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469B1 -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469B1
KR101211469B1 KR1020110050050A KR20110050050A KR101211469B1 KR 101211469 B1 KR101211469 B1 KR 101211469B1 KR 1020110050050 A KR1020110050050 A KR 1020110050050A KR 20110050050 A KR20110050050 A KR 20110050050A KR 101211469 B1 KR101211469 B1 KR 101211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bracing
brace
wall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693A (ko
Inventor
허혁훈
Original Assignee
허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혁훈 filed Critical 허혁훈
Priority to KR102011005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46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성토지 또는 절개지 사면(400) 등의 붕괴방지를 위해 사면(400)의 하단을 터파기한 후 이를 고르게 다짐한 지반(440)상에서 순차조립 및 적층되어 옹벽축조에 사용되는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100)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상체로서 배면 일측에는 상기 사면(400)에 삽입 고정되는 버팀빔(240)의 노출된 단부가 체결 고정되는 하부 버팀부(202)가 일체로 성형된 버팀블록(200)과, 상기 버팀블록(200)의 양측 단부 플랜지(210)에 횡으로 연접되어 체결 고정되도록 상기 버팀블록(200)의 양측 단부 플랜지(210)에 대향되는 형상의 양측 단부 플랜지(310)가 일체로 성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상체의 보강블록(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얇게 성형되어 자체 중량이 경량인 보강블록이 버팀빔에 의해 사면에 고정된 버팀블록에 횡방향으로 연접되어 견고하게 체결고정되기 때문에 배면 쪽으로 밀려 변형되지 않아 버팀빔이 필요없고, 철근 및 콘크리트량을 30% 이상 크게 줄인 보강블록의 배면에는 버팀빔을 사용하지 않고 토사나 잡석으로만 뒷채움해도 견고하게 지지되어 옹벽시공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Retaining wall structure having prefabricated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인 버팀블록과 보강블록이 서로 신속 및 견고하게 체결 조립되는 구조를 가진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얇게 성형되어 자체 중량이 경량인 보강블록이 버팀빔에 의해 사면에 고정된 버팀블록에 횡방향으로 연접되어 견고하게 체결고정되기 때문에 배면 쪽으로 밀려 변형되지 않아 버팀빔이 필요없고, 철근 및 콘크리트량을 30% 이상 크게 줄인 보강블록의 배면에는 버팀빔을 사용하지 않고 토사나 잡석으로만 뒷채움해도 견고하게 지지되어 옹벽시공 비용이 절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 사면 등 토목 현장의 토사의 붕괴를 막기 위해 돌을 적층하여 시공되거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도시 안함)을 적층하여 시공되는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옹벽블록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 토목 현장의 전면에 노출되고 자체의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사면 토압의 하중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성토지 또는 절개지 내측에 소정 길이를 갖고 매설되는 버팀대를 옹벽블록의 배면에 고정 설치해 시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버팀대가 일체로 형성된 옹벽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버팀대가 일체로 형성된 옹벽블록(1)은 배면 하부에 버팀대(2)가 일체로 형성된 프리캐스트 L형 옹벽블록이다.
상기 판상인 버팀대(2)는 중앙에 위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2a)의 양측 및 내측에 형성된 콘크리트 또는 몰탈 타설 공간부(4)에 옹벽 시공 현장의 콘크리트 또는 몰탈 타설용으로 배근유니트부(2b)에 토압 하중 버팀용 철근(5)이 더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배근유니트부(2b)의 철근(5)이 연결되어 있는 양측의 콘크리트 또는 몰탈 타설 공간부(4)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타설하여 일체화되게 함으로서, 토압 하중에 의해 벽판(3)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도 견고한 옹벽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버팀대가 일체로 형성된 옹벽블록(1)은 사전에 일정 크기의 거푸집에 의해 벽판(3)의 가로 폭의 길이와 벽판(3) 배면에 연장 돌출된 버팀대(2)의 길이가 각각 3m인 프리 캐스팅 콘크리트 구조물로 성형된 경우에 성토지 또는 절개지 사면의 가로 폭이 4m인 옹벽시공현장이나, 옹벽블록 벽판과 사면과의 길이가 2m로 간격이 좁은 옹벽시공현장에는 시공 설치를 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호환성이 없어 다양한 옹벽시공현장에 시공 설치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버팀대가 일체로 형성된 프리캐스트 L형 옹벽블록(1)을 사전에 다양한 크기로 제작해 준비해야 하는 구조로 많은 종류의 거푸집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전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벽판(3) 배면에 일체로 연장 돌출 형성된 버팀대(2) 및 배근유니트부(2b)에 의해 고중량으로 무겁고 부피가 커서 보관 및 운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다른 다양한 크기의 프리캐스트 L형 옹벽블록(1)을 성형 제작하려면 다른 형태의 많은 종류의 거푸집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전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버팀대가 일체로 형성된 옹벽블록(1)은 버팀대(2)만으로는 사면 토압에 의한 하중을 견디기 위한 수단이 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에 배근유니트부(2b)를 조립하고 토압 하중 버팀용 철근(5)을 더 구비해야 하고, 버팀대가 일체로 형성된 옹벽블록(1) 자체의 고중량에 의해 배면 쪽으로 밀려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각각의 버팀대가 일체로 형성된 옹벽블록(1)의 벽판(3) 배면과 옹벽시공현장 사면 사이에 뒷채움 공정으로서 콘크리트를 타설해 양생해야만 하는 구조로 철근 및 콘크리트 소요량이 증가되고, 전체적인 옹벽시공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옹벽시공현장에서 버팀블록과 보강블록이 간단한 체결 조립으로 신속 및 견고하게 호환 시공할 수 있고, 보강블록이 판 형상으로 경량이고 부피가 작아 보관 및 운반 비용이 절감되는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얇게 성형되어 자체 중량이 경량인 보강블록이 버팀빔에 의해 사면에 고정된 버팀블록에 횡방향으로 연접되어 견고하게 체결고정되기 때문에 배면 쪽으로 밀려 변형되지 않아 버팀빔이 필요없고, 철근 및 콘크리트량을 30% 이상 크게 줄인 보강블록의 배면에 토사나 잡석으로만 뒷채움해도 견고하게 지지되어 옹벽시공 비용이 절감되는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 사면(400) 등의 붕괴방지를 위해 사면(400)의 하단을 터파기한 후 이를 고르게 다짐한 지반(440)상에서 순차조립 및 적층되어 옹벽축조에 사용되는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100)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상체로서 배면 일측에는 상기 사면(400)에 삽입 고정되는 버팀빔(240)의 노출된 단부가 체결 고정되는 하부 버팀부(202)가 일체로 성형된 버팀블록(200)과, 상기 버팀블록(200)의 양측 단부 플랜지(210)에 횡으로 연접되어 체결 고정되도록 상기 버팀블록(200)의 양측 단부 플랜지(210)에 대향되는 형상의 양측 단부 플랜지(310)가 일체로 성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상체의 보강블록(300)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은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인 버팀블록과 보강블록이 서로 신속 및 견고하게 체결 조립되며, 얇게 성형되어 자체 중량이 경량인 보강블록이 버팀빔에 의해 사면에 고정된 버팀블록에 횡방향으로 연접되어 견고하게 체결고정되기 때문에 배면 쪽으로 밀려 변형되지 않아 버팀빔이 필요없고, 철근 및 콘크리트량을 30% 이상 크게 줄인 보강블록의 배면에는 버팀빔과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 토사나 잡석으로만 뒷채움해도 견고하게 지지되어 옹벽시공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팀블록과 보강블록 두 가지 종류만 성형 제작하면 다양한 옹벽시공현장에서 버팀블록과 보강블록이 간단한 체결 조립으로 신속 및 견고하게 호환 시공할 수 있고, 보강블록이 판 형상으로 경량이고 부피가 작아 보관 및 운반 비용이 절감되며, 두 가지 형태의 거푸집만 필요해 사전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버팀대가 일체로 형성된 옹벽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의 버팀블록과 보강블록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의 버팀블록과 보강블록이 연결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I`를 따라 절단한 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가 성토지 또는 절개지 사면에 설치 시공된 상태의 버팀블록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가 성토지 또는 절개지 사면에 설치 시공된 상태의 보강블록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가 성토지 또는 절개지 사면에 설치 시공된 상태의 버팀블록 배면의 콘크리트 및 보강블록 배면의 토사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의 버팀블록과 보강블록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의 버팀블록과 보강블록이 연결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삭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100)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는 성토지 또는 절개지 사면(400) 등의 붕괴방지를 위해 사면(400)의 하단을 터파기한 후 이를 고르게 다짐한 지반(440)상에서 순차조립 및 적층되어 옹벽축조에 사용되는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상체로서 배면 일측에는 상기 사면(400)에 삽입 고정되는 버팀빔(240)의 노출된 단부가 체결 고정되는 하부 버팀부(202)가 일체로 성형된 버팀블록(200)과, 상기 버팀블록(200)의 양측 단부 플랜지(210)에 횡으로 연접되어 체결 고정되도록 상기 버팀블록(200)의 양측 단부 플랜지(210)에 대향되는 형상의 양측 단부 플랜지(310)가 일체로 성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상체의 보강블록(300)을 포함한다.
상기 버팀빔(240)은 봉형상의 영구앵커 또는 소일네일, 락볼트, 유리 섬유 보강 플라스틱(FRP)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I-I`를 따라 절단한 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가 성토지 또는 절개지 사면에 설치 시공된 상태의 버팀블록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가 성토지 또는 절개지 사면에 설치 시공된 상태의 보강블록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가 성토지 또는 절개지 사면에 설치 시공된 상태의 버팀블록 배면의 콘크리트 및 보강블록 배면의 토사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삭제
도 4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팀블록(200)의 양측 단부 플랜지(210)는 배면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암 연결부(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블록(300)의 양측 단부 플랜지(310)는 상기 버팀블록(200)의 암 연결부(214)에 끼워져 횡방향으로 연접되도록 정면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수 연결부(314)가 형성된다. 즉, 상기 버팀블록(200)의 암 연결부(214)와 보강블록(300)의 수 연결부(314)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와 두께를 갖도록 단차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팀블록(200)과 보강블록(300)의 배면의 일측에는 각각 서로 대향되는 복수개의 체결고리(220, 3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연접된 상태의 버팀블록(200)의 체결고리(220)와 보강블록(300)의 체결고리(320)는 체결 철선(325)에 의해 견고하게 묶여 고정 조립된다.
상기 버팀블록(200)의 하부 버팀부(202)와 버팀빔(240)으로 땅속에 견고하게 고정된 사면(400) 사이의 조립 블록 설치 버팀공간 길이(D)를 갖는 배면 공간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460)을 채워 넣어 양생 마감되어 고중량의 버팀블록(200)이 사면(400) 토압의 하중에 무너지지 않도록 설치 시공된다. 따라서, 상기 견고하게 설치된 버팀블록(200)의 하부 버팀부(202)의 상부 공간과 상기 버팀블록(200)에 연접 체결 고정된 경량의 보강블록(300)의 배면 버팀공간에는 토사(470a, 470b)나 잡석(돌조각이나 폐 콘크리트조각 등)을 채워 넣어 마감된 토사부가 구비되어도 경량의 보강블록(300)이 사면(400) 토압의 하중에 무너지지 않도록 설치 시공된다.
상기 버팀블록(200)의 하부 버팀부(202) 배면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460)이 채워져 양생되고, 상기 보강블록(300)의 배면 버팀공간의 하부 공간에는 토사(470a)가 채워지는 즉, 콘크리트 또는 몰탈(460)과 토사(470a) 등의 토사부가 서로 교차되게 채워지는 구조이다(도 5c 참조).
이때, 상기 버팀블록(200)의 하부 버팀부(202) 배면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460)이 채워져 양생된 상태에서, 상기 버팀블록(200)의 하부 버팀부(202)의 상부 공간과 상기 보강블록(300)의 배면 버팀공간(하부 공간 및 상부공간) 모두에 한 번에 토사(470a, 470b)나 잡석을 채워 넣어 토사부가 이루어져 성토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보강블록(300)의 배면 쪽에 철근 및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시공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시공 시간이 단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100)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가 다양한 옹벽시공현장에서 버팀블록(200)과 보강블록(300) 간의 간단한 체결 조립으로 호환되게 시공되는 일실시 예로서, 사전에 일정 크기의 거푸집에 의해 버팀블록(200)의 가로 폭의 길이는 3m이고 버팀빔(240)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버팀빔 체결공(205)이 파손되지 않도록 관통 형성된 하부 버팀부(202)의 두께는 0.5m인 프리 캐스팅 콘크리트 구조물로 성형되고, 보강블록의 가로 폭의 길이는 1m이고 두께는 0.25m인 프리 캐스팅 콘크리트 구조물로 성형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100)의 경우에 성토지 또는 절개지 사면(400)의 가로 폭이 4m이고, 조립 블록인 버팀블록(200)과 보강블록(300) 배면과 사면과의 길이가 2m로 간격이 좁은 옹벽시공현장 등의 다양한 옹벽시공현장에서 가로 폭의 길이가 3m인 버팀블록(200)과 가로 폭의 길이는 1m인 보강블록(300)이 간단한 체결 조립으로 가로 폭이 4m인 사면(400)에 호환되게 시공된다. 상기 보강블록(30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상체로 경량(저중량)이고 부피가 작아 보관 및 운반 비용이 절감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고중량의 버팀블록(200)과 경량의 보강블록(보조연결블록)(300)을 조립해 입설할 수 있도록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 사면(400)의 하단 지반(440)을 터파기한 후 고르게 다짐한다(S100).
그 후, 상기 버팀블록(200)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적소에 천공기계로 사면(400) 땅속에 천공구멍(420)을 뚫는다(S200).
그 후, 상기 천공구멍(420)에 버팀빔(240)을 삽입한 후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그라우트(421)를 채워 넣어 버팀빔(240)이 그라우트에 의해 사면 땅속에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S300).
그 후, 상기 버팀빔(240)의 노출된 단부를 상기 버팀블록(200)의 하부 버팀부(202) 일측에 통공된 버팀빔 체결공(205)을 통해 삽입 연결하고 다짐된 지반(440) 위에 버팀블록(200)을 세워 입설시킨 후 버팀블록(200)의 버팀빔 체결공(205)의 외부로 노출된 버팀빔(240)의 단부를 체결 고정한다(S400). 즉, 상기 버팀빔(240)의 노출된 단부에는 쐐기 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웨지, 너트 등의 체결캡(242)으로 버팀블록(200)의 버팀빔 체결공(205)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때, 상기 버팀블록(200)은 양측 단부 플랜지(210)에 버팀블록(200)의 배면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암 연결부(214)가 형성되고, 상기 버팀블록(200)에 대향되는 정면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보강블록(300)의 양측 단부 플랜지(310)에는 상기 버팀블록(200)의 암 연결부(214)에 연접되는 수 연결부(314)가 형성된 상태이다.
이 후, 상기 지반(440) 위에 입설고정된 버팀블록(200)의 양측 단부 플랜지(210)의 암 연결부(214)에 보강블록(300)의 양측 단부 플랜지(310)의 수 연결부(314)가 연접되게 끼워 순차적으로 조립한다(S500).
그 후, 상기 보강블록 순차조립단계(S500)에서 이미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인 두 개의 버팀블록(200) 사이의 암 연결부(214)에 보강블록(300)의 양측 단부의 수 연결부(314)를 연접되게 끼워 넣은 상태에서 버팀블록(200)과 보강블록(300)의 배면 일측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고리(220, 320)에 체결철선(325)을 끼워 넣어 묶어 외력에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체결고정한다(S550).
그 후, 상기 버팀블록(200)과 보강블록(300)이 서로 연접되어 체결고정된 버팀블록(200)의 하부 버팀부(202)의 배면 공간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460)을 채워 넣어 양생 마감한다(S600). 이때, 상기 하부 버팀부(202)가 일체로 성형된 고중량의 버팀블록(200)은 사면(400)의 땅속에 견고하게 고정된 버팀빔(240)과 배면에 뒷채움 양생되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460)에 의해 지반(440) 위에 견고하게 버팀 지지되어 사면(400)의 토압에 의한 하중에 무너지지 않는다.
그 후, 상기 버팀블록(200)과 보강블록(300)이 서로 연접되어 체결고정된 버팀블록(200)의 하부 버팀부(202)의 상부 공간과 보강블록(300)의 배면 버팀공간에 토사(470a, 470b)나 잡석 등을 채워 넣어 마감한다(700). 이때, 얇게 성형되어 자체 중량이 경량인 보강블록(300)이 버팀빔(240)과 배면에 뒷채움 양생되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460)에 의해 사면에 고정된 버팀블록(200)에 횡방향으로 연접되어 견고하게 체결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강블록(300)이 배면 쪽으로 밀려 변형되지 않으며 또한 보강블록(300)의 수 연결부(314)가 버팀블록(200)의 암 연결부(214)에 맞물려 지지되기 때문에 전방으로도 밀려 변형되지 않아 버팀빔(240)이 필요없고, 철근 및 콘크리트량을 30% 이상 크게 줄인 보강블록(300)의 배면에는 토사(470a)나 잡석으로만 뒷채움을 해도 견고하게 지지되어 옹벽시공 비용이 절감된다.
즉, 상기 버팀블록(200)의 하부 버팀부(202)와 버팀빔(240)으로 땅속에 견고하게 고정된 사면(400) 사이의 배면 공간의 콘크리트 또는 몰탈(460) 양생 마감 부분의 상부 공간과, 상기 보강블록(300)의 배면 버팀공간(하부 공간 및 상부공간)에 토사(470a, 470b) 등을 채워 넣음으로써 보강블록(300)의 배면 쪽에 철근 및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구비할 필요없이 한 번에 최종적으로 성토 마감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조립식 블록 200. 버팀블록
202. 하부 버팀부 205. 버팀빔 체결공
210. 플랜지 214. 암 연결부
220. 체결고리 240. 버팀빔
242. 체결캡 300. 보강블록
310. 플랜지 314. 수 연결부
320. 체결고리 325. 체결 철선
400. 사면 420. 천공구멍
421. 그라우트 440. 지반
460. 몰탈 470a, 470b. 토사
D. 조립 블록 설치 버팀공간 길이

Claims (6)

  1. 성토지 또는 절개지 사면(400) 등의 붕괴방지를 위해 사면(400)의 하단을 터파기한 후 이를 고르게 다짐한 지반(440)상에서 순차조립 및 적층되어 옹벽축조에 사용되는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100)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상체로서 배면 일측에는 상기 사면(400)에 삽입 고정되는 버팀빔(240)의 노출된 단부가 체결 고정되는 하부 버팀부(202)가 일체로 성형된 버팀블록(200)과,
    상기 버팀블록(200)의 양측 단부 플랜지(210)에 횡으로 연접되어 체결 고정되도록 상기 버팀블록(200)의 양측 단부 플랜지(210)에 대향되는 형상의 양측 단부 플랜지(310)가 일체로 성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상체의 보강블록(300)으로 구성되어,
    상기 버팀블록(200)의 하부 버팀부(202)와 버팀빔(240)으로 땅속에 견고하게 고정된 사면(400) 사이의 배면 공간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460)을 채워 넣어 양생 마감되어 버팀블록(200)이 사면(400) 토압의 하중에 무너지지 않도록 설치 시공되고,
    상기 버팀블록(200)의 하부 버팀부(202)의 상부 공간과 상기 버팀블록(200)에 연접 체결 고정된 경량의 보강블록(300)의 배면 버팀공간에는 각각 토사(470a, 470b)나 잡석을 채워 넣은 토사부가 구비되어 경량의 보강블록(300)이 사면(400) 토압의 하중에 무너지지 않도록 설치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블록(200)의 양측 단부 플랜지(210)는 배면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암 연결부(214)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블록(300)의 양측 단부 플랜지(310)는 상기 버팀블록(200)의 암 연결부(214)에 끼워져 횡방향으로 연접되도록 정면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수 연결부(314)가 형성되어,
    상기 버팀블록(200)의 암 연결부(214)와 보강블록(300)의 수 연결부(314)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와 두께를 갖도록 단차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블록(200)과 보강블록(300)의 배면의 일측에는 각각 서로 대향되는 복수개의 체결고리(220, 3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연접된 상태의 버팀블록(200)의 체결고리(220)와 보강블록(300)의 체결고리(320)는 체결 철선(325)에 의해 견고하게 묶여 고정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4. 삭제
  5. 버팀블록(200)과 보강블록(300)을 조립해 입설할 수 있도록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 사면(400)의 하단 지반(440)을 터파기한 후 이를 고르게 다짐하는 지반다짐단계(S100);
    상기 버팀블록(200)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적소에 천공기계로 사면(400) 땅속에 천공구멍(420)을 뚫는 사면천공단계(S200);
    상기 천공구멍(420)에 버팀빔(240)을 삽입한 후 그라우트(421)를 채워 넣어 버팀빔(240)이 그라우트에 의해 사면 땅속에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버팀빔 설치단계(S300);
    상기 버팀빔(240)의 노출된 단부를 상기 버팀블록(200)의 하부 버팀부(202) 일측에 통공된 버팀빔 체결공(205)을 통해 삽입 연결해 다짐된 지반(440) 위에 버팀블록(200)을 세워 입설시킨 후, 버팀블록(200)의 버팀빔 체결공(205)에 버팀빔(240)의 노출된 단부를 체결 고정하는 버팀블록(200) 입설고정단계(S400)와;
    상기 지반(440) 위에 입설고정된 버팀블록(200)의 양측 단부 플랜지(210)의 암 연결부(214)에 보강블록(300)의 양측 단부 플랜지(310)의 수 연결부(314)가 연접되게 끼워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보강블록 순차조립단계(S500)와;
    상기 버팀블록(200)과 보강블록(300)이 서로 연접되어 체결고정된 버팀블록(200)의 하부 버팀부(202)의 배면 공간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460)을 채워 넣어 양생 마감하는 콘크리트 뒷채움마감단계(S600);
    상기 버팀블록(200)과 보강블록(300)이 서로 연접되어 체결고정된 버팀블록(200)의 하부 버팀부(202)의 상부 공간과 보강블록(300)의 배면 버팀공간에 각각 토사(470a, 470b)나 잡석을 채워 넣어 마감하는 토사 뒷채움마감단계(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블록 순차조립단계(S500)에서 상기 버팀블록(200)과 보강블록(300)의 배면 일측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고리(220, 320)에 체결철선(325)을 끼워 넣어 묶어 체결고정하는 버팀블록(200)과 보강블록(300)을 체결고정단계(S55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20110050050A 2011-05-26 2011-05-26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1211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050A KR101211469B1 (ko) 2011-05-26 2011-05-26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050A KR101211469B1 (ko) 2011-05-26 2011-05-26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693A KR20120131693A (ko) 2012-12-05
KR101211469B1 true KR101211469B1 (ko) 2012-12-18

Family

ID=47515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050A KR101211469B1 (ko) 2011-05-26 2011-05-26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4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5084A (en) * 2022-01-26 2023-08-02 Cbs Beton Nv Prefab concrete element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4703B1 (de) * 2018-03-01 2022-04-14 Gmk System Ag Stützmauerelement und Stützmauer aus Stützmauerelementen.
KR102368633B1 (ko) * 2020-05-11 2022-03-03 (주)삼일이엔씨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1733867A (zh) * 2020-06-11 2020-10-02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采用组合方式连接的预制装配式悬臂挡土墙
KR102388496B1 (ko) * 2021-10-27 2022-04-20 (주)코리아에스이 절토부 옹벽의 연장 패널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393Y1 (ko) 2003-05-06 2003-09-19 주식회사 나노텍코리아 체결구조를 가진 호안블럭
JP2006022582A (ja) 2004-07-09 2006-01-26 Asurakku:Kk 擁壁用組ブロック及び擁壁構造
KR101023660B1 (ko) * 2009-01-29 2011-03-25 심석래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393Y1 (ko) 2003-05-06 2003-09-19 주식회사 나노텍코리아 체결구조를 가진 호안블럭
JP2006022582A (ja) 2004-07-09 2006-01-26 Asurakku:Kk 擁壁用組ブロック及び擁壁構造
KR101023660B1 (ko) * 2009-01-29 2011-03-25 심석래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5084A (en) * 2022-01-26 2023-08-02 Cbs Beton Nv Prefab concrete element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693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70990A1 (en)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KR101211469B1 (ko)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US20130008125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new underground structure
KR20190083466A (ko)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71200B1 (ko) 연결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912324B1 (ko) 스크류 파일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2104932B1 (ko) 프리캐스트 모듈러 시스템 옹벽
KR101254145B1 (ko) 전단키와 연결철근을 활용한 중력식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모듈러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설치 공법
JP7232714B2 (ja) 基礎の構築方法
CN107761759B (zh) 一种l型混凝土挡墙
KR101271290B1 (ko)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KR100462236B1 (ko) 구조물 외벽용 패널,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외벽조립구조 및 구조물지하외벽 시공공법
JP2009046942A (ja) 擁壁用基礎ブロック
KR102482690B1 (ko)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KR102263958B1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KR101110208B1 (ko) 가변 지지대가 구비된 옹벽블록과 연결블록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1017127B1 (ko) 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기초와 프리캐스트 교각의 연결구조 및 연결 시공방법
KR10212084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설치구조 및 방법
KR100417487B1 (ko) 쇄석 채움 옹벽
KR20090066562A (ko) 수직 프리스트레싱 프리캐스트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100975847B1 (ko) 버팀대 형성용 가이드 커버가 구비된 옹벽블록 및 그를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2272258B1 (ko) 강관을 이용한 h파일의 변위 저항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070379B1 (ko) 자연석 옹벽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2004263490A (ja) 地下合成壁
KR101201918B1 (ko) 패널, 이 패널을 이용한 펜스, 이 펜스를 이용한 혼합토 성토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