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634B1 -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5634B1 KR101695634B1 KR1020150180791A KR20150180791A KR101695634B1 KR 101695634 B1 KR101695634 B1 KR 101695634B1 KR 1020150180791 A KR1020150180791 A KR 1020150180791A KR 20150180791 A KR20150180791 A KR 20150180791A KR 101695634 B1 KR101695634 B1 KR 1016956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concrete
- retaining wall
- wall structure
- concrete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초블록(10)의 배면에 콘크리트블록(20)을 다열 배치한 상태에 기초블록(10)의 블록체결공(11) 및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에 체결볼트(30)를 체결하여 고정한 후, 상기 기초블록(10)에 체결된 콘크리트블록(20)의 단턱부(22)에 콘크리트블록(20)을 안착 배치한 상태에 콘크리트블록(20) 간 상호 매칭되는 블록결합공(23)에 연결볼트(40)를 체결하여 콘크리트블록(20) 간을 연결 고정하며, 콘크리트블럭(20)을 다단 다열로 배열하여 계단형의 옹벽 구조물(W)로 시공하는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단 다열의 계단형 옹벽 구조물을 간단하게 시공하여 절개면이나 경사면을 보강할 수 있고, 옹벽 구조물을 위한 블록간의 상호 결합성을 강화할 수 있어 성토되는 토양의 하중 등에 의해 옹벽 구조물이 쉽게 뒤틀리거나 무너지지 않게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단 다열의 계단형 옹벽 구조물을 간단하게 시공하여 절개면이나 경사면을 보강할 수 있고, 옹벽 구조물을 위한 블록간의 상호 결합성을 강화할 수 있어 성토되는 토양의 하중 등에 의해 옹벽 구조물이 쉽게 뒤틀리거나 무너지지 않게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 구조물을 간단하게 시공하여 절개면이나 경사면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며 상호 결합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여 옹벽 구조물이 쉽게 뒤틀리거나 무너지지 않도록 한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또는 건축 현장에는 일정한 높이로 성토를 하거나 대지의 일부를 절개하게 되면 경사면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경사면을 그대로 방치하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붕괴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붕괴하지 않도록 보강공사를 하게 된다.
이러한 성토나 절개에 의해 형성되는 절개면 및 경사면은 보강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특히 성토부에는 안전성과 경제성뿐만 아니라 외적 미관을 고려한 시공 구조 및 방법들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통상 이와 같은 절개면 및 경사면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이나 자연석 또는 인공석을 이용한 구조물을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하는 경우 설치대상 경사지 및 암반 등의 형태에 대응한 유연성 및 가변성이 부족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지기반을 확보하여야 하는데 상당한 공간이 필요하는 등 공사 기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부분적으로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 보수가 곤란하며, 미관을 고려한 조경적인 측면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또한, 자연석 또는 인공석을 이용하는 옹벽 구조물의 경우 조경적인 측면이 충족되고, 경사면에 대응한 유연성 및 가변성이 확보될 수 있으나, 성토와 더불어 돌을 쌓는 경우 직립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다단으로 쌓는 경우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고 자연석이나 인공석이 쉽게 뒤틀리거나 무너지는 등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옹벽 구조물을 간단하게 시공하여 절개면이나 경사면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며 상호 결합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여 성토되는 토양의 하중 등에 의해 옹벽 구조물이 쉽게 뒤틀리거나 무너지지 않도록 한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하되 상호간 체결성을 갖도록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지면에서 다열 및 다단으로 설치하되 절개면이나 경사면을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도록 계단 형태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친환경 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콘크리트블록의 표면에 돌조각을 결합하는 구성을 갖게 하거나 또는 표면을 굴곡지게 성형함으로써 조경석의 느낌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한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는,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지면 위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고 지면을 따라 라인형으로 설치되며, 상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블록체결공(11)을 형성한 기초블록(10); 상기 기초블록(10)의 배면으로 체결 고정되어 다열로 설치됨과 더불어 위로 쌓아올려 다단의 계단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20)으로 이루어진 옹벽 구조물(W);을 포함하되,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은 일정 높이 및 두께로 성형되는 블록체(21)로서, 콘크리트블록(20)을 용이하게 쌓아 올리면서 간단하게 계단형태로 배열할 수 있도록 블록체(21)의 상단부 배면으로 단턱부(22)가 형성되고, 콘크리트블록(20)간 좌우상하를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부와 하단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블록결합공(23)이 형성되며; 상기 옹벽 구조물(W)은 상기 기초블록(10)의 배면에 콘크리트블록(20)을 배치한 상태에 기초블록(10)의 블록체결공(11) 및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에 체결볼트(30)를 체결하여 고정한 후, 상기 기초블록(10)에 체결된 콘크리트블록(20)의 단턱부(22)에 콘크리트블록(20)을 안착 배치한 상태에 콘크리트블록(20) 간 상호 매칭되는 블록결합공(23)에 연결볼트(40)를 체결하여 콘크리트블록(20) 간을 연결 고정하며, 다단 다열 배열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은 골재 500~600중량부에 대해서 시멘트 200~350중량부, 황토 200~250중량부, 생석회 150~200중량부, 은행잎가루 20~50중량부, 물 100~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은 표면에 돌조각을 결합하는 구성을 갖게 하거나 또는 표면을 굴곡지게 성형함으로써 조경석의 느낌을 표출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볼트(40)가 체결되지 않은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 측에 금속재로 된 블록지지바(50)를 관통 체결하고, 성토되는 흙에 매립시켜 성토압에 의해 지지를 받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A) 일정 높이 및 두께로 성형되는 블록체(21)로서, 콘크리트블록(20)을 용이하게 쌓아 올리면서 간단하게 계단형태로 배열할 수 있도록 블록체(21)의 상단부 배면으로 단턱부(22)가 형성되고, 콘크리트블록(20)간 좌우상하를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부와 하단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블록결합공(23)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20)을 다수 구비하는 단계; B)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지면 위에 일정 높이를 형성하고 지면을 따라 라인형으로 형성되는 기초블록(10)을 설치하되,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블록체결공(11)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기초블록(10)의 배면에 콘크리트블록(20)을 배치한 상태에 기초블록(10)의 블록체결공(11)과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을 관통하도록 체결볼트(3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기초블록(10)에 체결된 콘크리트블록(20)의 단턱부(22)에 콘크리트블록(20)을 안착 배치한 상태에 콘크리트블록(20) 간 상호 매칭되는 블록결합공(23)에 연결볼트(40)를 체결하여 콘크리트블록(20) 간을 연결 고정하며, 다단 다열 배열을 갖는 계단형태의 옹벽 구조물로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A)단계에서는 콘크리트블록(20)에 대해 골재 500~600중량부에 대해서 시멘트 200~350중량부, 황토 200~250중량부, 생석회 150~200중량부, 은행잎가루 20~50중량부, 물 100~15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의 표면에 돌조각을 결합하는 구성을 갖게 하거나 또는 표면을 굴곡지게 성형함으로써 조경석의 느낌을 표출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D)단계에서는 연결볼트(40)가 체결되지 않은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 측에 금속재로 된 블록지지바(50)를 관통 체결하는 과정을 포함시키며, 성토시 성토되는 흙에 매립되도록 구비하여 옹벽 구조물(W)을 지지함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E) 상기 기초블록(10)에 콘크리트블록(20)을 체결 고정하되 다단 다열 배열을 통해 계단형태로 시공한 옹벽 구조물(W)의 배면에 망태에 돌과 몰탈을 채운 돌몰탈망태(60)를 배열 및 적층함으로써 지지부를 구비하여 옹벽 구조물(W)을 지지함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콘크리트블록(20) 간의 연결부위에 망체인 그리드(70)나 밴딩재(72)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이들을 함께 설치하여 성토시 성토되는 흙과 더불어 옹벽 구조물(W)을 지지함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옹벽 구조물을 간단하게 시공하여 절개면이나 경사면을 보강할 수 있고, 블록간의 상호 결합성을 강화할 수 있어 성토되는 토양의 하중 등에 의해 옹벽 구조물이 쉽게 뒤틀리거나 무너지지 않게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하여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되 다단 다열의 계단형으로 빠르게 시공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절개면이나 경사면을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친환경 옹벽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블록에 대해 조경석의 느낌을 갖도록 표출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에 있어 기초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 시공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 시공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 시공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에 있어 기초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 시공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 시공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 시공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 시공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지면 위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고 지면을 따라 라인형으로 설치되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블록체결공(11)을 형성한 기초블록(10)과, 상기 기초블록(10)에 체결 고정되어 다열로 설치됨과 더불어 위로 쌓아올려 적층함으로써 다단의 계단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20)으로 이루어지는 옹벽 구조물(W)을 포함한다.
상기 기초블록(10)은 지면을 고른 후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거푸집을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라인형 블록체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초블록(10)은 콘크리트 성형을 위한 거푸집에 적정 규격의 직경을 갖는 배관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시멘트와 모래 및 골재를 혼합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한 후, 거푸집과 배관을 제거함에 의해 관통 구조의 블록체결공(11)을 갖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초블록(1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 배면으로 단턱부(12)를 형성한 구성을 갖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은 일정 형상의 성형틀인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경화시킴에 의해 일정 높이 및 두께로 성형되는 블록체(21)로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20)을 용이하게 쌓아 올리면서 간단하게 계단형태로 배열할 수 있도록 블록체(21)의 상단부 배면으로 단턱부(22)를 형성시키고, 콘크리트블록(20)간 좌우상하를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부와 하단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블록결합공(23)이 형성되게 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은 계단형 배열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위하여 상호간 겹치는 부분이 두께의 3분의 1 이상 또는 2분의 1 이상이 되도록 단턱부(2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은 시멘트와 모래 및 골재를 혼합한 혼합조성물에 물을 섞어 반죽한 것을 몰드 성형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시멘트가 갖는 중금속 독소를 제거하면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블록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시멘트와 골재, 황토, 생석회, 은행잎가루를 혼합한 혼합조성물에 물을 섞어 반죽한 것을 몰드 성형함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을 위한 혼합조성물은 골재 500~600중량부에 대해서 시멘트 200~350중량부, 황토 200~250중량부, 생석회 150~200중량부, 은행잎가루 20~50중량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여기에 물이 100~150중량부 정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황토와 생석회 및 은행잎가루는 시멘트가 갖는 중금속 독소를 제거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면서 친환경 블록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황토는 원적외선 방사와 정화작용, 독소 제거 및 분해력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생석회는 황토의 분해력 저하를 방지함과 더불어 블록의 갈라짐을 방지하면서 독소의 독풀이 기능을 하며, 은행잎가루는 살균 작용을 통해 독소를 제거한다.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은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을 통해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블록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콘크리트블록(20)의 배면으로 성토되는 토양과 접촉시 토양의 오염 및 산성화를 방지하는 장점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은 몰드 성형시 표면에 돌조각을 박아 결합하는 구성을 갖게 하거나 또는 표면을 굴곡지게 성형하는 구성을 통해 조경석의 느낌을 표출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옹벽 구조물(W)은 상기 기초블록(10)의 배면에 위치시키되 지면에 배치한 상태에 기초블록(10)의 블록체결공(11) 및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에 체결볼트(30)를 체결하여 고정한 후, 상기 기초블록(10)에 체결된 콘크리트블록(20)의 단턱부(22)에 콘크리트블록(20)을 안착 배치한 상태에 콘크리트블록(20) 간 상호 매칭되는 블록결합공(23)에 연결볼트(40)를 체결하여 콘크리트블록(20) 간을 연결 고정하며, 이를 통해 다단 다열을 갖는 계단형 배열로 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옹벽 구조물(W)은 기초블록(10)에 있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턱부(12)를 형성한 경우에는 단턱부(12)에 콘크리트블록(20)을 안착 배치한 상태에 기초블록(10)의 블록체결공(11) 및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에 체결볼트(30)를 체결하여 고정한 후, 상기 기초블록(10)에 체결된 콘크리트블록(20)의 단턱부(22)에 콘크리트블록(20)을 안착 배치한 상태에 콘크리트블록(20) 간 상호 매칭되는 블록결합공(23)에 연결볼트(40)를 체결하여 콘크리트블록(20) 간을 연결 고정하며, 이를 통해 다단 다열을 갖는 계단형 배열로 시공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볼트(40)가 체결되지 않은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 측에는 금속재로 된 블록지지바(50)를 관통 체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콘크리트블록(20)의 배면으로 성토되는 흙에 매립시켜 성토압에 의해 지지를 받도록 구성함으로써 옹벽 구조물(W)을 지지함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기초블록(10)와 콘크리트블록(20)의 다단 다열 배열로 이루어진 계단형 옹벽 구조물(W)의 배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재 망태에 돌과 몰탈을 채운 돌몰탈망태(60)를 배열 및 적층하여 옹벽 구조물(W)을 지지함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돌몰탈망태(60)는 금속재 망태에 돌을 채운 돌망태로 대체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나아가, 상기 기초블록(10)와 콘크리트블록(20)의 다단 다열 배열로 이루어진 계단형 옹벽 구조물(W)의 배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블록(20)의 연결부위에 망체인 그리드(70) 또는 고무 등의 밴딩재(72)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거나 함께 설치할 수 있으며, 성토되는 흙과 함께 옹벽 구조물(W)을 지지함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의 연결부위에는 연결볼트(40)를 체결하는 구조가 아니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블록(20)의 배면에서 앵커(80)를 박아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기타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호간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인데, 앞면에 대해 깨끗한 면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 시공 구조를 위한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 형상의 성형틀인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경화시킴에 의해 일정 높이 및 두께로 성형되는 블록체(21)로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20)을 용이하게 쌓아 올리면서 간단하게 계단형태로 배열할 수 있도록 블록체(21)의 상단부 배면으로 단턱부(22)를 형성시키고, 콘크리트블록(20)간 좌우상하를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부와 하단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블록결합공(23)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20)을 다수 구비한다(S110).
이때,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은 일반적인 형태로 시멘트와 모래 및 골재를 혼합한 혼합조성물에 물을 섞어 반죽한 것으로 몰드 성형할 수 있으며, 때로는 시멘트가 갖는 중금속 독소를 제거하면서 내구성을 갖는 친환경 블록으로 구비하도록 시멘트와 골재, 황토, 생석회, 은행잎가루를 혼합한 혼합조성물에 물을 섞어 반죽한 것으로 몰드 성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은 골재 500~600중량부에 대해서 시멘트 200~350중량부, 황토 200~250중량부, 생석회 150~200중량부, 은행잎가루 20~50중량부, 물 100~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은 몰드 성형시 표면에 돌조각을 박아 결합하는 구성을 갖게 하거나 또는 표면을 굴곡지게 성형하는 구성을 통해 조경석의 느낌을 표출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이어,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지면 위에 일정 높이를 형성하고 지면을 따라 라인형으로 설치하되, 상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블록체결공(11)을 형성한 기초블록(10)을 설치한다(S120).
이때, 상기 기초블록(10)은 콘크리트 성형을 위한 거푸집에 적정 규격의 직경을 갖는 배관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시멘트와 모래 및 골재를 혼합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한 후, 거푸집과 배관을 제거함에 의해 관통 구조의 블록체결공(11)을 갖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블록(1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 배면으로 단턱부(12)를 형성한 구성을 갖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초블록(10)은 지면을 고른 후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거푸집을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라인형 블록체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초블록(10)의 배면에 콘크리트블록(20)을 위치시키되 지면에 배치한 상태에 기초블록(10)의 블록체결공(11) 및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을 관통하도록 체결볼트(30)와 너트(31)를 체결하여 고정한다(S130).
여기에서, 상기 기초블록(10)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턱부(12)를 형성한 경우에는 단턱부(12)에 콘크리트블록(20)을 안착 배치한 상태에 기초블록(10)의 블록체결공(11) 및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에 체결볼트(3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기초블록(10)에 체결된 콘크리트블록(20)의 단턱부(22)에 콘크리트블록(20)을 안착 배치한 상태에 콘크리트블록(20) 간 상호 매칭되는 블록결합공(23)에 연결볼트(40)와 너트(41)를 체결하여 콘크리트블록(20) 간을 연결 고정하며, 다단 다열 배열을 갖는 계단형태의 옹벽 구조물(W)로 시공한다(S140).
이때, 연결볼트(40)가 체결되지 않은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 측에 금속재로 된 블록지지바(50)를 관통 체결하는 과정을 포함시킬 수 있으며, 다단 다열 배열된 콘크리트블록(20)의 배면으로 토양(흙)을 성토시 성토되는 흙에 매립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블록지지바(50)는 콘크리트블록(20)이 적층되는 각 단의 최외측 블록결합공(23)이나 콘크리트블록(20)의 최상단 블록결합공(23) 측에 체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옹벽 구조물(W)을 지지함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콘크리트블록(20) 간의 연결에는 블록결합공(23)을 없애 연결볼트(40)를 사용하지 않고 배면에서 앵커(80)를 박아 연결 고정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는 앞면에 대해 깨끗한 면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덧붙여, 상기 기초블록(10)에 콘크리트블록(20)을 체결 고정하되 다단 다열 배열을 통해 계단형태로 시공한 옹벽 구조물(W)의 배면에 망태에 돌과 몰탈을 채운 돌몰탈망태(50)를 배열 및 적층함으로써 옹벽 구조물(W)을 지지함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한다(S150).
여기에서, 상기 몰탈은 친환경성을 위해 황토와 참숯가루, 생석회, 흑운모가루, 물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한데, 황토 50~80중량부에 대해서 참숯가루 10~15중량부, 생석회 15~20중량부, 흑운모가루 20~25중량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돌몰탈망태(60)는 금속재 망태에 돌을 채운 돌망태로 대체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기초블록(10)에 콘크리트블록(20)을 체결 고정하되 다단 다열 배열을 통해 계단형태로 시공한 옹벽 구조물(W)의 배면으로는 상기 콘크리트블록(20) 간의 연결부위에 망체인 그리드(70)나 고무 등의 밴딩재(72)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이들을 함께 설치함으로써 성토시 성토되는 흙과 더불어 옹벽 구조물(W)을 지지함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옹벽 구조물(W)의 배면에 토양(흙)을 쌓아 올리고 다져 성토한다(S16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기초블록 11: 블록체결공
20: 콘크리트블록 21: 블록체
22: 단턱부 23: 블록결합공
30: 체결볼트 40: 연결볼트
50: 블록지지바
W: 옹벽 구조물
20: 콘크리트블록 21: 블록체
22: 단턱부 23: 블록결합공
30: 체결볼트 40: 연결볼트
50: 블록지지바
W: 옹벽 구조물
Claims (7)
-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지면 위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고 지면을 따라 라인형으로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블록체결공(11)을 형성한 기초블록(10);
상기 기초블록(10)의 배면으로 체결 고정되어 다열로 설치됨과 더불어 위로 쌓아올려 다단의 계단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콘크리트블록(20)으로 이루어진 옹벽 구조물(W); 을 포함하되,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은,
일정 높이 및 두께로 성형되는 블록체(21)로서, 콘크리트블록(20)을 용이하게 쌓아 올리면서 간단하게 계단형태로 배열할 수 있도록 블록체(21)의 상단부 배면으로 단턱부(22)가 형성되고, 콘크리트블록(20)간 좌우상하를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부와 하단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블록결합공(23)이 형성되며;
상기 옹벽 구조물(W)은,
상기 기초블록(10)의 배면에 콘크리트블록(20)을 배치한 상태에 기초블록(10)의 블록체결공(11) 및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에 체결볼트(30)를 체결하여 고정한 후, 상기 기초블록(10)에 체결된 콘크리트블록(20)의 단턱부(22)에 콘크리트블록(20)을 안착 배치한 상태에 콘크리트블록(20) 간 상호 매칭되는 블록결합공(23)에 연결볼트(40)를 체결하여 콘크리트블록(20) 간을 연결 고정하며, 다단 다열 배열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은,
골재 500~600중량부에 대해서 시멘트 200~350중량부, 황토 200~250중량부, 생석회 150~200중량부, 은행잎가루 20~50중량부, 물 100~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은 표면에 돌조각을 결합하는 구성을 갖게 하거나 또는 표면을 굴곡지게 성형함으로써 조경석의 느낌을 표출할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볼트(40)가 체결되지 않은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 측에 금속재로 된 블록지지바(50)를 관통 체결하고, 성토되는 흙에 매립시켜 성토압에 의해 지지를 받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의 시공구조.
- 삭제
- 삭제
- (A) 일정 높이 및 두께로 성형되는 블록체(21)로서, 콘크리트블록(20)을 용이하게 쌓아 올리면서 간단하게 계단형태로 배열할 수 있도록 블록체(21)의 상단부 배면으로 단턱부(22)가 형성되고, 콘크리트블록(20)간 좌우상하를 체결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부와 하단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블록결합공(23)이 형성되는 콘크리트블록(20)을 다수 구비하는 단계;
(B)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지면 위에 일정 높이를 형성하고 지면을 따라 라인형으로 형성되는 기초블록(10)을 설치하되,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블록체결공(11)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기초블록(10)의 배면에 콘크리트블록(20)을 배치한 상태에 기초블록(10)의 블록체결공(11)과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을 관통하도록 체결볼트(3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단계;
(D) 상기 기초블록(10)에 체결된 콘크리트블록(20)의 단턱부(22)에 콘크리트블록(20)을 안착 배치한 상태에 콘크리트블록(20) 간 상호 매칭되는 블록결합공(23)에 연결볼트(40)를 체결하여 콘크리트블록(20) 간을 연결 고정하며, 다단 다열 배열을 갖는 계단형태의 옹벽 구조물(W)로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는 콘크리트블록(20)에 대해 골재 500~600중량부에 대해서 시멘트 200~350중량부, 황토 200~250중량부, 생석회 150~200중량부, 은행잎가루 20~50중량부, 물 100~15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블록(20)의 표면에 돌조각을 결합하는 구성을 갖게 하거나 또는 표면을 굴곡지게 성형함으로써 조경석의 느낌을 표출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D)단계에서는 연결볼트(40)가 체결되지 않은 콘크리트블록(20)의 블록결합공(23) 측에 금속재로 된 블록지지바(50)를 관통 체결하는 과정을 포함시키며, 성토시 성토되는 흙에 매립되도록 구비하여 옹벽 구조물(W)을 지지함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 제 4항에 있어서,
(E) 상기 기초블록(10)에 콘크리트블록(20)을 체결 고정하되 다단 다열 배열을 통해 계단형태로 시공한 옹벽 구조물(W)의 배면에 망태에 돌과 몰탈을 채운 돌몰탈망태(60)를 배열 및 적층함으로써 지지부를 구비하여 옹벽 구조물(W)을 지지함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콘크리트블록(20) 간의 연결부위에 망체인 그리드(70)나 밴딩재(72)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이들을 함께 설치하여 성토시 성토되는 흙과 더불어 옹벽 구조물(W)을 지지함은 물론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0791A KR101695634B1 (ko) | 2015-12-17 | 2015-12-17 |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0791A KR101695634B1 (ko) | 2015-12-17 | 2015-12-17 |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5634B1 true KR101695634B1 (ko) | 2017-01-13 |
Family
ID=5783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0791A KR101695634B1 (ko) | 2015-12-17 | 2015-12-17 |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563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0383B1 (ko) * | 2023-01-17 | 2023-08-25 | 조문선 | 다단 구조를 이용한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7422Y1 (ko) * | 2003-05-27 | 2003-09-22 | 극동엔지니어링(주) |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
KR100460284B1 (ko) * | 2003-12-17 | 2004-12-04 | 김갑중 | 생태 블록들의 결합체 |
KR200405621Y1 (ko) * | 2005-10-06 | 2006-01-10 | (주)다산컨설턴트 | 도로용 보강토 옹벽 설치구조 |
KR100965427B1 (ko) * | 2009-08-26 | 2010-06-24 | (주)에코마린 | 환경친화형 인공의암 및 그의 제조방법과, 상기 인공의암을 이용한 구조물 및 그의 구축방법 |
KR101278326B1 (ko) | 2012-02-27 | 2013-06-25 | 이종규 | 조형석 및 그를 이용한 조형석 옹벽 |
-
2015
- 2015-12-17 KR KR1020150180791A patent/KR1016956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7422Y1 (ko) * | 2003-05-27 | 2003-09-22 | 극동엔지니어링(주) |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
KR100460284B1 (ko) * | 2003-12-17 | 2004-12-04 | 김갑중 | 생태 블록들의 결합체 |
KR200405621Y1 (ko) * | 2005-10-06 | 2006-01-10 | (주)다산컨설턴트 | 도로용 보강토 옹벽 설치구조 |
KR100965427B1 (ko) * | 2009-08-26 | 2010-06-24 | (주)에코마린 | 환경친화형 인공의암 및 그의 제조방법과, 상기 인공의암을 이용한 구조물 및 그의 구축방법 |
KR101278326B1 (ko) | 2012-02-27 | 2013-06-25 | 이종규 | 조형석 및 그를 이용한 조형석 옹벽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0383B1 (ko) * | 2023-01-17 | 2023-08-25 | 조문선 | 다단 구조를 이용한 자립식 리테이닝 월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8791B1 (ko) | 재생골재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옹벽 | |
KR101151520B1 (ko) | 금형틀에 의한 전면에 자연석재판이 장착된 패널의 제조방법 | |
KR20140121119A (ko) | 연결근이 일체로 구성된 고강도 pc부재용 phc파일, phc파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하 합벽 시공방법 | |
JP2013159929A (ja) | 建築基礎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立ち上がりブロック | |
CN210598410U (zh) | 一种再生混凝土装配式围墙 | |
KR101278547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 |
JP2014125830A (ja) | 分割式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及びその組立方法 | |
KR101695634B1 (ko) |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 |
KR101211469B1 (ko) |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 |
US20120167516A1 (en) | method of forming protrusions on a masonry block | |
CN105201278A (zh) | 一种用建筑垃圾制作的装配式围墙 | |
KR100531180B1 (ko) | 표면에 자연석이 매입된 판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 방법 | |
JP7016106B2 (ja) | 軽量盛土構造、および軽量盛土の構築方法 | |
JP6767552B1 (ja) | ウッドフェンスのストレートピン工法 | |
WO2007047441A3 (en) | Reinforced concrete forming system | |
JP2003268771A (ja) | 乾式ブロック、その成形型枠、その成形方法、乾式ブロックを用いた補強土構造 | |
KR100960906B1 (ko) | 자연석을 이용한 수직 옹벽 설치구조 | |
WO2011111002A4 (en) | Block for construction and method to build walls with said block | |
JP4170955B2 (ja) | 残存型枠並びにソイルコンクリート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 |
US20070251184A1 (en) | Self-supporting modular wall | |
KR200426155Y1 (ko) | 토담집의 벽체 건축용 거푸집 | |
WO2019138221A1 (en) | Foundation block | |
CN211523255U (zh) | 一种基础承台模板制造工具 | |
JP2612416B2 (ja) | 屋外壁建設資材 | |
KR102472790B1 (ko) |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