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558B1 -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폴리머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폴리머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558B1
KR102273558B1 KR1020180167541A KR20180167541A KR102273558B1 KR 102273558 B1 KR102273558 B1 KR 102273558B1 KR 1020180167541 A KR1020180167541 A KR 1020180167541A KR 20180167541 A KR20180167541 A KR 20180167541A KR 102273558 B1 KR102273558 B1 KR 10227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layer
synthetic resin
concrete composi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8030A (ko
Inventor
이성우
서재수
Original Assignee
이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우 filed Critical 이성우
Priority to KR102018016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5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01C11/226Coherent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투수(透水) 기층 블록(porous base-layer block) 및 이의 폴리머(polymer)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은, 투수 기층 블록, 및 상기 투수 기층 블록상에 위치하며, 골재 및 상기 골재에 도포된 경화재를 포함하는 폴리머 포장층을 포함한다. 상기 투수 기층 블록은, 복수 개의 공극을 포함하는 망목 구조를 가지는 합성수지 구조체; 및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의 상기 복수 개의 공극 내에 수용되며, 바텀애쉬, 순환골재, 시멘트, 플라이애쉬 및 물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형성된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포장 구조물을 이용하면 바닥포장 구조물의 하부 공간에 빗물을 저장하고 지하수를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도시 개발 공간 내에서 불투수(不透水) 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도시 열섬 현상과 같은 문제나, 그 결과 발생하는 도시 물관리 환경 악화나 수질 악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상부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우수하면서 하중이 분산이 가능하여 공사 중에 차량 통행에 제한 없이 연속 시공이 가능하여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공사 기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 구조체들의 상부면을 고정지지구에 의해 일체형으로 체결할 수 있어 하부로의 토사 유실에 따른 일시적인 싱크홀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폴리머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 { ROAD PAVING STRUCTURE COMPRISING LIGHTWEIGHT POROUS BASE-LAYER BLOCK AND POYMER PACK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본 발명은 경량 투수 기층 블록(base-layer block) 및 폴리머(polymer)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들은 중량이 작으며 투수성(透水性)을 갖는 기층 블록 및 상기 기층 블록 상에 위치하는 폴리머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에 관련된 기술에 대한 것이다.
도시 개발로 인하여 자연 지반은 점차 축소되고 있으며 인공 지반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그 결과, 도시 개발 공간은 자연 환경에 비해 물이 투과할 수 없는 영역, 즉, 불투수(不透水) 면적이 넓어 자연순환 기능을 점차 상실해가고 있다. 이러한 생태적 건전성의 저하는 도시민의 삶의 질을 악화시키는 주 원인일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 도시 열섬 현상, 도시 홍수 등 다양한 생태환경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더구나, 기후 변화로 인하여 도시의 기존 물순환 체계가 파괴되면서 물관리 여건과 환경은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불투수 면적의 증가로 인한 도시 홍수 및 침수의 증가, 잦은 도시 고온 현상, 및 도시 하천의 건천화 현상 등과 맞물려 수질의 악화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여름철 도심지 및 도로변은 50℃ 이상의 지면 열기와 차량 배출 가스로 인해 많은 피해가 가중되고 있으며, 인공 구조물이 증가하고 녹지대가 감소하면서 도시 온도 상승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바닥포장 구조물이 투수성(透水性)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투수성 바닥포장 구조물은 내구성 및 하중 지지력이 좋지 못하여 별도의 강도 보강재를 필요로 하며, 또한 도로 선형에 맞추어 자유롭게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6286호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닥포장 구조물의 하부층인 기층(base-layer)을 지지력과 하중 분산 기능이 우수한 합성수지 구조체 형식의 블록(block)으로 구성하고 경량이면서 투수성(透水性)이 우수한 콘크리트 조성물을 기층 블록 내부에 투입, 결합하여, 투수 블록 하부의 내구성, 빗물의 침투성과 일시적인 저류성, 안정한 시공성 및 지하 매설물 굴착 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고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기층 블록상의 폴리머(polymer) 포장에 의해 지지력과 보수(水)성을 증대시킨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투수 기층 블록; 및 상기 투수 기층 블록상에 위치하며, 골재 및 상기 골재에 도포된 경화재를 포함하는 폴리머 포장층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투수 기층 블록은, 복수 개의 공극을 포함하는 망목 구조를 가지는 합성수지 구조체; 및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의 상기 복수 개의 공극 내에 수용되며, 바텀애쉬, 순환골재, 시멘트, 플라이애쉬 및 물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형성된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포장층은, 제1골재로 이루어진 제1골재층; 및 상기 제1골재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골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각 크기가 작은 제2골재로 이루어진 제2골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골재층의 두께는 상기 제1골재층의 두께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포장층은 상기 경화재의 경화를 촉진하기 위한 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는,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의 외부 표면을 정의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홈을 포함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 내에 삽입되는 고정지지구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합성수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홈은 상기 측벽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측벽 내부로 들어갈수록 상기 체결홈의 너비가 증가하고, 상기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체결홈의 폭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구는,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상기 체결홈 내로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고정지지구의 양 끝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지지구의 너비가 증가하며 상기 고정지지구의 아래로 갈수록 상기 고정지지구의 폭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는, 상기 측벽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 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기둥; 및 상기 복수 개의 지지기둥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구조체의 상단을 구획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는, 상기 단위 구조체의 바닥면을 정의하며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바닥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은 압축 강도가 5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의 공극율이 3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의 흡수율이 3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포장층의 표면 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투수 기층 블록 및 상기 표층 사이에 위치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텀애쉬, 순환골재, 시멘트, 플라이애쉬 및 물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복수 개의 공극을 포함하는 망목 구조를 가지는 합성수지 구조체의 상기 복수 개의 공극 내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공극에 투입된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 상에 경화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 골재에 경화재를 혼합한 후 경화시켜 폴리머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머 포장층을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이 수용된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폴리머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골재를 상기 경화재와 혼합하여 제1골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골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각 크기가 작은 제2골재를 상기 경화재와 혼합하여 제2골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골재층을 상기 제1골재층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골재 및 상기 경화재를 혼합한 후 압력 또는 진동에 의해 다지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폴리머(polymer)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에 의하면, 경화재가 도포된 골재를 포함하는 층이 투수 기층 블록 상에 위치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투수 기층 블록에 포함되는 골재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예컨대, 세척 미실시 등) 부착력이 약화되거나 탈리, 탈색되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포장층으로 인해 투수성이 향상되고, 소음이나 미세먼지가 저감되며, 지지력과 휨 강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은, 경량의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기층 블록 내부에 포함하고 있어 투수 기층의 빗물 침투성 및 일시적인 저류 용량이 종래에 비해 향상되어, 빗물 유입 및 유출이나 유로 형성 시 토사 세굴에 의한 침하가 발행하는 것을 방지 및/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에 의하면, 포장 하부 공간에 빗물을 저장하고 지하수를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도시 개발 공간 내에서 불투수(不透水) 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는 도시 열섬 현상과 같은 문제나, 그 결과 발생하는 도시 침수 발생 등 물관리 환경 악화나 수질 악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에 의하면, 상부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우수하면서 하중의 분산이 가능하고, 다수의 블록이 체결된 구조로서 시공이 용이하며 도로 선형에 맞추어 자유로운 구조체 형성이 가능하고, 공사 중에 백호우(backhoe) 등 대규모 장비가 이동이 가능하여 통행 제한 없이 연속 시공이 가능하므로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공사 기간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 특수 폴리머 포장은 하부 쇄석기층에 포설하고 있어 쇄석기층의 토사 등 미세한 세립분에 의해 일체화가 약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에 의하면 그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은 지하 매설물 굴착 시 신속, 안전하게 복구가 가능하며, 자외선 노출 시에도 변형되지 않고 친환경성을 유지할 수 있고, 동절기 염화칼슘 및 동결 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은 고정지지구에 의해 합성수지 구조체들의 상부면을 일체형으로 체결할 수 있어, 상부 하중을 분산시키고 지지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고, 구조체의 체결을 통해 하부로의 토사 유실에 따른 일시적인 싱크홀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구조체의 함몰을 방지하고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에 의하면 바닥포장 구조물의 부분적인 침하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으므로, 싱크홀에 의한 인적 및 재산상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透水) 기층 블록(porous base-layer block)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의 구조도이며,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 기층 블록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투수 기층 블록의 저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수 기층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이 채워진 투수 기층 블록의 사진이며,
도 5a는 종래의 바닥포장 구조물의 지지력 부족 문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의 지지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의 투수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의 보수(保水)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의 단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透水) 기층 블록(porous base-layer block)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은 하부의 지반층(10)상에 위치하는 투수 기층 블록(20)과, 투수 기층 블록(20)상에 위치하는 표층(40)을 포함한다. 지반층(10)은 바닥포장 구조물이 설치되는 바닥면으로 지반에 위치하는 토사 등을 지칭하는 것이며, 투수 기층 블록(20)은 지반층(10) 위에 놓여 바닥포장 구조물의 하부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투수 기층 블록(20)과 표층(40) 사이에는 평탄화층(30)이 더 위치하며, 평탄화층(30)은 표층(40)의 표면 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두께가 조절되는 층이다. 평탄화층(30) 및 표층(40)은 수분의 통과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평탄화층(30) 및 표층(40)은 흙과 재활용 골재 등을 주재료로 하는 성형 모르타르를 형틀을 이용해 가압 압축시켜 형성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층(40)은 복수 개의 투수 블록(400)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다면체 형상의 투수 블록(400)이 일차원 또는 이차원 어레이(array) 형태로 배열되며 서로 연결되어 표층(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우수(雨水)의 표층(40) 투과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투수 기층 블록(20) 내에는 경량으로서 다공성이고 흡수율과 투수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조성물(210)이 수용된다. 콘크리트 조성물(210)은 바텀애쉬 또는 순환골재를 기반으로 하는 주재료와, 시멘트를 기반으로 하는 바인더에, 플라이애쉬, 물 및 기타 혼화제, 안료 등이 포함된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조성물(210)은 하기 표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주재료 바인더 기타
바텀애쉬
입자직경
4~10mm
바텀애쉬
입자직경
1~3mm
순환골재
입자직경
1~10mm
합계 시멘트 플라이애쉬 혼화제,
안료 등
50~100% 0~50% 0~40% 100% 주재료의 20~45% 주재료의0~25% 바인더의 25~40% 바인더의
5% 이내
상기 표 1에서 각 재료의 %는 중량비를 나타내며, 표 1에 도시된 조성의 바텀애쉬 기반 콘크리트 조성물(210)은 제품의 중량을 줄이고 투수율과 공극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또는, 콘크리트 조성물(210)은 하기 표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주재료 바인더 기타
바텀애쉬
입자직경
1~10mm
순환골재
입자직경
5mm
합계 시멘트 플라이애쉬 혼화제,
안료 등
40~100% 0~60% 100% 주재료의 10~25% 주재료의 0~15% 바인더의 25~40% 바인더의5% 이내
상기 표 1에서 각 재료의 %는 중량비를 나타내며, 표 2에 도시된 골재 기반 콘크리트 조성물(210)의 경우 제품의 중량을 높이고 내구성과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일 실시예에서, 투수 기층 블록(20) 내에 수용되는 물질은 흙 및/또는 잔디로 된 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투수 기층 블록(20) 내에서 흙 및/또는 잔디는 투수 기층 블록(20)의 표면으로부터 약 5 내지 15 cm의 두께로 타설되고, 그 아래에는 콘크리트 조성물(210)이 수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 기층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투수 기층 블록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투수 기층 블록(20)은 복수 개의 단위 구조체(220)가 망목구조(網目構造)를 가지면서 동시에 3차원적으로 연결된 형상을 가지는 합성수지 구조체(200)일 수 있다. 각각의 단위 구조체(220)는 빗물을 통과시키면서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극을 가지며, 이러한 단위 구조체(220)가 일차원 또는 이차원 어레이 형태로 배열되어 합성수지 구조체(200)를 구성할 수 있다.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각각의 단위 구조체(220)는,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외부 표면을 정의하는 측벽(204)과, 측벽(204)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지지기둥(202)과, 지지기둥(202)의 상단에 결합되어 각각의 단위 구조체(220)의 상단을 구획하는 덮개(203)에 의하여 정의된다. 또한, 측벽(204)에는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공극 내로 빗물의 침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구(20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20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it)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공극 내에는 경량이며 다공성이고 흡수율과 투수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조성물(210; 도 1)이 수용된다.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지지기둥(202), 덮개(203) 및 측벽(204)은 낮은 중량을 가지면서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형태의 합성수지 구조체(200)를 이용함으로써, 바닥포장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도로 선형에 맞는 임의의 형상으로 투수 기층 블록(2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구조체(220)가 평면 상에서 가로 150~200개, 및 세로 400~500개로 이루어진 어레이를 형성하도록 합성수지 구조체(20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단위 구조체(220)를 연직 방향으로 적층하여 전술한 평면 상의 어레이가 수직으로 5~15개 층을 형성하도록 합성수지 구조체(2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합성수지 구조체(200)에서 단위 구조체(220)가 형성하는 어레이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측벽(204)은 하나 이상의 체결홈(206)을 포함하며, 체결홈(206)에는 고정지지구(260) 또는 외벽지지구(265)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지지구(260)는 체결홈(206) 내에 삽입되기 위한 몸체(261) 및 상기 몸체(261)의 상단을 덮는 덮개(262)를 포함하며, 체결홈(206) 내에 삽입되어 합성수지 구조체(200)를 다른 합성수지 구조체와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외벽지지구(265)는 합성수지 구조체(200)에서 다른 합성수지 구조체와 결합되지 않는 체결홈(206)을 막는 역할을 한다.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바닥판(205)은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공극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판(205)은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각 단위 구조체(220)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분할된 판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단위 구조체(220)의 바닥면을 정의할 수 있다. 지지기둥(202), 덮개(203) 및 측벽(204)과 마찬가지로, 바닥판(205) 또한 PE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바닥판(205)에는 투수 기층 블록(20)의 아래로부터 단위 구조체(220)의 공극 내로 수분이 침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홀(250)이 형성된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수 기층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투수 기층 블록에서 단위 구조체(220)들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구조체(200)는 고정지지구(260)를 이용하여 다른 합성수지 구조체(200)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지지구(260) 와의 체결을 위하여,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측벽(204)은 하나 이상의 체결홈(206)을 포함한다. 고정지지구(260)가 체결홈(206)에 체결된 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체결홈(206)은 측벽(204)의 외부 표면에 비해 내부로 들어가면서 홈의 너비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체결홈(206)은 측벽(204)의 하단부터 상단까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체결홈(206)을 가지는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한 쌍을 서로 인접하여 배치하고, 각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측벽(204)에 형성된 체결홈(206)이 맞닿은 부분에서 각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체결홈(206)에 공통으로 고정지지구(260)를 삽입할 수 있다. 즉, 고정지지구(26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체결홈(206)에 상응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각각의 체결홈(206)은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외측 표면에서 너비가 작고 내측에서 너비가 크기 때문에, 고정지지구(260)는 이에 상응하여 중간 부분에서 너비가 작고 양 끝에서 너비가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체결홈(206)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므로, 고정지지구(260)는 체결홈(206)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체결홈(206) 및 고정지지구(260)을 사용함으로써, 합성수지 구조체(20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고 합성수지 구조체(200)끼리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기층 블록에 사용되기 위한 고정지지구나 체결홈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이 채워진 투수 기층 블록의 사진이다.
도 4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투수 기층 블록(20)의 공극에 수용되는 콘크리트 조성물은 빗물의 침투 및 보유가 가능하도록 내부에 많은 수의 공극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콘크리트 조성물(210)은 바텀애쉬, 순환골재, 시멘트 및 플라이애쉬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바텀애쉬, 순환골재, 시멘트, 플라이애쉬, 안료, 혼화제 등이 시멘트 믹싱조로 더 공급될 수도 있다. 시멘트 믹싱조에서 바텀애쉬, 순환골재, 시멘트, 플라이애쉬 및 물을 교반하여 다공성의 콘크리트 조성물이 얻어지며, 이는 시멘트 믹싱조 하단의 교반조에 수집될 수 있다.
이처럼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본 출원인 및 발명자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0-1272626호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투수 기층 블록(20)의 공극에 수용되는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210)은 우수한 투수 및 보수(保水) 성능을 얻기 위하여 압축강도가 5 MPa 이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210)은 물에 대한 흡수율이 30%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세,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210)은 공극율이 30% 이상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210)은 투수 계수가 1.0Х10-1 cm/s 이상이다.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210)이 이러한 특성을 갖도록,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210)의 생성을 위한 교반 시 투입되는 바텀애쉬, 순환골재, 플라이애쉬, 물과 시멘트의 비율, 이들의 교반 속도 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a는 종래의 바닥포장 구조물의 지지력 부족 문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종래의 바닥포장 구조물은 하부 지반 위에 바로 기층 블록이 위치하는 형태였으므로, 기층 블록의 모서리가 깨져나가는 현상이나, 또는 하부 지반에서 자갈, 모래 등 쇄석층의 유실 및 붕괴로 인한 부동침해가 발생할 수 있어 상부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부족하였다.
반면,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의 지지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지판(20)과 표층(40) 사이에 투수 기층 블록(20)이 설치되어 있으며, 투수 기층 블록(20)은 망목 구조의 합성수지 구조체(200) 내에 콘크리트 조성물(210)이 수용된 형태를 가지므로 토양이 유실될 염려가 없고, 상부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우수한 차이점이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의 투수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의 투수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의 표층(40)은 복수 개의 투수 블록(40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투수 블록(400)을 투과하여 또는 투수 블록(40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빗물이 투수 기층 블록(20)으로 침투할 수 있다. 또한, 투수 기층 블록(20)의 합성수지 구조체(200)를 투과하여 또는 합성수지 구조체의 덮개에 형성된 홀(250; 도 3)을 통하여 빗물이 망목 구조의 합성수지 구조체(200)로 침투할 수 있다. 망목 구조의 합성수지 구조체(200) 내에는 다공성의 콘크리트 조성물(210)이 수용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조성물(210)이 빗물의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망목 구조 및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210)로 인하여, 투수 기층 블록(20)은 빗물에 대한 정화 작용을 하게 된다. 투수 기층 블록(20)으로 침투한 빗물은 정화 작용 후 투수 기층 블록(20) 하부의 지반층(10)으로 흘러 들어가며, 지반층(10)을 통해 토양 및 하천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투수 기층 블록(20)에 의하여 물 순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의 보수(保水)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투수 기층 블록(20)은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210)이 제공하는 저장 공간 내에 빗물을 보유할 수 있다. 이후 건조하거나 또는/또한 온도가 높은 상태가 되면, 투수 기층 블록(20)에 보유된 빗물이 상부의 표층(40)으로 스며들어 자연 증발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노면의 온도를 저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부의 지반층(10)에서부터 투수 기층 블록(20)으로의 수분 침투가 일어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침투한 수분도 전술한 과정에 의하여 자연 증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a 및 5b에 도시된 것과 반대 방향으로의 물 순환 기능도 확보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의 단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의 사진이다.
도 8a 및 8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은,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할 때 표층(40) 대신 폴리머(polymer) 포장층(45)을 포함하는 차이가 있다.
폴리머 포장층(45)은 골재에 경화재(硬化材)를 도포 후 교반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폴리머 포장층(45)을 구비함으로써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의 골재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예컨대, 세척 미실시 등) 부착력이 약화되거나 탈리, 탈색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투수성이 향상되고, 소음이나 미세먼지가 저감되며, 지지력과 휨 강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지지력 및 보수(水)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폴리머 포장층(45)은 서로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종류의 골재 조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포장층(45)은 골재와 합성수지 구조체(200)상에 도포된 경화 바인더(binder)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리머 포장층(45)은 제1골재층(451) 및 제2골재층(452)을 포함한다. 제1골재층(451)은 상대적으로 조각들의 평균 크기가 큰 제1골재로 이루어진 층이며, 제2골재층(452)은 제1골재층(451)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1골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각들의 평균 크기가 작은 제2골재로 이루어진 층이다. 예를 들어, 제1골재층(451)을 이루는 골재의 조각의 평균 크기(예컨대, 직경 또는 한 변 길이)는 약 25mm일 수 있고, 제2골재층(452)을 이루는 골재의 조각의 평균 크기는 약 10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골재층(451)의 두께(T1)는 제2골재층(452)의 두께(T2)에 비해 크다. 즉, 하부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조각을 포함하는 제1골재층(451)의 두께(T1)가, 상부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조각을 포함하는 제2골재층(452)의 두께(T2)에 비해 클 수 있다. 예컨대, 제1골재층(451)의 두께는 약 100mm이고, 제2골재층(452)의 두께는 약 50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골재층(451) 및 제2골재층(452)을 구성하는 골재 조각들의 사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재가 위치한다. 예를 들어, 경화재는 제1골재층(451) 및 제2골재층(452)의 각 골재 조각을 에워싸는 코팅의 형태로 포함될 수도 있다. 경화재를 포함하는 골재층의 형성을 위하여, 먼저 일정 중량의 골재 조각들을 용기 내에 분산시키고, 그 위에 액체 상태의 경화재를 도포하고 교반 등에 의해 골재 조각들과 혼합한 후, 일정 시간 방치함으로써 경화재를 경화시킬 수 있다. 이때, 골재 조각들은 세척 후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는, 골재 조각들과 경화재가 잘 섞이도록 경화 전에 골재 조각들에 진동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다질 수도 있다. 또한, 다짐 과정에서 골재 조각들이 제1골재층(451) 및 제2골재층(452)의 두께(T1, T2) 방향으로 압축될 수도 있다.
제1골재층(451) 및 제2골재층(452)을 구성하는 골재 조각들은 컬러 천연 골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골재 조각들에 혼합되는 경화재의 양은 골재 조각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조각이 큰 제1골재층(451)에는 혼합되는 경화재의 양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조각이 작은 제2골재층(452)에 혼합되는 경화재의 양을 늘릴 수 있다.
골재 조각들을 둘러싸는 경화재는, 골재 조각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바인딩(binding) 소재인 동시에 골재 조각들 사이를 채우지 않는 다공질 구조를 가짐으로써 투수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경화재는 무독성 바인딩 소재인 식물성 폴리우레탄으로, 골재 조각상에 식물성 폴리우레탄의 도포 및 교반에 의하여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골재 조각의 표면 상에 경화재가 피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경화재는 탄성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탄성중합체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및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성분의 반응 생성물일 수 있다. 여기서,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중합체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성분은 폴리올 및 사슬 연장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는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polyol) 및/또는 폴리아민(polyamine)의 반응 생성물일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의 반응 생성물일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되거나 제조자, 공급자 등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얻을 수 있다.
폴리올은 1개 이상의 OH 관능기, 전형적으로 2개 이상의 OH 관능기를 포함하는 소수성 폴리올일 수 있다. 예컨대, 소수성 폴리올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천연 오일로부터 유도되고 전형적으로 식물성 오일 또는 견과유 오일로부터 유도되는 천연 오일 폴리올(NOP)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로는 피마자유, 대두유, 종자씨유, 코코넛유, 땅콩유, 카놀라유 등으로부터 유도된 NOP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소수성 폴리올에 더하여, 부가 폴리올, 예를 들어 석유-기재 폴리올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부가 폴리올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탄 디올,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탄올아민,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슬 연장제는 2개 이상의 OH 관능기를 갖는 것으로서, 알킬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DPG), 디에틸렌 글리콜(DEG), 니악스(NIAX)®, DP-1022,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및 2-부텐-l,4-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골재층(451) 및 제2골재층(452)을 구성하는 골재 조각들에는 경화재와 더불어 촉진제가 더 도포될 수도 있다. 촉진제는 경화재의 경화를 촉진하기 위한 물질로서, 예컨대, 코발트 금속 비누, 망간 금속 비누, 아미노알코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a 및 8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콘크리트 조성물(210)이 수용된 합성수지 구조체(200)를 포함하는 투수 기층 블록(20)의 구성은 도 6a 및 6b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a 및 8b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평탄화층(30)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다른 실시예에 바닥포장 구조물은 콘크리트 조성물(210)과 폴리머 포장층(45) 사이에 위치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a 및 8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포장 구조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바텀애쉬, 순환골재, 시멘트, 플라이애쉬 및 물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21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210)을 복수 개의 공극을 포함하는 망목 구조를 가지는 합성수지 구조체(200)의 복수 개의 공극 내에 투입하고, 공극에 투입된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210)을 양생 등의 과정에 의해 경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a 및 8b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골재에 경화재를 혼합한 후 경화시켜 폴리머 포장층(45)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형성된 폴리머 포장층(45)을 콘크리트 조성물(210)이 수용된 합성수지 구조체(20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폴리머 포장층(45)을 합성수지 구조체(200) 상에 형성하기 전에 골재와 합성수지 구조체(200) 상에 경화 바인더를 도포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머 포장층(45)을 경화시켜 합성수지 구조체(200) 상에 배치하기 전에 압력 및/또는 진동에 의해 경화재와 골재를 다질 수도 있다.
또한, 폴리머 포장층(45)이 상대적으로 큰 제1골재층(451)과 상대적으로 작은 제2골재층(452)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이한 크기의 골재를 경화재와 혼합하여 각각 제1골재층(451) 및 제2골재층(452)을 형성한 후 제2골재층(452)을 제1골재층(451)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하부지반층 20: 투수 기층 블록
30: 평탄화층 40: 표층
200: 합성수지 구조체 400: 투수 블록
201: 개구 202: 지지기둥
203: 덮개 204: 측벽
205: 바닥판 206: 체결홈
210: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 220: 단위 구조체
250: 홀 260: 고정지지구
265: 외벽지지구 45: 폴리머 포장층
451: 제1골재층 452: 제2골재층

Claims (15)

  1. 투수 기층 블록; 및
    상기 투수 기층 블록상에 위치하며, 복수 개의 조각을 포함하는 골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조각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조각을 에워싸도록 상기 골재에 도포되며 상기 복수 개의 조각 사이를 채우지 않는 다공질 구조의 경화재를 포함하는 폴리머 포장층을 포함하되,
    상기 투수 기층 블록은,
    복수 개의 공극을 포함하는 망목 구조를 가지는 합성수지 구조체; 및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의 상기 복수 개의 공극 내에 수용되며, 바텀애쉬, 순환골재, 시멘트, 플라이애쉬 및 물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형성된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포장층은 상기 골재 및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 상에 도포된 경화 바인더에 의해 상기 투수 기층 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폴리머 포장층은,
    제1골재로 이루어진 제1골재층;
    상기 제1골재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골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각 크기가 작은 제2골재로 이루어지는 제2골재층; 및
    상기 경화재의 경화를 촉진하기 위한 촉진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촉진제는 코발트 금속 비누, 망간 금속 비누 또는 아미노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경화재는 액체 상태로 상기 제1골재층 및 상기 제2 골재층 위에 도포된 후 진동 및 압력에 의해 상기 제1골재층 및 상기 제2 골재층과 혼합됨으로써 상기 제1골재 및 상기 제2골재의 각 골재 조각을 에워싸는 코팅의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골재층의 두께는 상기 제2 골재층의 두께에 비해 크고, 상기 제1골재층의 상기 제1골재 및 상기 제2 골재층의 상기 제2 골재는 상기 경화재와 혼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골재층 및 상기 제2 골재층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며,
    상기 제1골재층에 혼합되는 상기 경화재의 양은 상기 제2골재층에 혼합되는 상기 경화재의 양에 비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는,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의 외부 표면을 정의하며 하나 이상의 체결홈을 포함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 내에 삽입되는 고정지지구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합성수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측벽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측벽 내부로 들어갈수록 상기 체결홈의 너비가 증가하고, 상기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체결홈의 폭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지지구는,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상기 체결홈 내로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고정지지구의 양 끝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지지구의 너비가 증가하며 상기 고정지지구의 아래로 갈수록 상기 고정지지구의 폭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바닥포장 구조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는,
    상기 측벽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 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지지기둥; 및
    상기 복수 개의 지지기둥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구조체의 상단을 구획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는, 상기 단위 구조체의 바닥면을 정의하며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된 바닥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은 압축 강도가 5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의 공극율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의 흡수율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포장층의 표면 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투수 기층 블록 상에 위치하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13. 바텀애쉬, 순환골재, 시멘트, 플라이애쉬 및 물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복수 개의 공극을 포함하는 망목 구조를 가지는 합성수지 구조체의 상기 복수 개의 공극 내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공극에 투입된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 상에 경화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
    골재 상에 상기 경화 바인더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골재에 경화재를 혼합한 후 경화시켜 폴리머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머 포장층을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이 수용된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골재는 복수 개의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재는 상기 복수 개의 조각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조각을 에워싸도록 상기 골재에 도포되며 상기 복수 개의 조각 사이를 채우지 않는 다공질 구조를 갖고,
    상기 폴리머 포장층은,
    제1골재로 이루어진 제1골재층;
    상기 제1골재층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골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각 크기가 작은 제2골재로 이루어지는 제2골재층; 및
    상기 경화재의 경화를 촉진하기 위한 촉진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액체 상태의 상기 경화재를 상기 제1골재층 및 상기 제2골재층 위에 도포하는 단계;
    교반에 의해 상기 제1골재층의 상기 제1골재 및 상기 제2골재층의 상기 제2골재와 상기 경화재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골재, 상기 제2골재 및 상기 경화재를 혼합한 후 압력 및 진동에 의해 다짐으로써 상기 제1골재 및 상기 제2골재의 각 골재 조각을 에워싸는 코팅의 형태로 상기 경화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골재층의 두께는 상기 제2 골재층의 두께에 비해 크고,
    상기 경화재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경화재와 혼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골재층의 상기 제1골재 및 상기 제2 골재층의 상기 제2 골재를 상기 제1골재층 및 상기 제2 골재층의 두께 방향으로 압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경화재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골재층에 혼합되는 상기 경화재의 양은 상기 제2골재층에 혼합되는 상기 경화재의 양에 비해 적고,
    상기 폴리머 포장층은 상기 골재 및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 상에 도포된 상기 경화 바인더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에 결합되며,
    상기 촉진제는 코발트 금속 비누, 망간 금속 비누 또는 아미노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포장 구조물의 제조 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167541A 2018-12-21 2018-12-21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폴리머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 KR102273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541A KR102273558B1 (ko) 2018-12-21 2018-12-21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폴리머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541A KR102273558B1 (ko) 2018-12-21 2018-12-21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폴리머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030A KR20200078030A (ko) 2020-07-01
KR102273558B1 true KR102273558B1 (ko) 2021-07-05

Family

ID=7160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541A KR102273558B1 (ko) 2018-12-21 2018-12-21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폴리머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669B1 (ko) 2021-09-10 2022-05-09 주식회사 한국고서이엔지 투수블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2469A (zh) * 2021-10-20 2023-04-21 陈瑞文 光电型透水铺面构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211Y1 (ko) * 2001-09-01 2002-01-05 (주)화신엔지니어링 도로 경계석 설치구조
JP2007270487A (ja) * 2006-03-31 2007-10-18 Taiheiyo Precast Concrete Industry Co Ltd 保水性舗装構造および舗装用保水性ブロック
KR101177890B1 (ko) * 2011-07-08 2012-08-28 김은령 도로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1876434B1 (ko) * 2017-12-01 2018-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폴리머를 이용한 친환경 배수성 도로 포장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배수성 도로 포장체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86B1 (ko) 2014-12-19 2015-06-10 주식회사 더지엘 투수성 및 보수성을 가지는 비소성 보차도용 바닥포장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211Y1 (ko) * 2001-09-01 2002-01-05 (주)화신엔지니어링 도로 경계석 설치구조
JP2007270487A (ja) * 2006-03-31 2007-10-18 Taiheiyo Precast Concrete Industry Co Ltd 保水性舗装構造および舗装用保水性ブロック
KR101177890B1 (ko) * 2011-07-08 2012-08-28 김은령 도로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방법
KR101876434B1 (ko) * 2017-12-01 2018-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폴리머를 이용한 친환경 배수성 도로 포장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배수성 도로 포장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669B1 (ko) 2021-09-10 2022-05-09 주식회사 한국고서이엔지 투수블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수블록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030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546C (zh) 建筑材料及其制造方法
EP2698471B1 (en) Water-permeable and water-absorbing eco-pavement
KR101934754B1 (ko)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WO2006042461A1 (en) Permeable construction material containing waste rubber tyres
KR101084708B1 (ko) 투수성 블록의 제조 방법
KR102273558B1 (ko)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폴리머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
KR102229100B1 (ko) 투수성을 갖는 도로 측구 및 배수 시설물
US20100254795A1 (en) Modular cemented planar structure
CN112523029A (zh) 一种排水沥青路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591668B1 (ko) 고 투수탄성포장체 및 그 시공방법
US9163364B2 (en) Materials
KR101863629B1 (ko) 친환경 투수성 골재를 이용한 보도포장 시공방법
KR102241363B1 (ko) 보도형 저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CN205999746U (zh) 一种透水型塑胶跑道
KR100406440B1 (ko) 흙을 자재의 일부로 사용하는 시멘트콘크리트도로포장방법 및 시멘트블록 제조방법
KR102445884B1 (ko) 자원 재활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
KR100821985B1 (ko) 탄성포장재의 시공방법
KR102378423B1 (ko) 코르크 칩 연속 코팅 장치 및 방법과 그것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코르크 칩이 포장된 투수 기층 블록
KR102244857B1 (ko)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KR100740262B1 (ko) 어린이 놀이터 바닥 시공방법
KR102242318B1 (ko)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
KR101195013B1 (ko) 투수성 혼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83744B1 (ko) 친환경 지반침하 억제형 투수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624687B1 (ko) 상온형 아스팔트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그리고 상온형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한 블록,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2562855B1 (ko) 아스콘 재포장에서의 재시공을 위한 경계석 접합층을 포함하는 도로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