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652B1 -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5652B1 KR102255652B1 KR1020140085078A KR20140085078A KR102255652B1 KR 102255652 B1 KR102255652 B1 KR 102255652B1 KR 1020140085078 A KR1020140085078 A KR 1020140085078A KR 20140085078 A KR20140085078 A KR 20140085078A KR 102255652 B1 KR102255652 B1 KR 1022556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block
- hole
- soil
- fast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사유실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옹벽 기능에 더하여 조립식으로 구성된 옹벽블록을 연결하여 각종 건축물의 담벽 또는 연못으로 축조한 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식생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건설현장 특히 지하철공사현장 등과 같이 토사가 발생할 수 있는 건설현장에서 거푸집 대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반을 터파기한 후 높이를 잡는 기초단계(S100);
다짐된 잡석 위에 옹벽블록을 배석하는 기초블록설치단계(S200);
배석된 옹벽블록의 상부에 다른 옹벽블록을 임의로 선택하여 다단으로 적층, 축조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단계(S300);
반복적층된 벽체가 붕괴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단계(S400);
관통구멍에 채운 후 식물을 심어 환경을 조성하는 환경조성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반을 터파기한 후 높이를 잡는 기초단계(S100);
다짐된 잡석 위에 옹벽블록을 배석하는 기초블록설치단계(S200);
배석된 옹벽블록의 상부에 다른 옹벽블록을 임의로 선택하여 다단으로 적층, 축조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단계(S300);
반복적층된 벽체가 붕괴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단계(S400);
관통구멍에 채운 후 식물을 심어 환경을 조성하는 환경조성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사유실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옹벽 기능에 더하여 조립식으로 구성된 옹벽블록을 연결하여 각종 건축물의 담벽, 연못으로 축조한 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식생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건설현장 특히 지하철공사현장 등과 같이 토사가 발생할 수 있는 건설현장에서 거푸집 대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라 함은 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로,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요구되며, 일례로는 콘크리트를 재질로 하는 블록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블록식 옹벽이나,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도록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채택되는 중력식 옹벽이나,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되는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건축물의 벽체 및 슬래브로 구성되는 건축 및 토목용 콘크리트 구조체의 벽체는 콘크리트 타설 후 벽체를 양생 건조시킨 다음 단열재를 콘크리트 벽체 외면이나 내면에 부착하여 단열조치를 한다.
즉, 콘크리트 벽체를 먼저 시공하기 위해 철근 조립체 양측면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고 그 콘크리트 벽체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다양한 종류의 단열재를 부착 시공하여 단열조치를 한 단열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슬래브의 경우 합판 또는 플라스틱 거푸집 위에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고, 층간바닥, 최상층 및 최하층 등 외기와 면하는 슬래브에 단열재를 부착 시공하여 단열조치를 한 단열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단열콘크리트 구조는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시공방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단열콘크리트 구조는 거푸집공사, 철근공사 및 콘크리트 공사 후 단열공사가 이루어지는 공정으로 시공공정이 복잡하며, 마감공사 등의 후속공정과 간섭되어 공기가 지연될 수 있고, 단열재를 후시공하게 되므로 골조와 일체화가 되지 않아 틈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틈 사이로 습기가 침투하여 겨울철에 결로에 의한 곰팡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재 또는 합판거푸집을 사용하기 때문에 폐자재가 발생되어 처리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비계공, 철근공, 콘크리트공, 목공, 단열공 등 숙련된 기술 인력이 필요하며, 공정관리가 복잡하여 공사비용과 공사기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및 개선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토사유실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옹벽 기능에 더하여 조립식으로 구성된 옹벽블록을 연결하여 각종 건축물의 담벽 또는 연못으로 축조한 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식생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건설현장 특히 지하철공사현장 등과 같이 토사가 발생할 수 있는 건설현장에서 거푸집 대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들을 통하여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인 옹벽블록은
사면에 구비되는 체결공과 체결용 돌기와, 중앙에 구비되어 축조할 때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과, 상부면을 팔 등분 한 후 한 칸씩 이격됨과 동시에 높이를 달리하여 적층된 상태에서도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물의 서식, 휴식, 피난, 산란처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구비된 메인블록과;
측면 일면을 평면으로 형성한 평면부와, 메인블록에 체결되도록 삼면에 구비되는 체결공과 체결용 돌기와, 중앙에 축조할 때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이 구비되는 마무리용블록과;
측면 2면을 타원형으로 형성한 호면부와, 메인블록에 체결되도록 두 면에 체결공과 체결용 돌기가 구비되어 코너부를 마감하는 코너마감용블록과;
메인블록을 다수 연결한 형상으로 메인블록과 같이 측면 사면에 형성되는 체결공 및 체결용 돌기와, 중앙에 구비되어 축조할 때 관통구멍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관통구멍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이 구비된 연결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옹벽블록을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은
지반을 터파기한 후 높이를 잡는 기초단계(S100);
다짐된 잡석 위에 옹벽블록을 배석하는 기초블록설치단계(S200);
배석된 옹벽블록의 상부에 다른 옹벽블록을 임의로 선택하여 다단으로 적층, 축조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단계(S300);
반복적층된 벽체가 붕괴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단계(S400);
관통구멍에 채운 후 식물을 심어 환경을 조성하는 환경조성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옹벽블록을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의
기초단계(S200)는 옹벽블록을 시공할 현장의 바닥 등의 지반을 더 파기한 후 잡석을 채우고 이를 다짐하여 지반의 높이를 평형하게 하는 단계이며;
기초블록설치단계(S200)는 다져진 지반에 메인블록(100), 마무리용블록(300), 코너마감블록(500) 및 연결블록(700)을 체결하여 배석하는 단계이며;
적층단계(S300)는 높이가 다른 메인블록(100), 마무리용블록(300), 코너마감블록(500) 및 연결블록(700)을 이용하여 이격되게 적층하는 단계로, 이격되게 적층됨으로써 토사 또는 급류, 외부의 충격에 의해 벽체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며;
고정단계(S400)는 반복적층된 벽체의 일부 관통구멍에 파이프를 박아 좀더 안정되게 고정시키거나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부재를 관통구멍에 박아 고정하는 단계이며;
환경조성단계(S50)는 기초단계에서 생성된 흙 등을 적층된 옹벽에 구비된 관통구멍 일부에 에 채운 후 식물 등을 심어 주위환경이 심미감응 갖도록 조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옹벽블록을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은
외벽을 시멘트, 색상을 갖는 석재를 도포 또는 페인트칠을 하여 벽체에 심미감을 주는 도포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옹벽블록을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은
축조된 각각의 블록들은 높이를 달리하여 이격되게 축조됨에 따라 외부의 충격 및 토사에 의해 벽체가 붕괴되는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옹벽블록을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은
축조된 옹벽블록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은 흙을 채워 넣음으로써 구조체의 자중이 증가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옹벽블록을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은
옹벽블록의 조립시 체결공과 체결용 돌기가 S형 결합으로 결합한 뒤 모서리부분의 반원형 체결동기가 측면의 체결공에 결합되어 쐐기 역할을 하여 최대의 결합력접촉면적마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토사유실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옹벽 기능에 더하여 조립식으로 구성된 옹벽블록을 연결하여 각종 건축물의 담벽 또는 연못으로 축조한 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식생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건설현장 특히 지하철공사현장 등과 같이 토사가 발생할 수 있는 건설현장에서 거푸집 대행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식으로 연결설치함으로써 현장의 조건에 따라 현장에서 바로 설치할 수 있어 작업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은 흙을 채워 넣음으로써 구조체의 자중이 증가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견고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이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 도 5는 옹벽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축조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축조되는 옹벽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시공된 건축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 ~ 도 5는 옹벽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축조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축조되는 옹벽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시공된 건축물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구성의 결합 및 작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본 발명 옹벽블록은 사면에 체결공과 체결용 돌기가 구비되고 중앙에 관통구멍이 구비되는 메인블록(100)과; 메인블록에 체결되도록 삼면에 체결공과 체결용 돌기가 구비되는 마무리용블록(300)과; 메인블록에 체결되도록 두 면에 체결공과 체결용 돌기가 구비되어 코너부를 마감하는 코너마감용블록(500)과; 메인블록을 다수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한 연결블록(7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옹벽블록을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은 기초단계(S100); 기초블록설치단계(S200); 벽체형성단계(S300); 고정단계(S400); 환경조성단계(S500)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메인블록(100)은 옹벽을 축조할 때 기본틀이 되는 것으로, 측면 사면 각각에 체결공(110)과 체결용 돌기(130)가 구비된다.
이때 체결용 돌기는 4면 각각에 "T"자 형상의 양단에 형성되며, 체결공은 "T"자 형상의 이때 체결용 돌기는 4면 각각에 "T"자 형상의 양단에 형성되며, 체결공은 "T"자 형상의 상부 및 일부 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옹벽블록의 조립시 체결공(110)과 체결용 돌기(130) S형 결합으로 결합한 뒤 모서리부분의 반원형 체결돌기가 측면의 체결공에 결합되어 쐐기 역할을 하여 최대의 결합력접촉면적마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중앙에는 관통구멍(150)이 구비되어 축조할 때 일부의 관통구멍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를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관통구멍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부면을 팔 등분 한 후 한 칸씩 이격됨과 동시에 높이를 달리하여 적층된 상태에서도 생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부(170)를 구비하였다.
상기 공간부(170)는 시공조건에 따라 구성에서 생략할 수 있다. 즉, 상부를 하부과 같이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마무리용블록(300)은 측면 일면이 평면의 평면부(310)로 형성되며, 나머지 삼면은 메인블록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330)과 체결용 돌기(3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중앙에는 관통구멍(370)이 구비되어 축조할 때 관통구멍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를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관통구멍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코너마감용블록(500)은 측면 2면이 타원형의 호면부(510)로 형성되며, 나머지 두면은 메인블록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530)과 체결용 돌기(550)가 구비된다.
코너마감용블록(500)은 메인블록에 체결되어 코너부를 마감하게 된다.
마무리용블록(300) 및 코너마감블록(500)은 급류하천의 빠른 유속에 따른 외부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결블록(700)은 메인블록을 다수 연결한 형상으로 메인블록과 같이 측면 사면에 체결공(710)과 체결용 돌기(7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중앙에 관통구멍(750)을 더 구비하여 축조할 때 관통구멍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관통구멍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내부에 철망을 넣어 강한 인장력과 휨강도를 증강하여 상판 및 그리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옹벽블록들은 반쪽자리를 들을 더 구비하여 각각을 적층하였을 때 이웃하는 블록과의 길이 차에 따라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경고하게 체결되게 된다.
본 발명 옹벽블록을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반을 터파기한 후 높이를 잡는 기초단계(S100);
다짐된 잡석 위에 옹벽블록을 배석하는 기초블록설치단계(S200);
배석된 옹벽블록의 상부에 다른 옹벽블록을 임의로 선택하여 다단으로 적층, 축조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단계(S300);
반복적층된 벽체가 붕괴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단계(S400);
관통구멍에 채운 후 식물을 심어 환경을 조성하는 환경조성단계(S500)를 포함한다.
이때 외벽을 시멘트, 색상을 갖는 석재를 도포 또는 페인트칠을 하여 벽체에 심미감을 주는 도포단계(S500);를 더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단계(S200)는 옹벽블록을 시공할 현장의 바닥 등의 지반을 더 파기한 후 잡석을 채우고 이를 다짐하여 지반의 높이를 평형하게 하는 단계이다.
기초블록설치단계(S200)는 다져진 지반에 메인블록(100), 마무리용블록(300), 코너마감블록(500) 및 연결블록(700)을 체결하여 배석하는 단계이다.
적층단계(S300)는 높이가 다른 메인블록(100), 마무리용블록(300), 코너마감블록(500) 및 연결블록(700)을 이용하여 이격되게 적층하는 단계로, 이격되게 적층됨으로써 토사 또는 급류, 외부의 충격에 의해 벽체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단계(S400)는 반복적층된 벽체의 일부 관통구멍에 파이프를 박아 좀더 안정되게 고정시키거나 별도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부재를 관통구멍에 박아 고정하는 단계이다.
환경조성단계(S50)는 기초단계에서 생성된 흙 등을 적층된 옹벽에 구비된 관통구멍 일부에 에 채운 후 식물 등을 심어 주위환경이 심미감응 갖도록 조성하는 단계이다.
각각의 블록들은 높이를 달리하여 축조할 때 이격되게 축조됨에 따라 외부의 충격 또는 토사에 의해 블록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블록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은 흙을 채워 넣음으로써 구조체의 자중이 증가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견고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이 정착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블록은 상하좌우 결합을 통해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한다.
각각의 블록은 상하로 끼워 넣어 쉽게 결합이 가능하고, 조립시 S형 결합으로 결합한 뒤 모서리부분의 반원이 쐐기 역할을 하여 최대의 결합력, 접촉면적 마찰력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조립 후 상하로의 개별적 이동이 가능하므로 기초를 시공하지 않거나 지반이 부동침하(differential settlement, 不同沈下)가 일어나더라도 사면이 붕괴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메인블럭 110 : 체결공
130 : 체결용 돌기 150 : 관통공
170 : 공간부
300 : 마무리용블록 310 : 평면부
500 : 코너마감용블록 510 : 호면부
700 : 연결블록
130 : 체결용 돌기 150 : 관통공
170 : 공간부
300 : 마무리용블록 310 : 평면부
500 : 코너마감용블록 510 : 호면부
700 : 연결블록
Claims (7)
- 사면에 구비되는 체결공과 체결용 돌기와, 중앙에 구비되어 축조할 때 파이프를 포함하는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과, 상부면을 팔 등분 한 후 한 칸씩 이격됨과 동시에 높이를 달리하여 적층된 상태에서도 생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생물의 서식, 휴식, 피난, 산란처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구비된 메인블록과;
측면 일면을 평면으로 형성한 평면부와, 메인블록에 체결되도록 삼면에 구비되는 체결공과 체결용 돌기와, 중앙에 축조할 때 파이프를 포함하는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이 구비되는 마무리용블록과;
측면 2면을 타원형으로 형성한 호면부와, 메인블록에 체결되도록 두 면에 체결공과 체결용 돌기가 구비되어 코너부를 마감하는 코너마감용블록과;
메인블록을 다수 연결한 형상으로 메인블록과 같이 측면 사면에 형성되는 체결공 및 체결용 돌기와, 중앙에 구비되어 축조할 때 관통구멍에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미도시)을 박아 옹벽이 토사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토사가 발생하였을 때 토사가 관통구멍에 유입되어 옹벽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통구멍이 구비된 연결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록.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5078A KR102255652B1 (ko) | 2014-07-08 | 2014-07-08 |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5078A KR102255652B1 (ko) | 2014-07-08 | 2014-07-08 |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6305A KR20160006305A (ko) | 2016-01-19 |
KR102255652B1 true KR102255652B1 (ko) | 2021-05-26 |
Family
ID=5530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5078A KR102255652B1 (ko) | 2014-07-08 | 2014-07-08 |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565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06715A (ko) * | 2017-03-21 | 2018-10-01 | 주식회사 에코탑플러스 |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
CN109826232B (zh) * | 2019-02-26 | 2021-03-02 | 中铁十二局集团有限公司 | 地铁车站的施工方法 |
KR102135594B1 (ko) * | 2019-04-11 | 2020-08-26 | 주식회사 에코탑플러스 |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5629B1 (ko) * | 2011-02-23 | 2011-06-30 |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 콘크리트 구조물용 고내구성 숏크리트, 그리고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1077244B1 (ko) * | 2010-08-17 | 2011-10-27 | 유흥식 |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5821B1 (ko) * | 2000-07-11 | 2003-03-17 | 주식회사 하은산업 | 옹벽용 블럭 및 그 시공 방법 |
KR101127916B1 (ko) * | 2010-06-10 | 2012-03-26 | 주식회사 환경그룹 | 수직 옹벽축조용 중공블록 |
-
2014
- 2014-07-08 KR KR1020140085078A patent/KR1022556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7244B1 (ko) * | 2010-08-17 | 2011-10-27 | 유흥식 |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
KR101045629B1 (ko) * | 2011-02-23 | 2011-06-30 |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 콘크리트 구조물용 고내구성 숏크리트, 그리고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6305A (ko) | 2016-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1097B1 (ko) |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 |
EP1604072B1 (en) | Building block, system and method | |
KR101615614B1 (ko) | 제주를 포함한 우수 집중 지역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 |
RU2605468C2 (ru) |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сбор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деталей заводск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 |
KR102255652B1 (ko) |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 |
CN107761759B (zh) | 一种l型混凝土挡墙 | |
KR101278547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 |
KR101087644B1 (ko) |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저류조용 벽체부 구축물 구조 | |
CN201891130U (zh) | 预制块柔性挡土墙结构 | |
CN205669211U (zh) | 一种预制重力式挡墙 | |
JP5532468B1 (ja) | スラブ内の型枠支持部材 | |
JP2015021314A (ja) | Pcユニットを用いたベタ基礎工法、及びpcユニット | |
JP7344721B2 (ja) | ルーフ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 |
KR200370135Y1 (ko) |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 |
KR100960906B1 (ko) | 자연석을 이용한 수직 옹벽 설치구조 | |
JP3208100U (ja) | 地中構造物構築用の足場装置 | |
KR100720928B1 (ko) |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구조 | |
KR101696396B1 (ko) | 자연석 옹벽 구조물 | |
CN104695591B (zh) | 一种内包混凝土柱、圈梁的自保温填充墙及其施工方法 | |
GB2385071A (en) | Building foundation with insulating members | |
KR102426192B1 (ko) | 흙막이 벽체 파일 및 시공방법 | |
KR102371639B1 (ko) |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 |
JPH03156026A (ja) | 縦樋排水孔を有する急勾配盛土およびそれに用いる壁体および壁面ユニット | |
JP6255607B2 (ja) | 基礎構築方法 | |
KR200372001Y1 (ko) |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