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244B1 -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244B1
KR101077244B1 KR1020100079390A KR20100079390A KR101077244B1 KR 101077244 B1 KR101077244 B1 KR 101077244B1 KR 1020100079390 A KR1020100079390 A KR 1020100079390A KR 20100079390 A KR20100079390 A KR 20100079390A KR 101077244 B1 KR101077244 B1 KR 101077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center
hexagonal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흥식
진성균
Original Assignee
유흥식
주식회사 케이지씨
진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흥식, 주식회사 케이지씨, 진성균 filed Critical 유흥식
Priority to KR102010007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244B1/ko
Priority to JP2013524764A priority patent/JP5733849B2/ja
Priority to BR112013003547-1A priority patent/BR112013003547B1/pt
Priority to CN201080068519.3A priority patent/CN103443362B/zh
Priority to US13/817,594 priority patent/US9080298B2/en
Priority to PCT/KR2010/006086 priority patent/WO201202365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에는 다수의 인터로킹 블록용 S자형 연결부(11)가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다른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이 S자형 연결부(11)를 통해 서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수열 축조하여 옹벽을 형성하는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하가 관통된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블록으로서, 중앙 구획부(31)를 중심으로 내, 외부 구획부(32, 33)가 구획되어 있고, 상기 중앙 구획부(31)의 양측면에는 중앙 S자형 연결부(31a)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블록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내, 외부 구획부(32, 33)의 양측면에도 상, 하부 S자형 연결부(32a, 33a)가 각각 형성되어 인접하는 블록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면과 인접한 내부 구획부(32)에는 자갈, 모래 또는 토사를 혼합하여 상단까지 채우고, 중앙 구획부(31)에는 중간 까지만 채우고, 외부 구획부(33)에는 옹벽 높이의 1/3 까지만 자갈, 모래 또는 토사를 채워, 무게 중심이 하향된 안정된 구조의 옹벽을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수평과 수직으로 인터록킹이 탁월한 육각형, 육각형 다겹, 오각형, 사각형 블록을 이용하여 해안과 하천, 육지에서의 조립식 제방 및 옹벽을 축조하여 파도와 유수로부터 기초 패임, 유실, 전도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특히, 파도나 유수로 인해 구조물의 기초부분이 패이고 유실 시 수직으로 인터록킹된 블록이 셔터(Shutter)처럼 하강하여 패인 공간을 막아주게 되므로 구조물의 기초하부가 반영구적으로 안전을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S자형 연결부와 연결부간의 유격 그리고 계단식, 무게중심 안전 하향식, 부벽식, 화단식, 기둥 혼합식 옹벽의 구조는 기하학적, 구조 역학적으로도 매우 안전하여 홍수, 쓰나미, 지진 등 자연재해로부터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됨은 물론 블록을 끼우기만 하면 되는데다 블록의 본체 넓은 공간을 현지의 자갈, 모래, 흙을 채우고 식생공간으로 이용하게 되면 시공기간, 공사비용을 크게 단축과 함께 자연친화적인 제방과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CONSTRUCTING SYSTEM OF BREAST WALL PREVENTING FROM TSUNAMI AND FLOOD,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록킹 블록을 이용한 기초 패임, 유실, 전도를 방지하고, 수평, 수직 인터록킹 기능이 탁월한 육각형, 육각형 다겹, 오각형, 사각형 블록 등을 사용하여 해안과 하천, 육지에서의 제방 및 옹벽을 축조함으로써 파도와 유수로부터 기초 패임, 유실, 그리고 전도를 방지함은 물론 쓰나미(해저지진), 홍수, 지진 등 각종 재해 발생시에도 S형 연결부의 인터록킹 조립식인데다 계단식, 무게중심 안전 하향식, 부벽식, 화단식, 기둥 혼합식 등의 기하학적, 구조 공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매우 안전한 제방과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한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21C에 접어들어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규모의 홍수, 지진, 쓰나미(해저지진) 등 천재지변성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효과적인 방지책이나 공법이 개발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그 피해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제는 세계의 어느 한 곳도 자연재해로부터 안전이 보장된 지역을 찾을 수 없게 되었다.
특히, 바다에서 발생되는 지진으로 인해 쓰나미가 저지대 해안을 덮치게 될 때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며, 쓰나미가 쓸고 간 자리는 시설의 흔적이나 사람의 시체조차 찾을 수 없을 만큼 피해의 정도가 매우 처참하고 원상 복구마저 거의 불가능하다.
그렇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기존의 기술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공사기간, 엄청난 공사비가 소요되는 실정으로서 참으로 안타깝고 불행한 역사가 지속되고 있을 뿐이다.
도 1a 내지 도 1c와 같이, 종래 제방이 파도나 유수에 따른 바닷물의 침식으로 인해 붕괴되는 현상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일반적인 제방의 경우, 제방의 하부가 파도나 유수에 침식이 반복되어 결국 도 1c와 같이 붕괴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평과 수직으로 인터록킹이 탁월한 육각형, 육각형 다겹, 오각형, 사각형 블록을 이용하여 해안과 하천, 육지에서의 조립식 제방 및 옹벽을 축조하여 파도와 유수로부터 기초 패임, 유실, 전도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특히, 파도나 유수로 인해 구조물의 기초부분이 패이고 유실 시 수직으로 인터록킹된 블록이 셔터(Shutter)처럼 하강하여 패인 공간을 막아주게 되므로 구조물의 기초하부가 반영구적으로 안전을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S자형 연결부와 연결부간의 유격 그리고 계단식, 무게중심 안전 하향식, 부벽식, 화단식, 기둥 혼합식의 구조는 기하학적, 구조 역학적으로도 매우 안전하여 홍수, 쓰나미, 지진 등 자연재해로부터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됨은 물론 블록을 끼우기만 하면 되는데다 블록의 본체 넓은 공간을 현지의 자갈, 모래, 흙을 채우고 식생공간으로 이용하게 되면 시공기간, 공사비용을 크게 단축시킴과 동시에 자연친화적인 제방과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은,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인터로킹 블록용 S자형 연결부가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다른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이 S자형 연결부를 통해 서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수열 축조하여 옹벽을 형성하는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은, 옹벽이나 제방의 하부가 바닷물에 의해 침식되어도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이 하강하여 침식된 부분을 메우게 되고, 6개의 육각 기둥형 블록이 합쳐진 면적으로 외주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속이 비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은, 상하가 관통된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블록으로서, 중앙 구획부를 중심으로 내, 외부 구획부가 구획되어 있고, 상기 중앙 구획부의 양측면에는 중앙 S자형 연결부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블록과 결합되며, 상기 내, 외부 구획부의 양측면에도 상, 하부 S자형 연결부가 각각 형성되어 인접하는 블록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 외부 구획부의 양측단은 중앙 구획부의 양측면보다 더 좁게 α의 각도로 형성되어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을 다수개 연결할 때 곡선형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의 내부 구획부 길이 방향 측면에 육각 기둥형 블록과 결합되는 길이 방향 S자형 연결부(3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의 외부 구획부의 길이 방향 측면에 육각 기둥형 블록과 결합되는 길이 방향 S자형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층으로 옹벽이 축조되는 상기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30)의 최 하부에는, 옹벽 측인 내부 구획부 측으로의 높이(h)가 외부 구획부 측으로의 높이(H) 보다 낮게 형성되고, 연직선에 대하여 옹벽 내측으로 기울어진 안식각(β)이 형성된 안식각 경사식 저부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사면과 인접한 내부 구획부에는 자갈, 모래 또는 토사를 혼합하여 상단까지 채우고, 중앙 구획부에는 중간 까지만 채우고, 외부 구획부에는 옹벽 높이의 1/3 까지만 자갈, 모래 또는 토사를 채워, 무게 중심이 하향된 안정된 구조의 옹벽을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의 시공 방법.상기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은, 옹벽이나 제방의 하부가 바닷물에 의해 침식되어도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이 하강하여 침식된 부분을 메우게 되고, 그 내주면에 6개의 육각 기둥형 블록이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수평과 수직으로 인터록킹이 탁월한 육각형, 육각 다겹, 오각형, 사각형 블록을 이용하여 해안과 하천, 육지에서의 조립식 제방 및 옹벽을 축조하여 파도와 유수로부터 기초 패임, 유실, 전도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특히, 파도나 유수로 인해 구조물의 기초부분이 패이고 유실 시 수직으로 인터록킹된 블록이 셔터(Shutter)처럼 하강하여 패인 공간을 막아주게 되므로 구조물의 기초하부가 반영구적으로 안전을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S자형 연결부와 연결부간의 유격 그리고 계단식, 무게중심 안전 하향식, 안식각 경사식의 구조는 기하학적, 구조 역학적으로도 매우 안전하여 홍수, 쓰나미, 지진 등 자연재해로부터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됨은 물론 블록을 끼우기만 하면 되는데다 블록의 본체 넓은 공간을 현지의 자갈, 모래, 흙을 채우고 식생공간으로 이용하게 되면 시공기간, 공사비용을 크게 단축함은 물론 자연친화적인 제방과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옹벽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옹벽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옹벽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육각 기둥형 블록과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으로 옹벽을 축조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육각 인터로킹 블록으로 계단식 옹벽을 축조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육각 기둥형 블록으로 계단식 옹벽을 축조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으로 계단식 옹벽을 축조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6개의 육각 기둥형 블록이 합쳐진 면적으로 외주면을 형성하는 속이 빈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으로 옹벽을 축조한 사시도이며,
도 10a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b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의 무게 중심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a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을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1b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의 최 하부에 안식각 경사식 블록을 축조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을 곡선형으로 축조 시공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의 다른 형태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의 또 다른 형태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부벽식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화단식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기둥 혼합식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예]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옹벽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옹벽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육각 기둥형 블록과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으로 옹벽을 축조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육각 인터로킹 블록으로 계단식 옹벽을 축조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육각 기둥형 블록으로 계단식 옹벽을 축조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으로 계단식 옹벽을 축조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6개의 육각형 기둥형 블록이 합쳐진 면적으로 외주면을 형성하는 속이 빈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으로 옹벽을 축조한 사시도이며, 도 10a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b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의 무게 중심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a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을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1b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의 최 하부에 안식각 경사식 블록을 축조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을 곡선형으로 축조 시공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의 다른 형태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의 또 다른 형태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부벽식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화단식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기둥 혼합식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옹벽을 축조함에 있어서, 육각 기둥형 블록(20),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을 수직으로 다수열 축조하여 옹벽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은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인터로킹 블록용 S자형 연결부(11)가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다른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이 S자형 연결부(11)를 통해 연결 결합된다. 이와 같이 연결 결합된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은 서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옹벽이나 제방의 하부가 바닷물에 의해 침식되어도 육각 기둥형 블록(20) 또는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이 하강하여 침식된 부분을 메우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닷가 제방의 경우, 결합 상태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블록, 즉, 육각 기둥형 블록(20)이나 상기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과 같은 블록으로 제방을 축조할 경우, 바닷물의 침식으로 인한 기초 패임 부분을 상기 블록들로 메우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은 도 9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은 6개의 육각 기둥형 블록(20)이 함쳐진 면적으로 외주면을 형성하고 있는 속이 빈 인터로킹 블록이다.
상기 육각 기둥형 블록(20)은, 중앙에 원형홀(21)이 천공된 정육각형 기둥형의 블록으로서, 그 육각면(22)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S자형 연결부(23)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S자형 연결부(23)는 육각면(22)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설된 길이 방향 돌기(23a)와, 상기 육각면(22)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홈이 형성된 길이 방향 홈(23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은 시공시 또는 시공 후 그 내부에 토사, 자갈, 콘크리트 등을 채워 자중을 크게하여,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계단식으로 축조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9 내지 도 10a는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으로 옹벽을 축조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상기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30)은 상하가 관통된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블록으로서, 도 11a에 도시된 상세도와 같이, 중앙 구획부(31)를 중심으로 내, 외부 구획부(32, 33)가 구획되어 있다.
상기 중앙 구획부(31)의 양측면에는 중앙 S자형 연결부(31a)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블록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 외부 구획부(32, 33)의 양측면에도 상하부 S자형 연결부(32a, 33a)가 각각 형성되어 인접하는 블록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 외부 구획부(32, 33)의 양측단은 중앙 구획부(31)의 양측면보다 더 좁게 α의 각도로 형성되어 도 12와 같이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30)을 다수개 연결할 때 곡선형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30)은 도 10a와 같이 축조하여 사면과 인접한 내부 구획부(32)에는 자갈, 모래 또는 토사를 혼합하여 상단까지 채우고, 중앙 구획부(31)에는 중간 까지만 채우고, 외부 구획부(33)에는 옹벽 높이의 1/3 까지만 자갈, 모래 또는 토사를 채워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갈, 모래 또는 토사를 계단식으로 채워 옹벽을 축조하게 되면 그 무게 중심이 도 10b와 같이 하향하게 되므로 매우 안정된 구조의 옹벽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채우는 1㎥당 재료별 질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명 칭 무 게 ton 비 고
바위, 돌 2.1~2.5
콘크리트 2.3~2.4
자갈 1.9~2.2 다짐하지 않은 상태
모래 1.8~2.0 "
보통토사 1.6~1.7 "
도 13은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30)의 내부 구획부(32)의 길이 방향 측면에 육각 기둥형 블록(20)과 결합되는 길이 방향 S자형 연결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30)의 외부 구획부(33)의 길이 방향 측면에 육각 기둥형 블록(20)과 결합되는 길이 방향 S자형 연결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은 연직 방향으로 S자형 연결부의 돌부와 홈부를 맞끼우게 되어 있어 파도, 유수로 인한 지반의 공간이 발생 시 그 유실된 공간으로 블록이 내려가서 기초의 패임을 자동 차단하게 되고,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30)을 이용한 옹벽 축조 시스템은 기하학적, 구조 공학적으로 안전도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 블록(30) 채움 시 사용되는 재료를 비중이 큰 것을 구조물 하부와 내부쪽으로 채워 전도의 위험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1b와 같이, 다수층으로 옹벽이 축조되는 상기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30)의 최 하부에는, 옹벽 측인 내부 구획부(32) 측으로의 높이(h)가 외부 구획부(33) 측으로의 높이(H) 보다 낮게 형성되고, 연직선에 대하여 옹벽 측으로 기울어진 안식각(β)이 형성된 안식각 경사식 저부 블록(40)을 축조하여 옹벽을 형성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옹벽은 부벽식 옹벽으로서, 다수의 육각 기둥형 블록(20)으로 축조된 메인 옹벽(51)과, 상기 메인 옹벽(51)이 후부 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메인 옹벽(5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 개 축조된 부벽식 옹벽(50)으로 이루어진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옹벽은 화단식 옹벽으로서, 다수의 육각 기둥형 블록(20)으로 축조된 메인 옹벽(51)과, 상기 메인 옹벽(51)이 후부 측에 다수의 화단을 형성하도록 축조된 다수의 화단식 옹벽(60)으로 이루어진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옹벽은 기둥 혼합식 옹벽으로서, 다수의 육각 기둥형 블록(20)으로 축조된 메인 옹벽(51)과, 상기 메인 옹벽(51)이 후부 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7개의 육각 기둥형 블록(20)으로 다수의 기둥을 형성한 기둥식 옹벽(70)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0 :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 11 : 인터로킹 블록용 S자형 연결부
20 : 육각 기둥형 블록 30 :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
31 : 중앙 구획부 31a : 중앙 S자형 연결부
32, 33 : 상, 하부 구획부 32a, 33a : 상, 하부 S자형 연결부
32b, 33b : 길이 방향 S자형 연결부 40 : 안식각 경사식 저부 블록
50 : 부벽식 옹벽 51 : 메인 옹벽
60 : 화단식 옹벽 70 : 기둥식 옹벽

Claims (11)

  1. 다수열 축조하여 옹벽을 형성하는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은, 6개의 육각 기둥형 블록(20)이 합쳐진 면적으로 외주면을 형성하고, 속이 비어 있는 테두리형상이고;
    상기 외주면에는 다수의 인터로킹 블록용 S자형 연결부(11)가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다른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이 상기 S자형 연결부(11)를 통해 서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옹벽이나 제방의 하부가 바닷물에 의해 침식될 시 상기 육각 다겹 인터로킹 블록(10)이 하강하여 침식된 부분을 메우도록 축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2. 삭제
  3. 상하가 관통된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블록으로서, 중앙 구획부(31)를 중심으로 내, 외부 구획부(32, 33)가 구획되어 있고, 상기 중앙 구획부(31)의 양측면에는 중앙 S자형 연결부(31a)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블록과 결합되며, 상기 내, 외부 구획부(32, 33)의 양측면에도 상, 하부 S자형 연결부(32a, 33a)가 각각 형성되어 인접하는 블록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30)을 포함하고;
    상기 내, 외부 구획부(32, 33)의 양측단은 중앙 구획부(31)의 양측면보다 더 좁게 α의 각도로 형성되어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30)을 다수개 연결할 때 곡선형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30)의 내부 구획부(32) 길이 방향 측면에 육각 기둥형 블록(20)과 결합되는 길이 방향 S자형 연결부(32b)가 형성되고;
    상기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30)의 외부 구획부(33)의 길이 방향 측면에 육각 기둥형 블록(20)과 결합되는 길이 방향 S자형 연결부(33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다수층으로 옹벽이 축조되는 상기 무게 중심 안전 하향식 블록(30)의 최 하부에는, 옹벽 측인 내부 구획부(32) 측으로의 높이(h)가 외부 구획부(33) 측으로의 높이(H) 보다 낮게 형성되고, 연직선에 대하여 옹벽 측으로 기울어진 안식각(β)이 형성된 안식각 경사식 저부 블록(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8. 사면과 인접한 내부 구획부(32)에는 자갈, 모래 또는 토사를 혼합하여 상단까지 채우고, 중앙 구획부(31)에는 중간 까지만 채우고, 외부 구획부(33)에는 옹벽 높이의 1/3 까지만 자갈, 모래 또는 토사를 채워, 무게 중심이 하향된 안정된 구조의 옹벽을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의 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079390A 2010-08-17 2010-08-17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1077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390A KR101077244B1 (ko) 2010-08-17 2010-08-17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JP2013524764A JP5733849B2 (ja) 2010-08-17 2010-09-08 津波及び洪水被害防止のための擁壁築造システム及びその施工方法
BR112013003547-1A BR112013003547B1 (pt) 2010-08-17 2010-09-08 Sistema de construção de paredes de retenção para evitar danos com enchentes, e maremotos e método de construção de sistema de construção de paredes
CN201080068519.3A CN103443362B (zh) 2010-08-17 2010-09-08 用于预防海啸及洪水灾害的挡土墙建造系统及其施工方法
US13/817,594 US9080298B2 (en) 2010-08-17 2010-09-08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ystem for preventing tsunamis and flood damag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CT/KR2010/006086 WO2012023650A1 (ko) 2010-08-17 2010-09-08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390A KR101077244B1 (ko) 2010-08-17 2010-08-17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244B1 true KR101077244B1 (ko) 2011-10-27

Family

ID=4503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390A KR101077244B1 (ko) 2010-08-17 2010-08-17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80298B2 (ko)
JP (1) JP5733849B2 (ko)
KR (1) KR101077244B1 (ko)
CN (1) CN103443362B (ko)
BR (1) BR112013003547B1 (ko)
WO (1) WO201202365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747B1 (ko) 2014-09-05 2015-12-28 유흥식 조립식 블록 및 그것을 이용한 고내구성 방수구조체 축조방법
KR20160006305A (ko) * 2014-07-08 2016-01-19 주식회사 에코탑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KR20160082156A (ko) 2014-12-31 2016-07-08 유흥식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투과식 방파제 및 친수성 방조제
KR20210006587A (ko) 2019-07-09 2021-01-19 최원옥 옹벽블럭 시공방법
KR20210006588A (ko) 2019-07-09 2021-01-19 최원옥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8481B2 (en) 2011-01-10 2014-11-18 Stable Concrete Structures, Inc. Machine for manufacturing concrete U-wall type construction blocks by molding each concrete U-wall construction block from concrete poured about a block cage made from reinforcing material while said block cage is loaded within said machine
BR112013007248A2 (pt) * 2012-09-27 2017-08-08 Eco Top Co Ltd sistema e método de cosntrução de paredes de retenção com estrutura de pilastra de concreto
US9644334B2 (en) 2013-08-19 2017-05-09 Stable Concrete Structures, Inc. Methods of and systems for controlling water flow, breaking water waves and reducing surface erosion along rivers, streams, waterways and coastal regions
KR101501930B1 (ko) * 2014-07-08 2015-03-13 주식회사 에코탑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CA161449S (en) * 2014-12-24 2015-11-19 Eco Top Co Ltd Precast paver
CN107288153B (zh) * 2016-04-11 2023-09-01 易朋莹 一种预制重力式挡墙
CN106087858B (zh) * 2016-06-28 2018-07-13 南京工业大学 一种预防海啸及洪水灾害的挡土墙建造系统
ES2614241B2 (es) * 2017-03-31 2018-01-03 Lara BROSCHAT GARCÍA Método de preparación del terreno para la plantación paisajística en suelos desfavorables y sistema de puesta en práctica del mismo
CN110532641B (zh) * 2019-08-06 2020-08-25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地表网格分层建模方法及系统
US20220333335A1 (en) * 2019-09-23 2022-10-20 Gustavo Adolfo SANTANDER LORA Folding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structural walls
US11359345B2 (en) * 2020-05-07 2022-06-14 Hercules Eco, LLC Sediment control system
CN111877368A (zh) * 2020-06-29 2020-11-03 中铁二院重庆勘察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边坡支档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169Y1 (ko) * 2001-06-22 2001-10-17 전효순 옹벽용 조인트블록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906A (en) * 1898-04-18 1899-10-31 James Thompson Wilson Construction of docks, &c.
US2892340A (en) * 1955-07-05 1959-06-30 Leas M Fort Structural blocks
US3873225A (en) * 1972-09-05 1975-03-25 Karna Jakobsen Paving stones
PH19550A (en) * 1976-12-30 1986-05-20 Douglas Neil Poster An improved armour unit for wave energy absorption
USRE32663E (en) * 1980-11-18 1988-05-03 Articulated erosion control system
ES289904Y (es) * 1985-10-28 1986-11-16 Suarez Bores Pedro Dique-espigon,paisaje basaltico columnar
US4875803A (en) * 1988-07-18 1989-10-24 Scales Michael J Block-formed revetment system for controlling soil erosion
ES2047702T3 (es) * 1988-09-30 1994-03-01 Jean Louis Rossi Muro de contencion, destinado a estar provisto de vegetacion y dotado de alveolos que pueden servir como encofrado perdido.
US4997308A (en) * 1989-08-29 1991-03-05 Welling Jr Robert L Paving stone
ES2020038A6 (es) * 1989-12-19 1991-07-16 Baldira Batle Juan Papel prefabricado para la construccion de muros de fragilidad dirigida.
US5251560A (en) * 1992-06-11 1993-10-12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Water-float coupling device
FR2700789B1 (fr) * 1993-01-22 1995-03-24 Rossi Jean L Mur de soutènement constitué par des éléments de construction montés à sec.
JP3261803B2 (ja) * 1993-04-28 2002-03-04 原田株式会社 緑化ブロック壁に於ける給水保水構造
US5651642A (en) * 1995-03-17 1997-07-29 Kelley, Jr.; Michael L. Concrete building blocks
DE29602972U1 (de) * 1996-02-20 1996-04-04 Kann Baustoffwerke Gmbh Kunststein zur Befestigung von Verkehrsflächen im Freien
JP4079384B2 (ja) * 1996-08-06 2008-04-23 株式会社ホクエツ 護床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護床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US6048139A (en) * 1998-01-21 2000-04-11 Donovan, Iii; Murtha Vincent Arrangement for shoreline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protection,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2138500A (ja) * 2000-10-31 2002-05-14 Yamatomi Sangyo Kk 構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擁壁
US7637688B2 (en) * 2003-09-18 2009-12-29 Riccobene Design Llc Irregular, tessellated building units
CN1601023A (zh) * 2003-09-23 2005-03-30 汪荣勋 用于形成墙体的砌块及其形成的墙体以及砌块的用途
KR200341409Y1 (ko) 2003-11-15 2004-02-11 한상희 옹벽블록 및 옹벽블록 조립체
CN101775858A (zh) * 2004-07-07 2010-07-14 汪荣勋 一种砌块形成的墙体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169Y1 (ko) * 2001-06-22 2001-10-17 전효순 옹벽용 조인트블록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305A (ko) * 2014-07-08 2016-01-19 주식회사 에코탑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KR102255652B1 (ko) * 2014-07-08 2021-05-26 주식회사 에코탑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KR101580747B1 (ko) 2014-09-05 2015-12-28 유흥식 조립식 블록 및 그것을 이용한 고내구성 방수구조체 축조방법
KR20160082156A (ko) 2014-12-31 2016-07-08 유흥식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투과식 방파제 및 친수성 방조제
KR20210006587A (ko) 2019-07-09 2021-01-19 최원옥 옹벽블럭 시공방법
KR20210006588A (ko) 2019-07-09 2021-01-19 최원옥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9037A1 (en) 2013-06-13
CN103443362B (zh) 2015-09-30
US9080298B2 (en) 2015-07-14
CN103443362A (zh) 2013-12-11
BR112013003547B1 (pt) 2019-10-01
JP5733849B2 (ja) 2015-06-10
BR112013003547A2 (ko) 2018-06-12
WO2012023650A1 (ko) 2012-02-23
JP2013537591A (ja) 201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244B1 (ko)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N104818711A (zh) 一种抗液化立体排水刚性桩及其施工方法
KR101120611B1 (ko) 인터로킹 블록
CN212103878U (zh) 一种防波堤构件及其防波堤结构
KR101221944B1 (ko)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
CN109024481B (zh) 河道岸坡防护结构及河道岸坡防护方法
CN212896148U (zh) 一种组合式生态护坡
KR101239000B1 (ko) 사석이 제거된 방파제구조물
KR20120000137A (ko) 생태하천의 친환경적 호안 구조
KR102153322B1 (ko) 컴파운드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JP2007247151A (ja) 建物基礎および建物基礎工法
JP5801599B2 (ja) 建築物
KR101280330B1 (ko) 세굴방지용 기초블럭
KR20110005277U (ko) 식생옹벽블록
KR100970457B1 (ko) 담장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담장 축조방법
KR102493308B1 (ko) 블록 조립형 케이슨 시공방법
KR20060082370A (ko)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KR102607803B1 (ko) 조립형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직립식 해안 구조물
KR20060134651A (ko) 조경시설물과 그 시공방법
KR102239894B1 (ko) 컴파운드블록
RU2229553C1 (ru) Модуль берегового защит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ES2919335B2 (es) Pieza para la ejecucion de diques para el control de la erosion en carcavas
KR101580747B1 (ko) 조립식 블록 및 그것을 이용한 고내구성 방수구조체 축조방법
CN215483000U (zh) 一种组合式基坑支护结构
KR102483537B1 (ko) 해수유통블록 케이슨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