돌출부(25a,25b)와 결합홈(27a,27b)이 형성되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층되는 과정에서 상대블록의 돌출부(35)와 결합홈(37)서로 정확한 위치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대블록이란 서로 적층되는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을 의미한다.
상기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은 서로 일부 구간이 겹치도록 엇갈려 설치된다. 즉,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이 각각 일대일로 결합되지 않고, 하나의 하부블록(20)에 다수개의 상부블록(30)의 일부가 결합되는 것이다. 동시에, 하나의 상부블록(30) 역시 다수개의 하부블록(20)의 일부와 겹치도록 엇갈려 설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하부블록(20)에 총 4개의 상부블록(30)이 겹쳐지게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하나의 하부블록(20)에 4개의 상부블록(30)이 각각 1/4씩 겹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부블록(30)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이 이와 적층된 다수개의 하부블록(20)에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하부블록(20)을 4개의 가상 구역으로 구분하였을 때, ①~④ 구역에는 각각 서로 다른 상부블록(30)의 일부과 결합되는 것이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하부블록(20)을 좌우 구간으로 나누고, 여기에 별개의 상부블록(30)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부블록(30)은 외부로 드러나 실질적으로 수직하중을 받는 부분인데, 상부블록(30)에 수직하중이 가해지면, 이는 다수개의 하부블록(20)에 전달되어 분산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적층식 블록조립체(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일부 블록의 파손이나, 파손으로 인한 들뜸이 방지될 수 있다.
하부블록(20)과 상부블록(3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하부블록(20)과 상부블록(30)은 동일한 형상이므로, 하부블록(2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블록(20)은 블록몸체(21)가 그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블록몸체(21)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블록몸체(21)의 상면에는 상대블록인 상부블록(30)과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하부블록(20)의 상면에는 돌출부(25a,25b)와 결합홈(27a,27b)이 형성되고, 이는 상부블록(30)의 결합홈(27a,27b) 및 돌출부(25a,25b)와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25a,25b)는 상기 블록몸체(21)의 상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부(25a,25b)는 상기 블록몸체(21) 상면(23)을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부라인(25)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라인(25)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돌출부(25a,25b)를 가리킨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돌출부(25a,25b)는 두 개가 하나의 돌출부라인(25)을 형성한다. 하나의 돌출부라인(25)을 형성하는 두 돌출부(25a,25b)는 각각 서로 다른 상부블록(30)에 형성된 결합홈(27a,27b)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25a,25b)는 다수개가 하나의 돌출부라인(25)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블록(20)이 다수개의 상부블록(30)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라인(25)은 짝수개로 구성되고, 하나의 돌출부라인(25)을 구성하는 돌출부(25a,25b)도 역시 짝수개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하부블록(20)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대칭 구조(도 2의 2점쇄선 참조)를 가질 수 있고, 하나의 하부블록(20)에 다수개의 상부블록(30)이 결합되는 구조가 연속적으로 엇갈려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블록(20)의 상면에는 결합홈(27a,27b)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7a,27b)은 하부블록(20)과 결합되는 상대블록인 상부블록(30)의 돌출부(25a,25b)에 대응되는 것으로, 블록몸체(21)의 일부가 요입된 형상이다. 상기 결합홈(27a,27b)은 상기 돌출부(25a,25b)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돌출부(25a,25b)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요입된다.
상기 결합홈(27a,27b) 역시 다수개가 상기 블록몸체(21) 상면(23)을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홈라인(27)을 구성한다. 앞서와 같은 이유로(24) 상기 결합홈라인(27)은 짝수개로 구성되고, 결합홈라인(27)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결합홈(27a,27b) 역시 짝수개, 예를 들어 2개, 4개 또는 6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라인(25) 및 결합홈라인(27)은 상기 블록몸체(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대칭인 구조이다. 이러한 대칭구조를 통해 하나의 하부블록(20)에 다수개의 상부블록(30)의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5a,25b)와 결합홈(27a,27b)은 상대블록의 결합홈(27a,27b) 및 돌출부(25a,25b)와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25a,25b)는 돌출된 일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결합홈(27a,27b)은 요입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물론 상기 돌출부(25a,25b)와 결합홈(27a,27b)이 반드시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례의 블록보다 크기가 절반인 크기를 갖는 블록(20,30)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블록(20,30) 자체의 크기도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라인(25)과 상기 결합홈라인(27) 사이에는 유로(24)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유로(24)는 우수가 이동하는 경로에 해당하는데, 상기 유로(24)는 블록몸체(21)의 상면이 요입된 형태이므로 온전한 관(pipe)형태를 이루지는 못하고, 대략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유로(24)는 상대블록인 상부블록(30)의 유로(34)와 함께 하나의 유로채널(H)을 형성한다. 즉, 위아래로 적층된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의 유로(24,34)들은 하나의 폐쇄된 유로채널(H)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즉, 하부블록(20)과 상부블록(30)이 결합하면 하부블록(20)의 유로(24)와 상부블록(30)의 유로(34)가 서로 결합하여 원형단면을 갖는 하나의 관형태를 띄는 것이다. 이러한 유로채널(H)을 통해 우수가 일방향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상기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 자체도 투수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지만, 집중호우시에는 우수의 침투량이 지반의 투수계수를 넘어서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적층식 블록조립체(10)를 통과한 우수 중 오버플로우된 일부 우수는 상부블록(30)을 통해 노면으로 넘치기 전에 상기 유로채널(H)을 따라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블록(20)과 적층되는 상부블록(30)은 하부블록(20)과 동일한 형상이다. 다만, 상부블록(30)은 뒤집혀서 하부블록(2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부블록(20)에 적층된다. 하부블록(20)과 상부블록(30)은 동일한 형상이고, 이들은 각각 상하/좌우 대칭구조를 가지므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부블록(30)에는 3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형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투수시스템을 이용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에서 보듯이, 비가 오면 우수는 적층식 블록조립체(1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전달된다. 우수는 먼저 적층식 블록조립체(10)의 상부블록(30)을 통해 하부로 전달되는데, 상부블록(30)에 형성된 미세한 투수홀과 인접한 상부블록(30) 사이의 틈 등으로 침투될 수 있다.
침투된 우수는 적층식 블록조립체(10)를 통과한 후에, 모래층(5) 및 투수시트(3)를 거쳐 토층(1)으로 1차침투된다.(도 6의 화살표① 참조) 물론, 우수 중 일부는 유공관(70)을 통해 토층(1)으로 2차침투될 수 있다.(도 6의 화살표② 참조) 이러한 2차침투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집중호우와 같이 강우량이 많은 경우에는 토층(1)의 투수계수를 넘는 우수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는 우수의 일부가 오버플로우되어 적층식 블록조립체(10) 방향으로 넘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적층식 블록조립체(10)에 유로채널(H)이 형성되므로, 오버플로우된 우수는 상부블록(30)의 상면 방향으로 배출되지 않고, 유로채널(H)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유로채널(H)은 일방향, 보다 정확하게는 경계블록(50) 및 유공관(70)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우수는 경계블록(50) 방향으로 안내된다.(도 6의 화살표③ 참조) 이동한 우수는 유공관(70)으로 모인 후에 토층(1)으로 2차침투되거나, 집수정(100)으로 전달되어 배출된다.(도 6의 화살표④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토층(1)의 투수계수를 넘는 우수가 발생하더라도, 오버플로우된 우수가 적층식 블록조립체(10)의 유로채널(H)을 통해 안내될 수 있으므로 노면으로 빗물이 유출되거나 그 과정에서 블록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투수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집수정(100)에 인접하도록 유공관(70)이 설치된다.(유공관설치단계) 유공관(70)은 집수정(100) 및 경계블록(50)에 인접한 토층(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공관(70)에 인접한 위치에는 집수정(100)과 경계블록(50)이 위치되어 있다. 이어서, 토층(1)에 투수시트(3) 및 모래층(5)이 설치되어 기초부가 다져진다.(기초부설치단계)
그리고 상기 기초부 상에 하부블록(20)이 설치된다.(하부블록설치단계)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하부블록(20)은 돌출부(25a,25b)와 결합홈(27a,27b)이 상부를 향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하부블록(20)은 다수개가 서로 인접하도록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하부블록(20) 상부에 동일한 형상의 상부블록(30)이 설치된다.(상부블록설치단계) 상기 상부블록(30)은 상기 하부블록(2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층하되 서로 일부 구간이 겹치도록 엇갈려 설치된다. 예를 들어 앞서 도 2에서 보듯이, 하나의 하부블록(20)을 총 4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마다 상부블록(30)이 겹치도록 총 4개의 상부블록(30)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는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이 각각 상하/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이므로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적층된 모습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이 적층되면 적층식 블록조립체(10)가 완성된다. 이렇게 되면, 위아래로 적층된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의 유로(34)들은 하나의 폐쇄된 유로채널(H)을 형성한다. 상기 유로채널(H)은 상기 유공관(70)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토층(1)으로부터 역류된 우수가 노면으로 배출되지 않고 유공관(70)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적층식 블록조립체(10)를 구성하는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이 동일한 형상이므로 하나의 금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유지보수시에 하부블록(20) 및 상부블록(30)을 서로 구분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토층 3: 투수시트
5: 모래층 10: 적층식 블록조립체
20: 하부블록 30: 상부블록
50: 경계블록 70: 유공관
100: 집수정

Claims (9)

  1. 하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과 동일한 형상의 상부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은 서로 일부 구간이 겹치도록 엇갈려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층되며, 상기 상부블록 및 하부블록은 각각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요입되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층되는 상대블록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결합홈과,
    상기 돌출부 및 결합홈 사이에 요입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유로를 포함하며,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이 적층되면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의 유로들은 하나의 폐쇄된 유로채널을 형성하는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블록몸체 상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부라인을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홈은 다수개가 상기 블록몸체 상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홈라인을 구성하며, 상기 돌출부라인과 상기 결합홈라인 사이에는 유로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라인 및 결합홈라인은 각각 짝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라인 및 결합홈라인은 상기 블록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대칭인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라인 및 결합홈라인에 각각 구비된 돌출부와 결합홈은 짝수개로 구성되는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돌출된 일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결합홈은 요입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
  6. 하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과 일부구간이 겹치도록 적층되고 동일한 형상인 상부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의 마주보는 부분에는 유로채널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적층식 블록조립체와,
    상기 적층식 블록조립체의 일측에 상기 적층식 블록조립체 보다 돌출되거나 적어도 같은 높이를 갖는 경계블록과,
    상기 경계블록에 인접한 적층식 블록조립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에 모인 우수가 토층을 통해 전달되는 집수정을 포함하는 적층식 블록조립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은 각각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요입되어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층되는 상대블록의 돌출부와 결합되는 결합홈과,
    상기 돌출부 및 결합홈 사이에 요입되고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유로를 포함하며,
    위아래로 적층된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의 유로들은 하나의 폐쇄된 유로채널을 형성하는 적층식 블록조립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채널은 상기 경계블록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층식 블록조립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
  9. 집수정에 인접하도록 유공관을 설치하는 유공관설치단계와,
    토층에 투수시트 및 모래층을 설치하여 기초부를 다지는 기초부설치단계와,
    상기 기초부 상에 하부블록을 설치하는 하부블록설치단계와,
    상기 하부블록 상부에 동일한 형상의 상부블록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적층하되 서로 일부 구간이 겹치도록 엇갈려 설치되는 상부블록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위아래로 적층된 하부블록 및 상부블록의 유로들은 하나의 폐쇄된 유로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유로채널은 상기 유공관 방향으로 연장되는 투수시스템 시공방법.
KR1020160077321A 2016-06-21 2016-06-21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 및 투수시스템 시공방법 KR20170143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321A KR20170143279A (ko) 2016-06-21 2016-06-21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 및 투수시스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321A KR20170143279A (ko) 2016-06-21 2016-06-21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 및 투수시스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279A true KR20170143279A (ko) 2017-12-29

Family

ID=6093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321A KR20170143279A (ko) 2016-06-21 2016-06-21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 및 투수시스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32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4877A (zh) * 2019-05-31 2019-08-30 湖北工业大学 一种海绵城市生态处理道路系统及其施工方法
CN110616615A (zh) * 2019-09-30 2019-12-27 深圳市中荣煜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透水铺砌路面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4877A (zh) * 2019-05-31 2019-08-30 湖北工业大学 一种海绵城市生态处理道路系统及其施工方法
CN110616615A (zh) * 2019-09-30 2019-12-27 深圳市中荣煜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透水铺砌路面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01280B (zh) 一种透水铺装结构
CN204728165U (zh) 生态透水路面
CN108239905B (zh) 一种防积水道路及其施工方法
KR20170143279A (ko) 투수기능을 갖는 적층식 블록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투수시스템 및 투수시스템 시공방법
CN209958165U (zh) 一种装配式缝隙透水路面
KR101647774B1 (ko) 투수 포장 셀
KR101019562B1 (ko) 보도블록 및 보차도 경계석을 포함하는 도로의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170041412A (ko) 투수 트랜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성 보도블록포장 시공방법
CN213571358U (zh) 具有蓄水功能的园林路面铺装结构
CN211713548U (zh) 一种稳固型生态透水路面
CN210657848U (zh) 透水砖铺设结构
CN211547155U (zh) 一种道路用透水平缘石
CN210737276U (zh) 一种便于稳固安装的防滑型透水砖
CN210597267U (zh) 一种具有抗浮防渗、过滤功能的排水结构
KR101201570B1 (ko) 견고한 연결구조를 가지는 토양 유지용 격자판 및 그 연결구조
CN209368620U (zh) 一种透水路基结构
KR101224380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CN202989722U (zh) 一种透水路缘石
CN216663666U (zh) 一种适合不同路面的基层透水工字砖
CN214116147U (zh) 一种高稳定性透水砖
CN113389105A (zh) 透水路面平缘石排水系统
KR101367937B1 (ko) 투수성 포장재의 침투량 증대장치
CN216275075U (zh) 一种仿古碎石道路
CN212801079U (zh) 一种具有透水挡墙的道路结构
JP7499163B2 (ja) 貯水型側溝およびそれを用いた貯水型側溝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