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422Y1 -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 Google Patents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422Y1
KR200327422Y1 KR20-2003-0016532U KR20030016532U KR200327422Y1 KR 200327422 Y1 KR200327422 Y1 KR 200327422Y1 KR 20030016532 U KR20030016532 U KR 20030016532U KR 200327422 Y1 KR200327422 Y1 KR 200327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crete foundation
river
retaining wall
river b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화
Original Assignee
극동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극동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3-0016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4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 측면 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체결핀에 의해 각각의 블록 본체가 결합됨으로써, 블록 본체들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므로 홍수 시에 법면블록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착돌기 일 측에 안착홈부가 형성되어 식물이 심어진 조경블록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환경 친화적인 하천제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은 내측 경사면에 제 1 단차 및 제 2 단차가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옹벽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옹벽의 제 2 단차에 배치되는 보강 구조물과, 일 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결합돌기에 안착홈부가 형성된 다수 개의 블록 본체와, 상기 체결홀부 및 콘크리트 기초옹벽, 하천제방의 경사면에 삽입된 체결핀과, 상기 블록 본체의 배면에 설치되어 하천제방 내부로 연장된 토압인장 보강재와, 식물이 심어져 상기 콘크리트 기초옹벽의 안착홈부에 삽입된 조경블록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A block for protecting the causeway }
본 고안은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 측면 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체결핀에 의해 각각의 블록 본체가 결합됨으로써, 블록 본체들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므로 홍수 시에 법면블록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착돌기 일 측에 안착홈부가 형성되어 식물이 심어진 조경블록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환경 친화적인 하천제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농수로 또는 호수 등지에는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토사를 다짐한 제방이 조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조성된 제방은 수압에 따른 제방의 붕괴를 방지하고, 차량을 포함한 각종 장비의 주행을 위한 가도로를 제방 위에 축조하는 것과 같은 시공학적인 이유로 인하여 수면과 직접 맞닿게 되는 제방의 일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거나 제방의 양 측면에 모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방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방의 경사면 하측이 하천의 흐름에 의하여 쉽게 침식되고, 우천 시나 폭우 시에는 빗물에 의하여 제방의 토사가 경사면을 따라 하천 등지로 쉽게 유실됨으로써, 제방의 지지강도가 취약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방이 붕괴될 경우에는 심각한 인명피해나 재산피해를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방 경사면의 침식과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법면블록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법면블록은 하천의 경사면 하단에 설치된 콘크리트 기초옹벽(2)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옹벽(2)의 상단으로부터 경사면을 따라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안착되어 하천제방의 붕괴를 방지토록 하는 블록 본체(4)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하천제방용 법면블록은 경사면에 별도의 장착수단이 없이 안착되기 때문에 우천이나 홍수 시에 빗물에 흐르는 빗물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방향으로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앵커 볼트로 상기 블록 본체를 하천의 법면에 고정시키는 기술이 대두되었으나, 이 또한, 블록 본체와 경사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는 하지만, 블록 본체들 사이의 결합은 이루지지 않기 때문에 법면블록의 결합력이 일정치 이상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법면블록을 이루는 블록 본체의 일 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이 결합돌기의 일 측에 식물이 심어진 조경블록이 설치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됨으로써, 블록 본체들 사이가 체결핀에 의해 결합됨과 동시에 블록 본체와 경사면 사이도 체결핀에 의해 결합되므로 블록 본체들 사이의 결합 및 블록 본체와 경사면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홍수 시에 법면블록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안착홈부에 설치되는 조경블록에 의해 환경 친화적인 설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이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의 사용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크리트 기초옹벽 12 : 제 1 단차
14 : 제 2 단차 16 : 체결홀부
20 : 보강 구조물 30 : 블록 본체
31 : 결합돌기 32 : 안착홈부
33 : 홈부 34 : 체결홀부
35 : 걸림고리 40 : 체결핀
50 : 토압인장 보강재 60 : 조경블록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은 하천제방 하단에 설치되고, 내측 경사면에 제 1 단차 및 제 2 단차가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옹벽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옹벽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그 비중이 큰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콘크리트 기초옹벽의 제 2 단차에 배치되는 보강 구조물과;
상기 보강 구조물과 제 1 단차가 이루는 계단 구조에 안착되도록 일 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결합돌기의 일 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진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면 및 저면에 다수 개의 체결홀부가 형성되어 하천제방 경사면을 따라 적층되는 다수 개의 블록 본체와;
상기 체결홀부 및 콘크리트 기초옹벽, 하천제방의 경사면에 삽입되어 서로의 결합력을 유지시키는 체결핀과;
상기 블록 본체의 배면에 설치되어 하천제방 내부로 연장되어 하천제방을 이루는 토사와 교호로 적층된 토압인장 보강재와;
토사가 충진되고, 식물이 심어져 상기 콘크리트 기초옹벽의 안착홈부에 삽입된 조경블록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의 주요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은 하천의 제방을 이루는 경사면 하단에 설치된 콘크리트 기초옹벽(10)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옹벽(10) 일 측에 적층되어 기초 지반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보강 구조물(20)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옹벽(10) 및 보강 구조물(20)의 상단으로부터 경사면을 따라 연속되게 안착되는 블록 본체(30)와, 각각의 상기 블록 본체(30)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핀(40)과, 상기 체결핀(40)에 의해 블록 본체(30)의 배면으로부터 경사면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토압인장 보강재(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옹벽(10)은 전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배면에 2중 단차가 형성되는데, 하단에 형성된 제 1 단차(12)에 상기 보강 구조물(20)이 안착되어 콘크리트 기초옹벽(10)의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제 2 단차(14)에는 상기 블록 본체(30)가 안착되도록 하는 바, 상기 보강 구조물(20)과 제 2 단차(14)가 소정의 격차를 이루도록 하여 블록 본체(30)의 결합돌기(31)가 제 2 단차(14)의 상면에 배치되도록 하여 그 지지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 구조물(20)은 합성수지나, 금속재로 이루어진 망에 일반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잡석을 담아 봉합되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잡석은 그 비중이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홍수 시에도 콘크리트 기초옹벽(1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토목 구조물에서의 어떠한보강 구조물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블록 본체(30)는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 모양의 블록으로서, 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결합돌기(31)가 형성되어 결합돌기(31)의 저면이 상기 콘크리트 기초옹벽(10)의 제 2 단차(14)에 상기 체결핀(40)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배면에 좌우 방향으로 긴 홈부(33)가 형성되어 상기 토압인장 보강재(50)가 체결핀(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30)는 결합돌기(31)의 중앙이 일 부분 절개되어 안착홈부(32)가 형성되는 바, 상기 안착홈부(32) 내벽에는 걸림고리(35)가 형성되어 식물이 심어진 조경블록(60)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블록 본체(30)의 시공이 완료되면 하천제방의 경사면이 결합돌기(31)에 의해 계단 모양을 이루고, 계단 모양의 결합돌기에는 규칙적으로 조경블록(60)이 삽입된 모양을 이룬다.
아울러, 상기 블록 본체(30)는 상면 및 저면, 홈부의 저면에 각각 다수 개의 체결홈부(34)가 형성되어 체결핀(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압인장 보강재(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제방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바, 이는 제방을 쌓을 때에 토사를 일정 부분 쌓고, 토압인장 보강재(50)를 덮은 후에 다시 토사를 쌓는 작업을 반복하여 제방 내부에 다수 층의 토압인장 보강재(50)가 적층되도록 하고, 제방을 쌓으면서 동시에 블록 본체(30)를 안착시켜 상기 토압인장 보강재(50)와 연결되도록 하므로, 하천제방의 붕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의 설치방법및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천제방의 하단에 기 제작된 콘크리트 기초옹벽(10)을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옹벽(10)의 제 1 단차(12)에 보강 구조물(20)을 안착시킨 후에, 상기 블록 본체(30)를 적층시킨다.
이때, 상기 보강 구조물(20)은 망에 잡석을 담아 봉합하여 이루는 바, 상기 보강 구조물(20)의 상단이 콘크리트 기초옹벽(10)의 제 2 단차(14)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설치됨으로써, 계단의 모양을 이루고, 이 계단 구조에 블록 본체(30)의 결합돌기(31)가 안착되어 블록을 이룬다.
이후에, 하천제방을 이루는 토사와 토압인장 보강재(50)가 서로 교호로 적층되는 바, 토사가 쌓이는 만큼의 블록 본체(30)도 적층되어 토압인장 보강재(50)가 설치될 때에 홈부(33) 내측에 체결핀(40)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하천제방의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조경블록(60)은 합성수지재나 철재, 섬유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망 형태의 블록 내부에 토사가 담겨지고, 식물이 심어져 이루어지고, 상기 블록 본체(30)가 설치되기 전에 상기 안착홈부(32) 내에 형성된 걸림고리(35)에 끼워져 블록 본체(30)의 체결이 완료되면 하천제방의 경사면에 규칙적으로 조경블록이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은 전면에결합돌기가 형성된 블록 본체가 체결핀에 의해 다수 층으로 적층되며, 하천제방 내부로 연장되는 토압인장 보강재가 체결핀에 의해 블록 본체에 연결됨으로써, 하천 제방의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블록 본체 상호간의 체결력 또한 배가시키므로 홍수 시에 하천제방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은 결합돌기의 일 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진 안착홈부가 규칙적으로 형성되고, 그 내벽에 걸림고리가 설치됨으로써, 식물이 심어진 조경블록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블록 본체의 설치가 완료되면 하천제방의 경사면에 계단 모양의 블록이 형성되며, 규칙적으로 조경블록이 배치되므로 외관상의 안정을 이룰 수 있으며, 환경 친화적인 블록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보호용 블록에 있어서;
    하천제방 하단에 설치되고, 내측 경사면에 제 1 단차(12) 및 제 2 단차(14)가 형성된 콘크리트 기초옹벽(10)과;
    상기 콘크리트 기초옹벽(1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그 비중이 큰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콘크리트 기초옹벽(10)의 제 1 단차(12)에 배치되는 보강 구조물(20)과;
    상기 보강 구조물(20)과 제 2 단차(14)가 이루는 계단 구조에 안착되도록 일 측면에 결합돌기(31)가 형성되고, 결합돌기(31)의 일 부분이 절개되어 이루어진 안착홈부(32)가 형성되며, 상면 및 저면에 다수 개의 체결홀부(34)가 형성되어 하천제방 경사면을 따라 적층되는 다수 개의 블록 본체(30)와;
    상기 체결홀부(34) 및 콘크리트 기초옹벽(10), 하천제방의 경사면에 삽입되어 서로의 결합력을 유지시키는 체결핀(40)과;
    상기 블록 본체(30)의 배면에 설치되어 하천제방 내부로 연장되어 하천제방을 이루는 토사와 교호로 적층된 토압인장 보강재(50)와;
    토사가 충진되고, 식물이 심어져 상기 콘크리트 기초옹벽(10)의 안착홈부(32)에 삽입된 조경블록(6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30)는 안착홈부(32) 내벽에 걸림돌기(35)가 형성되어 상기 조경블록(60)이 걸려지도록 하며, 배면에 좌우 방향으로 긴 홈부(33)가 형성되고, 그 저면에 체결홀부(34)가 형성되어 상기 토압인장 보강재(50)가 체결핀(40)에 의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KR20-2003-0016532U 2003-05-27 2003-05-27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KR200327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532U KR200327422Y1 (ko) 2003-05-27 2003-05-27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532U KR200327422Y1 (ko) 2003-05-27 2003-05-27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422Y1 true KR200327422Y1 (ko) 2003-09-22

Family

ID=4941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532U KR200327422Y1 (ko) 2003-05-27 2003-05-27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4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189B1 (ko) * 2004-09-04 2005-11-02 (주)대진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친환경적인 옹벽시설물
KR101695634B1 (ko) * 2015-12-17 2017-01-13 양현철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189B1 (ko) * 2004-09-04 2005-11-02 (주)대진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친환경적인 옹벽시설물
KR101695634B1 (ko) * 2015-12-17 2017-01-13 양현철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7736A (en) Seawalls and shoreline reinforcement systems
US20180274191A1 (en) Breakwater construction blocks having improved stability against over-turning and pulling-out when struck by natural forces
KR100542457B1 (ko) 하천 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설치구조
KR100657182B1 (ko) 소하천 계곡 토사유실 방지시설
KR200327422Y1 (ko)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KR100245048B1 (ko) 보강토 구조물
JP4614928B2 (ja) 軽量盛土工法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101170789B1 (ko) 친환경 복합 사방댐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200318120Y1 (ko) 사각 블록과 계단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유실방지법면 보호구조
KR102244753B1 (ko) 친환경 목재 옹벽
KR200410820Y1 (ko) 하천 옹벽기초 세굴방지구조
KR101839576B1 (ko) 지오그리드가 적용된 호안 제방
KR200414869Y1 (ko) 옹벽블록
KR102478778B1 (ko) 환봉앵커를 이용한 블록케이슨 시공방법에 의한 일체화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KR102231712B1 (ko) 목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2483537B1 (ko) 해수유통블록 케이슨 및 그 설치방법
JP2001011840A (ja) 土木構造物用三角柱枠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2493308B1 (ko) 블록 조립형 케이슨 시공방법
KR100448442B1 (ko) 볼트접합강재를 구비한 옹벽보강재
KR200259043Y1 (ko) 우수침수용 수로
JP7141157B1 (ja) 法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法面構造及び治水構造
KR200369898Y1 (ko) 수중구조물용 세굴 방지구
KR100708895B1 (ko) 적층블럭, 다단적층식 토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