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802A -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 Google Patents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802A
KR20120133802A KR1020110052653A KR20110052653A KR20120133802A KR 20120133802 A KR20120133802 A KR 20120133802A KR 1020110052653 A KR1020110052653 A KR 1020110052653A KR 20110052653 A KR20110052653 A KR 20110052653A KR 20120133802 A KR20120133802 A KR 20120133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joint function
block structure
automatic joint
blo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희
Original Assignee
정영희
주식회사 트래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희, 주식회사 트래코 filed Critical 정영희
Priority to KR1020110052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3802A/ko
Publication of KR2012013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각부와 음각부를 조립함으로써 시공이 손쉽고 조립된 블록 사이에 자동적으로 줄눈이 형성되어 물빠짐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규칙적으로 형성된 줄눈에 의해 도시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는 일정 크기를 갖는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2개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양각부, 상기 블록본체의 다른 2개 측면에 상기 양각부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음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블록의 양각부를 음각부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조립 및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블록의 간편한 조립 및 시공으로 블록의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게 됨은 물론 시공이 손쉬워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Auto-Joint Function with Block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보도블록 사이에 줄눈이 형성되게 하는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록은 골재, 쇄석 등의 골재와 모래 및 시멘트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뒤 소정의 형상을 갖는 형틀에서 찍어내어 경화시켜 제조된다.
이러한 블록은 형틀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보행로나 인도 등에 무늬나 형상을 서로 맞물리게 반복적으로 배열 설치되는데, 지면 위에 모래를 깐 뒤 그 위에 밀착 고정시키게 되므로 대기와 지면 사이에 수분은 물론 공기도 거의 통과될 수 없을 정도로 밀착 차단되고, 재질의 조직이 치밀하여 블록을 통해 어떠한 빗물이나 공기도 통과될 수 없었다.
특히 보행로나 공원, 광장, 고수부지 같이 녹지공간이 많은 곳에서도 우천시 빗물이 하수도관을 통해 강으로 흘러 들어가므로, 지표면은 점점 메말라 땅 속에 사는 미생물의 서식은 물론 가로수, 잔디 등의 식물류들은 뿌리가 깊이 자라지 못하며 생육시 불균형적인 성장을 보인다.
또한 집중호우시 빗물 등이 지하로 일부 침투되지 못하고 하천으르 한꺼번에 집중되어 범람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한 지하수 고갈로 인해 토양이 사막화되어 결국 쾌적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자연스런 생태계의 유지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보도블럭 위에는 우천시 빗물이 스며들지 않고 한쪽에 계속 고여 있게 되어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한다.
따라서 최근 일부에서는 상면에 미세한 투수공이 형성된 보도블록이 제공되고 있으나, 지면에 설치된 보도블록 투수공 자체가 미세하여 먼지나 모래 등 이물질에 의해 쉽게 투수공이 막히고, 투수공 자체도 블록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있어 쉽게 흘러들어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보도블록은 시멘트와 골재를 혼합하여 만든 것으로, 지면에 설치할 때나 운반시에 직각으로 형성된 모서리부가 서로 부딪쳐 파손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한다.
아울러 이러한 블록은 비교적 그 크기가 작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지표면에 모래, 입경이 작은 골재 등의 지반층을 깔고서 시공하게 되는데, 블록의 크기는 가로, 세로의 길이가 대략 10~20㎝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작은 크기의 블록 시공은 지반층에 하나의 블록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고, 이 블록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블록을 밀착시켜 시공하게 되므로, 블록을 일정하게 배열시키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블록과 블록 사이에는 줄눈이 형성되는데, 이때 비투수성의 블록과 블록 사이에 비투수성 줄눈재가 시공되므로 투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장마철이나 폭우 등이 내리게 되면 블록에 빗물 등이 고이게 되므로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블록과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은 대략 3~5㎜ 정도로 이격되는데, 이는 블록과 블록이 서로 맞물리도록 밀착되어야 하므로 그 간격을 보다 넓게 시공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줄눈의 간격이 5㎜를 초과하는 경우 블록의 수평 이동 또는 침하 등이 발생하게 되고, 블록의 유지·보수를 지속적으로 해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특히 일반적인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의 블록뿐만 아니라 인터로킹 블록이 서로 맞물려야 하므로 블록과 블록간의 간격을 5㎜ 이상으로 이격시키지 못하게 되며, 이들 블록 간격을 5㎜ 이상으로 시공하게 되면 블록의 수평이동에 의해 블록의 시공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줄눈은 블록과 블록 사이의 떨어져 있는 공간을 채워줌으로써 형성하게 되는데, 블록을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하기가 어려우며 줄눈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 공정이 추가되어 블록의 설치 및 시공이 오래 걸리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각부와 음각부를 조립함으로써 시공이 손쉽고 조립된 블록 사이에 자동적으로 줄눈이 형성되어 물빠짐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규칙적으로 형성된 줄눈에 의해 도시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는 일정 크기를 갖는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2개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양각부, 상기 블록본체의 다른 2개 측면에 상기 양각부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음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각부와 음각부는 블록본체의 전체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각부는 상기 음각부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음각부보다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각부는 음각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각부 및 음각부는 각각 1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본체 저면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블록의 양각부를 음각부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조립 및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블록의 간편한 조립 및 시공으로 블록의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게 됨은 물론 시공이 손쉬워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빗물의 지하 침투가 용이하여 지하수 고갈을 예방하고, 블록 간에 일정 간격이 형성됨으로써 줄눈이 자동적으로 형성되며 블록 상호 간에 모서리 깨짐을 방지할 수 있고 견고한 줄눈을 형성하여 도시 경관을 수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는 일정 크기를 갖는 블록본체(10), 상기 블록본체(10)의 2개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양각부(20), 상기 블록본체(10)의 다른 2개 측면에 상기 양각부(20)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음각부(3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0)는 일정한 크기를 이루어져 있고, 도 1 내지 도 3에는 블록본체(10)가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마름모, 육각형, 원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양각부(20)는 블록본체(10)의 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양각부(20)는 필요에 따라 1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각부(20)는 음각부(30)에 끼워져 조립되게 형성되면 족하다.
이러한 양각부(20)는 사각형 형상인 경우 2개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블록본체(10)가 마름모, 육각형, 원형 등의 다각형인 경우에도 인접한 블록에 서로 끼워져 조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양각부(20)는 블록본체(10)의 전체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블록본체(10)의 저면으로부터 중간 위치까지 형성된다.
상기 음각부(30)는 양각부(20)와 대칭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블록본체(10)에는 2개의 면에 양각부(20)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양각부(20)와 대칭되는 면에 음각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음각부(30)는 양각부(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각부(30)의 길이가 양각부(2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면 블록본체(10)가 서로 밀착되므로, 이들 블록본체(10)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양각부(20)의 길이를 음각부(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각부(20)는 블록본체(10)의 시공 시 형성하고자 하는 줄눈의 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음각부(30)의 길이가 20㎜인 경우 양각부(20)는 25~30㎜의 길이를 가짐으로써 양각부(20)가 음각부(30)에 끼워져 조립되면, 블록본체(10)는 양각부(20)의 긴 길이만큼 줄눈이 자동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한편 블론본체(10)가 마름모, 육각형, 원형 등의 다각형인 경우에도 각각 양각부(20)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록본체(10), 양각부(20) 및 음각부(30)는 빗물 등이 잘 투수되도록 잔골재, 모래, 투수 콘크리트를 배합하여 양생함으로써 투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는 보도블록을 시공하고자 하는 지면을 평평하게 고른다.
상기 지면에는 빗물 등이 원활하게 스며들도록 모래를 적정 두께로 깔아 모래층이 시공되고, 모래층 위에는 블록을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블록의 시공은 보도블록을 시공하고자 하는 가장자리에서부터 블록본체(10)를 고정한다. 이렇게 고정된 블록본체(10)의 양각부(20)에는 다른 블록본체(10)의 음각부(30)를 끼워 조립하게 되고, 다른 양각부(20)에도 또 다른 블록본체(10)의 음각부(30)를 끼워 조립하게 된다.
이때 양각부(20)는 음각부(3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블록본체(10)는 양각부(20)의 길이만큼 이격되게 된다.
이렇게 블록본체(10) 사이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줄눈이 형성되며, 이러한 줄눈에는 모래 등의 줄눈재를 채워 주거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투수 콘크리트 등을 채우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명칭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되,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0), 양각부(20)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음각부(30)는 양각부(20)에 대응되게 형성되는데, 2개의 양각부(20)가 하나의 음각부(30)에 끼워져 조립되도록 하나의 음각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또 블록본체(10)의 저면에는 저수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저수홈(31)은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각각의 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저수홈(31)은 필요에 따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저수홈(31)은 폭우 등이 내리는 경우 저수홈(31)의 공간에 물이 저수됨으로써 블록본체(10)의 상면으로 물이 고이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양각부(20)와 음각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명칭과 부호를 사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양각부(20)와 음각부(30)는 일자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제3실시예에 의한 양각부(20)와 음각부(30)는 각각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즉,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는 블록본체(10)에 각각 양각부(20)와 음각부(30)가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경사진 양각부(20)와 음각부(30)에 의해 블록이 조립 시공된 상태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양각부(20)는 음각구(30)보다 상면의 돌출된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고, 블록본체(10)의 저면에 저수홈(31)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양각부(20)와 음각부(30)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블록 구조체가 조립 시공된 상태에서 파손된 블록만을 빼낸 다음 새로운 블록으로 교체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 블록본체 20: 양각부
30: 음각부 31: 저수홈

Claims (7)

  1. 일정 크기를 갖는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2개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양각부,
    상기 블록본체의 다른 2개 측면에 상기 양각부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음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와 음각부는 블록본체의 전체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는 상기 음각부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음각부보다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는 음각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 및 음각부는 각각 1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 저면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와 음각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KR1020110052653A 2011-06-01 2011-06-01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KR20120133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653A KR20120133802A (ko) 2011-06-01 2011-06-01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653A KR20120133802A (ko) 2011-06-01 2011-06-01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802A true KR20120133802A (ko) 2012-12-11

Family

ID=4751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653A KR20120133802A (ko) 2011-06-01 2011-06-01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38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984B1 (ko) * 2013-02-21 2014-12-2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결합구조를 가지는 보도블록
CN108505410A (zh) * 2018-04-16 2018-09-07 重庆师范大学 模块化道路单元以及铺装式道路
WO2021105942A1 (en) * 2019-11-29 2021-06-03 Pixel Paver Limited Paver, pav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20230078923A (ko) 2021-11-27 2023-06-05 노완호 줄눈 마감재가 일체로 형성된 조립식 내벽 패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984B1 (ko) * 2013-02-21 2014-12-2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결합구조를 가지는 보도블록
CN108505410A (zh) * 2018-04-16 2018-09-07 重庆师范大学 模块化道路单元以及铺装式道路
CN108505410B (zh) * 2018-04-16 2020-06-12 重庆师范大学 模块化道路单元以及铺装式道路
WO2021105942A1 (en) * 2019-11-29 2021-06-03 Pixel Paver Limited Paver, pav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20230078923A (ko) 2021-11-27 2023-06-05 노완호 줄눈 마감재가 일체로 형성된 조립식 내벽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525B1 (ko) 친환경 혼합자재를 이용한 투수성 보도블럭 및 이를 구비한 배수처리시스템
AU2014244169B2 (en) Permeable paving system
KR101435373B1 (ko)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CN205276099U (zh) 排水式透水砖
KR20120133802A (ko) 자동 줄눈기능을 갖는 블록구조체
KR101027006B1 (ko) 투수블록 구조체
KR101270531B1 (ko) 우수 저장용 임시저장공간이 형성된 투수블록의 시공방법
CN105484132B (zh) 一种新型透水人行道铺装的施工方法
CN205474666U (zh) 一种新型透水人行道铺装
CN209958165U (zh) 一种装配式缝隙透水路面
KR200228200Y1 (ko) 투수(透水)경계 불럭
CN106758636B (zh) 一种便于透水铺装路面维护的透水铺装带及透水铺装路面
CN105507104A (zh) 一种新型透水人行道铺装
KR102175809B1 (ko)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CN212611769U (zh) 一种防松动型海绵城市透水砖构造
CN107268368A (zh) 锁扣缝隙透水砖
JP2005240409A (ja) 路盤材ブロックと保水性道路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KR100989448B1 (ko) 보차도 포장용 투수블록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보차도 포장 공법
CN207452611U (zh) 锁扣缝隙透水砖
KR101019180B1 (ko) 줄눈 일체형 블록
KR20160080135A (ko) 다기능 보도블럭 하부구조체 및 그를 사용한 시공방법
KR200340214Y1 (ko) 투수용 보도블록
KR200370304Y1 (ko)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투수성 보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