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633B1 -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633B1
KR102368633B1 KR1020200055979A KR20200055979A KR102368633B1 KR 102368633 B1 KR102368633 B1 KR 102368633B1 KR 1020200055979 A KR1020200055979 A KR 1020200055979A KR 20200055979 A KR20200055979 A KR 20200055979A KR 102368633 B1 KR102368633 B1 KR 102368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panel
cut
panels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7742A (ko
Inventor
임성대
Original Assignee
(주)삼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일이엔씨 filed Critical (주)삼일이엔씨
Priority to KR102020005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633B1/ko
Publication of KR20210137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부재에 의해 절토부 전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앵커패널 사이에 단부 일부가 앵커패널 배면에 지지되는 중간패널을 위치시킴으로써, 중간패널 지지를 위한 앵커부재 생략으로 시공성 향상, 공기 및 공사비 절감에 따른 경제성 향상이 가능한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은 절토부 배면 지반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절토부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앵커부재에 의해 절토부의 전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앵커패널; 및 인접하는 4개의 앵커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단부 일부가 인접하는 앵커패널의 배면에 지지되어 앵커패널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복수의 중간패널; 로 구성되되, 상기 중간패널은 4개의 날개부가 돌출된 +자형으로 형성되어 각 날개부는 인접하는 2개의 앵커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각 날개부는 이웃하는 중간패널의 대응되는 날개부와 단부가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Retaining wall with anchor pane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앵커부재에 의해 절토부 전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앵커패널 사이에 단부 일부가 앵커패널 배면에 지지되는 중간패널을 위치시킴으로써, 중간패널 지지를 위한 앵커부재 생략으로 시공성 향상, 공기 및 공사비 절감에 따른 경제성 향상이 가능한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로변, 절개지, 하천변 등 사면에는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옹벽이 설치된다.
이러한 옹벽은 배면 토압에 저항하여 배면토가 붕괴되지 않게 하는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옹벽 자체로 배면 토압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옹벽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현장 타설되는 RC 옹벽은 거푸집, 서포트 등 가시설이 필요하고 콘크리트 양생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1084615호 등에서와 같은 PC 옹벽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 PC 옹벽은 PC 패널을 배면의 원지반에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에 고정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모든 PC 패널들을 각각 앵커부재에 고정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매 PC 패널 위치마다 앵커부재를 설치해야 하고, 앵커부재와 PC 패널을 고정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기 및 공사비가 증가된다.
이에 앵커부재 설치 개소를 줄이기 위해 PC 패널의 크기를 대형화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현장 운송을 위한 운송비 부담이 크고 양중 부담 또한 크기 때문에 시공에 제약이 있다.
한편, 옹벽용 PC 패널은 공장에서 강재 거푸집에 의해 생산되므로 단가가 비싸고, 현장 운송을 위한 운송비 부담이 있다. 또한, 공장 내 이동이나 현장 운송을 위한 상하차 및 운반 중 진동, 충격 등에 의해 PC 패널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다. 아울러 PC 패널 전면 미관이나 노출면 손상 방지를 위해 별도의 보양 조치를 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C 패널을 이용한 절토부 옹벽 시공시 앵커부재의 설치 개소를 최소화하여 공기 및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현장 제작이 용이한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절토부 배면 지반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절토부의 전면에 설치되는 절토부 옹벽에 관한 것으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앵커부재에 의해 절토부의 전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앵커패널; 및 인접하는 4개의 앵커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단부 일부가 인접하는 앵커패널의 배면에 지지되어 앵커패널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복수의 중간패널; 로 구성되되, 상기 중간패널은 4개의 날개부가 돌출된 +자형으로 형성되어 각 날개부는 인접하는 2개의 앵커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각 날개부는 이웃하는 중간패널의 대응되는 날개부와 단부가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을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앵커패널의 측단부 전면에는 중간패널의 단부가 걸리는 제1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중간패널의 측단부 후면에는 상기 제1단턱부의 배면에 걸리는 제2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앵커패널의 측단부는 전면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패널의 측단부는 앵커패널 측단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앵커패널과 중간패널의 배면에는 이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원지반을 절토하여 절토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절토면의 최하부에 복수의 앵커패널을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절토면에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를 앵커패널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중간패널의 하부 날개부가 인접하는 앵커패널의 사이에 삽입되어 양측의 앵커패널에 의해 지지되도록 중간패널을 앵커패널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중간패널 상부의 상부 날개부 양측에 앵커패널을 설치하여 중간패널을 지지하고, 절토면에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를 앵커패널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c) 단계 및 (d) 단계를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절토부 옹벽을 완성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원지반 상부를 절토하여 제1단 절토면을 형성하는 단계; (b) 복수의 앵커패널을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제1단 절토면에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를 앵커패널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제1단 절토면 하부의 원지반을 절토하여 제2단 절토면을 형성하는 단계; (d) 상부 날개부가 인접하는 앵커패널의 사이에 삽입되어 양측의 앵커패널에 의해 지지되도록 중간패널을 앵커패널의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중간패널의 하부를 지지부재로 지지하는 단계; (e) 상기 중간패널 하부의 하부 날개부 양측에 앵커패널을 설치하여 중간패널을 지지하고, 제2단 절토면에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를 앵커패널에 각각 고정한 후 상기 지지부재를 제거하는 단계; 및 (f) 상기 (c) 내지 (e) 단계를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절토부 옹벽을 완성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앵커패널 및 중간패널은 절토면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앵커패널 및 중간패널과 절토면 사이 공간에는 채움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앵커부재에 의해 절토부 전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앵커패널 사이에 단부 일부가 앵커패널 배면에 지지되는 중간패널이 위치하므로, 중간패널 지지를 위한 앵커부재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절토부 옹벽 시공시 앵커부재의 설치 개소를 대폭 줄일 수 있어, 공기 및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이웃하는 앵커패널 사이에 중간패널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시공하면 되므로, 현장 시공성이 우수하다.
셋째, 앵커부재의 하중을 지지하는 앵커패널에 비하여 중간패널은 하중 부담이 적으므로, 중간패널의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넷째, 앵커패널과 중간패널 전면 간 단차 형성시 입체적으로 옹벽 전면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외관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앵커패널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중간패널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의 (a)와 (b)는 각각 앵커패널과 중간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제1단턱부가 구비된 앵커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제2단턱부가 구비된 중간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앵커패널과 중간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몰드에 의한 앵커패널 제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이격부재가 구비된 앵커패널과 중간패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상향식 절토부 옹벽의 시공 방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하향식 절토부 옹벽의 시공 방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앵커패널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중간패널의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은 절토부(1) 배면 지반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절토부(1)의 전면에 설치되는 절토부 옹벽에 관한 것으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앵커부재(4)에 의해 절토부(1)의 전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앵커패널(2); 및 인접하는 4개의 앵커패널(2)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단부 일부가 인접하는 앵커패널(2)의 배면에 지지되어 앵커패널(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복수의 중간패널(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PC 패널을 이용한 절토부 옹벽 시공시 앵커부재(4)의 설치 개소를 최소화하여 공기 및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현장 제작이 용이한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은 PC 부재인 앵커패널(2)과 중간패널(3)로 구성된다.
상기 앵커패널(2)과 중간패널(3)은 공장에서 선 제작하여 현장 반입하거나 현장 제작장에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앵커패널(2)은 앵커부재(4)에 의해 절토부(1)의 전면에 고정된다.
상기 앵커패널(2)은 복수 개가 수평 방향(옹벽 좌우 방향) 및 수직 방향(옹벽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앵커부재(4)는 앵커패널(2)을 설치하기 전에 먼저 절토면에 시공되는 것으로, 앵커패널(2)은 앵커부재(4)와 결합되어 절토면 전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앵커패널(2)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선 설치된 앵커부재(4)의 단부가 관통공을 관통하여 절토부(1) 전면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패널(2)의 전면에서 고정너트 등을 앵커부재(4)의 단부에 체결하여 앵커패널(2)을 고정한다.
상기 앵커부재(4)는 그라운드 앵커, 소일 네일, 록 볼트 등일 수 있다.
상기 중간패널(3)은 상호 이격된 앵커패널(2)의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중간패널(3)은 단부 일부가 인접하는 앵커패널(2)의 배면에 지지되어 앵커패널(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즉, 상기 중간패널(3)은 단부가 앵커패널(2)의 배면에 지지된다. 상기 중간패널(3)은 양측의 앵커패널(2) 사이로 삽입되어 별도의 앵커부재(4) 없이 인접하는 앵커패널(2)에 의해 절토면 전면에 고정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앵커패널(2)은 그 자체로 옹벽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중간패널(3)을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그러므로 절토면에 시공되는 앵커부재(4)의 설치 개소를 대폭 줄일 수 있어, 앵커부재(4) 시공을 위한 공기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패널(3)은 앵커부재(4)의 하중을 지지하는 앵커패널(2)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중이 작게 작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중간패널(3)은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하중 부담이 경감되고, 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앵커패널(2)과 중간패널(3)의 전면 간 단차 형성시 입체적으로 옹벽 전면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외관이 향상된다.
도 1 등에서와 같이, 상기 앵커패널(2)은 각 단마다 절토부(1) 전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중간패널(3)은 기설치된 앵커패널(2)의 배면에 삽입되어 걸려야 하므로, 앵커패널(2)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패널(3)은 4개의 날개부(3a, 3b, 3c)가 돌출된 +자형으로 형성되어 각 날개부(3a, 3b, 3c)는 인접하는 2개의 앵커패널(2) 사이에 구비되고, 각 날개부(3a, 3b, 3c)는 이웃하는 중간패널(3)의 대응되는 날개부(3b, 3a, 3c)와 단부가 서로 밀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패널(3)은 4개의 날개부(3a, 3b, 3c)가 상하좌우로 돌출되어 +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는 상부 날개부(3a), 하부 날개부(3b) 및 한 쌍의 측면 날개부(3c)로 구성 가능하다.
이에 따라 중간패널(3)과 앵커패널(2)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으며, 중간패널(3)은 상하 및 양측의 4개 앵커패널(2)에 의해 지지 가능하다. 즉, 상기 중간패널(3)은 상하에 위치한 앵커패널(2)에 의해 수직 방향 위치가 고정되고, 좌우에 위치한 앵커패널(2)에 의해 수평 방향 위치가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앵커패널(2)의 네 모서리에 중간패널(3)의 하중이 균등하게 전달되므로, 옹벽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간패널(3)의 상하부 날개부(3a, 3b)와 좌우의 측면 날개부(3c)는 각각 앵커패널(2)의 높이 및 폭의 1/2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의 최상단과 최하단, 그리고 좌우 측단은 날개부(3a, 3b, 3c)의 1/2 길이에 해당하는 단부중간패널(3')을 설치하여 옹벽의 마구리면을 마무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날개부(3a, 3b, 3c)의 길이를 2배로 연장하여 옹벽 단부를 마무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의 (a)와 (b)는 각각 앵커패널과 중간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제1단턱부가 구비된 앵커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패널(2)의 측단부 전면에는 중간패널(3)의 단부가 걸리는 제1단턱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앵커패널(2)의 단부에서 중간패널(3)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앵커패널(2)의 측단부 전면에는 중간패널(3)의 단부가 걸리는 제1단턱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시공 오차 등을 고려하여 앵커패널(2)과 중간패널(3) 사이에는 어느 정도 유격이 불가피하다. 상기 앵커패널(2)의 제1단턱부(21)는 앵커패널(2)과 중간패널(3) 사이 유격을 덮어 절토면의 노출이나 토사 유출을 방지한다. 아울러 이러한 유격을 통하여 잡초가 생장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패널(2) 및 중간패널(3)은 철근 또는 와이어메쉬 등의 보강부재(23, 33)로 보강 가능하다.
도 6은 제2단턱부가 구비된 중간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의 (b),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패널(3)의 측단부 후면에는 상기 제1단턱부(21)의 배면에 걸리는 제2단턱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패널(3)의 단부에는 앵커패널(2)의 제1단턱부(21)와 대응되도록 제2단턱부(31)를 형성하여, 앵커패널(2)의 제1단턱부(21)에 제2단턱부(31)가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간패널(3)의 두께에 따라 옹벽 전면의 입체감을 조절하기 용이하다.
도 7은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앵커패널과 중간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몰드에 의한 앵커패널 제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패널(2)의 측단부는 전면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간패널(3)의 측단부는 앵커패널(2) 측단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앵커패널(2)과 중간패널(3)의 측단부를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경우, 이웃하는 경사면에 걸려 중간패널(3)이 지지 가능하다.
상기 중간패널(3)이 경사면에 의해 지지될 경우, 절토면 레벨이 불규칙하여 레벨 차이가 있더라도 경사면에서 오차 흡수가 가능하다.
물론,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널(2, 3)의 측단부에 단턱부(21, 31)가 형성된 경우에도 단부를 경사면으로 형성 가능하다.
상기 패널(2, 3)의 측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경우, 패널(2, 3) 제작시 몰드(6)로부터 탈형하기 용이하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6)의 개방된 상면(자유면)이 패널(2, 3)의 전면, 노출 측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도 8).
상기 패널(2, 3)의 노출된 자유면은 몰드(6) 면에 닿지 않아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미관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몰드(6)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어느 정도 경화가 진행된 상태에서 문양판으로 상면을 누르거나 콘크리트 상면에 컬러파우더를 도포하여 다양한 질감과 색감을 표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이격부재가 구비된 앵커패널과 중간패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패널(2)과 중간패널(3)의 배면에는 이격부재(22, 32)가 구비될 수 있다.
절토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 절토부 옹벽의 선형을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앵커패널(2)과 중간패널(3)의 배면에는 옹벽이 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 패널(2, 3)을 절토부(1)의 전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이격부재(22, 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22, 32)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절토면의 평활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패널(2, 3) 전면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토부(1)와 패널(2, 3) 사이 이격된 공간에는 채움재(7)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채움재(7)는 골재, 콘크리트, 모르타르, 시멘트 그라우트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도 10은 상향식 절토부 옹벽의 시공 방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의 시공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시공 방법은 일정 높이의 절토면(10)을 일괄 형성한 다음, 하부에서 상부로 옹벽을 시공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의 시공 방법에서는 먼저 (a) 원지반을 절토하여 절토면(10)을 형성한다(도 10의 (a)).
상기 절토면(10)은 옹벽이 설치될 전체 높이를 절토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토면(10)의 하부에는 기초부(미도시)가 시공된다.
그리고 (b) 상기 절토면(10)의 최하부에 복수의 앵커패널(2)을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절토면(10)에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4)를 앵커패널(2)에 각각 고정한다(도 10의 (b)).
이 단계에서는 상기 절토면(10)의 전면에 앵커패널(2)을 설치한다.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4)가 앵커패널(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앵커패널(2)을 위치시키고, 앵커패널(2) 전면에서 고정너트를 체결하여 앵커부재(4)를 앵커패널(2)과 고정한다.
상기 앵커부재(4)는 절토면(10) 전체에 일괄 설치하거나 각 앵커패널(2) 설치 직전에 해당 앵커부재(4)만 설치하고 순차적으로 상향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c) 상기 중간패널(3)의 하부 날개부(3b)가 인접하는 앵커패널(2)의 사이에 삽입되어 양측의 앵커패널(2)에 의해 지지되도록 중간패널(3)을 앵커패널(2)의 상부에 설치한다(도 10의 (c)).
좌우로 이격된 앵커패널(2)의 사이에 중간패널(3)의 하부 날개부(3b)가 삽입되도록 중간패널(3)을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패널(3)을 설치하기 전 이웃하는 앵커패널(2) 사이 하부에는 단부중간패널(3')을 먼저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패널(3)의 좌우 측면 날개부(3c)는 하부에 위치하는 좌우 앵커패널(2)의 상단에 걸린다. 그리고 상기 중간패널(3)의 하단은 하부에 위치하는 단부중간패널(3') 상부에 지지되어 중간패널(3)의 수직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중간패널(3)의 하부 전면이 앵커패널(2)에 의해 고정된다.
이후, (d) 상기 중간패널(3) 상부의 상부 날개부(3a) 양측에 앵커패널(2)을 설치하여 중간패널(3)을 지지하고, 절토면(10)에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4)를 앵커패널(2)에 각각 고정한다(도 10의 (d)).
상기 (d) 단계에서는 중간패널(3)의 양측 상부에 앵커패널(2)을 설치하고 앵커패널(2)을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4)에 고정하여 중간패널(3)의 상부 전면도 앵커패널(2)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중간패널(3)이 상하좌우 4부분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e) 상기 (c) 단계 및 (d) 단계를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절토부 옹벽을 완성한다.
도 11은 하향식 절토부 옹벽의 시공 방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시공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을 탑 다운으로 하향 시공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절토부(1)를 일괄 절토하는 경우, 절토면(10)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오픈컷으로 절토해야 하므로 토공량이 크게 증가하고, 나중에 채움 공정에 자재 및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 경우 절토부(1) 토공 및 옹벽 배면 채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탑다운 방식으로 하향 시공하여 옹벽을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의 시공 방법에서는 먼저 (a) 원지반 상부를 절토하여 제1단 절토면(11)을 형성한다(도 11의 (a)).
상기 (a) 단계에서는 지반을 상단 1단만 먼저 절토하여 제1단 절토면(11)을 형성하고, 앵커부재(4)를 시공한다.
그리고 (b) 복수의 앵커패널(2)을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제1단 절토면(11)에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4)를 앵커패널(2)에 각각 고정한다(도 11의 (b)).
상기 앵커패널(2)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상호 이격되도록 제1단 절토면(11)의 전면에서 복수 개 설치한다. 그리고 앵커패널(2)을 앵커부재(4)에 고정한다.
상기 앵커부재(4)는 앵커패널(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앵커패널(2)의 전면에서 고정너트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다음으로, (c) 상기 제1단 절토면(11) 하부의 원지반을 절토하여 제2단 절토면(12)을 형성한다(도 11의 (c)).
즉, 상기 제1단 절토면(11)의 하부를 절토하여 제2단 절토면(12)을 형성한다.
상기 앵커패널(2)은 앵커부재(4)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1단 절토면(11)의 하부를 절토하더라도 별도의 지지부재가 불필요하다.
이후, (d) 상부 날개부(3a)가 인접하는 앵커패널(2)의 사이에 삽입되어 양측의 앵커패널(2)에 의해 지지되도록 중간패널(3)을 앵커패널(2)의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중간패널(3)의 하부를 지지부재(5)로 지지한다(도 11의 (d)).
이 경우, 좌우로 이격 배치되는 앵커패널(2) 사이에 중간패널(3)의 상부 날개부(3a)가 삽입되도록 중간패널(3)을 하부에서 상부로 밀어올려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패널(3)을 설치하기 전에 좌우로 이웃하는 앵커패널(2) 사이 상부에는 단부중간패널(3')을 먼저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패널(3)의 상부 전면이 앵커패널(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중간패널(3)을 완전히 밀어올린 후에는 하부에 가설 부재인 지지부재(5)를 설치하여 지지시킨다.
상기 제2단 절토면(12)의 하부 지반이 평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5)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e) 상기 중간패널(3) 하부의 하부 날개부(3b) 양측에 앵커패널(2)을 설치하여 중간패널(3)을 지지하고, 제2단 절토면(12)에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4)를 앵커패널(2)에 각각 고정한 후 상기 지지부재(5)를 제거한다(도 11의 (e)).
상기 중간패널(3)의 양측 하부에 앵커패널(2)을 절토면 전면에서 설치하고, 앵커패널(2)을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4)에 고정하여 중간패널(3)의 좌우 전면도 앵커패널(2)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중간패널(3)이 상하좌우 4부분에서 고정된다.
상기 중간패널(3)의 하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양측 앵커패널(2)에 의해 지지되므로, 지지부재(5)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앵커부재(4)는 제2단 절토면(12) 시공 후 중간패널(3) 설치 전 또는 중간패널(3) 설치 후 시공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f) 상기 (c) 내지 (e) 단계를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절토부 옹벽을 완성한다.
상기 앵커패널(2) 및 중간패널(3)은 절토면(10)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앵커패널(2) 및 중간패널(3)과 절토면(10) 사이 공간에는 채움재(7)가 충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절토면(10)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 옹벽의 선형을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앵커패널(2)과 중간패널(3)의 배면은 옹벽이 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 패널(2, 3)을 절토면(10)의 전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절토면(10)과 패널(2, 3) 사이 이격된 공간에 채움재(7)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채움재(7)는 골재, 콘크리트, 모르타르, 시멘트 그라우트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1: 절토부 10: 절토면
11: 제1단 절토면 12: 제2단 절토면
2: 앵커패널 21: 제1단턱부
22: 이격부재 23: 보강부재
3: 중간패널 3': 단부중간패널
3a: 상부 날개부 3b: 하부 날개부
3c: 측면 날개부 31: 제2단턱부
32: 이격부재 33: 보강부재
4: 앵커부재 5: 지지부재
6: 몰드 7: 채움재

Claims (9)

  1. 절토부(1) 배면 지반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절토부(1)의 전면에 설치되는 절토부 옹벽에 관한 것으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앵커부재(4)에 의해 절토부(1)의 전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앵커패널(2); 및
    인접하는 4개의 앵커패널(2)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단부 일부가 인접하는 앵커패널(2)의 배면에 지지되어 앵커패널(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복수의 중간패널(3); 로 구성되되,
    상기 중간패널(3)은 4개의 날개부(3a, 3b, 3c)가 돌출된 +자형으로 형성되어 각 날개부(3a, 3b, 3c)는 인접하는 2개의 앵커패널(2) 사이에 구비되고, 각 날개부(3a, 3b, 3c)는 이웃하는 중간패널(3)의 대응되는 날개부(3b, 3a, 3c)와 단부가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앵커패널(2)의 측단부 전면에는 중간패널(3)의 단부가 걸리는 제1단턱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4. 제3항에서,
    상기 중간패널(3)의 측단부 후면에는 상기 제1단턱부(21)의 배면에 걸리는 제2단턱부(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5. 제1항에서,
    상기 앵커패널(2)의 측단부는 전면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패널(3)의 측단부는 앵커패널(2) 측단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6. 제1항에서,
    상기 앵커패널(2)과 중간패널(3)의 배면에는 이격부재(22, 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7. 제1항에 의한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원지반을 절토하여 절토면(10)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절토면(10)의 최하부에 복수의 앵커패널(2)을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절토면(10)에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4)를 앵커패널(2)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중간패널(3)의 하부 날개부(3b)가 인접하는 앵커패널(2)의 사이에 삽입되어 양측의 앵커패널(2)에 의해 지지되도록 중간패널(3)을 앵커패널(2)의 상부에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중간패널(3) 상부의 상부 날개부(3a) 양측에 앵커패널(2)을 설치하여 중간패널(3)을 지지하고, 절토면(10)에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4)를 앵커패널(2)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c) 단계 및 (d) 단계를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절토부 옹벽을 완성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의 시공 방법.
  8. 제1항에 의한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a) 원지반 상부를 절토하여 제1단 절토면(11)을 형성하는 단계;
    (b) 복수의 앵커패널(2)을 수평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제1단 절토면(11)에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4)를 앵커패널(2)에 각각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제1단 절토면(11) 하부의 원지반을 절토하여 제2단 절토면(12)을 형성하는 단계;
    (d) 상부 날개부(3a)가 인접하는 앵커패널(2)의 사이에 삽입되어 양측의 앵커패널(2)에 의해 지지되도록 중간패널(3)을 앵커패널(2)의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중간패널(3)의 하부를 지지부재(5)로 지지하는 단계;
    (e) 상기 중간패널(3) 하부의 하부 날개부(3b) 양측에 앵커패널(2)을 설치하여 중간패널(3)을 지지하고, 제2단 절토면(12)에 미리 설치된 앵커부재(4)를 앵커패널(2)에 각각 고정한 후 상기 지지부재(5)를 제거하는 단계; 및
    (f) 상기 (c) 내지 (e) 단계를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절토부 옹벽을 완성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의 시공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서,
    상기 앵커패널(2) 및 중간패널(3)은 절토면(10)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앵커패널(2) 및 중간패널(3)과 절토면(10) 사이 공간에는 채움재(7)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의 시공 방법.
KR1020200055979A 2020-05-11 2020-05-11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68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979A KR102368633B1 (ko) 2020-05-11 2020-05-11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979A KR102368633B1 (ko) 2020-05-11 2020-05-11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42A KR20210137742A (ko) 2021-11-18
KR102368633B1 true KR102368633B1 (ko) 2022-03-03

Family

ID=7871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979A KR102368633B1 (ko) 2020-05-11 2020-05-11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6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993B1 (ko) * 2008-02-25 2009-06-11 박태영 영구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조립장치
JP2009221777A (ja) * 2008-03-18 2009-10-01 Nishi Nippon Spc Kk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619029B1 (ko) * 2015-11-25 2016-05-11 한국수자원공사 비정형 곡면 구성이 가능한 pc패널을 적용한 rcc댐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580B1 (ko) * 2008-03-21 2011-05-30 심석래 사면 식생용 옹벽
KR101211469B1 (ko) * 2011-05-26 2012-12-18 허혁훈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993B1 (ko) * 2008-02-25 2009-06-11 박태영 영구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조립장치
JP2009221777A (ja) * 2008-03-18 2009-10-01 Nishi Nippon Spc Kk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619029B1 (ko) * 2015-11-25 2016-05-11 한국수자원공사 비정형 곡면 구성이 가능한 pc패널을 적용한 rcc댐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42A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545B1 (ko)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US5233810A (en) Method of constructing a wall
JP201651517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擁壁
KR101574253B1 (ko) Pc패널을 이용한 트윈 월 구조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419863B1 (ko)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이 적용되는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
US20220081868A1 (en)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10067382A1 (en) Prefabricated housing basement st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5596876B1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製造装置及びプレキャスト床版の製造方法
JP2022175669A (ja) べた基礎の構築方法
JP7232714B2 (ja) 基礎の構築方法
KR102368633B1 (ko) 앵커패널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57763B1 (ko) 앵커패널과 개비온월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23810B1 (ko) 세굴 방지용 보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42105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101880813B1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091600B1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KR101050271B1 (ko) 기초공사 시공방법
JPH07113240A (ja) 住宅用布基礎とその施工方法
JPH06306874A (ja) フーチング基礎用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2582018B1 (ko) 철골보 단부 매립형 테두리보를 이용한 철골보 역타공법
KR101316717B1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pc 벽체, 그 제작 및 시공방법
KR100782995B1 (ko) 방음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방음벽 및 이의 시공방법
JP2927783B1 (ja) 鉄筋コンクリート布基礎の天端レベル調整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布基礎部材
JP3061724U (ja) 基礎ブロック及び建築用基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