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074B1 -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074B1
KR102309074B1 KR1020190141720A KR20190141720A KR102309074B1 KR 102309074 B1 KR102309074 B1 KR 102309074B1 KR 1020190141720 A KR1020190141720 A KR 1020190141720A KR 20190141720 A KR20190141720 A KR 20190141720A KR 102309074 B1 KR102309074 B1 KR 102309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ceiving end
waste plastic
centr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367A (ko
Inventor
최경영
최현석
최아연
Original Assignee
최경영
주식회사 웨스텍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영, 주식회사 웨스텍글로벌 filed Critical 최경영
Priority to KR102019014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0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2개의 폐플라스틱 블록(100)이 하나의 시멘트 블록(200)을 기준으로 양측부의 높이 중앙 위치로 체결된 형태로 형성되고 블록의 상면 연결부에 빗물의 유입 홈(131)을 형성하여, 각 폐플라스틱 블록(100) 내부로 빗물을 유입,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폐플라스틱 블록을 시멘트 블록의 중량에 의해 고정할 뿐만 아니라, 고정 구조를 통해 상호간의 강력한 체결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시멘트 도포층이 있는 경우 시멘트 도포층을 걷어내고 원지반에 모래만 미리 설정된 높이로 도포하고 바로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상면의 빗물의 유입 홈(131)은 블록의 중앙부분이 비어있으므로 블록 상부에 떨어지는 흙 또는 먼지를 빗물과 함께 블록의 중앙부분으로 이동시므로 장기간 막힘현성 없이 투수성은을 지속적으로 발휘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블록의 상부면에 규사를 혼입하여 제조하므로서 플라스틱 블록의 표면이 갖는 미끄럼을 방지 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Preamble sidewalk and driveway block system combining waste plastic block and cement block}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하여 투수 성능과 빗물의 저장 성능을 향상시킨 보차도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플라스틱 블록에 시멘트 블록의 삽입에 의한 중량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시멘트 블록의 고정 구조를 통해 상호 간의 강력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보차도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플라스틱은 일상 생활용품 뿐만 아니라 농업용 필름, 건축, 전기가전, 자동차, 항공, 우주재료에 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환경보호를 위한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문제가 핫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이러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건축자재로 활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어왔다.
대한민국 특허공고 특1996-0011322호 폐플라스틱 콘트리트 복합재료에는 매트릭스로서 열가소성 폐합성 수지를 분쇄 가열하여 골재와 혼합용융, 혼련 및 성형으로 이루어지는 폐플라스틱 콘크리트 복합 재료에 있어서, 가열된 열가소성 폐합성수지와 190℃ 내지 220℃로 가열한 모래 및 쇄석에 폴리에틸렌 분말1.6중량% 내지 2.1중량%를 미리 코팅한 골재 50중량% 내지 90중량%를 혼련기에 넣고, 6 내지 10㎏/㎤의 압력하에서 혼합 용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플라스틱 콘크리트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가공적성이 떨어지고 내구성에서 문제가 있어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94333(2009.4.14.)열팽창 압력을 흡수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열팽창이 큰 폐합성수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블록의 내부에 공동부(11)를 형성하여 블록(10) 자체의 열팽창을 흡수하도록 함과 아울러 블록의 외주면에는 탄성날개(12)를 형성하여 인접한 블록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폐자원의 재활용에 따른 생산원가의 절감과 가격경쟁력의 확보는 물론이고, 온도변화에 따른 열팽창의 최소화 및 팽창력을 흡수함에 따라 포설된 블록 시공면의 돌출됨이 없이 실외에도 그 사용이 적합한 열팽창 압력을 흡수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 기재되어 있으나, 장마철 등 홍수시 플라스틱의 부력으로 떠올라 도로면이 부풀어 오르거나 파괴될 우려가 있다.
기존 방식으로 투수성 포장을 보도 및 차도에 설치할 경우 투수포장 하부에 일정 두께 이상의 잡석층을 형성하여 빗물이 저장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잡석층의 20 ~ 25%가 공극을 형성하므로 보도의 경우 15cm, 차도의 경우 30cm의 잡석층을 확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잡석층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많은 암석을 채취하여 분쇄해야 하므로 석산의 개발을 위한 환경의 파괴 역시 심각한 상황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각도로 연구하던 중, 폐플라스틱을 재활용 하여 보차도용 투수블록을 만들되 블록의 내부를 비워 빗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보강용 시멘트블록을 중간에 삽입함으로써 프라스틱의 부력을 상쇄시키며, 블록간의 연결성을 보강함으로써 장마철에도 안정되면서도 견고한 보차도 포장용 블록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5-0123948(2005.12.15)호 "광촉매 보도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대한민국 특허공고 특1996-0011322호 "폐플라스틱 콘트리트 복합재료"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94333(2009.4.14.)호 "열팽창 압력을 흡수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플라스틱 블록에 시멘트 블록의 삽입에 의해 중량을 부여하고, 고정 구조를 통해 상호간의 강력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블록의 내부에 빈공간을 확보하여 빗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였고, 블록 상부의 틈새부를 확보하여 빗물과 블록 상부에 떨어지는 흙이나 먼지 등의 협잡물이 블록 내부로 빠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틈새의 하부에 빈공간이 형성 됨으로써 빗물이 빠지는 틈새가 막힘 현상 없이 장기간(최소 10년 이상) 투수성능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재질 특성상 비가오거나 눈이 왔을 때 표면이 미끄러워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블록의 상부층에 규사를 혼입하여 제조하므로써 마찰력을 증대 시켜 미끄럼을 방지 할수 있는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재질 특성상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 등에 플라스틱 재질 특성상 부력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재질의 특성상 색상을 넣기 유용하고, 점자블록이나 맹인 유도블록, 또는 도로에 글씨를 쓸 필요가 있는 무늬를 형성하거나 문자 형상의 축광물질을 상부면의 미리 설정된 좌표 지점에 대한 추가하는 방식의 가공을 통해 야간에도 빛을 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은, 수평 방향으로 2개의 폐플라스틱 블록(100)이 하나의 시멘트 블록(200)을 기준으로 양측부의 높이 중앙 위치로 체결된 형태로 형성하고, 블록의 상부면에 빗물의 투수를 위한 투수틈새(131)가 형성되어 각 폐플라스틱 블록(100) 내부로 빗물을 유입,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시멘트 블록(200)의 몸체(220)의 하부면의 중앙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단면이 사각에 해당하는 하단 고정홈(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폐플라스틱 블록(100)은,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 중앙 체결홈(112), 하부 체결단(113)으로 구성되는 측부 체결부(110); 및 측부 체결부(110)와 수평 방향에 이웃하는 위치에 상부 주 수용단(121), 중앙 주 수용단(122), 하부 빗물 유출구(123)로 구성되는 중앙 수용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주 수용단(121)은 측부 체결부(110)의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과 수평면 상에서 평행하게 이웃하여 위치하며, 중앙 주 수용단(122)은 측부 체결부(110)의 중앙 체결홈(112)과 수평면 상에서 평행하게 이웃하여 위치하며, 하부 빗물 유출구(123)는 측부 체결부(110)의 하부 체결단(113)과 수평면 상에서 평행하게 이웃하게 위치하되, 상부 주 수용단(121)과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 중앙 주 수용단(122)과 중앙 체결홈(112), 하부 빗물 유출구(123)와 하부 체결단(113)의 길이 방향(L) 및 높이 방향(L)의 길이는 동일하며, 폭 방향(W)의 길이는 중앙 수용부(120)의 구성요소인 상부 주 수용단(121), 중앙 주 수용단(122), 하부 보조 수용단(123)이 각각 측부 체결부(110)의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 중앙 체결홈(112), 하부 체결단(113)의 길이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의 정면을 이루는 폭 방향(W)의 중앙 중 하부면과, 하부 체결단(113)의 정면을 이루는 폭 방향(W)의 중앙 중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음각 형상의 반 원형의 관통홈(10)이 형성됨으로써, 상부면(130)을 구성하는 격벽단(131) 사이의 흡수 슬롯(132)을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에 해당하는 중앙 체결홈(112)을 거쳐 하부 체결단(113)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의 폭 방향의 단면으로 X자 형상의 제 1 강도 강화 부재(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강도 강화 부재(20) 상에서도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에 형성된 관통홈(10)의 위치와 상하로 포개지는 위치에 동일한 관통홈(10)이 형성되어, 상부면(130)을 구성하는 격벽단(131) 사이의 흡수 슬롯(132)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하부에 해당하는 중앙 체결홈(112)을 거쳐 하부 체결단(113)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블록 내부에 저장된 빗물은 유출구(123)를 통하여 블록의 하층 토양으로 서서히 배출시켜 지하수를 함양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은, 폐플라스틱 블록을 시멘트 블록의 중량에 의해 부력을 상쇄하고, 고정 구조를 통해 상호간의 강력한 체결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시멘트 또는 아스콘 도포층이 있는 경우 시멘트 또는 아스콘 도포층을 걷어내고 원지반에 모래만 미리 설정된 높이로 도포하고 바로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 자체에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 함으로써 기존의 투수포장 시스템을 적용시 발생하는 폐기물 및 잡석의 수요를 대체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은, 폐플라스틱 재질 특성상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 등에 재질 특성상 부력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블록 상부면에 마련된 빗물 투수틈새를 통해 수분을 폐플라스틱 블록 내로 수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홍수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은, 폐플라스틱 재질의 특성상 색상을 넣기 유용하고, 점자블록이나 맹인 유도블록, 또는 도로에 글씨를 쓸 필요가 있는 무늬를 형성하거나 문자 형상의 축광물질을 상부면의 미리 설정된 좌표 지점에 대한 추가하는 방식의 가공을 통해 야간에도 빛을 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에서 보도 블록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폐플라스틱 블록(100)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에서 블록의 끝단에 형성되는 폐플라스틱 블록(100a) 하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에서 사용되는 시멘트 블록(2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에서 블록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에서 블록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상면도(도 6a) 및 저면도(도 6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에서 블록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좌측면도(도 7a) 및 우측면도(도 7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에 사용되는 폐플라스틱 블록(100) 및 시멘트 블록(200)이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의 상부면에 빗물의 투수를 위한 홈(131)이 형성되어 각 폐플라스틱 블록(100) 내부로 빗물을 유입,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에서 블록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폐플라스틱 블록(100) 하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에서 블록의 끝단에 형성되는 폐플라스틱 블록(100a) 하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에서 사용되는 시멘트 블록(2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에서 블록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에서 블록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상면도(도 6a) 및 저면도(도 6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에서 블록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좌측면도(도 7a) 및 우측면도(도 7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에 사용되는 폐플라스틱 블록(100) 및 시멘트 블록(200)이 3D 프린팅에 의해 출력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의 상부면에 빗물의 투수를 위한 홈(131)이 형성되어 각 폐플라스틱 블록(100) 내부로 빗물을 유입,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1)은 수평 방향으로 2개의 폐플라스틱 블록(100)이 도 4와 같은 하나의 시멘트 블록(200)을 기준으로 양측부로 체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평 방향으로 2개의 폐플라스틱 블록(100)이 하중과 강도를 보강하는 하나의 시멘트 블록(200)을 기준으로 양측부의 높이 중앙 위치로 체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각 폐플라스틱 블록(100) 내부로 빗물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보도 블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도 1에는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상부에 규사가 얹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폐플라스틱 블록(100)은 측부 체결부(110), 중앙 수용부(120), 상부면(130) 및 하부면(140)으로 구성되며, 하부면(140) 중 측부 체결부(110)과 중앙 수용부(120)의 경계면에는 받침단(141)이 형성됨으로써, 폐플라스틱 블록(100)과 모래층 간의 이동을 방지하여 지면과의 부착성을 제고할 수 있다.
측부 체결부(110)는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 중앙 체결홈(112), 하부 체결단(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 및 하부 체결단(113) 각각이 중앙 체결홈(112)을 기준으로 중앙 체결홈(112)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 및 하부 체결단(113)의 길이 방향(L)의 길이 동일하나 높이 방향(H)의 길이가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이 하부 체결단(113) 보다 길게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의 정면을 이루는 폭 방향(W)의 중앙 중 하부면과, 하부 체결단(113)의 정면을 이루는 폭 방향(W)의 중앙 중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음각 형상의 반 원형의 관통홈(10)이 형성됨으로써, 상부면(130)을 구성하는 격벽단(131) 사이의 흡수 슬롯(132)을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에 해당하는 중앙 체결홈(112)을 거쳐 하부 체결단(113)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의 폭 방향의 단면으로 X자 형상의 제 1 강도 강화 부재(20)가 형성되며, 제 1 강도 강화 부재(20) 상에서도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에 형성된 관통홈(10)의 위치와 상하로 포개지는 위치에 동일한 관통홈(10)이 형성됨으로써, 상부면(130) 사이의 빗물 투수틈새(131)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에 해당하는 중앙 체결홈(112)을 거쳐 하부 체결단(113)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 체결단(113)은 상하의 두 개의 패널에 해당하는 수평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강도 강화 부재(30)가 형성되며, 제 2 강도 강화 부재(30) 상에서도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에 형성된 관통홈(10)의 위치, 그리고 제 1 강도 강화 부재(20)에 형성된 관통홈(10)의 위치와 상하로 포개지는 위치에 동일한 관통홈(10)이 형성됨으로써, 상부면(130)의 빗물 투수틈새(131)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에 해당하는 모래가 깔린 원지반으로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블록 내부에 저장된 빗물은 유출구(123)를 통하여 블록의 하층 토양으로 서서히 배출시켜 지하수를 함양 시킬 수 있다.
한편, 중앙 체결홈(112)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시멘트 블록(200)과 길이 방향에서 체결되기 위해 길이 방향의 단면이 사각에 해당하는 홈 형상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 체결홈(112)의 상단 영역은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의 최외측 하단면에 형성되는 반원형 체결강화단(111a)에 의해 시멘트 블록(200)의 상부면이 고정되고, 하부 체결단(113)의 최외측의 측부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의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블록 체결단(113a)에 의해 시멘트 블록(200)의 하부면이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폐플라스틱 블록(100)이 하나의 시멘트 블록(200)을 중심으로 체결시 두 개의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각 블록 체결단(113a)은 "ㄷ 자" 형상이 서로 등을 보고 맞닿는 형태로 하나의 시멘트 블록(200)의 몸체(220)의 하부면의 중앙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단면이 사각에 해당하는 하단 고정홈(210)에 삽입되어 시멘트 블록(200)과 두 개의 폐플라스틱 블록(100) 간의 체결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중앙 수용부(120)는 상부 주 수용단(121), 중앙 주 수용단(122), 하부 보조 수용단(123)으로 구성되며, 상부 주 수용단(121), 중앙 주 수용단(122), 하부 보조 수용단(123)이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부 주 수용단(121)은 측부 체결부(110)의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과 수평면 상에서 평행하게 이웃하여 위치하며, 중앙 주 수용단(122)은 측부 체결부(110)의 중앙 체결홈(112)과 수평면 상에서 평행하게 이웃하여 위치하며, 하부 보조 수용단(123)은 측부 체결부(110)의 하부 체결단(113)과 수평면 상에서 평행하게 이웃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부 주 수용단(121)과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 중앙 주 수용단(122)과 중앙 체결홈(112), 하부 보조 수용단(123)과 하부 체결단(113)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의 길이는 동일하며, 폭 방향의 길이는 중앙 수용부(120)의 구성요소인 상부 주 수용단(121), 중앙 주 수용단(122), 하부 보조 수용단(123)이 각각 측부 체결부(110)의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 중앙 체결홈(112), 하부 체결단(113)의 길이에 비해 크게 형성됨으로써, 빗물의 수용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측부 체결부(110)를 기준으로 하나의 중앙 수용부(120)가 맞닿는 형성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3과 같이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보도 블록 시스템(1)에서 보도 블록의 끝단에 형성되는 폐플라스틱 블록(10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두 개의 측부 체결부(110)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중앙 수용부(120)가 양끝단에 형성되는 측부 체결부(11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경우 도 2와 같이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보도 블록 시스템(1)에서 보도 블록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폐플라스틱 블록(10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같이 두 개의 측부 체결부(110)의 중앙 영역에 2개의 중아 수용부(120)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로 도시하였지만, 2개의 양 끝단의 측부 체결부(110)의 중앙 영역에는 설계에 따라 하나의 중앙 수용부(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로, n개(n은 3 이상의 자연수)의 중앙 수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앙 수용부(120)를 구성하는 상부 주 수용단(121) 및 하부 보조 수용단(123) 각각이 중앙 주 수용단(122)을 기준으로 중앙 주 수용단(122)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부 주 수용단(121), 중앙 주 수용단(122) 및 하부 보조 수용단(123)의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의 길이는 동일하나 높이 방향(H)의 길이가 중앙 주 수용단(122), 상부 주 수용단(121), 하부 보조 수용단(123) 순으로 크게 형성되며, 하부 보조 수용단(123)이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상부면(13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1차적으로 최하단에서 수용한 뒤, 2차적으로 중앙 주 수용단(122) 내부로 빗물을 수용하고 남은 마지막 빗물에 대해서 상부 주 수용단(121)을 통해 수용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주 수용단(121), 중앙 주 수용단(122), 하부 보조 수용단(123)의 정면을 이루는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음각 형상의 반 원형의 관통홈(10)이 형성됨으로써, 상부면(130)의 빗물 투수틈새(131)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에 해당하는 상부 주 수용단(121), 중앙 주 수용단(122), 하부 보조 수용단(123)을 거쳐 모래가 깔린 원지반으로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 주 수용단(121)의 폭 방향(W)의 단면으로 X자 형상의 제 1 강도 강화 부재(20)가 형성되며, 제 1 강도 강화 부재(20) 상에서도 상부 주 수용단(121)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홈(10)의 위치와 상하로 포개지는 위치에 동일한 관통홈(10)이 형성됨으로써, 상부면(130)의 빗물 투수틈새(131)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에 해당하는 중앙 주 수용단(122)을 거쳐 하부 보조 수용단(123)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중앙 주 수용단(122)은 높이 방향(H)의 길이만 다를 뿐 상부 주 수용단(12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중앙 주 수용단(122)은 폭 방향(W)의 단면으로 X자 형상의 제 1 강도 강화 부재(20)가 형성되며, 제 1 강도 강화 부재(20) 상에서도 중앙 주 수용단(122)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홈(10)의 위치와 상하로 포개지는 위치에 동일한 관통홈(10)이 형성됨으로써, 상부 주 수용단(121)을 구성하는 관통홈(10)을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 보조 수용단(123)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 보조 수용단(123)은 상하의 두 개의 패널에 해당하는 수평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강도 강화 부재(30)가 형성되며, 제 2 강도 강화 부재(30) 상에서도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에 형성된 관통홈(10)의 위치, 그리고 제 1 강도 강화 부재(20)에 형성된 관통홈(10)의 위치와 상하로 포개지는 위치에 동일한 관통홈(10)이 형성됨으로써, 상부면(130)의 빗물 투수틈새(131)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에 해당하는 모래가 깔린 원지반으로 흐르도록 하고 흐를 수 있는 최대의 용적량을 채우고도 남는 경우 최초로 액체를 채우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 보조 수용단(123)을 구성하는 상하의 두 개의 패널의 중앙에는 높이 방향으로 보조 강화부재(123)가 형성됨으로써, 하부 보조 수용단(123)에 비해 폭 방향(W)의 길이가 길어서 생길 수 있는 강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양측부, 즉 폭 방향(W)의 양측부의 상단에 2개의 폐플라스틱 블록(100)이 시멘트 블록(200)을 중심으로 체결된 이후에 분리를 위한 이격단(111b)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 블록(100)은 길이 50 내지 100mm, 폭 20 내지 30mm로 파쇄한 농업용 폐비닐이나, 20 내지 25mm 크기의 칩으로 분쇄한 통상의 폐플라스틱을 230 내지 320℃로 용융하여 블록을 성형하되, 폐플라스틱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강화재로 0.1 내지 15mm 직경을 갖는 모래, 석분, 목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20 내지 30 중량부를 추가하거나 난연성 재질로, 재생 폴리프로필렌에 탄소섬유와 난연제를 첨가한 재생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30 내지 35 중량부를 추가하고, 촉광물질을 2 내지 5 중량부, 변색 탈색을 위한 산화방지제를 3 내지 7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폐합성수지인 재생 폴리프로필렌에 탄소섬유를 첨가 혼합하여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G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수득하게 되는데, 탄소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며 녹슬지 않고 가공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 50 내지 65 중량비에 탄소섬유 35 내지 50 중량비가 첨가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난연제를 20 내지 25 중량부, 자외선차단제 8 내지 15 중량부, 색상 첨가제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인장강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에 파단강도가 우수한 탄소섬유를 첨가 혼합하여 보도 블록에서 요구되는 파단강도를 갖추게 되고, 인화성 물질인 폴리프로필렌에 난연성을 부가하여 건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등에 난연성을 갖추게 함으로써, 가격 경쟁력이 높으면서도 난연성 등과 같은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난연제는 몰리브덴산 안티몬, 수산화알미늄, 산화몰리브덴, 수산화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특히 수산화알미늄(Al(OH)3)은 혼합물이 발포폼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열이 가해져서 500℃ 이상이 되면 미세 다공질이 무수히 많은 활성알루미나로 변화되어 흡착 성능을 가지게 되므로 연소시 발생하는 다이옥신, 염화수소가스(HCl) 등 유해 물질을 흡착하며 열 분해시 흡열 반응을 하여 냉각 효과도 있고 불연성으로서 내수, 내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난연제들을 병용 사용하여 난연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렇게 혼합된 혼합물을 이용해 폐플라스틱 블록(100)으로 성형하는 경우, 하기의 표 1과 같은 물리적 성질이 나타남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하기의 표 1과 같이,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경우 강도는 시멘트 콘크리트 1종에서 요구하는 수준을 초과하는 320 ㎏/㎠의 강도를 나타내고, 휨 강도는 일반 시멘트 블록에서 요구되는 보도용의 것이 4N, 차도용이 5N인 것에 비해 3 내지 5배인 15 내지 20N으로 나타났으며, 대기 온도 90℃에서 복사열에 직접 노출된 상부와 달리 하부로 열전달이 적어 하부의 온도가 약 40℃ 그리고 내부에 빗물이 차있는 경우 50℃ 정도의 차이가 나타나 플라스틱 재료의 체적 팽창 효과를 감소시키고, 팽창흡수의 양호는 열팽창에 의하여 포설된 다수의 폐플라스틱 블록(100)에서 돌출현상이 없음을 뜻한다.
기계적 강도 열팽창 현상
압축강도 휨강도 인장강도 실험온도 블록상부 블록하부 팽창흡수
320kg/cm2 15~20N 85kg/cm2 90℃ 75℃ 25 내지 30℃ 양호
한편, 폐플라스틱 블록(100)에는 성형을 통해 도 8과 같이 색상을 더 넣을 수 있고, 도로에 서로 연결하면 상호간에 시멘트 블록(200)을 통해 강력한 체결력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시멘트 도포층이 있는 경우 시멘트 도포층을 걷어내고 원지반에 모래만 미리 설정된 높이로 도포하고 바로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에는 보도 블록을 형성하는 경우 원지반에, 자갈층과 모래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경우의 불필요한 비용 증가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갈층에 의한 부등 침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폐플라스틱 블록(100)을 결합시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 등에 재질 특성상 부력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상술한 마치 모세 혈관 구조의 액체 수용 구성요소를 통해 수분을 폐플라스틱 블록(100) 내로 수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홍수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상부면에는 도 1 내지 도 3, 도 6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무늬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점자블록이나 맹인 유도블록, 또는 도로에 글씨를 쓸 필요가 있는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상부면(130)에 대해서 무늬를 형성하거나 문자 형상의 축광물질을 상부면(130)의 미리 설정된 좌표 지점에 대한 추가하는 방식의 가공을 통해 야간에도 빛을 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상술한 상부면(130)은 재질의 특성상 미끄러울 수 있으므로, 도시된 도면들에서에 비해 상부면(130)의 격자의 크기를 크게 조절하거나, 왕사나 규사를 표면에 깔아서 이를 방지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100 : 폐플라스틱 블록
110 : 측부 체결부
111 : 상부 수용형 체결단
112 : 중앙 체결홈
113 : 하부 체결단
120 : 중앙 수용부
121 : 상부 주 수용단
122 : 중앙 주 수용단
123 : 하부 빗물 유출부
130 : 상부면
131 : 투수 틈새
133 : 규사
140 : 하부면
200 : 시멘트 블록

Claims (8)

  1. 수평 방향으로 2개의 폐플라스틱 블록(100)이 하중과 강도를 보강하는 하나의 시멘트 블록(200)을 기준으로 양측부의 높이 중앙 위치로 체결된 형태로 형성하고, 블록의 상부면에 빗물의 투수를 위한 홈(131)이 형성되어 각 폐플라스틱 블록(100) 내부로 빗물을 유입,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에 있어서,
    폐플라스틱 블록(100)은,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 중앙 체결홈(112), 하부 체결단(113)으로 구성되는 측부 체결부(110); 및
    측부 체결부(110)와 수평 방향에 이웃하는 위치에 상부 주 수용단(121), 중앙 주 수용단(122), 하부 보조 수용단(123)으로 구성되는 중앙 수용부(120); 를 포함하며,
    중앙 수용부(120)를 구성하는 상부 주 수용단(121) 및 하부 보조 수용단(123) 각각이 중앙 주 수용단(122)을 기준으로 중앙 주 수용단(122)의 상단 및 하단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부 주 수용단(121), 중앙 주 수용단(122) 및 하부 보조 수용단(123)의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의 길이는 동일하나 높이 방향(H)의 길이가 중앙 주 수용단(122), 상부 주 수용단(121), 하부 보조 수용단(123) 순으로 크게 형성되며, 하부 보조 수용단(123)이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상부면(13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1차적으로 최하단에서 수용한 뒤, 2차적으로 중앙 주 수용단(122) 내부로 빗물을 수용하고 남은 마지막 빗물에 대해서 상부 주 수용단(121)을 통해 수용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상부 주 수용단(121), 중앙 주 수용단(122), 하부 보조 수용단(123)의 정면을 이루는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음각 형상의 반 원형의 관통홈(10)이 형성됨으로써, 상부면(130)의 빗물 투수틈새(131)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에 해당하는 상부 주 수용단(121), 중앙 주 수용단(122), 하부 보조 수용단(123)을 거쳐 모래가 깔린 원지반으로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부 주 수용단(121)의 폭 방향(W)의 단면으로 X자 형상의 제 1 강도 강화 부재(20)가 형성되며, 제 1 강도 강화 부재(20) 상에서도 상부 주 수용단(121)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홈(10)의 위치와 상하로 포개지는 위치에 동일한 관통홈(10)이 형성됨으로써, 상부면(130)의 빗물 투수틈새(131)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에 해당하는 중앙 주 수용단(122)을 거쳐 하부 보조 수용단(123)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중앙 주 수용단(122)은,
    높이 방향(H)의 길이만 다를 뿐 상부 주 수용단(12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중앙 주 수용단(122)은 폭 방향(W)의 단면으로 X자 형상의 제 1 강도 강화 부재(20)가 형성되며, 제 1 강도 강화 부재(20) 상에서도 중앙 주 수용단(122)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홈(10)의 위치와 상하로 포개지는 위치에 동일한 관통홈(10)이 형성됨으로써, 상부 주 수용단(121)을 구성하는 관통홈(10)을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 보조 수용단(123)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하부 보조 수용단(123)은,
    상하의 두 개의 패널에 해당하는 수평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강도 강화 부재(30)가 형성되며, 제 2 강도 강화 부재(30) 상에서도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에 형성된 관통홈(10)의 위치, 그리고 제 1 강도 강화 부재(20)에 형성된 관통홈(10)의 위치와 상하로 포개지는 위치에 동일한 관통홈(10)이 형성됨으로써, 상부면(130)의 빗물 투수틈새(131)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에 해당하는 모래가 깔린 원지반으로 흐르도록 하고 흐를 수 있는 최대의 용적량을 채우고도 남는 경우 최초로 액체를 채우는 역할을 수행하며,
    하부 보조 수용단(123)을 구성하는 상하의 두 개의 패널의 중앙에는 높이 방향으로 보조 강화부재가 형성됨으로써, 하부 보조 수용단(123)에 비해 폭 방향(W)의 길이가 길어서 생길 수 있는 강도 문제를 해결하며,
    폐플라스틱 블록(100)의 양측부인 폭 방향(W)의 양측부의 상단에 2개의 폐플라스틱 블록(100)이 시멘트 블록(200)을 중심으로 체결된 이후에 분리를 위한 이격단(111b)이 추가로 형성되며,
    폐플라스틱 블록(100)은 길이 50 내지 100mm, 폭 20 내지 30mm로 파쇄한 농업용 폐비닐이나, 20 내지 25mm 크기의 칩으로 분쇄한 통상의 폐플라스틱을 230 내지 320℃로 용융하여 블록을 성형하되, 폐플라스틱 원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강화재로 0.1 내지 15mm 직경을 갖는 모래, 석분, 목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20 내지 30 중량부를 추가하거나 난연성 재질로, 재생 폴리프로필렌에 탄소섬유와 난연제를 첨가한 재생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30 내지 35 중량부를 추가하고, 촉광물질을 2 내지 5 중량부, 변색 탈색을 위한 산화방지제를 3 내지 7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가공하여 형성하며,
    폐합성수지인 재생 폴리프로필렌에 탄소섬유를 첨가 혼합하여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G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수득한 것을 사용하되, 제조시 폴리프로필렌 50 내지 65 중량비에 탄소섬유 35 내지 50 중량비가 첨가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난연제를 20 내지 25 중량부, 자외선차단제 8 내지 15 중량부, 색상 첨가제 1 내지 2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며,
    난연제는, 몰리브덴산 안티몬, 수산화알미늄, 산화몰리브덴, 수산화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블록의 상부면에 규사를 혼입하여 블록의 미끄러움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의 시멘트 블록(200)의 몸체(220)의 하부면의 중앙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단면이 사각에 해당하는 하단 고정홈(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주 수용단(121)은 측부 체결부(110)의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과 수평면 상에서 평행하게 이웃하여 위치하며, 중앙 주 수용단(122)은 측부 체결부(110)의 중앙 체결홈(112)과 수평면 상에서 평행하게 이웃하여 위치하며, 하부 보조 수용단(123)은 측부 체결부(110)의 하부 체결단(113)과 수평면 상에서 평행하게 이웃하게 위치하되,
    상부 주 수용단(121)과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 중앙 주 수용단(122)과 중앙 체결홈(112), 하부 보조 수용단(123)과 하부 체결단(113)의 길이 방향(L) 및 높이 방향(L)의 길이는 동일하며, 폭 방향(W)의 길이는 중앙 수용부(120)의 구성요소인 상부 주 수용단(121), 중앙 주 수용단(122), 하부 보조 수용단(123)이 각각 측부 체결부(110)의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 중앙 체결홈(112), 하부 체결단(113)의 길이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의 정면을 이루는 폭 방향(W)의 중앙 중 하부면과, 하부 체결단(113)의 정면을 이루는 폭 방향(W)의 중앙 중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음각 형상의 반 원형의 관통홈(10)이 형성됨으로써, 상부면(130)을 구성하는 격벽단(131) 사이의 흡수 슬롯(132)을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에 해당하는 중앙 체결홈(112)을 거쳐 하부 체결단(113)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의 폭 방향의 단면으로 X자 형상의 제 1 강도 강화 부재(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 1 강도 강화 부재(20) 상에서도 상부 수용형 체결단(111)에 형성된 관통홈(10)의 위치와 상하로 포개지는 위치에 동일한 관통홈(10)이 형성되어, 상부면(130)을 구성하는 격벽단(131) 사이의 흡수 슬롯(132)을 통해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에 해당하는 중앙 체결홈(112)을 거쳐 하부 체결단(113)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KR1020190141720A 2019-11-07 2019-11-07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KR102309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720A KR102309074B1 (ko) 2019-11-07 2019-11-07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720A KR102309074B1 (ko) 2019-11-07 2019-11-07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367A KR20210055367A (ko) 2021-05-17
KR102309074B1 true KR102309074B1 (ko) 2021-10-06

Family

ID=7615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720A KR102309074B1 (ko) 2019-11-07 2019-11-07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4736A1 (en) * 2022-04-18 2023-10-26 Alqahtani Saad Plastic brick
KR102635763B1 (ko) * 2023-08-24 2024-02-14 서진케미칼 주식회사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3336A (ja) * 1999-06-24 2001-01-09 Abe Jimusho:Kk 護岸等構築用のブロック
KR100963990B1 (ko) * 2010-02-25 2010-06-15 박봉수 폐자원을 이용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보도블록
KR101435373B1 (ko) * 2013-05-13 2014-08-28 기찬토건(주)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175Y1 (ko) * 1988-08-19 1991-09-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특선실의 냉기 급기 장치
KR960011322A (ko) 1994-09-14 1996-04-20 이헌조 공기조화기의 인체위치 감지 방법
JP3084611B2 (ja) * 1996-05-28 2000-09-04 宏 五十嵐 ブロックとブロックアレイ
KR100894333B1 (ko) 2007-06-05 2009-04-24 (주)이코시스 열팽창 압력을 흡수하는 폐플라스틱 재활용 블록 및 그제조방법
KR101351232B1 (ko) * 2012-01-19 2014-01-14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노면 복공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3336A (ja) * 1999-06-24 2001-01-09 Abe Jimusho:Kk 護岸等構築用のブロック
KR100963990B1 (ko) * 2010-02-25 2010-06-15 박봉수 폐자원을 이용한 보도블록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보도블록
KR101435373B1 (ko) * 2013-05-13 2014-08-28 기찬토건(주) 중공형 우수 저류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367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122B1 (ko) 투수성 자전거 도로의 포장방법
KR102309074B1 (ko) 폐플라스틱 블록과 시멘트 블록을 결합한 투수 보차도 블록 시스템
KR101526286B1 (ko) 투수성 및 보수성을 가지는 비소성 보차도용 바닥포장 구조물
US20090308009A1 (en) Composite Material Roofing Structure
KR102281919B1 (ko) 도로포장용 투수 블록
JP2006037702A (ja) 舗装道路
CN201826241U (zh) 一种低碳、节能环保的道路路面
KR102445884B1 (ko) 자원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20200078030A (ko)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폴리머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
KR101241818B1 (ko) 비소성 시멘트를 이용한 보강옹벽용 식생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8626B1 (ko) 아크릴수지 및 스콜레사이트 유무기 하이브리드 표층부와 배수엣지갭을 가지는 배수블록
US11459708B2 (en) Ground stabilization grid
KR101110272B1 (ko) 복합 다중 구조의 포장용 블록
KR101188707B1 (ko) 포장용 탄성바닥재 및 탄성바닥재 포장시공방법
JP4204424B2 (ja) 多孔質弾性舗装材及びその多孔質弾性舗装材を用いた多孔質弾性舗装用パネルの作製方法
KR100672024B1 (ko) 도로의 보도, 자전거 도로 및 공원광장 등에 조립설치할수 있는 환경친화적 다공성 폴리머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이용한 조립설치방법
KR101099920B1 (ko) 체육시설, 산책로 및 자전거도로, 건축용 고화재 및 구축재의 제조방법
KR102608730B1 (ko) 공기순환에 의해 습도조절 및 에어버블을 방지하고 하부와의 접착력 증대 및 충격흡수기능 향상의 특성을 갖는 핀 타입 하부구조의 친환경 시트형 탄성포장재, 그 제조방법 및 시공 방법
KR200346065Y1 (ko) 도로의 보도, 자전거 도로 및 공원광장 등에 조립설치할수 있는 환경친화적 다공성 폴리머 콘크리트 블록
KR102644346B1 (ko) 친환경 투수성 보도블럭을 구비한 배수시스템
CN214401255U (zh) 一种路面和地坪用复合结构
KR102335430B1 (ko) 보수성, 차열성, 투수성을 갖는 기후변화 적응형 포장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8439B1 (ko) 내구성이 강화된 흙포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89580B1 (ko)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시공성이 우수한 가로수 식목보호 블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로수 식목보호 블록
KR101127207B1 (ko) 기능성 칼라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