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373B1 -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 Google Patents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373B1
KR101435373B1 KR1020130053649A KR20130053649A KR101435373B1 KR 101435373 B1 KR101435373 B1 KR 101435373B1 KR 1020130053649 A KR1020130053649 A KR 1020130053649A KR 20130053649 A KR20130053649 A KR 20130053649A KR 101435373 B1 KR101435373 B1 KR 101435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elete delete
longitudinal direction
storage block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호
박유린
Original Assignee
기찬토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찬토건(주) filed Critical 기찬토건(주)
Priority to KR1020130053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보도 및 광장 등을 포장함에 있어서 투수면적율을 확대하여 지반에 대한 물순환 기능 및 토양기능을 개선하고, 자연순환체계의 생태적 효과 및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및 이를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은, 폭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중공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중공부와 관통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 투수홈; 상기 본체의 하면에 중공부와 관통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 배수홈; 상기 본체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요철 또는 파형(波形) 형상으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투수유도홈; 인접하여 포설되는 저류블록끼리 체결시키기 위하여 본체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된 연결홈; 상기 본체의 하면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저류블록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밀림방지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수홈은 투수유도홈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홈의 구멍 크기와 개수는 투수홈의 구멍 크기 및 개수 보다 작고, 연결홈에는 연결부재를 삽입하여 인접해서 포설된 저류블록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연결부재에는 투수를 위한 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Permeatable rain storage block}
본 발명은 중공형 우수(雨水) 저류블록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한 지반 포장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보도 및 광장 등을 포장함에 있어서 투수면적율을 확대하여 지반에 대한 물순환 기능 및 토양기능을 개선하고, 자연순환체계의 생태적 효과 및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및 이를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포장 등 불투수성 포장 구조물이 증가하여 자연적인 우수(雨水) 순환시스템이 파괴됨에 따라 자연 및 생태적 기능이 훼손되고 토지, 수질, 공기 등의 환경오염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도시홍수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막대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연강수량의 대부분이 여름에 집중되는 우리나라는 집중 호우시 대부분의 우수가 지반에 침투되지 못하고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면서 우수의 유입 허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우수에 의해 도로의 침수나 가옥 및 건물의 침수로 이어지는 도시형 침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반면, 갈수기(11월∼이듬해 4월)에는 연강수량의 1/5 수준에 불과하여 하천의 건천화, 악취, 지하수 보존량 저하, 용수 고갈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더욱이, 지구 온난화에 따른 강우량 및 기온 변화 등 기상이변이 속출함에 따라 물관리 및 재사용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친수(親水)공간 및 생태계 보전에 대한 필요가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강우량이 많은 때에는 우수를 침투, 저류하여 침수피해를 예방하고, 강우량이 적은 때에는 저류된 우수를 방출하여 가뭄피해를 방지하며, 우수를 여과 사용함으로써 상수의 사용량을 절약하는 한편, 우수에 의해 육상의 오염물질 등이 지하로 곧바로 침투함으로써 지하수의 오염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빗물을 일단 저류(貯留)하여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우수 침투 및 저류조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특허 제582121호 "우수 저류조"에서는 연속적으로 배열하고 다단으로 쌓을 수 있는 콘크리트 저수블록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우수 저류조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것이어서 무겁기 때문에 반입 및 운송이 어렵고, 지하에 매립 설치할 때 반드시 중장비가 필요하여 시공이 어려우며,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등 제작비용과 시공기간 측면에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두께를 증가시키고 철근 등의 보강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콘크리트 자체의 독성에 의한 수질오염의 문제가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20718호 "지반보강용 지오셀과 중공형 섬유보강 투수블록을 이용한 지반침투형 포장구조"는 배수구조물이 설치된 지반층과, 지반층 상부에 자갈층과 모래층을 형성하고, 모래층 상부에 토사 및 자갈이 채워지는 망태로 구성된 지오셀을 설치하며, 지오셀 상면에 투수블록을 포설한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 포장구조는 지반층 일부에만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구조물을 매설하여 배수로를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폭우가 쏟아지거나 투수블록이 포설된 지반으로 많은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전부를 배수로로 유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도시기후 변화, 생물 다양성 감소 등 도시 생태문제는 도시의 불투수 면적(포장 면적)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러한 불투수 면적의 증가는 도시사막화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연례 행사가 되고 있는 도시홍수는 기존 배수시설의 처리능력에 근접하거나 초과하는 많은 양의 비가 내릴 경우 배수시설이 제기능을 못하게 되어 하수의 역류가 발생하면서 차도나 보도를 침수시키고 있다. 따라서 도시공간의 자연재난 경감 및 생태적 문제 해결을 위해 자연의 순환기능(증발산 기능, 미세분진 흡착기능, 우수 투수 및 저장기능, 토양기능 등)의 유지와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지반의 포장구조 및 새로운 포장공법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을 저류(貯留)하여 시간차를 두고 노반에 침수시켜 하천과 하수도로의 유출량을 경감시켜 수해를 완화하고, 특히 집중호우가 발생할 경우 빗물을 저류하여 유출을 지연 및 억제시킴으로써 우수가 하수도로 일시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침수피해를 막을 수 있는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도 및 광장을 포장함에 있어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을 보도블록의 하부에 시공하여 보도에 빗물을 저장해 둠으로써, 저류블록에 저장된 물을 시간차를 두고 노반에 침수되게 함으로써 지반에 대한 물순환 기능을 개선하고 자연순환체계의 생태적 효과 및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폭우나 집중호우 등으로 우수량이 급격히 증가할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많은 빗물이 하수도로 모여들지 않게 하여 침수피해를 막을 수 있는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은, 폭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중공부(中空部)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중공부와 관통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 투수홈; 상기 본체의 하면에 중공부와 관통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 배수홈; 상기 본체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요철(凹凸) 또는 파형(波形) 형상으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투수유도홈; 인접하여 포설되는 저류블록끼리 체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개구(開口)되도록 형성된 연결홈; 상기 본체의 하면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저류블록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밀림방지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수홈은 투수유도홈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홈의 구멍 크기와 개수는 투수홈의 구멍 크기 및 개수 보다 작고, 상기 연결홈에는 연결부재를 삽입하여 인접해서 포설된 저류블록끼리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투수를 위한 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상면과 하면에는 부직포 또는 매트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는, 노상(路床)(원지반)의 상부에 자갈(쇄석)을 포설하고 다짐하여 형성된 기층; 상기 기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래안정층; 상기 모래안정층의 상부에 위치하여 우수(雨水)를 일시적으로 저류(貯留)시키는 저류블록; 상기 저류블록의 상부에 위치하는 보도블록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저류블록은, 폭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중공부(中空部)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중공부와 관통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 투수홈; 상기 본체의 하면에 중공부와 관통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 배수홈; 상기 본체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요철(凹凸) 또는 파형(波形) 형상으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투수유도홈; 인접하여 포설되는 저류블록끼리 체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연결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수홈은 투수유도홈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저류블록의 하부에는 부직포 또는 매트로 된 투수시트가 삽입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류블록은 측면에 형성된 연결홈에 연결부재를 삽입하여 인접한 저류블록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재는 판상(板狀)의 부재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兩端)은 상기 연결홈의 단면(斷面)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우수 저류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는, 저류블록 자체의 중공부(中空部)에 우수(雨水)를 저장했다가 시간차를 두고 서서히 노반에 침수시켜 하천과 하수도로의 유출량을 경감시켜 수해를 완화시킴은 물론 지반에 대한 물순환 기능을 개선하고 자연순환체계의 생태적 효과 및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집중호우가 발생할 경우 빗물을 저류하여 유출을 지연 및 억제시킴으로써 우수가 하수도로 일시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침수피해를 막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저류블록은 보도블록의 하부에 포설되는 저류블록이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기 때문에 도로, 보도, 광장 또는 공원이 특히 도심에서의 수해 예방 도구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게 된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블록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저류블록에 구비된 중공부 형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블록을 사용한 지반 포장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스페이서 형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블록을 사용한 지반 포장구조의 평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폐플라스틱, 폐비닐 또는 폐타이어로 만들어지고 중공부(中空部)가 형성된 저류블록을 보도블록의 하부에 포설하여 저류블록의 중공부에 우수를 저장했다가 시간차를 두고 서서히 노반에 침수시키거나 흘려보내게 함으로써 하천과 하수도로의 일시 유출량을 경감시켜 수해 및 일시적인 우수 유출로 인한 침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보도블록'은 도로조건, 교통조건 및 지역조건 등을 감안하여 인터록킹(맞물림)블록, 판석 등 비접착식과 접착식 포장 또는 부분포장, 전면 투수포장, 틈새 투수포장, 불투수 포장 등 모든 도로, 보도, 광장 또는 공원 등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블록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한다는 것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저류블록은 도로, 보도, 광장 또는 공원 등에 포설되는 보도블록의 하부에 포설되어 우수(雨水)를 일시적으로 저류(貯留)하는 역할을 하는데, 재질은 폐비닐이나 폐플라스틱 또는 폐타이어을 사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가볍고 폐자원을 재활용하므로 친환경적이고 폐기물 처리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다. 저류블록(10)은 육면체 형상의 본체(11)에 중공부(12)가 형성되어 있고, 투수홈(14)과 배수홈(15) 및 연결홈(13) 등이 형성되어 있다(도 1a 참조).
저류블록(10)은 압출성형으로 제조하므로 필요에 따라 크기를 얼마든지 변경하여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도 매우 간편하여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작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블록 자체의 넓이가 넓고, 인접하는 블록끼리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커다란 판 형상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하중에 대한 지반층의 지내력(地耐力) 성능을 개선시키고 하부 지반의 과도한 침하 및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기 때문에 보도나 광장의 상수도, 통신, 전기 등을 위해 굴착공사를 하거나 훼손된 블록을 교체할 때도 단시간에 작업할 수 있다.
본체(11)에는 폭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중공부(中空部)(12)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중공부(12)의 단면(斷面) 형상은 원형, 삼각형 및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도 2 참조). 중공부(12)는 빈 공간이기 때문에 비가 올 때 스며든 빗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시간차를 두고 서서히 노반으로 배수되거나 유출되게 하여 하천과 하수도로의 유출량을 경감시켜 수해를 완화시킴은 물론 지반에 대한 물순환 기능을 개선하며, 집중호우가 발생할 경우 빗물을 저류하여 유출을 지연 및 억제시킴으로써 우수가 하수도로 일시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침수피해를 막을 수 있게 해준다.
투수홈(14)은 중공부(12)와 관통되게 본체(11)의 상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신속하게 투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의 중공부에 2∼4줄로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1)의 상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요철(凹凸) 또는 파형(波形)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투수유도홈(18)을 형성하고, 투수유도홈(18)에 투수홈(14)을 형성하여 원활한 투수를 유도함은 물론 본체(11)의 상부에 포설되는 보도블록(40)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홈(13)은 본체(11)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외측을 향해 개구(開口)되고 단면(斷面)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홈(13)은 연결부재(20)를 삽입하여 인접하여 배치되는 저류블록(10)끼리 체결하여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연결부재(20)에도 투수를 위한 홈을 등간격으로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a 참조).
본체(11)의 하면에는 중공부(12)와 관통되게 등간격으로 배수홈(15)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데, 중공부(12)가 저류(貯留)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배수홈(15)의 구멍 크기는 투수홈(14)의 구멍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고, 그 수도 투수홈(14)의 수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의 하면 양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밀림방지턱(16)을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밀림방지턱(16)은 저류블록(10)이 그 하부에 포설되어 있는 모래층 또는 기층에서 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저류블록(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해준다.
빗물과 함께 이물질(토사의 미립자 등)이 중공부(12)로 침투되어 퇴적되면서 서서히 중공부(12) 기능을 상실하게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본체(11)의 상면에는 제2부직포(19)를 부착하여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체(11)의 하면에도 제1부직포(17)를 부착하여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기층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직포는 PP 또는 PE 재질로 제조된 매트로 대체해도 상관없다.
또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지하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중공부(12)의 내부에 정수용 여과재를 부착할 수도 있는데, 여과재는 제올라이트 또는 활성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종류의 여과재를 사용하더라도 문제는 없다. 여기서 부직포나 매트에 정수용 여과재를 도포하여 여과기능을 갖게 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여과재는 저류(貯留)되는 빗물에 포함된 대기중의 미세분진이나 오염물질의 흡착 기능으로 지하수 오염방지 및 토양의 개선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는, 노상(路床)(원지반)의 상부에 자갈(쇄석)을 포설하고 다짐하여 형성된 기층, 기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래안정층, 모래안정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10), 상기 저류블록(10)의 상부에 위치하는 보도블록(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인데, 상기 저류블록(10)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부직포 또는 매트로 된 투수시트를 삽입할 수도 있고, 상부와 하부 모두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투수시트는 부유물질이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저류블록(10)의 상부와 하부에 부직포 또는 매트를 부착시키면 별도의 투수시트를 삽입하지 않아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저류블록(10)이 모래안정층 상부에 포설되는 실시예만 도시하였지만, 저류블록(10)은 모래안정층과 기층 사이에도 설치할 수 있고, 모래안정층 또는 기층의 중간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저류블록(10)은 지반 포장구조에서 하나 이상의 경계면 또는 포장층(모래안정층 또는 기층) 중간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만일 저류블록(10)을 복수의 층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지반 침하를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양의 저류량을 확보할 수도 있다.
하부에 콘크리트로 불투수성 포장층을 형성하고, 상부 표면에 투수성 재료(투수블록)로 포장한 포장구조는, 하부에 있는 불투수층(콘크리트층) 때문에 투수블록이 아무런 기능을 할 수 없지만, 불투수성 포장층(콘크리트층) 대신에 본 발명의 저류블록(10)과 스페이서(30)를 사용한 판형상의 그리드 구조로 시공하면 물순환 기능을 전혀 갖지 못했던 불투수 포장구조에 투수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혁신적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저류블록(10)은 측면에 형성된 연결홈(13)에 연결부재(20)를 삽입하여 인접한 저류블록끼리 서로 일체로 연결하여 고정시키는데, 연결부재(20)는 판상(板狀)의 부재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兩端)은 연결홈(13)과 단면(斷面)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홈(13)은 저류블록(10)의 측면에 2∼3단으로 형성하여 안정적인 결합은 물론 강성을 확보할 수도 있으며(도 1b 참조), 연결부재(20)에는 판상에 다수의 통공을 균등하게 형성하여 투수가 잘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도블록(40)과 보도블록의 사이에는 스페이서(30)를 삽입하여 보도블럭(40)의 위치를 고정시키면서 인접한 보도블록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스페이서(30)는 평면 형상이 +자, T자, ㄱ자, ―자 등으로 형성되며(도 4 참조), 하부에는 돌출부가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스페이서(30)가 설치될 때 돌출부가 저류블록(10)의 상면에 형성된 투수홈(14)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문제는 없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30)는 폐플라스틱이나 폐비닐 또는 폐타이어로 제작되는데, 보도블록(40)의 수평이동이나 밀림 현상을 방지해 줄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30) 자체에도 상하방향으로 통공을 형성하여 우수의 흐름성을 향상시켜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30)는 보도블록(40)의 모서리 부분에만 설치할 수도 있지만(도 5의 ⒝ 참조), ―자 형상의 스페이서는 보도블록과 보도블록 사이에 삽입할 수도 있으며(도 5의 ⒞ 참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30)의 측면에 높이를 가늠할 수 있도록 레벨게이지 역할을 하는 돌출부를 형성해 두면 블록 사이에 줄눈으로 들어가는 모래나 세골재 등의 포설 두께를 측정할 수도 있다.
보도블록(40)과 보도블록의 사이에는 스페이서(30)를 삽입하지 않고 모래, 세(細)골재 또는 투수시멘트를 포설하거나 잔디를 심어서 줄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보도블록(40)의 모서리 부분에만 스페이서(30)를 삽입하여 보도블록(4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스페이서(30)와 스페이서 사이에만 모래, 세골재, 투수시멘트 또는 잔디를 넣거나 심을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저류블록 11 : 본체
12 : 중공부 13 : 연결홈
14 : 투수홈 15 : 배수홈
16 : 밀림방지턱 17 : 제1부직포
18 : 투수유도홈 19 : 제2부직포
20 : 연결부재
30 : 스페이서
40 : 보도블록

Claims (16)

  1. 보도블록의 하부에 포설되어 우수(雨水)를 일시적으로 저류(貯留)시키는 저류블록에 있어서,
    상기 저류블록은,
    폭방향에서 등간격으로 중공부(中空部)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중공부와 관통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 투수홈;
    상기 본체의 하면에 중공부와 관통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 배수홈;
    상기 본체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요철(凹凸) 또는 파형(波形) 형상으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투수유도홈;
    인접하여 포설되는 저류블록끼리 체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개구(開口)되도록 형성된 연결홈;
    상기 본체의 하면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저류블록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밀림방지턱;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수홈은 투수유도홈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홈의 구멍 크기와 개수는 투수홈의 구멍 크기 및 개수 보다 작고, 상기 연결홈에는 연결부재를 삽입하여 인접해서 포설된 저류블록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에는 투수를 위한 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제1부직포 또는 매트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제2부직포 또는 매트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30053649A 2013-05-13 2013-05-13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KR101435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649A KR101435373B1 (ko) 2013-05-13 2013-05-13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649A KR101435373B1 (ko) 2013-05-13 2013-05-13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373B1 true KR101435373B1 (ko) 2014-08-28

Family

ID=5175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649A KR101435373B1 (ko) 2013-05-13 2013-05-13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37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86B1 (ko) * 2014-12-19 2015-06-10 주식회사 더지엘 투수성 및 보수성을 가지는 비소성 보차도용 바닥포장 구조물
CN105625442A (zh) * 2016-01-29 2016-06-01 安徽祥凯新型环保建材有限公司 一种透水保土护坡砖
KR101733481B1 (ko) * 2015-05-06 2017-05-10 기찬토건(주)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WO2020144316A1 (de) * 2019-01-10 2020-07-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Wegkörper
CN111424488A (zh) * 2020-04-27 2020-07-17 扬州富铭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吸水防腐蚀效果的地砖
KR20210055367A (ko) * 2019-11-07 2021-05-17 최경영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KR102267290B1 (ko) * 2020-08-12 2021-06-18 서곤성 투수성 블록포장용 블록 및 투수성 블록포장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309B1 (ko) * 2005-01-19 2005-04-19 (주)건축사사무소신동건축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 블록
JP2005240409A (ja) * 2004-02-26 2005-09-08 Wonder Giken Kk 路盤材ブロックと保水性道路
KR101020718B1 (ko) * 2010-07-21 2011-03-09 극동엔지니어링(주) 지반보강용 지오셀과 중공형 섬유보강 투수블록을 이용한 지반침투형 포장구조
KR20120105756A (ko) * 2011-03-16 2012-09-26 박문석 콩자갈,쇄석,잡석 등 재활용 골재 또는 점토블록 파쇄석을 혼합하여 제작한 블록화된 우수의 임시저장공간과 이를 활용한 투수하부구조의 친환경적인 신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0409A (ja) * 2004-02-26 2005-09-08 Wonder Giken Kk 路盤材ブロックと保水性道路
KR100483309B1 (ko) * 2005-01-19 2005-04-19 (주)건축사사무소신동건축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 블록
KR101020718B1 (ko) * 2010-07-21 2011-03-09 극동엔지니어링(주) 지반보강용 지오셀과 중공형 섬유보강 투수블록을 이용한 지반침투형 포장구조
KR20120105756A (ko) * 2011-03-16 2012-09-26 박문석 콩자갈,쇄석,잡석 등 재활용 골재 또는 점토블록 파쇄석을 혼합하여 제작한 블록화된 우수의 임시저장공간과 이를 활용한 투수하부구조의 친환경적인 신공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86B1 (ko) * 2014-12-19 2015-06-10 주식회사 더지엘 투수성 및 보수성을 가지는 비소성 보차도용 바닥포장 구조물
KR101733481B1 (ko) * 2015-05-06 2017-05-10 기찬토건(주)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CN105625442A (zh) * 2016-01-29 2016-06-01 安徽祥凯新型环保建材有限公司 一种透水保土护坡砖
WO2020144316A1 (de) * 2019-01-10 2020-07-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Wegkörper
EP3908695B1 (de) * 2019-01-10 2023-08-0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Wegkörper
KR20210055367A (ko) * 2019-11-07 2021-05-17 최경영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KR102309074B1 (ko) * 2019-11-07 2021-10-06 최경영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CN111424488A (zh) * 2020-04-27 2020-07-17 扬州富铭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吸水防腐蚀效果的地砖
KR102267290B1 (ko) * 2020-08-12 2021-06-18 서곤성 투수성 블록포장용 블록 및 투수성 블록포장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373B1 (ko)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AU2008207603B2 (en) Transport Corridor Infiltration System
CN106917522B (zh) 一种基于海绵城市理念的室外停车位系统
KR101020718B1 (ko) 지반보강용 지오셀과 중공형 섬유보강 투수블록을 이용한 지반침투형 포장구조
CN206571217U (zh) 基于海绵城市理念的室外停车位系统
CN108239905B (zh) 一种防积水道路及其施工方法
JP2009127359A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1027006B1 (ko) 투수블록 구조체
KR100855630B1 (ko) 우수의 수집 및 저장을 위한 지하 구조물
KR101673421B1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TWM621567U (zh) 因應氣候變遷水資源調適系統之高強度道路
KR101282914B1 (ko) 비투수성 도로의 배수시스템
KR102175809B1 (ko)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KR101733481B1 (ko)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조립식 저류블록을 사용하는 지반 포장구조
JPH1171789A (ja) 雨水貯溜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貯水用構造材
CN113550397A (zh) 一种道路蓄排水系统及道路的施工方法
KR20170057941A (ko) 이층구조의 변단면 침투측구를 이용한 빗물의 침투 및 저류가 가능한 우수배제시설
KR200224492Y1 (ko)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KR102074736B1 (ko) 분산식 빗물 관리구조
WO2023035644A1 (zh) 因应气候变迁水资源调适系统的高强度道路
KR102362469B1 (ko)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753884B2 (ja) ハニカム形状板による地中の貯溜・浸透工法
KR100771586B1 (ko) 터널형 빗물 처리 시스템
CN206360425U (zh) 基于海绵城市生态建设的停车位及停车场
KR101367937B1 (ko) 투수성 포장재의 침투량 증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