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884B1 - 자원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자원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884B1
KR102445884B1 KR1020210152890A KR20210152890A KR102445884B1 KR 102445884 B1 KR102445884 B1 KR 102445884B1 KR 1020210152890 A KR1020210152890 A KR 1020210152890A KR 20210152890 A KR20210152890 A KR 20210152890A KR 102445884 B1 KR102445884 B1 KR 102445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eight
aggregate
part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익현
황주철
정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로드
Priority to KR1020210152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04B18/167Recycled materials, i.e. waste materials re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am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0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0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8/22Rubber, e.g. ground waste t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4Natural resins, e.g. 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6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2Controlling the process of mixing, e.g. adding ingredients in a quantity depending on a measured or desired valu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자원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이 소개된다.
본 발명의 자원 재활용 블록 제조방법은 폐아스콘을 분쇄하여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는 과정; 폐아스콘으로부터 선별된 순환골재와 상온형 재생첨가제 및 시멘트를 혼합하는 1차 혼합과정; 상기 1차 혼합과정이 진행된 재료에 시멘트, 신골재, 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2차 혼합과정; 2차 혼합과정이 진행된 재료를 형틀에 투입하는 과정; 형틀에 투입된 재료를 진동하고, 가압하고, 상기 형틀로부터 수거하는 과정; 및 양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원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BLOCK MANUFACTURED BY RECYCLING WASTED ASC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CONSTRUCTING KEEPING BLOCK}
본 발명은 자원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스팔트의 연성과 시멘트의 강성이 결합된 반강성 블록으로, 폐아스콘을 분쇄, 선별하고, 상온형 재생첨가제를 혼합한 후, 시멘트, 신골재, 물, 혼화재 등을 혼합함으로써, 강성과 연성인 반강성의 특성을 갖도록 제조된 자원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용 블록은 골재, 시멘트, 물, 혼화재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형틀에 투입하고, 진동, 가압, 양생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시멘트 블록은 보도용뿐만 아니라 차도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강한 충격 또는 반복하중 작용 시 시멘트의 특성인 강성으로 인해 모서리가 잘 파손되고, 특히 직사각형 형상의 블록에서는 중앙 부위 파손 현상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요업분야에서는 보도용 블록으로 점토, 세라믹 등을 이용한 블록들을 시공하기도 하지만, 취성으로 인해 모서리 등의 파손이 심각한 것은 물론, 파손 부위의 날카로움으로 인해 안전에 문제가 있어 환경적인 측면에서 양호한 평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점차 사용이 줄어드는 상태이다.
한편 블록에 아스팔트를 활용하는 경우, 연성 재질이라는 아스팔트 포장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스팔트를 가열하여 제조하여야 한다는 점과, 하절기 변형이 우려되며, 상온의 아스팔트 혼합물로 블록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형상 자체로 구현하기 어렵고 소정의 품질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우리나라는 폐아스콘 발생량이 연간 약 800만ton 이상이고, 이러한 폐아스콘의 도로포장 재활용률은 약 20% 내외에 불과하다.
폐아스콘의 골재에 묻어 있는 아스팔트는 수입된 원유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노화, 균열 등이 발생된 아스팔트 포장은 대부분 아스팔트 자체가 변질된 것이 아니라, 오일, 레진의 함량이 줄어든 것이기 때문에, 이를 보충한다면 충분히 재활용할 가치가 있는 원재료이다.
한편 국내외의 차량통행이 빈번하고, 특히 중차량 통행이 많은 버스 전용차로, 차량 정지선 및 사거리 등에는 반강성 포장이 사용되기도 한다.
반강성 포장은 배수성(투수성)아스콘을 포장하고, 그 공극에 시멘트 페이스트(“시멘트밀크”라 함)를 주입하여 시멘트의 강성과 아스팔트의 연성을 동시에 구현하는 포장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반강성 포장방법은 아스팔트 성질과 시멘트 성질이 서로 상이하고, 수축률 및 팽창률이 서로 상이하여 아스팔트와 시멘트의 접촉 부위에 들뜸현상이 발생하고, 그 틈새로 수분이 침투함으로써,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는 바, 점차 사용횟수가 줄어들고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자원재활용과 반강성 도로 포장의 특징만을 살린 반강성 블록을 발명하기 위하여 분쇄, 선별된 순환골재, 신골재 일부, 유화아스팔트, 시멘트, 물을 혼합하여 반강성 블록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순환골재에 묻어 있는 아스팔트를 유화아스팔트로는 상온에서 겔화하는 것은 어렵고, 유화아스팔트 및 시멘트의 혼합만으로는 접착력과 부착력이 떨어지고 강도가 일반 시멘트 블록에 미치지 못하며, 특히 돌출된 골재의 표면입자는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이완되어 활성화되지 않는 문제점을 인지하였다.
KR 10-2016-0008825 A(2016. 01. 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순환골재를 재활용하여 강성 및 연성 특성을 갖는 반강성의 자원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재활용 블록 제조방법은 폐아스콘을 분쇄하여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여 순환골재를 마련하는 과정; 수화반응을 이용하여 상기 순환골재를 건조하도록, 상기 순환골재에 시멘트를 혼합하는 순환골재 건조과정; 상기 순환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온형 재생첨가제 0.5~3 중량부를 혼합하는 1차 혼합과정; 상기 1차 혼합과정이 진행된 재료에 시멘트, 신골재, 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2차 혼합과정; 2차 혼합과정이 진행된 재료를 형틀에 투입하는 과정; 형틀에 투입된 재료를 진동하고, 가압하고, 상기 형틀로부터 수거하는 과정; 및 양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1차 혼합과정에서 투입되는 상온형 재생첨가제는 용제 혼합물을 사용하되, 상기 용제 혼합물은, 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SBS 0.1~1 중량부를 첨가하고, 석유수지, 로진(송진 가공품)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 중량부 첨가하고, 아로마 오일, 파라핀 오일, 나프타 오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오일을 선택하여 첨가하되,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상기 용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0 중량부 첨가하며, 아스팔트는 도로포장용 아스팔트를 사용하고, 아스팔트는 용제 혼합물 100 중량부에 10~500 중량부의 범위에서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골재는, 투수 블록 제조용으로 선별되는 경우, 15mm 체에서 중량백분율 기준 90~100% 통과하고, 2.5mm 체에서 0~20% 통과할 수 있도록 선별되며, 비투수 블록 제조용으로 선별되는 경우, 15mm 체에서 중량백분율 기준 90~100% 통과하고, 2.5mm 체에서 21% 이상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혼합과정에서 투입되는 상온형 재생첨가제는 용제 혼합물을 사용하되, 상기 용제 혼합물은, 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SBS 0.1~1 중량부를 첨가하고, 석유수지, 로진(송진 가공품)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 중량부 첨가하고, 아로마 오일, 파라핀 오일, 나프타 오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오일을 선택하여 첨가하되,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상기 용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0 중량부 첨가하며, 아스팔트는 도로포장용 아스팔트를 사용하고, 아스팔트는 용제 혼합물 100 중량부에 10~500 중량부의 범위에서 첨가하여 제조하며, 상기 순환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3 중량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상온형 재생첨가제는, 상기 1차 혼합과정에서 순환골재와 재생첨가제를 5초 이상 혼합한 후, 2차 혼합과정에서 투입되는 시멘트는, 순환골재 및 신골재를 포함하는 사용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0 중량부 첨가되고, 상기 2차 혼합과정에서 첨가되는 물의 양은, 상기 순환골재에 함유된 물과, 투입되는 물과 합산하여, 시멘트 대비 15~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혼합된 재료를 형틀에 투입하여 진동 가압하고, 1차 양생이 500도시(도시=온도×시간) 이상 양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재활용 블록은, 상술한 과정으로 제조된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 재활용 블록은, 상부층 및 하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층 및 하부층 중 하나 이상이 폐아스콘을 재활용하여 제조된 층으로 이루어진 자원 재활용 블록으로서, 상기 상부층 및 하부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은, 폐아스콘을 분쇄하여 선별하는 과정; 수화반응을 이용하여 순환골재를 건조하도록, 상기 순환골재에 시멘트를 혼합하는 순환골재 건조과정; 폐아스콘으로부터 선별된 순환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온형 재생첨가제 0.5~3 중량부를 혼합하는 1차 혼합과정; 상기 1차 혼합과정이 진행된 재료에 시멘트, 신골재, 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2차 혼합과정; 2차 혼합과정이 진행된 재료를 형틀에 투입하는 과정; 형틀에 투입된 재료를 진동하고, 가압하고, 상기 형틀로부터 수거하는 과정; 및 양생하는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온형 재생첨가제는 용제 혼합물을 사용하되, 상기 용제 혼합물은, 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SBS 0.1~1 중량부를 첨가하고, 석유수지, 로진(송진 가공품)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 중량부 첨가하고, 아로마 오일, 파라핀 오일, 나프타 오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오일을 선택하여 첨가하되,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상기 용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0 중량부 첨가하며, 아스팔트는 도로포장용 아스팔트를 사용하고, 아스팔트는 용제 혼합물 100 중량부에 10~500 중량부의 범위에서 첨가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재활용 블록.으로 제조된다.
투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층 및 하부층을 구성하는 골재는 단입도 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배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층은 단입도 골재를 포함하여 투수 기능을 갖고, 상기 하부층은 비투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층은 비투수 기능을 갖고, 상기 하부층은 단입도 골재를 포함하여 투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층은, 통상적인 재료인 골재, 시멘트, 물, 혼화재를 사용하며, 여기에 기능성에 따라 차열성 빛반사체 블록은 분쇄유리, 분쇄거울, 야광골재, 공기정화 블록은 이산화티타늄, 숯, 활성탄, 황토, 제오라이트, 맥반석, 견운모,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 및 흡수성으로 습도조절이 되는 보수성 블록은 인조골재인 황토볼, 제오라이트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차열성 빛반사체, 공기정화재료, 보수성재료 등은 비중이 약하여 진동 가압 시 일부가 상부로 올라와 그 효과가 더해진다.
상기 상부층은, 탄성칩인 우레탄칩, EPDM칩, 분쇄폐타이어칩 중 1개 이상과 우레탄 바인더를 혼합하여 탄성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층을 구성하는 탄성칩과 우레탄 바인더의 혼합물은 점성이 있어 진동 가압 후 상부 가압판에 재료가 붙을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가압판에 오일을 바르거나 가압판을 30~80℃로 가열하여 가압하므로 입자의 붙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원 재활용 블록은,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되어, 투수성, 비투수성, 배수성, 저수성, 식생용, 호안용, 보강토용 보차도 블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수성 시공방법은, 투수블록을 상부층에 설치하고, 상기 투수블록의 하부층은, 모래층 포설과 다짐, 속 빈 시멘트 블록층의 설치, 쇄석기층의 포설과 다짐, 모래, 사모래 중 하나로 수평조절 층의 포설과 다짐을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폐아스콘을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폐아스콘으로부터 선별된 순환골재를 사용하므로, 아스팔트의 특징에 따른 시멘트블록 대비 염화칼슘에 강하여 블록의 내구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별도의 가열 설비 없이도 시멘트의 수화반응으로 폐아스콘에 함유된 수분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다.(폐아스콘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가열하면 아스팔트가 산화되면서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CO2 등 유해가스가 일반 아스팔트 가열 시 보다 더 발생할 수 있다.) 즉, 폐아스콘의 재활용 시 친환경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간단한 제조과정을 통해 자원을 재활용하면서 반강성이면서 블록의 품질을 만족하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며, 본 발명의 자원 재활용 블록으로 반강성 재료를 사용한 단층구조 블록과, 반강성 재료와 다기능의 상부층을 갖는 복층구조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하부층과 상부층으로 구분된 복층블록으로, 본 발명의 자원 재활용 블록이 활용된 다양한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자원 재활용 블록을 이용하여 제조된 불투수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자원 재활용 블록을 이용하여 제조된 불투수 블록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3a는 본 발명의 자원 재활용 블록을 이용하여 제조된 투수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자원 재활용 블록을 이용하여 제조된 투수 블록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4a는 본 발명의 자원 재활용 블록을 이용하여 제조된 식생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자원 재활용 블록을 이용하여 제조된 식생 블록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종래 일반적인 투수블록, 보도블록, 차도블록이 설치 구조도,
도 5b는 본 발명의 자원 재활용 블록을 투수형으로 제조하여 시공한 설치 구조도,
도 6은 속 빈 시멘트 블록의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원 재활용 블록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원재활용 블록 제조방법은, 폐아스콘을 분쇄 및 선별하는 과정, 분쇄 선별된 폐아스콘에 상온형 재생첨가제를 혼합하는 제1혼합과정, 제1혼합과정을 거친 혼합물에 시멘트, 신골재, 물, 혼화재를 혼합하는 제2혼합과정, 제2혼합과정을 마친 혼합물을 형틀에 투입하는 과정, 진동 및 가압하는 과정, 형틀을 해체하는 과정, 양생과정을 포함한다.
폐아스콘을 분쇄 및 선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폐아스콘을 분쇄 및 선별하는 과정에서 투수 블록의 경우에는 15mm 체에서 중량백분율 기준 90~100% 통과하고, 2.5mm 체에서 0~20% 통과할 수 있도록 선별한다. 비투수 블록의 경우에는 15mm 체에서 중량백분율 기준 90~100% 통과하고, 2.5mm 체에서 21% 이상 통과할 수 있도록 선별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투수 또는 비투수 블록용으로 선별된 폐아스콘을 순환골재라 칭한다.
순환골재는 20 내지 80%의 범위에서 사용하고, 나머지는 쇄석골재를 사용하는데, 신골재는 같은 크기의 쇄석 및 석분 골재를 사용하되, 20 내지 80%의 범위에서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쇄석골재와, 순환골재의 비율을 조절하여 사용하되, 반강성 블록의 사용 용도에 따라 강성을 요할 시에는 쇄석골재 사용량을 늘리고, 연성을 요할 시에는 순환골재의 사용량을 늘려 사용한다.
폐아스콘은 절삭하고, 분쇄하는 과정에서는 먼지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먼지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다량의 물을 살포하게 된다. 이로 인해 폐아스콘은 수분을 함유하게 되고, 수분을 함유한 폐아스콘은 야적장에 천막을 씌운 상태로 야적되기 때문에 폐아스콘에 함유된 수분은 증발되지 않고, 오히려 우천 시 폐아스콘에 함유된 수분이 양은 더 증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폐아스콘을 재활용 하기 위하여 분쇄된 순환골재를 수분 제거를 위해 드라이어(Dryer) 등의 가열설비를 사용하여 수분을 제거하기도 하는데, 이때 CO2 등의 유해가스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고 상온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순환골재의 수분을 줄이는 공정이 필요하다.
시멘트는 물과 수화반응에 의해서 굳어지는 재료로, 순환골재에 흡수된 수분은 시멘트를 사용하므로 자연스럽게 제거하면서 양생을 위한 물로 사용된다.
또한, 순환골재에 묻어 있는 아스팔트를 시멘트와 일체화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시멘트는 수분 흡수 및 수화반응을 통해 물을 다른 물질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바, 1차 혼합은 순환골재를 믹서에 투입하고, 상온형 재생첨가제를 첨가한 후에, 5초 이상 강제식 믹서로 혼합한 후 시멘트 등을 첨가하여 2차 혼합과정을 진행한다.
순환골재에 재생첨가제를 혼합함으로써 코팅될 수 있도록 한다.
재생첨가제는 용제를 사용하는데, 용제로는 아스팔트가 용해되고, SBS, 석유수지 및 로진을 용해시킬 수 있는 솔벤트를 사용하되, 환경적으로 무해한 용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선택된 용제 100 중량부에 SBS는 0.1~1 중량부가 첨가되고, 필요에 따라 석유수지, 로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0.1~1 중량부를 투입하고, SBS 등이 용융되면 프로세스 오일을 첨가한다.
프로세스 오일은 아로마 오일, 파라핀 오일, 나프타 오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첨가되며, 용제 혼합물(용제+SBS+로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0 중량부 범위에서 첨가되되, 아스팔트를 가열하여 프로세스 오일과 혼합하고, SBS 등이 용융된 솔벤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며, 아스팔트의 사용량은 용제 혼합물 100 중량부에 10~50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한다.
상술한 용제는 아스팔트를 용해하는 기능을 하는 바, 순환골재의 아스팔트를 녹여 겔 상태화 하며, 프로세스 오일은 순환골재의 노화 아스팔트를 연화시켜 아스팔트로 환원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용제는 프로세스 오일과 함께 SBS 등을 아스팔트로 환원시키는 재생첨가제 기능을 하게 되고, 아스팔트를 상온에서 겔화시킨 후 양생과정에서 증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용제는 잔량이 남게 되면 양생시간을 지연시킬 뿐이므로, 적정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 혼합과정에서 투입되는 시멘트의 양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순환골재의 사용량과 강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전체 사용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0 중량부 범위에서 사용한다.
시멘트 사용량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사용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강성 효과가 저하되는 것은 물론,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혼합은 순환골재를 믹서에 투입하고 재생첨가제를 투입하여 혼합하면, 재생첨가제가 혼합된 용제 혼합물은 순환골재 표면을 겔화시키면서 노화된 아스팔트를 환원시키게 되고, 2차 혼합은 시멘트 등을 투입 혼합함으로써 순환골재의 수분에 의한 영향이 없는 안정적인 반강성 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용제 혼합물은 순환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한다. 용제 혼합물을 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면 사용효과가 저하되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강도를 저하되므로, 상술한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1차로 순환골재에 먼저 재생첨가제가 코팅되고, 시멘트, 신골재, 물, 혼화재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제2혼합과정이 진행된다.
시멘트의 총 사용량은 전체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범위 내에서 사용된다.
쇄석골재는 20 내지 80 중량부 범위 내에서 투입하여 혼합하는데, 입도는 순환골재와 같이 투수성인 경우에는 2.5mm 체를 0~20% 통과하고 비투수성인 경우에는 2.5mm 체를 21% 이상 통과하는 골재를 사용한다. 물은 전체 배합설계로 정한 사용수량을 사용하는데, 순환골재에 함유된 물과 추가 투입되는 물을 합산하여 물-시멘트 기준 15~40% 범위에서 사용한다.
이렇게 제2혼합과정이 완료되면, 혼합된 재료를 형틀에 투입하여 진동 가압하고, 500도시(도시=온도×시간) 이상 양생하여 팔레트에 적재한다.
상술한 자원 재활용 블록을 이용하여 복층 구조의 경관 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경관 블록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복층으로 블록을 제조한다. 즉, 상술한 순환골재를 사용한 재료는 하부층으로 제조하고, 상부층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신골재를 이용하여 제조한다.
이하에서는 하부층은 순환골재를 사용하고, 상부층은 골재의 입도, 크기, 사용골재 및 기능성 재료, 제조방법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상부층에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설명한다.
하부층은 투수층 및 비투수층으로 구분되어 제조될 수 있다.
하부층이 투수층일 경우, 상부층이 투수층으로 구성되면 투수블록, 상부층이 비투수층으로 구성되면 저수블록으로 구분된다.
하부층이 비투수층인 경우, 상부층이 비투수층이면 비투수블록, 상부층이 투수층이면 배수블록으로 구분된다.
투수블록은 우수 등이 블록을 통하여 투수되며, 배수블록은 표면층으로 투수되는 바, 상술한 구성에 의해 경관 블록은 비투수블록, 투수블록, 배수블록 및 저수블록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표면이 투수되는 골재를 사용하게 되면 투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투수층은 골재를 단입도로 사용함으로써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단입도 골재는 그 형상이 미려하고, 기본적으로 투수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재료이다.
단입도 골재는 골재의 크기가 10~5mm, 8~4mm, 6~3mm, 4~2mm, 3~1mm, 2~0.5mm의 범위의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10~5mm 크기의 골재는 골재의 최대 크기가 10mm이므로 통과중량백분율로 10mm 체에서 90~100% 통과하고, 최소골재 5mm 체에서 0~10% 통과하는 골재를 의미한다.
나머지 단입도 골재도 8~4mm 골재는 8mm 체에서 90~100%, 4mm 체에서 0~10% 통과하는 골재를 의미하고, 6~3mm는 6mm 체에서 90~100% 통과하고, 3mm 체에서 0~10% 통과하는 골재를 의미하며, 4~2mm는 4mm 체에서 90~100% 통과하고, 2mm 체에서 0~10% 통과하는 골재를 의미한다.
또한 3~1mm 골재는 3mm 체에서 90~100% 통과하고, 1mm 체에서 0~10% 통과하는 골재이며, 2~0.5mm는 2mm 체에서 90~100% 통과하고, 0.5mm 체에서 0~10% 통과하는 골재이다.
상부층에 사용되는 골재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골재, 시멘트, 물, 혼화재, 안료와 더불어 분쇄유리, 분쇄거울 등 빛 반사체를 골재사용량의 3% 이상을 사용하여 차열성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축광으로 제조하거나 축광으로 코팅된 야광골재를 크기가 2mm~10mm의 범위에서 사용하고 사용량은 골재사용량의 1% 이상을 사용하여 야간에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빛에너지에 의한 광촉매 작용으로 공기 중의 질소산화물(NOX)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대기환경 정화기능이 탁월한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하여 블록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광촉매 코팅공정이 추가되면 더 뛰어난 공기정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공기정화 효과와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방사체, 황토볼 골재 및 분말, 견운모 골재 및 분말, 맥반석 골재 및 분말, 숯, 활성탄, 제오라이트 등을 골재사용량의 1% 이상 또는 시멘트사용량의 5% 이상을 사용하여 원적외선, 음이온의 반사와 보수성 블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부층에 5~1mm의 우레탄침, EPDM칩, 폐타이어칩과 우레탄 바인더를 혼합하여 사용하므로 탄성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블록들은 상부층에 골재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사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층 재료는 골재, 시멘트, 물, 혼화재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수용성 수지 및 에폭시, 아크릴, 우레탄, EVA를 추가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원 재활용 블록 형상 및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 재활용 블록은 전체를 반강성으로 제조하는 경우와, 상부층 및 하부층을 나누어 하부층을 반강성으로 제조하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체를 반강성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순환골재를 다른 재료와 적절히 배합하여 제조하고, 하부층만을 반강성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하부층은 순환골재를 다른 재료와 적절히 배합하여 제조하고, 상부층은 다양한 골재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도 1b를 참조로, 2중 구조로 이루어진 블록의 투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층과 하부층이 각각 투수 기능을 갖도록 제조된 블록은 투수블록, 상부층은 투수층, 하부층은 비투수층으로 구성된 블록은 배수블록으로, 배수블록은 상부층에서 투수되기 때문에, 표면에 물이 고이지 않고, 블록과 블록 사이의 틈새 또는 외부로 물이 배출되는 블록이다.
상부층은 비투수층, 하부층은 투수층으로 구성된 블록은 저수블록이라 하는데, 저수블록은 우수 등이 블록 및 하부층의 쇄석기층에서 머물다가 상부층의 비투수층에서 서서히 증발하여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고, 도심의 열섬 현상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2a 내지 도 3c를 참조로, 모자이크 블록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자이크 블록은 블록 시공 시 블록의 일부를 다른 재질 또는 다른 블록으로 시공한 블록을 의미한다.
도 2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투수형 블록은 블록의 모서리 부분에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홈이 형성되는 바, 직육면체 형상의 저부에서 십자 형상이 상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투수형 블록에는 홈이 총 4개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홈에는 블록, 석재, 타일, 탄성 판넬, 나무판, 플라스틱, 철재류 등으로 구성되는 블록(이하 채움판이라 칭한다)이 설치될 수 있다.
투수형 블록은 재료 자체의 특성에 기인하여 투수 기능을 확보할 수 있으나, 투수 능력을 개선하거나, 공극이 막히는 경우를 대비하여 추가적인 투수 기능을 더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투수형 블록은 상술한 비투수형 블록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직육면체 형상의 저부 모서리를 사선 방향으로 모따기 함으로써, 저부 측면에 공간을 형성하여 이 공간을 투수공으로 활용한다.
투수형 블록의 홈에는 비투수형과 마찬가지로, 블록, 석재, 타일, 탄성판넬, 나무판, 플라스틱, 철재류로 채우게 되는데, 채움판과 블록 사이에는 굵은 모래 또는 규사를 채우거나, 쐐기를 넣어 채움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측면을 요철 처리하고 끼움 형식으로 블록 및 채움판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석재 등의 판넬로 설치할 경우 판넬보다 크게 한 절단한 투수시트(PET, PP 재질)를 깔고 설치하므로 틈새의 모래에 의해 모따기 부위가 이물질에 의해 채워짐을 방지할 수 있다.
플라스틱이나 철재류로 채움판을 설치할 경우, 배수구 덮개처럼 표면 또는 측면에 구멍이 있도록 하여 우수 등이 통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채움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채움판에 끼움재를 일체화하거나, 볼트나, 기타 끼움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움재는 채움판에서 빠지지 않도록 내경, 모양, 크기가 채움판과 대응되도록 형성하고, 채움판에 끼워질 수 있도록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설치 시 평면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로, 식생 블록을 설명한다.
식생 블록은 식생면적이 30~80%의 범위 정도 확보될 수 있도록 제조된다.
이러한 식생 블록은 돌출부와 블록 연결판 및 관통부위로 구성되며, 블록 연결판의 모서리는 직각형, 모따기형, 원형 내지 결합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식생 블록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과정에서, 관통부위를 흙으로 채워 넣되, 그 높이를 블록 연결판 높이까지 채우고, 잔디떼를 설치하거나, 흙을 돌출부 높이까지 채우고 잔디씨를 살포함으로써 식생 블록 설치를 완성할 수 있다.
한편 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전체를 반강성 블록으로 하여 단층 블록을 시공하는 경우와, 블록을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나누어 복층 블록으로 시공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단층 블록은 형틀에 재료를 투입하여 진동, 가압하여 제조하고, 복층 블록은 하부층의 재료를 형틀에 투입하고, 진동만 가하거나, 진동 및 가압한 후, 남은 공간에 상부층 재료를 투입, 2차 가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블록을 가압한 이후에 형틀에서 빼어 낸 이후, 이를 양생실로 이동시키게 된다.
양생방법은 자연양생, 40℃ 이상의 증기양생, 전기건조양생, 오토크레이브 양생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양생한다.
양생시간은 500도시(도시=온도×시간) 이상으로 하고, 현장 납품은 3,000도시 이상에서 시행한다.
또한 표면처리공법은 칼라, 물 닦기, 쇼트처리, 연마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물 닦기는 양생 전 진동, 가압 후 형틀에서 빼낸 후 표면을 살수 처리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고, 표면 쇼트처리 공법 표면에 모래 또는 쇠구슬을 살포하여 시멘트를 벗겨내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표면 쇼트처리 공법은 300도시 이상 양생 후 시행한다.
연마처리 공법은 500도시 이상 양생 후 시행되는데, 이는 보도블록과 경계석 블록에 적용되며, 연마석, 다이아몬드 연마기, 연석, 세라믹 등으로 표면을 연마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표면광택이 필요한 경우에는 광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의 블록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블록 설치방법에 따르면, 투수블록은 지반에 쇄석기층을 설치하고, 모래의 손실(모래가 쇄석기층 틈새로 들어감)을 방지하기 위해 투수시트(부직포)를 설치하며, 그 위에 수평 조절을 위한 모래 또는 사모래(시멘트와 모래가 혼합된 건비빔의 모르타르)를 설치하고 그 위에 투수블록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투수 블록에 해당하는 일반블록은 보조기층을 설치하고 모래층을 설치한 후 보도블록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블록은 콘크리트 또는 아스콘을 포장하거나, 기층을 포장 한 후 그 위에 보조기층 및 모래층을 설치하고, 그 위에 블록을 설치하여 시공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저수능력이 탁월한 투수블록을 별도로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투수블록 설치방법에 따르면, 물의 저장능력을 향상시켜 강우 시 하천 범람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물 저장 기능에 따라 습도조절 및 하절기 열섬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동절기 동결 공간이 확보되어 동결 시 발생되는 물의 팽창력을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블록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낮에 녹은 물이 신속하게 내부공간으로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재동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방법은 다량의 우수를 저장하여 하천, 강 등의 범람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투수블록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지반을 잘 정리하고, 모래층을 둔다.
모래층은 오염된 물을 정화하여 지중에 공급하는 층이며, 정화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모래층 하부에 활성탄 층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래층은 그 위에 설치되는 블록의 수평을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모래층을 설치 후 속이 빈 시멘트 블록을 설치하는데, 속이 빈 시멘트 블록은 일반적으로 석분으로 제조하나, 본 발명에서는 단입도의 반강성 투수 블록 또는 단입도 쇄석골재를 사용하여 투수블록으로 제조하였다. 속이 빈 시멘트 블록의 공극률은 12% 이상이고, 투수계수 1x10-2cm/s 이상인 것으로 구성하였다.
속이 빈 시멘트 블록의 제조방법은, 블록 형상의 형틀에 재료를 투입하고 진동, 가압하여 제조하며, 그 재료는 앞서 설명한 재료를 사용하되, 굵은골재 최대치수는 13mm 이하로 사용한다. 양생방법은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다.
이렇게 제조된 속이 빈 시멘트 블록은 투수성으로, 보도의 경우에는 빈 공간이 횡방향으로 되도록 설치하고(공간이 옆으로 되도록 설치), 차도의 경우에는 속이 빈 공간이 종방향이 되도록 설치하며(공간이 식자에 있도록 설치) 그 공간을 쇄석골재로 채워 차량통행 시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투수성 속이 빈 시멘트 블록은 압축강도가 50kg/cm2 이상이고 투수계수가 1x10-2cm/s 이상이어야 한다.
속이 빈 시멘트 블록 설치하고, 그 위에 쇄석기층(KS규격의 #467, #57, #67, #78 골재로, 다짐 후 투수계수가 1x10-2cm/s 이상인 골재)을 설치한 후, 투수시트(부직포)(물은 투수되나 모래는 침투가 되지 않는 시트)를 설치한다.
투수시트가 설치되면 모래층을 두는데, 모래층은 투수계수가 1x10-2cm/s 이상의 강모래, 해사모래, 씻은 석분, 사모래(모래와 시멘트가 혼합된 건비빔의 모르타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포설하고 다짐한다.
수평 조절 기능을 갖는 모래층 시공 후, 그 위에 투수블록을 설치함으로써 시공을 마무리한다.
투수블록을 설치하는 경우, 그 틈새에는 모래, 규사를 사용하기도 하나, 필요 여부에 따라 이를 생략할 수도 있다. 투수블록을 설치한 이후 콤팩타 등으로 다짐 과정을 진행하는데, 이 과정에서 부직포를 설치하여 다짐 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반강성 블록의 전단면 단층블록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블록의 이미지와 표면경도를 위하여 현장에서 유화아스팔트 또는 고무유화아스팔트를 0.1~0.2ℓ/m2를 살포할 수도 있다.
[실시예]
배수성 반강성 블록의 제조
■ 하부층은 불투수 반강성 블록으로 제조하되, 골재사용량의 30%를 순환골재로 사용하고, 굵은골재는 골재 최대치수가 13mm인 것으로 사용하며, 신쇄석골재는 70% 사용한다.
■ 상부층은 투수층으로, 사용골재는 3~5mm의 검정색 계통의 일반 단입도 골재를 64% 사용하고, 여기에 같은 크기의 백색 칼라골재 30, 황토볼 3, 야광칩 1, 유리칩 2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 표면은 물 닦기 및 쇼트처리하고, 표면층의 시멘트는 백색시멘트를 사용하며, T=60mm로 하되, T=60mm 중 상부층은 6mm로 한다.
1. 반강성 블록 제조를 위한 재료준비
■ 하부층
* 순환골재 : 13mm 체에서 100% 통과하는 골재를 사용하고, 2.5mm 체에서 45%, #200 체통과량은 3%인 것을 사용하였다.
* 석분 : 10mm 체에서 100% 통과하는 KS규격의 부순모래를 사용하였다.
(* 불투수층이므로 석분을 사용)
* 시멘트 :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 2차에서 170kg/혼합물 1ton
* 첨가제 제조(100kg 제조)
Figure 112021128936680-pat00001
* 용제 혼합물과 SBS + 송진 혼합 상온 용융(5시간)
* AP-5 100%를 가열하여 프로세스오일(아로마+나프타)과 혼합하여 온도를 상온으로 식힘
* 용제 혼합물과 AP-5 혼합물을 혼합하여 저장
* 배합비
Figure 112021128936680-pat00002
* 아스콘 순환골재 함수율 : 2.0%, 물-시멘트 : 25%
* 배합순서
Figure 112021128936680-pat00003
■ 상부층
* 골재는 쇄석골재 또는 특수골재 모두 4mm 체에서 100% 통과하고 2mm 체에서 10% 이하 통과하는 골재 사용
- 쇄석골재 : 64%
- 특수골재 : 36%(제품별 각각 100m2씩 제조, 20cm x 20cm 블록 25개/m2 x 100개m2=2,500개)
* 백색골재 30%, 황토볼 3%, 야광칩(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것) 1%, 유리칩(아크릴수지 0.5% 용액으로 투명코팅된 것 2% 사용)
* 시멘트 : 백색시멘트
* 혼합제 : KS F 2560의 감수제 사용, 시멘트 사용량의 0.5%
* 아크릴수지 : 수성아크릴(고형분 40%) 사용, 시멘트 사용량의 5%
* 물
* 배합비
Figure 112021128936680-pat00004
* 배합순서 : 상기의 배합을 순서대로 믹서에 투입하여 혼합, 80초
2. 반강성 투수블록의 제조공정
■ 투수제품
* 하부층의 20cm吐*?*25개 1.0m2의 형틀에 투입하여 진동, 가압한다.
* 상부층의 재료를 하부층 상부에 투입하여 진동, 가압한다.
* 형틀에서 빼낸다.
* 50%는 물 닦기 과정을 진행한다.
* 양생실(전기건조양생)에서 40℃ 15시간(600도시) 양생하여 빼어 낸다.
* 50%는 쇼트처리하며, 별도로 팔레트에 야적한다.
3. 품질시험 결과
Figure 112021128936680-pat0000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폐아스콘을 분쇄하여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여 순환골재를 마련하는 과정;
    수화반응을 이용하여 상기 순환골재를 건조하도록, 상기 순환골재에 시멘트를 혼합하는 순환골재 건조과정;
    상기 건조과정에서 순환골재 및 시멘트를 5초 이상 혼합한 후, 상기 순환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온형 재생첨가제 0.5~3 중량부를 혼합하는 1차 혼합과정;
    상기 1차 혼합과정이 진행된 재료에 시멘트, 신골재, 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2차 혼합과정;
    2차 혼합과정이 진행된 재료를 형틀에 투입하는 과정;
    형틀에 투입된 재료를 진동하고, 가압하고, 상기 형틀로부터 수거하는 과정; 및
    양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1차 혼합과정에서 투입되는 상온형 재생첨가제는 용제 혼합물을 사용하되, 상기 용제 혼합물은, 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SBS 0.1~1 중량부를 첨가하고, 석유수지, 로진(송진 가공품)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 중량부 첨가하고, 아로마 오일, 파라핀 오일, 나프타 오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오일을 선택하여 첨가하되,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상기 용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0 중량부 첨가하며, 아스팔트는 도로포장용 아스팔트를 사용하고, 아스팔트는 용제 혼합물 100 중량부에 10~500 중량부의 범위에서 첨가하여 제조하며,
    상기 2차 혼합과정에서 투입되는 시멘트의 양은, 순환골재 및 신골재를 포함하는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0 중량부 첨가되고,
    상기 2차 혼합과정에서 첨가되는 물의 양은, 상기 순환골재에 함유된 물과, 상기 2차 혼합과정에서 첨가되는 유화아스팔트 혼합물에 함유된 물과 합산하여, 시멘트 대비 15~40중량%이며,
    상기 혼합된 재료를 형틀에 투입하여 진동 가압하고, 500도시(도시=온도×시간) 이상 양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재활용 블록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환골재는,
    투수 블록 제조용으로 선별되는 경우, 15mm 체에서 중량백분율 기준 90~100% 통과하고, 2.5mm 체에서 0~20% 통과할 수 있도록 선별되며,
    비투수 블록 제조용으로 선별되는 경우, 15mm 체에서 중량백분율 기준 90~100% 통과하고, 2.5mm 체에서 21% 이상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재활용 블록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및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자원 재활용 블록.
  6. 상부층 및 하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층 및 하부층 중 하나 이상이 폐아스콘을 재활용하여 제조된 층으로 이루어진 자원 재활용 블록으로서,
    상기 상부층 및 하부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은, 폐아스콘을 분쇄하여 선별하는 과정;
    수화반응을 이용하여 순환골재를 건조하도록, 상기 순환골재에 시멘트를 혼합하는 순환골재 건조과정;
    폐아스콘으로부터 선별된 순환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온형 재생첨가제 0.5~3 중량부를 혼합하는 1차 혼합과정; 상기 1차 혼합과정이 진행된 재료에 시멘트, 신골재, 물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2차 혼합과정; 2차 혼합과정이 진행된 재료를 형틀에 투입하는 과정; 형틀에 투입된 재료를 진동하고, 가압하고, 상기 형틀로부터 수거하는 과정; 및 양생하는 과정;으로 제조되고,
    상온형 재생첨가제는 용제 혼합물을 사용하되, 상기 용제 혼합물은, 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SBS 0.1~1 중량부를 첨가하고, 석유수지, 로진(송진 가공품)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 중량부 첨가하고, 아로마 오일, 파라핀 오일, 나프타 오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오일을 선택하여 첨가하되,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상기 용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500 중량부 첨가하며, 아스팔트는 도로포장용 아스팔트를 사용하고, 아스팔트는 용제 혼합물 100 중량부에 10~500 중량부의 범위에서 첨가하여 제조되며,
    상기 상부층은, 골재, 시멘트, 물, 혼화재를 포함하며, 여기에 기능성에 따라 차열성 빛반사체 블록은 분쇄유리, 분쇄거울, 야광골재,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 및 습도조절, 보수성 블록은 황토볼, 견운모 골재, 맥반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층은, 우레탄칩, EPDM칩, 분쇄폐타이어칩 중 1개 이상과 우레탄 바인더를 혼합하여 탄성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재활용 블록.
  7. 청구항 6에 있어서,
    투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층 및 하부층을 구성하는 골재는 단입도 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재활용 블록.
  8. 청구항 7에 있어서,
    배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층은 단입도 골재를 포함하여 투수 기능을 갖고, 상기 하부층은 비투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재활용 블록.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저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층은 비투수 기능을 갖고, 상기 하부층은 단입도 골재를 포함하여 투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재활용 블록.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 및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되어, 투수성, 비투수성, 배수성, 저수성, 식생용, 호안용, 보강토용 보차도 블록으로 사용되는 , 자원 재활용 블록.
  13. 청구항 1 및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투수블록을 상부층에 설치하고, 상기 투수블록의 하부층은, 모래층 포설과 다짐, 속 빈 시멘트 블록층의 설치, 쇄석기층의 포설과 다짐, 모래, 사모래 중 하나로 수평조절 층의 포설과 다짐을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재활용 블록 시공방법.
KR1020210152890A 2021-11-09 2021-11-09 자원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102445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890A KR102445884B1 (ko) 2021-11-09 2021-11-09 자원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890A KR102445884B1 (ko) 2021-11-09 2021-11-09 자원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884B1 true KR102445884B1 (ko) 2022-09-22

Family

ID=83445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890A KR102445884B1 (ko) 2021-11-09 2021-11-09 자원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627B1 (ko) 2022-11-22 2023-06-02 주식회사 빌트존 재생골재를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081A (ko) * 2004-07-05 2004-07-23 강흥식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KR20040100193A (ko) * 2003-05-22 2004-12-02 (주)휴먼시티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다중 탄성보도블록의 제조방법
KR20050115358A (ko) * 2004-06-03 2005-12-07 민원 재생골재와 폐시멘트를 이용한 시멘트코팅 혼합골재와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KR20160008825A (ko) 2014-07-15 2016-01-25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개질 아스팔트용 첨가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95620A (ko) * 2019-01-31 2020-08-11 황익현 중저온 및 고온 겸용 아스팔트 첨가제용 기초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중저온 및 고온 겸용 아스팔트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91037B1 (ko) * 2020-01-29 2020-12-14 주식회사 더지엘 투수 기층 블록을 이용한 자동 살수 시스템 및 방법
KR102224862B1 (ko) * 2020-06-15 2021-03-08 (주)에코제이피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 겸용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인터로킹 블록
KR20210107199A (ko) * 2020-02-21 2021-09-01 주식회사 피알피 재활용 상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193A (ko) * 2003-05-22 2004-12-02 (주)휴먼시티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다중 탄성보도블록의 제조방법
KR20050115358A (ko) * 2004-06-03 2005-12-07 민원 재생골재와 폐시멘트를 이용한 시멘트코팅 혼합골재와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KR20040066081A (ko) * 2004-07-05 2004-07-23 강흥식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KR20160008825A (ko) 2014-07-15 2016-01-25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개질 아스팔트용 첨가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95620A (ko) * 2019-01-31 2020-08-11 황익현 중저온 및 고온 겸용 아스팔트 첨가제용 기초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중저온 및 고온 겸용 아스팔트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91037B1 (ko) * 2020-01-29 2020-12-14 주식회사 더지엘 투수 기층 블록을 이용한 자동 살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7199A (ko) * 2020-02-21 2021-09-01 주식회사 피알피 재활용 상온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KR102224862B1 (ko) * 2020-06-15 2021-03-08 (주)에코제이피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 겸용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인터로킹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627B1 (ko) 2022-11-22 2023-06-02 주식회사 빌트존 재생골재를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블록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233B1 (ko) 함수성능과 내구성능을 개선한 폴리머 투수콘크리트 포장 및 그 포장방법
CA1139973A (en) Method of sealing bridge deck joints
KR102445884B1 (ko) 자원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20190006233A (ko) 안전성,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보도 및 차도용 투수성 포장 시공 공법
KR100203990B1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및 보도블록 제조방법
KR100734177B1 (ko) 격자망을 가지는 탄성포장 구조체
JP2004346580A (ja) 舗装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984775B1 (ko) 저수형 투수성 보도 공사방법 및 그 방법에 이용하기 위한 보도블록
KR100406440B1 (ko) 흙을 자재의 일부로 사용하는 시멘트콘크리트도로포장방법 및 시멘트블록 제조방법
KR102273558B1 (ko)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폴리머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
KR100986182B1 (ko) 우드칩과 황토를 이용한 바닥 및 벽면 포장재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2624687B1 (ko) 상온형 아스팔트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그리고 상온형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한 블록,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RU2629634C1 (ru) Дорож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на основе бурового шлама
KR20230007910A (ko) 코르크 칩 연속 코팅 장치 및 방법과 그것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코르크 칩이 포장된 투수 기층 블록
CN209703228U (zh) 嵌合式沥青路面结构
KR101944925B1 (ko) 배수성을 갖는 보도의 아스팔트 포장 공법
JP5491756B2 (ja) 透水性舗装構造体
KR101233748B1 (ko) 친환경 도로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방법
KR100449187B1 (ko) 투수성 탄성바닥구조
KR200448591Y1 (ko) 황토층이 상면으로 결합된 투수용 블록
KR100451053B1 (ko) 석분을 이용한 투수성 시멘트콘크리트 도로 포장방법
KR0134989B1 (ko) 세립도 투수 콘크리트의 박층 포장방법
KR20160035282A (ko) 익스펜션 조인트가 부착된 투수저류 블록
KR100449186B1 (ko) 잔골재와 우레탄을 이용한 바닥블록
KR100360452B1 (ko) 임팩팅 골재를 이용한 투수성 콘크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