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399B1 - 배수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399B1
KR102154399B1 KR1020180119293A KR20180119293A KR102154399B1 KR 102154399 B1 KR102154399 B1 KR 102154399B1 KR 1020180119293 A KR1020180119293 A KR 1020180119293A KR 20180119293 A KR20180119293 A KR 20180119293A KR 102154399 B1 KR102154399 B1 KR 102154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rainwater
sand
drain
side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513A (ko
Inventor
남장우
최정인
문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환경회복연구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환경회복연구센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환경회복연구센터
Priority to KR1020180119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3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가장자리 외측에 구비되는 보도부, 상기 보도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지지하기 위한 모래부, 상기 모래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도로 가장자리로 집수된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부, 상기 모래부와 배수부 사이에 구비되어 배수부를 하측으로 누름에 따라, 배수부의 설치 형태를 유지시키는 쇄석골재부, 상기 적층된 보도부, 모래부, 쇄석골재부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설치형태를 유지시키는 경계석부, 및 상기 보로 가장자리에 위치된 경계석부에 구비되어 집수된 우수를 상기 쇄석골재부로 유입시키는 우수유입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보도와 도로에 내린 우수를 유입시켜 침투시킴에 따라, 우수를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시스템{Drainage system}
본 발명은 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수된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키되, 배수효율을 향상시킴에 따라, 집수된 우수가 정체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우수를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는 배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는 포장 등에 의해 불투수면이 증가됨에 따라, 우수가 배수되기 위한 빗물받이와 관거 등으로 구성되는 하수도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수도시설은 우수를 토양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구성이 없이 강이나 바다로 직접 배수시킴에 따라, 토양으로 침투되는 우수량이 극히 적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여름철 장마 시, 집중 호우에 의해 우수가 빗물받이로 다 수용되지 못하여 물웅덩이가 형성되어 사람의 통행은 물론, 차량통행도 불가능한 상태가 발생된다.
또한 배수량의 급증에 의해 역류하는 우수에 의해 하수도덮개나 집수정덮개가 파손되거나 수압에 의해 덮개가 솟구쳐 2차 피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종래 등록실용신안 20-0467111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물이 유입됨은 물론, 배수량이 많을 경우, 용이하게 역류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배수에 대한 원천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배수 효율과도 전혀 무관하며, 토양으로 우수를 침투시키는 기능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우수를 지중으로 침투시키는 기능을 향상시킴에 따라, 물웅덩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천으로 직접 방류되는 양을 최소화시키고, 우수를 토양에 효과적으로 침투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도로의 가장자리 외측에 구비되는 보도부, 상기 보도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지지하기 위한 모래부, 상기 모래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도로 가장자리로 집수된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부, 상기 모래부와 배수부 사이에 구비되어 배수부를 하측으로 누름에 따라, 배수부의 설치 형태를 유지시키는 쇄석골재부, 상기 적층된 보도부, 모래부, 쇄석골재부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설치형태를 유지시키는 경계석부, 및 상기 보로 가장자리에 위치된 경계석부에 구비되어 집수된 우수를 상기 쇄석골재부로 유입시키는 우수유입부,를 포함하여 보도와 도로에 내린 우수를 집수하여 용이하게 침투시킴에 따라, 우수를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는 배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의 가장자리 외측에 구비되는 보도부, 상기 보도부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모래부, 상기 모래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도로 가장자리로 집수된 우수를 지중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배수부, 상기 모래부와 배수부 사이에 구비되어 배수부를 하측으로 누름에 따라, 배수부의 설치 형태를 유지시키는 쇄석골재부, 상기 적층된 보도부, 모래부, 쇄석골재부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설치형태를 유지시키는 경계석부, 및 상기 보로 가장자리에 위치된 경계석부에 구비되어 집수된 우수를 상기 쇄석골재부로 유입시키는 우수유입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도부와 모래부는, 상기 도로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도부와 모래부의 구배는 1 ~ 3%이다.
또한, 상기 모래부와 쇄석골재부 사이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층,이 구비되어 모래부의 모래가 쇄석골재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부는, 일정 개수의 배수단위체가 일체로 연결되어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수판이 복수 개 배열된다.
또한, 상기 배수단위체는, 내부에 배수공간부를 갖되,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몸체, 상기 배수몸체의 하측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배수플랜지, 상기 배수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배수플랜지의 내부에 형성되어 배수공간부로 유입된 우수를 하측 지중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침투공, 및 상기 배수몸체에 복수 개 형성되어 우수를 배수공간부로 유입시키거나 배수공간부의 우수를 측방향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몸체는, 복수의 몸체플레이트가 상호 연결되어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플레이트는 6개로 배수몸체는 허니컴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공은, 해당 몸체플레이트에 통공되되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침투공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배수단위체가 하나의 배수열을 이루고, 상기 배수열은 짝수 개로 배열되되, 어느 하나의 배수열의 배수단위체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배수열의 배수단위체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단부와 하단부에 요철이 형성된다.
또한, 어느 하나의 배수판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요철에 다른 하나의 배수판 해당 단부의 요철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열은, 4개의 배수단위체를 갖고, 측방향으로 4개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판은, 하단부에 복수의 고정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지중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침투공은, 상기 몸체플레이트와 동일한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제1침투공, 및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침투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침투공은 상기 4개의 배수열 중 두 번째 배수열의 최상단 배수단위체와 세 번째 배수열의 최하단 배수단위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침투공을 통해 지중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배수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플랜지는, 상기 몸체플레이트와 직교되는 면을 갖고, 외형이 몸체플레이트와 대응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계석부는, 상기 도로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보도부와 모래부, 배수부, 쇄석골재부의 일측단부를 구획하기 위한 내측경계석부, 및 상기 보도부와 모래부, 쇄석골재부의 타측단부를 구획하기 위한 외측경계석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경계석부는, 상기 보도부와 모래부, 쇄석골재부의 일측단부를 단속하기 위해 구비되는 내측경계석, 및 상기 내측경계석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배수부의 일측단부를 단속하기 위한 내측받침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측받침대의 상면은, 상기 도로 가장자리에서 내측경계석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제1내측상면, 상기 내측경계석이 안착되기 위한 내측안착홈, 및 상기 내측안착홈부터 쇄석골재부까지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2내측상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내측상면의 구배는 5 ~ 7%이다.
또한, 상기 외측경계석부는, 상기 보도부와 모래부의 타측단부를 단속하기 위한 외측경계석, 및 상기 외측경계석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쇄석골재부의 타측단부를 단속하기 위한 외측받침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받침대는 상기 외측경계석이 안착되기 위한 외측안착홈이 상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받침대의 상단면과 상기 외측받침대의 하단면이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내측받침대의 상단면과 외측받침대의 하단면을 지나는 연장선은 저류층의 상면과 동일하며, 상기 저류층은 쇄석골재부의 하단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우수유입부는, 상기 내측경계석의 하단부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수시스템에 의하면, 보도와 도로에 내린 우수를 집수하여 용이하게 배수시킴에 따라, 우수를 지중으로 침투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단위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에 고정돌기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단위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에 고정돌기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시스템은 보도부(100)와 모래부(200), 배수부(300), 쇄석골재부(400), 경계석부(500) 및 우수유입부(600)로 구성된다.
보도부(100)는 도로(20)의 가장자리 외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모래부(200)는 보도부(100)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배수부(300)는 모래부(200)의 하측에 위치되어 도로(20) 가장자리로 집수된 우수를 지중으로 침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쇄석골재부(400)는 모래부(200)와 배수부(300) 사이에 구비되어 배수부(300)를 하측으로 누름에 따라, 배수부(300)의 설치 형태를 유지시킨다.
경계석부(500)는 적층된 보도부(100), 모래부(200), 쇄석골재부(40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설치형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해당 단부가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속한다.
그리고 우수유입부(600)는 보도(20) 가장자리에 위치된 경계석부(500)에 구비되어 집수된 우수를 쇄석골재부(400)로 유입시킨다.
이러한 배수시스템에 의하면, 보도부(100)와 도로(20)에 내린 우수가 우수유입부(600)로 용이하게 가이드되어 집수됨에 따라, 쇄석골재부(400)로 유입된다.
여기서, 쇄석골재부(400)로 유입된 우수는 배수부(300)에 의해 신속하게 배수됨에 따라, 집수된 우수가 우수유입부(600) 주변에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수부(300)를 따라 배수되는 우수는 지중으로 용이하게 침투된다.
이를 위한, 보도부(100)와 모래부(200)는 도로(20)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보도부(100)와 모래부(200)의 구배는 1 ~ 3%이며, 약 2%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수부(300)는 보도부(100), 모래부(200)와 반대로 도로(20) 방향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구배는 약 -0.5 ~ 1.5%로 형성됨며, -1%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래부(200)와 쇄석골재부(400) 사이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층(700)이 더 구비된다.
이 구획층(700)에 의하면 모래부(200)의 모래가 쇄석골재부(4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배수부(3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개수의 배수단위체(320)가 일체로 연결되어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수판(310)이 복수 개 배열된다.
여기서, 배수단위체(32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몸체(322)와 배수플랜지(324), 침투공(326) 및 배수공(328)으로 구성된다.
배수몸체(322)는 내부에 배수공간부(323)를 갖되,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배수플랜지(324)는 배수몸체(322)의 하측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침투공(326)은 배수몸체(322)의 배수공간부(323)와 연통되도록 배수플랜지(324)의 하측에 형성되어 배수공간부(323)로 유입된 우수를 하측 지중으로 침투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이 침투공(326)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배수공(328)은 배수몸체(322)에 복수 개 형성되어 우수를 배수공간부(323)로 유입시키거나 배수공간부(323)의 우수를 측방향으로 배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배수몸체(322)는 복수의 몸체플레이트(3222)가 상호 연결되어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각 몸체플레이트(3222)에 배수공(328)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공(328)은 해당 몸체플레이트(3222)에 통공되되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측의 우수는 용이하게 배수되고, 하측의 우수는 정체되어 침투공(326)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 예로, 몸체플레이트(3222)는 6개로 배수몸체(322)는 허니컴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배수플랜지(324)의 외형은 배수몸체(322)와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이 배수플랜지(324)는 배수몸체(322)의 배수공간부(323)방향 또는 외측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사용됨이 당연하다.
여기서, 침투공(326)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배수몸체(322)와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다른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그리고 배수판(31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배수단위체(320)가 하나의 배수열(A)을 이룬다.
이러한 배수열(A)은 짝수 개로 배열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배수열(A1)의 배수단위체(320)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배수열(A2)의 배수단위체(320)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단부와 하단부에 요철이 형성된다.
이에, 어느 하나의 배수판(31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요철에 다른 하나의 배수판(310') 해당 단부의 요철이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 예로, 배수열(A)은 4개의 배수단위체(320)를 갖고, 측방향으로 4개(A1 ~ A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판(310)은 하단부에 복수의 고정돌기(330)가 더 형성된다.
이 고정돌기(330)는 배수판(310)의 배수단위체(320) 중 전체 또는 일부의 하단부에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설치 시, 고정돌기(330)가 지중에 삽입되어 변위를 방지하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침투공(326)은 제1침투공(3262)과 제2침투공(3264)으로 구성된다.
제1침투공(3262)은 몸체플레이트(3222)와 동일한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제2침투공(3264)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 제1침투공(3262)은 허니컴구조로 형성되어 침투되는 우수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제2침투공(3264)은 배수판(3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2침투공(3264)은 제1침투공(3262)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쇄석골재부(400)의 쇄석과 골재에 의해 가압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배수판(310)의 설치위치를 유지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침투공(3264)은 4개의 배수열(A) 중 두 번째 배수열(A2)의 최상단 배수단위체(320)와 세 번째 배수열(A3)의 최하단 배수단위체(320)에 형성된다.
또한 각 제2침투공(3264)에는 고정부(340)가 더 구비된다.
이 고정부(340)는 각 제2침투공(3264)을 통해 지중에 고정됨에 따라, 배수판(3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340)는 핀이나 포스트, 엥커 등으로, 배수판(310)을 지중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계석부(500)는 내측경계석부(510)과 외측경계석부(520)로 구성된다.
내측경계석부(510)는 도로(20)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보도부(100)와 모래부(200), 배수부(300), 쇄석골재부(400)의 일측단부를 구획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이동을 단속한다.
또한 외측경계석부(520)는 보도부(100)와 모래부(200), 쇄석골재부(400)의 타측단부를 구획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이동을 단속한다.
이에, 적층된 보도부(100)와 모래부(200), 배수부(300), 쇄석골재부(400)의 설치된 형태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내측경계석부(510)는 내측경계석(512)과 내측받침대(514)로 구성된다.
내측경계석(512)은 보도부(100)와 모래부(200), 쇄석골재부(400)의 일측단부를 단속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내측받침대(514)는 내측경계석(512)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배수부의 일측단부를 단속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내측받침대(514)의 상면(515)은 제1내측상면(515a)과 내측안착홈(515b) 및 제2내측상면(515c)으로 구성된다.
제1내측상면(515a)은 도로(20) 가장자리에서 내측경계석(512)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우수를 집수하도록 가이드한다.
이 제1내측상면(515a)의 구배는 5 ~ 7%로, 약 6%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안착홈(515b)은 내측경계석(512)이 안착되도록 제1내측상면(515a)과 제2내측상면(515c) 사이에 형성된다.
제2내측상면(515c)은 내측안착홈(515b)에서 쇄석골재부(400)까지 수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경계석부(520)는 외측경계석(522)과 외측받침대(524)로 구성된다.
외측경계석(522)은 보도부(100)와 모래부(200)의 타측단부를 단속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외측받침대(524)는 외측경계석(522)의 하측을 지지하고, 쇄석골재부(400)의 타측단부를 단속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외측받침대(524)는 외측경계석(522)이 안착되기 위한 외측안착홈(525)이 상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받침대(514)의 상단면과 외측받침대(524)의 하단면이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내측받침대(514)의 상단면과 외측받침대(524)의 하단면을 지나는 연장선(B)은 저류층(C)의 상면과 동일하며, 저류층(C)의 상면은 쇄석골재부(400)의 하단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우수유입부(600)는 내측경계석(512)의 하단부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구배에 의해 모인 우수가 유입된다.
100 : 보도부 200 : 모래부
300 : 배수부 310 : 배수판
320 : 배수단위체 322 : 배수몸체
324 : 배수플랜지 326 : 침투공
328 : 배수공 400 : 쇄석골재부
500 : 경계석부 600 : 우수유입부

Claims (3)

  1. 도로의 가장자리 외측에 구비되는 보도부;
    상기 보도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지지하기 위한 모래부;
    상기 모래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도로 가장자리로 집수된 우수를 지중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부;
    상기 모래부와 배수부 사이에 구비되어 배수부를 하측으로 누름에 따라, 배수부의 설치 형태를 유지시키는 쇄석골재부;
    상기 적층된 보도부, 모래부, 쇄석골재부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설치형태를 유지시키는 경계석부; 및
    상기 도로 가장자리에 위치된 경계석부에 구비되어 집수된 우수를 상기 쇄석골재부로 유입시키는 우수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일정 개수의 배수단위체가 일체로 연결되어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수판이 복수 개 배열되며,
    상기 배수단위체는,
    내부에 배수공간부를 갖되,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몸체;
    상기 배수몸체의 하측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배수플랜지;
    상기 배수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배수플랜지의 내부에 형성되어 배수공간부로 유입된 우수를 하측 지중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침투공; 및
    상기 배수몸체에 복수 개 형성되어 우수를 배수공간부로 유입시키거나 배수공간부의 우수를 측방향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공;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몸체는,
    복수의 몸체플레이트가 상호 연결되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수판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배수단위체가 하나의 배수열을 이루고,
    상기 배수열은 짝수 개로 배열되되, 어느 하나의 배수열의 배수단위체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배수열의 배수단위체들 사이에 위치되어 상단부와 하단부에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침투공은,
    상기 몸체플레이트와 동일한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제1침투공; 및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침투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침투공은 4개의 배수열 중 두 번째 배수열의 최상단 배수단위체와 세 번째 배수열의 최하단 배수단위체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플랜지는,
    상기 몸체플레이트와 직교되는 면을 갖고, 외형이 몸체플레이트와 대응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판은 하단부에 복수의 고정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지중에 삽입되며,
    상기 제2침투공을 통해 지중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배수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부는,
    상기 도로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보도부와 모래부, 배수부, 쇄석골재부의 일측단부를 구획하기 위한 내측경계석부; 및
    상기 보도부와 모래부, 쇄석골재부의 타측단부를 구획하기 위한 외측경계석부;를 포함하는 배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경계석부는,
    상기 보도부와 모래부, 쇄석골재부의 일측단부를 단속하기 위해 구비되는 내측경계석; 및
    상기 내측경계석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배수부의 일측단부를 단속하기 위한 내측받침대;를 포함하는 배수시스템.
KR1020180119293A 2018-10-05 2018-10-05 배수시스템 KR102154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93A KR102154399B1 (ko) 2018-10-05 2018-10-05 배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93A KR102154399B1 (ko) 2018-10-05 2018-10-05 배수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849 Division 2017-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513A KR20190010513A (ko) 2019-01-30
KR102154399B1 true KR102154399B1 (ko) 2020-09-10

Family

ID=6527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293A KR102154399B1 (ko) 2018-10-05 2018-10-05 배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6969A (zh) * 2019-11-04 2020-02-28 深圳华侨城文化旅游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主题公园的道路结构及主题公园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778B1 (ko) * 2010-01-19 2011-07-26 황순호 우수저장 블록, 집수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우수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2334A (ko) * 2012-12-11 2014-02-24 주식회사 녹색도시건설 보도 블록 시공용 지오그리드
KR101647774B1 (ko) * 2014-03-20 2016-08-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수 포장 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778B1 (ko) * 2010-01-19 2011-07-26 황순호 우수저장 블록, 집수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우수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513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880B2 (en) Module and method for managing water and other fluids
KR101509202B1 (ko) 친환경 수로형 집수정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KR100967187B1 (ko) 이중 배수 장치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JP2007138707A (ja) 透水性舗装用歩車道境界ブロック及び透水性舗装の排水構造
KR101547900B1 (ko)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저영향 개발 기법 시설
KR102154399B1 (ko) 배수시스템
KR101673421B1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41412A (ko) 투수 트랜치 및 이를 이용한 투수성 보도블록포장 시공방법
KR102051860B1 (ko) 보도용 배수 트렌치
KR101799853B1 (ko) 도시의 물 순환계 시스템과, 이 시스템에 이용되는 가로수 보호 트렌치
JP2012255250A (ja) 雨水処理施設
KR102285538B1 (ko) 배수기능을 가지는 화강석 보도블록
KR100804066B1 (ko) 효율적인 배수가 가능하며 그 구조강도가 개선되는인공지반의 배수구조
JP3668869B2 (ja) 地下貯水槽用積上げ部材
JP4206006B2 (ja) 透水性舗装路用側溝ブロック
KR101096195B1 (ko) 조립식 보도블록 시스템
JP2000179034A (ja) 側溝、側溝の蓋部材、および境界ブロック
JP6839438B2 (ja) 雨水浸透貯留槽の構築方法
JP4039445B2 (ja) 排水構造
JP4084479B2 (ja) 雨水等の浸透構造
KR20160080135A (ko) 다기능 보도블럭 하부구조체 및 그를 사용한 시공방법
JP2016079592A (ja) 舗装構造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CN211848704U (zh) 一种用于铺设人行道的架空支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