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588A -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 - Google Patents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6588A KR20210006588A KR1020190082389A KR20190082389A KR20210006588A KR 20210006588 A KR20210006588 A KR 20210006588A KR 1020190082389 A KR1020190082389 A KR 1020190082389A KR 20190082389 A KR20190082389 A KR 20190082389A KR 20210006588 A KR20210006588 A KR 202100065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wall block
- block structure
- constructed
- structure construc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이 간단 용이한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옹벽이나 경사면에 적층 또는 계단식으로 설치 시공하여 낙석 및 토사 유실방지와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친환경적이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공사 기간을 단축을 할 수 있으며, 그리고 보수와 보강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T'자 형상으로 양측 외주부에는 각각 돌출부(100)와 삽입홈(110)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체결공(12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20)의 내측 선단부에 확공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옹벽블럭(10)과,
상기 옹벽블럭(10)을 일자 또는 라운딩 형태로 상기 돌출부(100)와 삽입홈(110)을 결합하여 다수개 체결 형성한 상태에서 적층 결합시 상기 체결공(120)에 상하 적층된 옹벽블럭(10)을 결합키 위한 블럭코어연결스프링(20)을 포함하는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와,
상기 블럭코어연결스프링(2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체를 이루는 상하단부에 테이퍼부(22)를 형성되고, 일측방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되는 개구부(23)를 갖는 몸체부(21);
상기 몸체부(21)의 중앙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환턱(24);
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은 옹벽블럭 구조체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성을 갖도록 하며, 'T'자 형상의 옹벽블럭의 양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부와 삽입홈이 각각 구비되어 체결하는 데 있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체결하여 별도의 기타 작업공정을 하지 않더라도 옹벽블럭간의 긴밀성 유지가 가능함으로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옹벽블럭을 적층 시공시 상.하 옹벽블럭의 상하 양면을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공 전체에 체결구에 의해 상하 옹벽블럭이 완벽하게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어느 한곳의 옹벽블럭에 강한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옹벽블럭이 전체적으로 체결되어 있어 붕괴의 위험이 없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일자형태로 적층 형성은 물론이고 라운딩 부위도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시공하고자 하는 부위의 형태가 불규칙하더라도 용이하게 시공 및 설치 가능하며, 옹벽이나 경사면에 적층 또는 계단식으로 설치 시공하여 낙석 및 토사 유실방지와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친환경적이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공사 기간을 단축을 할 수 있으며, 그리고 보수와 보강 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T'자 형상으로 양측 외주부에는 각각 돌출부(100)와 삽입홈(110)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체결공(12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20)의 내측 선단부에 확공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옹벽블럭(10)과,
상기 옹벽블럭(10)을 일자 또는 라운딩 형태로 상기 돌출부(100)와 삽입홈(110)을 결합하여 다수개 체결 형성한 상태에서 적층 결합시 상기 체결공(120)에 상하 적층된 옹벽블럭(10)을 결합키 위한 블럭코어연결스프링(20)을 포함하는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와,
상기 블럭코어연결스프링(2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체를 이루는 상하단부에 테이퍼부(22)를 형성되고, 일측방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되는 개구부(23)를 갖는 몸체부(21);
상기 몸체부(21)의 중앙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환턱(24);
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은 옹벽블럭 구조체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성을 갖도록 하며, 'T'자 형상의 옹벽블럭의 양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부와 삽입홈이 각각 구비되어 체결하는 데 있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체결하여 별도의 기타 작업공정을 하지 않더라도 옹벽블럭간의 긴밀성 유지가 가능함으로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옹벽블럭을 적층 시공시 상.하 옹벽블럭의 상하 양면을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공 전체에 체결구에 의해 상하 옹벽블럭이 완벽하게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어느 한곳의 옹벽블럭에 강한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옹벽블럭이 전체적으로 체결되어 있어 붕괴의 위험이 없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일자형태로 적층 형성은 물론이고 라운딩 부위도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시공하고자 하는 부위의 형태가 불규칙하더라도 용이하게 시공 및 설치 가능하며, 옹벽이나 경사면에 적층 또는 계단식으로 설치 시공하여 낙석 및 토사 유실방지와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친환경적이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공사 기간을 단축을 할 수 있으며, 그리고 보수와 보강 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공이 간단 용이한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옹벽이나 경사면에 적층 또는 계단식으로 설치 시공하여 낙석 및 토사 유실방지와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친환경적이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공사 기간을 단축을 할 수 있으며, 그리고 보수와 보강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비탈이나 언덕 등에 도로나 철도를 개설하거나,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거나, 수자원을 이용하기 위하여 둑이나 제방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경사면이 조성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는 비교적 산과 강이 많아 홍수나 태풍과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사태, 도로유실 및 하천 제방 유실 등이 자주 발생 된다.
상기 경사면은 폭우나 홍수 등의 자연적인 원인에 의하여 붕괴되거나 토사가 쉽게 유실되어 막대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유발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로 또는 도로 경사면, 하천 또는 저수지의 제방에 옹벽 등의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고 있다.
토사의 유실이 심할 경우 앵커의 노출부에 블록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옹벽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 옹벽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다수의 블럭을 통해 세워지는 벽체를 말하는 것으로 자연 재해 등에 의하여 상기 옹벽이 붕괴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옹벽의 후면 공간부에 토사를 채워 토체 구조물을 형성시킴으로써 옹벽을 보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옹벽 구조물로서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20-0341447호에 개시된 옹벽 적재용 블록은 상면에 형성된 돌기와 하면에 형성된 홈 상호간의 끼움결합에 의해 수직상으로 조적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20-0334296호에는 반원형 인터록킹 돌기와 반원형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를 갖는 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종래 블록은 커브진 형태로 조적하고자 할 때는 돌기 상호간에 고정된 이격간격 때문에 블록층 상호간을 지그재그 형태로 조적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블록상호간을 수직상으로 맞추면서 조적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조적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블록들은 대형으로 제작시 운반이 용이하지 않고, 옹벽을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조적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옹벽 구조물은 토압력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옹벽블럭 구조체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성을 갖도록 하며, 'T'자 형상의 옹벽블럭의 양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부와 삽입홈이 각각 구비되어 체결하는 데 있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체결하여 별도의 기타 작업공정을 하지 않더라도 옹벽블럭간의 긴밀성 유지가 가능함으로 작업성의 향상을 꾀하는데 용이한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블럭을 적층 시공시 상.하 옹벽블럭의 상하 양면을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공 전체에 체결구에 의해 상하 옹벽블럭이 완벽하게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어느 한곳의 옹벽블럭에 강한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옹벽블럭이 전체적으로 체결되어 있어 붕괴의 위험이 없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자형태로 적층 형성은 물론이고 라운딩 부위도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시공하고자 하는 부위의 형태가 불규칙하더라도 용이하게 시공 및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이나 경사면에 적층 또는 계단식으로 설치 시공하여 낙석 및 토사 유실방지와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친환경적이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공사 기간을 단축을 할 수 있으며, 그리고 보수와 보강 작업이 용이한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T'자 형상으로 양측 외주부에는 각각 돌출부(100)와 삽입홈(110)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체결공(12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20)의 내측 선단부에 확공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옹벽블럭(10)과,
상기 옹벽블럭(10)을 일자 또는 라운딩 형태로 상기 돌출부(100)와 삽입홈(110)을 결합하여 다수개 체결 형성한 상태에서 적층 결합시 상기 체결공(120)에 상하 적층된 옹벽블럭(10)을 결합키 위한 블럭코어연결스프링(20)을 포함하는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와,
상기 블럭코어연결스프링(2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체를 이루는 상하단부에 테이퍼부(22)를 형성되고, 일측방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되는 개구부(23)를 갖는 몸체부(21);
상기 몸체부(21)의 중앙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환턱(24);
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되
옹벽블럭 구조체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성을 갖도록 하며, 'T'자 형상의 옹벽블럭의 양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부와 삽입홈이 각각 구비되어 체결하는 데 있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체결하여 별도의 기타 작업공정을 하지 않더라도 옹벽블럭간의 긴밀성 유지가 가능함으로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옹벽블럭을 적층 시공시 상.하 옹벽블럭의 상하 양면을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공 전체에 체결구에 의해 상하 옹벽블럭이 완벽하게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어느 한곳의 옹벽블럭에 강한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옹벽블럭이 전체적으로 체결되어 있어 붕괴의 위험이 없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일자형태로 적층 형성은 물론이고 라운딩 부위도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시공하고자 하는 부위의 형태가 불규칙하더라도 용이하게 시공 및 설치 가능하며, 옹벽이나 경사면에 적층 또는 계단식으로 설치 시공하여 낙석 및 토사 유실방지와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친환경적이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공사 기간을 단축을 할 수 있으며, 그리고 보수와 보강 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의 적층을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만 적층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블럭코어연결스프링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의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라운딩 형상을 이루는 경사면에 옹벽블럭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을 정면과 배면을 교호로 적층하여 계단식 형상을 이루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의 적층을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만 적층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블럭코어연결스프링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의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라운딩 형상을 이루는 경사면에 옹벽블럭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을 정면과 배면을 교호로 적층하여 계단식 형상을 이루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의 적층을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만 적층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블럭코어연결스프링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의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라운딩 형상을 이루는 경사면에 옹벽블럭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에서 옹벽블럭을 정면과 배면을 교호로 적층하여 계단식 형상을 이루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지시부호 10은 옹벽블럭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옹벽블럭(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상으로 양측 외주부에는 각각 돌출부(100)와 삽입홈(110)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체결공(12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120)의 내측 선단부에 확공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옹벽블럭(10)을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I)에 시공 설치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옹벽블럭(10)을 적층 시공 하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요소가 지시부호 20인 블럭코어연결스프링으로서 상기 블럭코어연결스프링(2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럭(10)의 상하면을 관통한 체결공(1200에 체결하여 적층된 옹벽블럭(10)간의 결합 및 체결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경사면(I)이 수직일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럭(10)을 일자 형태로 적층 결합하며, 다른 실시예로 계단식 적층 결합을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블럭(10)의 정면과 배면을 교호로 즉, 1단은 정면이 전방을 향하게 시공하고 2단은 후면을 전방으로 향하게 시공하는 방식으로 교호로 시공함으로서 전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식 형상을 이루도록 시공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딩 형상의 경사면(I)일 경우에도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1단에서 옹벽블럭(10)간의 결합이 가능한 것은 일자 또는 라운딩 형상의 경사면(I)이든 불문하고 상기 돌출부(100)와 삽입홈(110)을 결합하여 다수개 체결 형성한 상태에서 적층 결합시 상기 체결공(120)에 상하 적층된 옹벽블럭(10)을 결합키 위한 블럭코어연결스프링(20)이 구비되기 때문으로서,
상기 블러코어연결스프링(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체를 이루는 상하단부에 테이퍼부(22)를 형성되고, 일측방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되는 개구부(23)를 갖는 몸체부(21)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21)의 중앙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환턱(24)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환턱(24)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형성된 옹벽블럭(10)의 체결공(120) 내측 선단부에 형성된 확공부(121)에 삽입 체결되어 적층된 옹벽블럭(10)의 체결 결합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블럭코어연결스프링(20)이 완전하게 옹벽블럭(10)의 체결공(120)에 삽입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각 옹벽블럭(10)들이 상하로 상호 결합 되며 적층되어 질때 블럭코어연결스프링(20)이 돌출환턱(24)의 하방측이 하부측으로 연결되는 옹벽블럭(10)의 체결공(120)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환턱(24)의 상방측은 상부측으로 연결되는 옹벽블럭(10)의 체결공(120) 하방에서 삽입되며 연결되어진다.
상기한 각 옹벽블럭(10)의 연결을 위한 블럭코어연결스프링(20)은 상하간 상호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작용하는 본 발명은 옹벽블럭 구조체의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성을 갖도록 하며, 'T'자 형상의 옹벽블럭의 양측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부와 삽입홈이 각각 구비되어 체결하는 데 있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체결하여 별도의 기타 작업공정을 하지 않더라도 옹벽블럭간의 긴밀성 유지가 가능함으로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옹벽블럭을 적층 시공시 상.하 옹벽블럭의 상하 양면을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공 전체에 체결구에 의해 상하 옹벽블럭이 완벽하게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어느 한곳의 옹벽블럭에 강한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옹벽블럭이 전체적으로 체결되어 있어 붕괴의 위험이 없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일자형태로 적층 형성은 물론이고 라운딩 부위도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시공하고자 하는 부위의 형태가 불규칙하더라도 용이하게 시공 및 설치 가능하며, 옹벽이나 경사면에 적층 또는 계단식으로 설치 시공하여 낙석 및 토사 유실방지와 제방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친환경적이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공사 기간을 단축을 할 수 있으며, 그리고 보수와 보강 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옹벽블럭 20 : 블럭코어연결스프링
21 : 몸체부 22 : 테이퍼부
23 : 개구부 24 : 돌출환턱
100 : 돌출부 110 : 삽입홈
120 : 체결공 121 : 확공부
I : 경사면
21 : 몸체부 22 : 테이퍼부
23 : 개구부 24 : 돌출환턱
100 : 돌출부 110 : 삽입홈
120 : 체결공 121 : 확공부
I : 경사면
Claims (2)
- 'T'자 형상으로 양측 외주부에는 각각 돌출부(100)와 삽입홈(110)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체결공(12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20)의 내측 선단부에 확공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옹벽블럭(10)과,
상기 옹벽블럭(10)을 일자 또는 라운딩 형태로 상기 돌출부(100)와 삽입홈(110)을 결합하여 다수개 체결 형성한 상태에서 적층 결합시 상기 체결공(120)에 상하 적층된 옹벽블럭(10)을 결합키 위한 블럭코어연결스프링(20)을 포함하는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코어연결스프링(2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체를 이루는 상하단부에 테이퍼부(22)를 형성되고, 일측방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되는 개구부(23)를 갖는 몸체부(21);
상기 몸체부(21)의 중앙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환턱(24);
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2389A KR20210006588A (ko) | 2019-07-09 | 2019-07-09 |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2389A KR20210006588A (ko) | 2019-07-09 | 2019-07-09 |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6588A true KR20210006588A (ko) | 2021-01-19 |
Family
ID=7423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2389A KR20210006588A (ko) | 2019-07-09 | 2019-07-09 |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06588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4296Y1 (ko) | 2003-08-27 | 2003-11-21 |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 옹벽 블록을 이용한 응벽구조 |
KR200341447Y1 (ko) | 2003-11-19 | 2004-02-11 | 화진플랜트 주식회사 | 옹벽 적재용 블럭 |
KR101077244B1 (ko) | 2010-08-17 | 2011-10-27 | 유흥식 |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
KR101120611B1 (ko) | 2010-04-23 | 2012-03-09 | 유흥식 | 인터로킹 블록 |
-
2019
- 2019-07-09 KR KR1020190082389A patent/KR2021000658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4296Y1 (ko) | 2003-08-27 | 2003-11-21 |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 옹벽 블록을 이용한 응벽구조 |
KR200341447Y1 (ko) | 2003-11-19 | 2004-02-11 | 화진플랜트 주식회사 | 옹벽 적재용 블럭 |
KR101120611B1 (ko) | 2010-04-23 | 2012-03-09 | 유흥식 | 인터로킹 블록 |
KR101077244B1 (ko) | 2010-08-17 | 2011-10-27 | 유흥식 | 쓰나미 및 홍수 피해 방지를 위한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2388B1 (ko) | 절토부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에 의해 시공된 절토부 옹벽 | |
CN106223350A (zh) | 一种混凝土框式生态护坡模块、护坡及其安装方法 | |
KR102135594B1 (ko) |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 |
CN205444170U (zh) | 生态环保型岸堤防护墙及用于该防护墙的混凝土桩 | |
CN110678609A (zh) | 组装式抗震挡土墙砌块系统 | |
KR101281910B1 (ko) | 친환경 옹벽 축조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
KR20210006588A (ko) |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옹벽블럭 구조체 | |
JP4614928B2 (ja) | 軽量盛土工法 | |
KR101742722B1 (ko) | 내진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내진 옹벽 구조물 | |
KR20120103804A (ko) | 친환경 사면 frp 보호공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공법 | |
KR101265079B1 (ko) |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 |
KR20210006587A (ko) | 옹벽블럭 시공방법 | |
CN115627781A (zh) | 一种用于既有边坡滑塌快速处治的边坡加固结构及施工方法 | |
JP2016145500A (ja) |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 |
KR20060026098A (ko) | 옹벽 블럭 구조 | |
CN210766887U (zh) | 一种永临结合地下槽型结构 | |
KR100592102B1 (ko) | 건축물 기초흙막이 토류벽 보강구조 | |
KR102062534B1 (ko) | 옹벽블록의 그리드 결속구조물 | |
KR20070005775A (ko) | 옹벽격자블록 | |
KR200327422Y1 (ko) |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 |
KR20120054290A (ko) | 벽체말뚝 | |
KR200374618Y1 (ko) | 조적식 축조용 옹벽블럭 | |
JP3111331B2 (ja) |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の構築構造 | |
CN104895090A (zh) | 一种组合式梯键结构及其施工方法 | |
KR20010039040A (ko) | 조립식 옹벽 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