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930B1 -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930B1
KR101501930B1 KR20140085077A KR20140085077A KR101501930B1 KR 101501930 B1 KR101501930 B1 KR 101501930B1 KR 20140085077 A KR20140085077 A KR 20140085077A KR 20140085077 A KR20140085077 A KR 20140085077A KR 101501930 B1 KR101501930 B1 KR 101501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etaining wall
block
grave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탑
Priority to KR2014008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930B1/ko
Priority to PCT/KR2014/006868 priority patent/WO2016006748A1/ko
Priority to CN201480022550.1A priority patent/CN10589973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0Placing by pressure or pulling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3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자 및 생태이동 통로를 구비한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토사유실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옹벽 기능에 더하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보행자 및 동물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 측면 4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는 체결공(110) 및 체결용 돌기(130)와; 중앙에 구비되어 축조할 때 관통구멍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관통구멍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150)과; 상부면을 팔 등분한 후 한 칸씩 이격됨과 동시에 높이를 달리하여 적층된 상태에서도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물의 서식, 휴식, 피난, 산란처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부(170)가 구비된 메인블록(1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사유실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옹벽 기능에 더하여 옹벽블록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식생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사각 측면부 각각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체결공 및 체결돌기를 형성하여 결합되는 옹벽블록과 옹벽블록을 연결시켜 블록간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부면에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물의 서식, 휴식, 피난, 산란처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구비한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라 함은 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로,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요구되며, 일례로는 콘크리트를 재질로 하는 블록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블록식 옹벽이나,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도록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채택되는 중력식 옹벽이나,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되는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옹벽의 경우 경사면을 지지하여 토사유실이나 붕괴를 방지하는 본연의 기능은 수행할 수 있으나, 주변에 서식하는 동물이 생태 이동로를 차단하거나 사람이 이동하기에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옹벽구조로는 등록특허 제10-690589호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탈면의 최상단에 매설/설치되고 상부에 서로 접하는 다수개의 제1 반원형홈이 형성되며 각 제1 반원형홈의 내주면에 각각 제1 삽입홈이 형성된 제1 매설블록과, 비탈면의 최하단에 매설/설치되고 상부에 서로 접하는 다수개의 제2 반원형홈이 형성되며 각 제2 반원형홈의 내주면에 각각 제2 삽입홈이 형성된 제2매설블록과, 비탈면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매설블록과 제2 매설블록 사이에 안착/설치되고 하부에 제1,2 삽입홈에 삽입/연결되는 제1,2 돌기가 돌출/형성되고 내측에 이동로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채광구멍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들이 서로 접하여 연결/고정된 지지체와, 지지체로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지지체의 상부에 설치/고정된 디딤부를 포함하여 구성는데, 이와 같은 등록특허의 경우 지지체가 복수개의 연결관들과 일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대부분의 옹벽이 열악한 지형 조건하에서 시공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이의 운반에서부터 설치까지의 과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의 선등록사건인 등록번호 10-1281910호 "친환경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안쪽에 식재공간이 형성되도록 평면에서 보았을 때 “
Figure 112014064072985-pat00001
”와 같은 형태로 배열설치되는 기둥블록 조립체와; “
Figure 112014064072985-pat00002
”와 같은 형태로 배열설치된 기둥블록 조립체 간을 연결하는 연결블록 조립체;를 포함하며, 기둥블록 조립체 간을 연결블록 조립체로 연결하여 “
Figure 112014064072985-pat00003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단위 조립벽체를 횡 방향으로 반복 연결하여 일정 크기의 옹벽을 형성하고, 기둥블록 조립체는 “
Figure 112014064072985-pat00004
”와 같은 복수의 기둥블록에 의해 적층형성되며, 이 기둥블록은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 면을 따라 S자형 연결부가 형성되며, 연결블록 조립체는 “
Figure 112014064072985-pat00005
”와 같은 복수의 연결블록에 의해 적층형성되며, 이 연결블록의 양 측단에는 기둥블록의 S자형 연결부에 부합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인터록킹부가 형성되고, 연결블록의 중앙에는 연결블록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중공 보강부가 구비되며, S자형 연결부는 기둥블록의 외주 면을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단과 이 돌출단과 연결되면서 안쪽으로 오목한 형태의 오목홈부로 구성되며 인터록킹부는 오목홈부에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오목홈부에 부합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된 융기단과 이 융기단과 연결되면서 돌출단에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오목한 형태의 오목홈부로 구성되고, 옹벽의 앞쪽으로 기둥블록만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구조체를 형성하고, 이 구조체의 관통공에 하단이 원추형인 원추기둥과 이 원추기둥 위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원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기둥을 결합하며, 기둥블록과 연결블록은 비소성 시멘트로 제작되고, 식재공간에는 식재에 필요한 충진재를 채워 초목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조립성 및 견고성이 약한 단점이 있어 본원발명에서 이를 보완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및 개선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토사유실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옹벽 기능에 더하여 옹벽블록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식생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사각 측면부 각각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체결공 및 체결돌기를 형성하여 결합되는 옹벽블록과 옹벽블록을 연결시켜 블록간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부면에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물의 서식, 휴식, 피난, 산란처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구비한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은, 옹벽을 축조할 때 기본틀이 되는 것으로, 사각 측면 4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는 체결공(110) 및 체결용 돌기(130)와; 중앙에 구비되어 축조할 때 관통구멍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관통구멍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150)과; 상부면을 팔 등분한 후 한 칸씩 이격됨과 동시에 높이를 달리하여 적층된 상태에서도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물의 서식, 휴식, 피난, 산란처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부(170)가 구비된 메인블록(10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은, 사각 측면 일면을 평면으로 형성한 평면부(310)와; 나머지 측면 3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어 메인블록(100)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체결공(330) 및 체결용 돌기(350)와; 중앙에 구비되어 축조할 때 관통구멍(370)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토사가 발생시 토사가 관통구멍(370)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370)이 구비된 마무리용블록(3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은, 사각 측면 2면을 타원형으로 형성한 호면부(510)와; 나머지 측면 두 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어 메인블록(100)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체결공(530) 및 체결용 돌기(550)가 구비된 코너마감용블록(5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은, 메인블록(100)을 다수 연결한 형상으로 메인블록(100)과 같이 사각 측면 4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는 체결공(710) 및 체결용 돌기(730)와; 중앙에 구비되어 축조할 때 관통구멍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관통구멍(750)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750)이 구비된 연결블록(7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메인블록(100)의 사각 측면 4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는 체결공(110) 및 체결용 돌기(130)로 이루어진 연결부에 있어서, 연결부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체결공(110)은 연결부상 외주의 전단면 중앙, 그리고 연결부상 외주의 2개의 측단면 중 하나의 측단면에 함몰 형성되는 반원형 함몰곡면을 이루며, 체결용 돌기(130)는 외주의 전단면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110)의 함몰된 영역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반원형 돌출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토사유실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옹벽 기능에 더하여 옹벽블록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식생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사각 측면부 각각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체결공 및 체결돌기를 형성하여 결합되는 옹벽블록과 옹벽블록을 연결시켜 블록간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면에 공간부를 구비하여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물의 서식, 휴식, 피난, 산란처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은 흙을 채워 넣음으로써 구조체의 자중이 증가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견고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이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을 이루는 메인블록(100), 마무리용블록(300), 코너마감용블록(500), 연결블록(7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옹벽블록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구성의 결합 및 작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을 이루는 메인블록(100), 마무리용블록(300), 코너마감용블록(500), 연결블록(7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 옹벽블록은 사면에 체결공과 체결용 돌기가 구비되고 중앙에 관통구멍이 구비되는 메인블록(100)과; 메인블록에 체결되도록 삼면에 체결공과 체결용 돌기가 구비되는 마무리용블록(300)과; 메인블록에 체결되도록 두 면에 체결공과 체결용 돌기가 구비되어 코너부를 마감하는 코너마감용블록(500)과; 메인블록을 다수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한 연결블록(700)을 포함한다.
삭제
메인블록(100)은 옹벽을 축조할 때 기본틀이 되는 것으로, 사각 측면 4면의 각 면에 사면 각각에 체결공(110)과 체결용 돌기(130)가 함께 형성된다.
이때 체결용 돌기는 4면 각각에 "T"자 형상의 양단에 형성되며, 체결공은 "T"자 형상의 체결용 돌기 중 상부 및 일부 사각 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옹벽블록의 조립시 체결공(110)과 체결용 돌기(130) S형 결합으로 결합한 뒤 모서리부분의 반원형 체결돌기가 측면의 체결공에 결합되어 쐐기 역할을 하여 최대의 결합력접촉면적마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중앙에는 관통구멍(150)이 구비되어 축조할 때 관통구멍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를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관통구멍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부면을 팔 등분한 후 한 칸씩 이격됨과 동시에 높이를 달리하여 적층된 상태에서도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물의 서식, 휴식, 피난, 산란처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부(170)를 구비하였다.
마무리용블록(300)은 사각 측면 일면이 평면의 평면부(310)로 형성되며, 나머지 측면의 3면의 각 면에 메인블록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330)과 체결용 돌기(350)가 함께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에는 관통구멍(370)이 구비되어 축조할 때 관통구멍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를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관통구멍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코너마감용블록(500)은 사각 측면 2면이 타원형의 호면부(510)로 형성되며, 나머지 측면 두 면의 각 면에 메인블록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함께 형성되는 체결공(530)과 체결용 돌기(550)를 구비한다.
코너마감용블록(500)은 메인블록에 체결되어 코너부를 마감하게 된다.
마무리용블록(300) 및 코너마감블록(500)은 급류하천의 빠른 유속에 따른 외부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결블록(700)은 메인블록을 다수 연결한 형상으로 메인블록과 같이 사각 측면 4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는 체결공(710)과 체결용 돌기(7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중앙에 관통구멍(750)을 더 구비하여 축조할 때 관통구멍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관통구멍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내부에 철망을 넣어 강한 인장력과 휨강도를 증강하여 상판 및 그리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옹벽블록들은 반쪽자리를 들을 더 구비하여 각각을 적층하였을 때 이웃하는 블록과의 길이 차에 따라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경고하게 체결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옹벽블록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본 발명 옹벽블록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반을 터파기한 후 잡석을 채우고, 이를 다짐하여 레벨을 잡는 기초단계를 수행한다(S100).
단계(S100) 이후, 다짐된 잡석위에 옹벽블록을 사각 측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연속하여 배석하는 기초블록설치단계를 수행한다(S200).
단계(S200) 이후, 배석된 옹벽블록의 상부에 다른 옹벽블록을 임의로 선택하여 다단으로 적층하되, 적층된 높이가 일정하도록 옹벽블록을 단독 또는 하나 이상 선택 조합하고, 옹벽블록에 형성된 체결공과 체결돌기의 접촉결합에 의해 상하블록을 축조하여 옹벽구조물을 형성하는 적층단계를 수행한다(S300).
반복적층된 옹벽구조물의 일부 관통구멍(150, 370, 750)에 파이프를 박아 좀더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고정단계(S400)를 포함하며, 기초단계에서 생성된 흙을 일부 관통구멍(150, 370, 750)에 채운 후 식물을 심어 환경을 조성하는 환경조성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기초단계(S200)는 옹벽블록을 시공할 하천, 토사구역 등의 지반을 더 파기한 후 잡석을 채우고 이를 다짐하여 지반의 높이를 평형하게 하는 단계이다.
기초블록설치단계(S200)는 다져진 지반에 메인블록(100), 마무리용블록(300), 코너마감블록(500) 및 연결블록(700)을 체결하여 배석하는 단계이다.
적층단계(S300)는 높이가 다른 메인블록(100), 마무리용블록(300), 코너마감블록(500) 및 연결블록(700)을 이용하여 이격되게 적층하는 단계로, 이격되게 적층됨으로써 토사 또는 급류에 의해 옹벽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단계(S400)는 적층된 옹벽에 구비된 관통구멍 일부에 파이프를 박아 옹벽의 견고성을 증대시키는 단계이다.
환경조성단계(S50)는 기초단계에서 생성된 흙 등을 적층된 옹벽에 구비된 관통구멍 일부에 에 채운 후 식물 등을 심어 주위환경이 심미감을 갖도록 조성하는 단계이다.
블록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은 흙을 채워 넣음으로써 구조체의 자중이 증가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견고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이 정착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급류발생시 생물의 회피 및 이동통로, 서식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블록은 상하좌우 결합을 통해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한다.
각각의 블록은 상하로 끼워 넣어 쉽게 결합이 가능하고, 조립시 S형 결합으로 결합한 뒤 모서리부분의 반원이 쐐기 역할을 하여 최대의 결합력, 접촉면적 마찰력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조립 후 상하로의 개별적 이동이 가능하므로 기초를 시공하지 않거나 지반이 부등침하(不等沈下)가 일어나더라도 사면이 붕괴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메인블럭 110 : 체결공
130 : 체결용 돌기 150 : 관통공
170 : 공간부
300 : 마무리용블록 310 : 평면부
500 : 코너마감용블록 510 : 호면부
700 : 연결블록

Claims (13)

  1. 옹벽을 축조할 때 기본틀이 되는 것으로, 사각 측면 4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는 체결공(110) 및 체결용 돌기(130)와;
    중앙에 구비되어 축조할 때 관통구멍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관통구멍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150)과;
    상부면을 팔 등분한 후 한 칸씩 이격됨과 동시에 높이를 달리하여 적층된 상태에서도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물의 서식, 휴식, 피난, 산란처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부(170)가 구비된 메인블록(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사각 측면 일면을 평면으로 형성한 평면부(310)와;
    나머지 측면 3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어 메인블록(100)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체결공(330) 및 체결용 돌기(350)와;
    중앙에 구비되어 축조할 때 관통구멍(370)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토사가 발생시 토사가 관통구멍(370)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370)이 구비된 마무리용블록(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사각 측면 2면을 타원형으로 형성한 호면부(510)와;
    나머지 측면 두 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어 메인블록(100)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체결공(530) 및 체결용 돌기(550)가 구비된 코너마감용블록(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메인블록(100)을 다수 연결한 형상으로 메인블록(100)과 같이 사각 측면 4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는 체결공(710) 및 체결용 돌기(730)와;
    중앙에 구비되어 축조할 때 관통구멍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관통구멍(750)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750)이 구비된 연결블록(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블록(100)의 사각 측면 4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는 체결공(110) 및 체결용 돌기(130)로 이루어진 연결부에 있어서,
    연결부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체결공(110)은 연결부상 외주의 전단면 중앙, 그리고 연결부상 외주의 2개의 측단면 중 하나의 측단면에 함몰 형성되는 반원형 함몰곡면을 이루며,
    체결용 돌기(130)는 외주의 전단면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110)의 함몰된 영역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반원형 돌출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록.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20140085077A 2014-07-08 2014-07-08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501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5077A KR101501930B1 (ko) 2014-07-08 2014-07-08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PCT/KR2014/006868 WO2016006748A1 (ko) 2014-07-08 2014-07-28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201480022550.1A CN105899733B (zh) 2014-07-08 2014-07-28 挡土墙砌块及其施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5077A KR101501930B1 (ko) 2014-07-08 2014-07-08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930B1 true KR101501930B1 (ko) 2015-03-13

Family

ID=5302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5077A KR101501930B1 (ko) 2014-07-08 2014-07-08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01930B1 (ko)
CN (1) CN105899733B (ko)
WO (1) WO2016006748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8377A1 (en) 2015-07-17 2017-01-18 Eco-Top Co., Ltd.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KR102011672B1 (ko) * 2018-10-30 2019-08-19 이정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2084051B1 (ko) * 2019-08-16 2020-03-03 이정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WO2020091366A1 (ko) * 2018-10-30 2020-05-07 이정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2116080B1 (ko) * 2019-08-16 2020-05-27 이정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WO2021080252A1 (ko) * 2019-10-23 2021-04-29 최현석 레고형 건축 블록, 레고형 건축 블록 모듈, 레고형 건축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10048447A (ko) * 2019-10-23 2021-05-03 최현석 레고형 건축 블록, 레고형 건축 블록 모듈, 레고형 건축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415922B1 (ko) * 2021-12-31 2022-07-05 주식회사 특허기술하림엔지니어링 연약지반 보강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6549A (ja) * 1996-08-06 1998-02-17 Hokuetsu:Kk 護床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護床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KR200341395Y1 (ko) * 2003-11-13 2004-02-14 (주)레코기술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
KR100671791B1 (ko) * 2005-02-25 2007-01-24 김종윤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KR101281910B1 (ko) * 2012-11-09 2013-07-05 주식회사 에코탑 친환경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97907B (zh) * 2009-06-16 2011-11-16 梁菊明 一种生态砌块
KR101077244B1 (ko) * 2010-08-17 2011-10-27 유흥식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6549A (ja) * 1996-08-06 1998-02-17 Hokuetsu:Kk 護床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護床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KR200341395Y1 (ko) * 2003-11-13 2004-02-14 (주)레코기술 옹벽 축조용 식생화분
KR100671791B1 (ko) * 2005-02-25 2007-01-24 김종윤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KR101281910B1 (ko) * 2012-11-09 2013-07-05 주식회사 에코탑 친환경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8377A1 (en) 2015-07-17 2017-01-18 Eco-Top Co., Ltd.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CN106351249A (zh) * 2015-07-17 2017-01-25 生态顶级株式会社 组装式挡土墙砌块及挡土墙施工方法
GB2596633B (en) * 2018-10-30 2022-10-05 Woo Lee Jung Easily-expandable wave-dissipating block having artificial fish reef function
KR102011672B1 (ko) * 2018-10-30 2019-08-19 이정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WO2020091366A1 (ko) * 2018-10-30 2020-05-07 이정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JP7482955B2 (ja) 2018-10-30 2024-05-14 ウ イ,ジョン 拡張が容易な人工漁礁機能付き消波ブロック
JP7482956B2 (ja) 2018-10-30 2024-05-14 ウ イ,ジョン 拡張が容易な人工漁礁機能付き消波ブロック
JP7206408B2 (ja) 2018-10-30 2023-01-17 ウ イ,ジョン 拡張が容易な人工漁礁機能付き消波ブロック
US11434615B2 (en) 2018-10-30 2022-09-06 Jung Woo Lee Easily-expandable wave-dissipating block having artificial fish reef function
JP2022509475A (ja) * 2018-10-30 2022-01-20 ウ イ,ジョン 拡張が容易な人工漁礁機能付き消波ブロック
GB2596633A (en) * 2018-10-30 2022-01-05 Woo Lee Jung Easily-expandable wave-dissipating block having artificial fish reef function
KR102084051B1 (ko) * 2019-08-16 2020-03-03 이정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2116080B1 (ko) * 2019-08-16 2020-05-27 이정우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소파블록
KR102280982B1 (ko) * 2019-10-23 2021-07-23 최현석 레고형 건축 블록, 레고형 건축 블록 모듈, 레고형 건축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KR102363548B1 (ko) * 2019-10-23 2022-02-16 최현석 레고형 건축 블록, 레고형 건축 블록 모듈, 레고형 건축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20210048227A (ko) * 2019-10-23 2021-05-03 최현석 레고형 건축 블록, 레고형 건축 블록 모듈, 레고형 건축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JP2022553071A (ja) * 2019-10-23 2022-12-21 ソク チェ、ヒョン レゴ(登録商標)型建築ブロック、レゴ型建築ブロックモジュール、レゴ型建築ブロックシステム及び築造方法、並びにそれのための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20210048447A (ko) * 2019-10-23 2021-05-03 최현석 레고형 건축 블록, 레고형 건축 블록 모듈, 레고형 건축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WO2021080252A1 (ko) * 2019-10-23 2021-04-29 최현석 레고형 건축 블록, 레고형 건축 블록 모듈, 레고형 건축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415922B1 (ko) * 2021-12-31 2022-07-05 주식회사 특허기술하림엔지니어링 연약지반 보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6748A1 (ko) 2016-01-14
CN105899733B (zh) 2019-07-09
CN105899733A (zh)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930B1 (ko)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US20150260313A1 (en) Modular construction conduit unit
KR101419863B1 (ko)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이 적용되는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
MXPA03001816A (es) Zapatas integradas.
KR200399797Y1 (ko) 식생용 조립식 옹벽 블록
KR101807504B1 (ko) 시공이 편리한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US20150197912A1 (en) Retaining Wall Kit Having Interconnecting Units
KR101405441B1 (ko) 논두렁 구축용 경계블록
KR102255652B1 (ko)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KR101215838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180106715A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101366837B1 (ko) 식생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1385172B1 (ko) 식재수단이 형성된 옹벽구조물
KR10079776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KR101564352B1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20090044881A (ko) 옹벽
JP5697270B2 (ja) 地下構造体
KR101647089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
KR102421287B1 (ko) 논두렁 축조용 식생블록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KR101756367B1 (ko) 기초 구조물
KR20160119336A (ko) 자립식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자립식 옹벽 축조물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72001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0690589B1 (ko) 보행자 및 생태 이동통로를 구비한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옹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