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400B1 - 포장용 저류 블록 - Google Patents

포장용 저류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400B1
KR102252400B1 KR1020210006129A KR20210006129A KR102252400B1 KR 102252400 B1 KR102252400 B1 KR 102252400B1 KR 1020210006129 A KR1020210006129 A KR 1020210006129A KR 20210006129 A KR20210006129 A KR 20210006129A KR 102252400 B1 KR102252400 B1 KR 102252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orage
block
plate portion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방재안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방재안전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방재안전기술
Priority to KR102021000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벽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는 제1판부와 제2판부의 폭을 상이하게 부등변으로 형성한 저류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형상의 저류 블록을 조합하여 도심지 보행 공간에서 우수 유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시각적·생태적으로 자연 친화적인 환경 제공이 가능한 포장용 저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포장용 저류 블록은 복수 열로 연속 배치되어 저류형 포장체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하면이 평탄면인 평면상 사각형이고, 일측단과 타측단에 결합돌부와 결합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1판부; 상기 제1판부의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연결벽; 및 상기 연결벽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면이 평탄면인 평면상 사각형이고, 상기 제1판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며, 제1판부의 결합돌부 및 결합홈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일측단과 타측단에 결합돌부 및 결합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2판부; 로 구성되어 연결벽 측면의 제1판부와 제2판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 저류 블록{Water retaining paver block}
본 발명은 연결벽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는 제1판부와 제2판부의 폭을 상이하게 부등변으로 형성한 저류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형상의 저류 블록을 조합하여 도심지 보행 공간에서 우수 유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시각적·생태적으로 자연 친화적인 환경 제공이 가능한 포장용 저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에 대한 것이다.
기후 변화로 인해 하절기 집중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이에 따른 침수 피해 역시 규모와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에서는 급속한 도시화와 함께 불투수 바닥 면적이 크게 증가하여 빗물이 땅속으로 원활하게 침투하지 못하고 표면에서 곧바로 유출되면서 침수 피해 정도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지하수 고갈이라는 수생태 환경의 악화가 초래되었다.
한편, 일반적인 바닥 포장면은 전체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자연 친화적이지 못하고, 시각적으로 삭막한 환경을 제공할 뿐 아니라 하절기 열섬 현상을 심화하며, 포장면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흡착, 여과할 수 없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공성 투수블록을 이용하여 포장면을 통해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게 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실용신안등록 제20-0333978호 등).
그러나 투수블록은 땅속으로 투수시키는 빗물의 양이 미미하다.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라 투수블록의 공극을 각종 미세 입자가 폐색하면서 투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투수블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구비된 저류 블록이 개발되었다(실용신안등록 제20-0391060호 등).
저류 블록은 포장면에서의 우수 유출을 상당량 저감시킬 수 있고, 포장체 내부에 일시 저류(貯留)된 빗물이 땅 속으로 침투하거나 증발산되도록 함으로써 수생태 환경을 개선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그러나 기존 저류 블록들은 형상이나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성이나 경제성이 떨어지고, 블록 상부가 폐쇄되어 포장면의 우수를 포장체 내부로 유입시키기 어렵다. 또한, 포장면 전체가 콘크리트 일색으로 구성되어 자연 친화적이지 않다.
이에 포장면의 자연 친화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등록특허 제10-0913126호 등과 같이 식생 가능한 공간이 구비된 식생용 포장 블록이 개발되었다.
식생용 포장 블록은 블록 몸체 내의 중공부 또는 블록 간 중공부에 토사를 채우고 잔디 등을 심어 식생을 조성한다. 그런데 사용 중 시간 경과에 따라 토사가 다져지면서 초기 식생이 소실되어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많아 최근에는 적용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또한, 포장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깬 자갈을 포설하여 포장체를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우수 유출 저감이나 빗물 침투, 시각적인 삭막함 완화 등의 장점이 있으나, 포장체 표면의 견고함이 떨어져 보행 공간으로서 부적합하다. 이에 따라 도심지의 보도용 포장체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838586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심지 보행 공간에서 우수 유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함과 동시에 시각적으로나 생태적으로 자연 친화적인 포장용 저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 열로 연속 배치되어 저류형 포장체를 형성하기 위한 포장용 저류 블록에 관한 것으로, 하면이 평탄면인 평면상 사각형이고, 일측단과 타측단에 결합돌부와 결합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1판부; 상기 제1판부의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연결벽; 및 상기 연결벽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면이 평탄면인 평면상 사각형이고, 상기 제1판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며, 제1판부의 결합돌부 및 결합홈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일측단과 타측단에 결합돌부 및 결합홈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2판부; 로 구성되어 연결벽 측면의 제1판부와 제2판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인접하는 저류 블록이 상하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면 인접하는 저류블록의 제1판부 측단이 밀착되어 하부는 폐쇄되고, 인접하는 저류 블록의 제2판부 사이 간격에 의해 상부는 개방된 개방형 중공부가 형성되며, 인접하는 저류 블록이 상하 역방향으로 배치되면 제1판부 및 제2판부의 측단이 각각 인접하는 저류 블록의 제2판부 및 제1판부의 측단과 밀착되어 상하부가 폐쇄된 폐쇄형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저류 블록을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판부는 제2판부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상하 대칭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확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저류 블록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벽은 제1판부 및 제2판부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연결벽의 전단과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측방 유동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저류 블록을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벽은 복수 개가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인접하는 연결벽 사이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저류 블록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포장용 저류 블록을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저류형 포장체는 상기 저류 블록을 제1판부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배치한 정배열 블록 열을 복수 열로 배치하여 인접하는 정배열 블록 열의 사이에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된 개방형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저류 블록을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개방형 중공부에는 채움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저류 블록을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정배열 블록 열 중 인접하는 어느 2개의 정배열 블록 열 사이에는 저류 블록을 제1판부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배치한 역배열 블록 열이 구비되어 인접하는 정배열 블록 열과의 사이에 상하부가 폐쇄된 폐쇄형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저류 블록을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벽에 의하여 상하로 연결되는 제1판부와 제2판부의 폭을 상이하게 부등변으로 형성한 포장용 저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형상의 저류 블록을 조합하여 포장체 상면을 내부의 개방형 중공부와 연통되게 함으로써, 우수 유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시각적·생태적으로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저류 블록의 조합에 따라 인접하는 저류 블록 사이에 폐쇄형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연속된 광폭 포장면 형성으로 보행자 보행이나 유모차 이동이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포장용 저류 블록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저류 블록 간 결합 관계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저류 블록 간 결합 관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포장용 저류 블록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포장용 저류 블록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결합홈부와 결합돌부가 구비된 저류 블록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저류 블록 간 결합 관계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저류 블록 간 결합 관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2개의 연결벽이 구비된 포장용 저류 블록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저류 블록 간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저류형 포장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포장용 저류 블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저류 블록 간 결합 관계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저류 블록 간 결합 관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포장용 저류 블록은 복수 열로 연속 배치되어 저류형 포장체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하면이 평탄면인 평면상 사각형이고, 일측단과 타측단에 결합돌부(24)와 결합홈부(25)가 각각 형성되는 제1판부(21); 상기 제1판부(21)의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연결벽(22); 및 상기 연결벽(22)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면이 평탄면인 평면상 사각형이고, 상기 제1판부(21)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며, 제1판부(21)의 결합돌부(24) 및 결합홈부(25)와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일측단과 타측단에 결합돌부(24) 및 결합홈부(25)가 각각 형성되는 제2판부(23); 로 구성되어 연결벽(22) 측면의 제1판부(21)와 제2판부(23) 사이에 공간부(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심지 보행 공간에서 우수 유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시각적으로나 생태적으로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포장용 저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포장용 저류 블록(2)은 상호 이격되는 제1판부(21)와 제2판부(23) 및 상기 제1판부(21)와 제2판부(23)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벽(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편의상 제1판부(21)가 하부, 제2판부(23)가 상부에 위치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판부(21)와 제2판부(23)는 각각 하면과 상면이 평탄한 평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판부(21)와 제2판부(23)는 세로변(길이 방향)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가로변(폭 방향)의 길이는 제1판부(21)의 폭이 제2판부(23)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판부(21)와 제2판부(23)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고, 연결벽(22)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연결벽(22)은 제1판부(21)와 제2판부(23)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은 제2판부(23)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벽(22)은 제1판부(21)와 제2판부(23)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며, 저류 블록(2)은 연결벽(22)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벽(22)의 좌우에는 제1판부(21)와 제2판부(23)에 의해 각각 공간부(20)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20)는 인접하는 저류 블록(2)의 공간부(20)와 함께 포장체(1)의 중공부(10a, 10b)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판부(23)는 제1판부(21)와 길이는 동일하고 폭은 제1판부(21)보다 좁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저류 블록(2)을 상하 동일 방향으로 배치하면, 즉 2개의 동일한 저류 블록(2)을 폭 방향으로 제1판부(21)의 측단이 밀착되도록 설치하면, 인접하는 저류 블록(2)의 제2판부(23) 사이에 소정의 간격(S)이 발생한다. 그리고 인접하는 저류 블록(2) 사이에는 하부는 서로 밀착된 제1판부(21)에 의해 폐쇄되고, 상부는 제2판부(23) 사이 간격(S)에 의해 개방된 개방형 중공부(10a)가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저류 블록(2)이 상하 역방향으로 배치되면, 즉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저류 블록(2, 2') 중 하나의 저류 블록(2)은 제1판부(21)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저류 블록(2')은 제1판부(21)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면, 인접하는 저류 블록(2, 2')의 제1판부(21)와 제2판부(23)의 측단이 서로 밀착된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저류 블록(2, 2') 사이에는 상하부가 모두 폐쇄된 폐쇄형 중공부(10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저류 블록(2)의 제1판부(21)와 제2판부(23)의 폭을 상이하게 부등변으로 형성하는 경우, 동일한 형상의 저류 블록(2)을 조합하여 포장체(1) 상면을 내부의 개방형 중공부(10a)와 연통하게 형성하거나 폐쇄형 중공부(10b)로 형성하여 연속된 광폭 포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판부(21)와 제2판부(23)는 연결벽(22)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면과 하면이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류 블록(2)에 의해 포장체(1) 형성시, 인접하는 저류 블록(2) 사이에 형성된 중공부(10a, 10b) 내부에 저류된 우수가 중앙으로 모여 우수 흐름이 원활해지도록 저류 블록(2)의 하부에 위치하는 판부(21, 23)의 상면은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부(10a, 10b) 내부에 후술할 채움재(3)가 채워지는 경우, 중공부(10a, 10b)의 상부 우각부까지 채움재(3)가 원활하고 밀실하게 채워지도록 저류 블록(2)의 상부에 위치하는 판부(21, 23)의 하면은 외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제1판부(21)와 제2판부(23)는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면과 하면을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판부(21)와 제2판부(23)는 연결벽(22)을 기준으로 연결벽(22)의 양측으로 돌출된 캔틸레버 구조로서, 연결벽(22) 측에서 가장 큰 모멘트가 발생하고 외측으로 갈수록 모멘트가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제1판부(21)와 제2판부(23)는 연결벽(22) 측을 두껍게 형성하고,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도 4는 본 발명 포장용 저류 블록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판부(21)는 제2판부(23)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상하 대칭 형성되는 본체(211) 및 상기 본체(211)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확장부(212)로 구성될 수 있다.
인접하는 저류 블록(2) 사이에 구비되는 중공부(10a, 10b)를 좌우 대칭 단면으로 형성하여 정배열이나 역배열 상관없이 일정한 통수 단면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제1판부(21)는 기본적으로 제2판부(23)와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하되 제1판부(21)의 단부를 확대하여 제2판부(23)보다 폭이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정배열과 역배열은 저류 블록(2)의 상하가 서로 반대로 위치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판부(21)는 제2판부(23)와 형상과 크기가 동일한 본체(211)를 제2판부(23)와 상하 대칭되도록 구비하고, 본체(211)의 양단에 각각 확장부(212)가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212)는 인접하는 저류 블록(2)의 확장부(212) 또는 제2판부(23)의 단부와 밀착시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두께가 일정한 등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 포장용 저류 블록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벽(22)은 제1판부(21) 및 제2판부(23)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연결벽(22)의 전단과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측방 유동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
강우량 증가시, 포장체(1) 전체의 중공부(10a, 10b)로 우수가 골고루 분포되도록 저류 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중공부(10a, 10b) 간에 우수가 유동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벽(22)의 길이 방향 일측단 또는 타측단을 제1판부(21) 및 제2판부(23)보다 함몰되도록 짧게 형성하여 측방 유동구(2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형 중공부(10a)로 유입된 우수가 인근의 폐쇄형 중공부(10b)로 이동하여 포장체(1) 전체의 중공부(10a, 10b)로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도 6은 결합홈부와 결합돌부가 구비된 저류 블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저류 블록 간 결합 관계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8은 저류 블록 간 결합 관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판부(21)와 제2판부(23)의 일측단에는 결합돌부(24)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결합돌부(24)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홈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판부(21)와 제2판부(23)의 측단에 결합돌부(24)와 결합홈부(25)를 형성하는 경우, 인접하는 저류 블록(2)들을 견고하게 상호 결속하여 포장체(1)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인접하는 저류 블록(2)이 모두 정방향으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8은 인접하는 저류 블록이 각각 정방향, 역방향, 정방향 순으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결합돌부(24)와 결합홈부(25)를 제1판부(21)와 제2판부(23)의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하면, 도 8과 같이 저류 블록(2)을 상하 뒤집어 배치하는 경우에도 인접하는 저류 블록(2)과 결합하기 용이하다.
도 9는 2개의 연결벽이 구비된 포장용 저류 블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저류 블록 간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벽(22)은 복수 개가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인접하는 연결벽(22) 사이에 내부 공간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류 블록(2)의 면적이 크면, 제1판부(21) 및 제2판부(23)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연결벽(22)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한다. 이 경우 저류 블록(2) 제작에 재료가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자중이 증가하여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두께가 얇은 연결벽(22)을 복수 열로 배치하여 소요 재료의 양 및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인접하는 연결벽(22) 사이에는 내부 공간부(20')가 형성되므로, 저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벽(22)의 전단 또는 후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측방 유동구(221)를 형성하여, 내부 공간부(20')의 내부에 우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 저류형 포장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 포장용 저류 블록을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전술한 본 발명 포장용 저류 블록을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저류형 포장체(1)는 상기 저류 블록(2)을 제1판부(21)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배치한 정배열 블록 열(1a)을 복수 열로 배치하여 인접하는 정배열 블록 열(1a)의 사이에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된 개방형 중공부(10a)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류형 포장체(1)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블록 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판부(21)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블록 열은 정배열 블록 열(1a)이 된다.
상기 저류형 포장체(1)는 복수 열의 정배열 블록 열(1a)을 상호 인접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하는 저류 블록(2)들은 제1판부(21)의 측단이 서로 밀착되고, 제2판부(23)는 제1판부(21)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사이에 간격(S)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인접하는 정배열 블록 열(1a)의 사이에는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된 개방형 중공부(10a)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형 중공부(10a)에 저류된 우수는 시간 경과에 따라 대기중으로 증발산되거나 하부 지반으로 서서히 침투된다.
상기 저류 블록(2)을 전후좌우로 밀착 설치한다 하더라도 인접하는 저류 블록(2) 간에는 약간의 틈새가 형성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시간 경과에 따라 개방형 중공부(10a)에 저류된 우수는 자연스럽게 지반으로 스며든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방형 중공부(10a)에 저류된 우수가 땅속으로 침투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 하부의 판부(21, 23)에 침투용 홀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형 중공부(10a)에는 채움재(3)가 충전될 수 있다.
복수의 정배열 블록 열(1a)이 인접 설치될 경우, 인접하는 제2판부(23) 사이에 간격(S)이 발생하므로 이 간격(S)을 이용하여 개방형 중공부(10a) 내부에 채움재(3)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채움재(3)는 깬 자갈 등과 같이 투수형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우시 포장면에서 유출된 빗물은 개방형 중공부(10a)의 상부 개방부를 통해 빠르게 유입되어 채움재(3) 사이의 간극에 일시 저류된다.
상기 채움재(3)는 빗물과 함께 유입된 비점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저감할 수 있도록 흡착성이 뛰어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채움재(3)는 포장체(1)의 상면에 노출되어 포장면 미관을 개선할 수 있으며, 자연 친화적 요소가 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채움재(3) 입자들 간 인터로킹 효과에 의해 전후좌우로 인접한 저류 블록(2)들의 변위가 구속되므로, 포장체(1)를 구성하는 저류 블록(2)들의 부등침하나 롤링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포장체(1)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정배열 블록 열(1a) 중 인접하는 어느 2개의 정배열 블록 열(1a) 사이에는 저류 블록(2)을 제1판부(21)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배치한 역배열 블록 열(1b)이 구비되어 인접하는 정배열 블록 열(1a)과의 사이에 상하부가 폐쇄된 폐쇄형 중공부(10b)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행용 포장체는 포장면에 채움재(3)가 노출될 경우, 미관과 투수성은 우수하나 보행감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의 보행이나 유모차 이동시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채움재(3)가 없는 광폭의 연속된 포장면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판부(21)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저류 블록(2)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배치한 정배열 블록 열(1a)과 저류 블록(2)의 상하를 뒤집어 제1판부(21)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속 배치한 역배열 블록 열(1b)을 반복 배치함으로써, 상하부가 폐쇄된 광폭의 연속된 포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정배열 블록 열(1a)과 역배열 블록 열(1b)의 사이에는 상하가 폐쇄된 폐쇄형 중공부(10b)가 형성된다.
보행 편의성과 원활한 우수 저류를 위해 개방형 중공부(10a)는 보행로 양측가에 설치하고, 보행로 중앙에는 정배열 블록 열(1a)과 역배열 블록 열(1b)을 반복 설치하여 연속 포장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1: 포장체 1a: 정배열 블록 열
1b: 역배열 블록 열 10a: 개방형 중공부
10b: 폐쇄형 중공부 2: 저류 블록
20: 공간부 20': 내부 공간부
21: 제1판부 211: 본체
212: 확장부 22: 연결벽
221: 측방 유동구 23: 제2판부
24: 결합돌부 25: 결합홈부
3: 채움재 S: 간격

Claims (9)

  1. 복수 열로 연속 배치되어 저류형 포장체를 형성하기 위한 포장용 저류 블록(2)에 관한 것으로,
    하면이 평탄면인 평면상 사각형이고, 일측단과 타측단에 결합돌부(24)와 결합홈부(25)가 각각 형성되는 제1판부(21);
    상기 제1판부(21)의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연결벽(22); 및
    상기 연결벽(22)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면이 평탄면인 평면상 사각형이고, 상기 제1판부(21)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며, 제1판부(21)의 결합돌부(24) 및 결합홈부(25)와 대각선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일측단과 타측단에 결합돌부(24) 및 결합홈부(25)가 각각 형성되는 제2판부(23); 로 구성되어 연결벽(22) 측면의 제1판부(21)와 제2판부(23) 사이에 공간부(20)가 형성됨으로써,
    인접하는 저류 블록(2)이 상하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면 인접하는 저류블록(2)의 제1판부(21) 측단이 밀착되어 하부는 폐쇄되고, 인접하는 저류 블록(2)의 제2판부(23) 사이 간격(S)에 의해 상부는 개방된 개방형 중공부(10a)가 형성되며, 인접하는 저류 블록(2)이 상하 역방향으로 배치되면 제1판부(21) 및 제2판부(23)의 측단이 각각 인접하는 저류 블록(2)의 제2판부(23) 및 제1판부(21)의 측단과 밀착되어 상하부가 폐쇄된 폐쇄형 중공부(10b)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저류 블록.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1판부(21)는 제2판부(23)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상하 대칭 형성되는 본체(211) 및 상기 본체(211)의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확장부(2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저류 블록.
  4. 제1항에서,
    상기 연결벽(22)은 제1판부(21) 및 제2판부(23)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연결벽(22)의 전단과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측방 유동구(2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저류 블록.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연결벽(22)은 복수 개가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인접하는 연결벽(22) 사이에 내부 공간부(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저류 블록.
  7.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포장용 저류 블록을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저류형 포장체(1)는 상기 저류 블록(2)을 제1판부(21)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배치한 정배열 블록 열(1a)을 복수 열로 배치하여 인접하는 정배열 블록 열(1a)의 사이에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된 개방형 중공부(10a)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저류 블록을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
  8. 제7항에서,
    상기 개방형 중공부(10a)에는 채움재(3)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저류 블록을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
  9. 제7항에서,
    복수의 정배열 블록 열(1a) 중 인접하는 어느 2개의 정배열 블록 열(1a) 사이에는 저류 블록(2)을 제1판부(21)가 상부에 위치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배치한 역배열 블록 열(1b)이 구비되어 인접하는 정배열 블록 열(1a)과의 사이에 상하부가 폐쇄된 폐쇄형 중공부(10b)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저류 블록을 이용한 저류형 포장체.
KR1020210006129A 2021-01-15 2021-01-15 포장용 저류 블록 KR102252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129A KR102252400B1 (ko) 2021-01-15 2021-01-15 포장용 저류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129A KR102252400B1 (ko) 2021-01-15 2021-01-15 포장용 저류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400B1 true KR102252400B1 (ko) 2021-05-14

Family

ID=75915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129A KR102252400B1 (ko) 2021-01-15 2021-01-15 포장용 저류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4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051B1 (ko) * 2005-08-17 2005-11-15 (주)모겐스톤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투수 블록
KR20140130912A (ko) * 2013-05-02 2014-11-12 (주)자움 우수 유출을 조절하는 포장용 블록
KR101526286B1 (ko) * 2014-12-19 2015-06-10 주식회사 더지엘 투수성 및 보수성을 가지는 비소성 보차도용 바닥포장 구조물
KR101838586B1 (ko) 2017-03-21 2018-03-14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틈새 유공블럭을 포함한 저류형 보도 블럭시스템
KR101947257B1 (ko) * 2017-03-06 2019-02-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id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051B1 (ko) * 2005-08-17 2005-11-15 (주)모겐스톤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투수 블록
KR20140130912A (ko) * 2013-05-02 2014-11-12 (주)자움 우수 유출을 조절하는 포장용 블록
KR101526286B1 (ko) * 2014-12-19 2015-06-10 주식회사 더지엘 투수성 및 보수성을 가지는 비소성 보차도용 바닥포장 구조물
KR101947257B1 (ko) * 2017-03-06 2019-02-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Lid 구조물
KR101838586B1 (ko) 2017-03-21 2018-03-14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틈새 유공블럭을 포함한 저류형 보도 블럭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540B2 (en) Transport corridor infiltration system
US8459896B2 (en) Permeable paving system
JP4918686B2 (ja) 路面冷却道路構造
KR101934754B1 (ko)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JP2007270487A (ja) 保水性舗装構造および舗装用保水性ブロック
JP6735636B2 (ja) 保水性舗装構造
CN202380379U (zh) 运动场地垫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252400B1 (ko) 포장용 저류 블록
CN208235260U (zh) 一种透水铺装用蓄渗两用格
CN111719369A (zh) 一种城市风景园林路面施工结构
JP2005133458A (ja) 緑化舗装路
CN102493310B (zh) 运动场地垫
CN210066956U (zh) 一种缓冲式排水结构及具有其的组合式排水结构
JP4143558B2 (ja) 路盤材ブロックと保水性道路
KR20120133802A (ko)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CN210657848U (zh) 透水砖铺设结构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KR101448335B1 (ko) 조립식블록을 이용하여 저류조를 구비하는 도로의 시공방법
JP2690204B2 (ja) 人工地盤および人工地盤の通排水層構成用ブロック部材
KR200385501Y1 (ko) 잔디블럭
CN214656069U (zh) 具有透水引流作用的步道砖
CN220665831U (zh) 填石路基
JP3796383B2 (ja) 舗装構造
KR200262770Y1 (ko) 투수 블록 포장판 및 이를 이용한 포장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