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367B1 - 기초 구조물 - Google Patents

기초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367B1
KR101756367B1 KR1020160042156A KR20160042156A KR101756367B1 KR 101756367 B1 KR101756367 B1 KR 101756367B1 KR 1020160042156 A KR1020160042156 A KR 1020160042156A KR 20160042156 A KR20160042156 A KR 20160042156A KR 101756367 B1 KR101756367 B1 KR 10175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anel
molding
uni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금속
Priority to KR1020160042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 보안등, 신호등, 펜스 기둥 등을 설치하기 위해 지면에 매립하는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 구조물은 하부 몰딩부(100)와 상부 연결부(300)가 중간 지지부(200)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 공간(500)에 흙이 채워지며, 하부 몰딩부(100)가 복수개의 몰딩 유니트(110)로 구성되어, 각각의 몰딩 유니트(110)가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중간 지지부(200)가 몰딩 유니트(110)의 수와 같은 수의 서포팅 유니트(210)로 구성되어, 각각의 서포팅 유니트(210)가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하부 몰딩부(100)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상부 연결부(3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이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상부 연결부(300)에 기둥(400)의 받침판(410)이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초 구조물{POUND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가로등, 보안등, 신호등, 펜스 기둥 등을 설치하기 위해 지면에 매립하는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몰딩부를 구성하는 몰딩 유니트, 중간 지지부를 구성하는 서포팅 유니트 및 상부 연결부가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운반되고, 굴토된 흙이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077238호(2011년 10월 20일, 등록)에 "기둥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기초 기둥은 상측이 개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기둥의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되기 위한 장착볼트가 장착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다수로 마련되며, 외측으로부터 장착공간의 바닥면에 도달하는 전선관이 설치되는 기초부와, 장착볼트와 전선관의 전선이 관통하도록 제 1 및 제 2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측면에 수준기가 설치되며, 장착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측면에 베이스플레이트가 설치되는 레벨플레이트와, 제 1 관통홀을 통해서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장착볼트에 체결되는 다수의 장착너트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기초 기둥은 콘크리트 타설 구조물로, 산 정상이나 도서 지역같이 외진 곳에 설치할 경우, 시멘트, 목재 또는 플라스틱 몰딩 등을 운반해야 하는 어려움과, 기초 구조물 설치를 위해 파낸 흙을 처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 정상이나 도서 지역같이 외진 곳에 가로등, 보안등, 신호등, 펜스 기둥 등과 같은 기둥을 설치해야 할 경우, 하부 몰딩부를 구성하는 몰딩 유니트, 중간 지지부를 구성하는 서포팅 유니트 및 상부 연결부가 각각 분리 상태로 운반되고, 몰딩 유니트, 서포팅 유니트 및 상부 연결부가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운반이 편리하고 운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굴토된 흙을 다시 내부공간에 채움으로써, 무거운 시멘트 등의 운반이 요구되지 않고, 굴토된 흙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초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초 구조물은 하부 몰딩부와 상부 연결부가 중간 지지부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 공간에 흙이 채워지며, 하부 몰딩부가 복수개의 몰딩 유니트로 구성되어, 각각의 몰딩 유니트가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중간 지지부가 몰딩 유니트의 수와 같은 수의 서포팅 유니트로 구성되어, 각각의 서포팅 유니트가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하부 몰딩부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상부 연결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이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상부 연결부에 기둥의 받침판이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딩 유니트는 바닥패널의 모서리에 가로 벽체와 세로 벽체가 세워져, 가로 벽체에 대해 세로 벽체가 절곡되며, 가로 벽체의 상단에 제 1 상부 수평 플랜지가 형성되고, 가로 벽체의 측단에 제 1 높이 플랜지가 형성되며, 세로 벽체의 상단에 제 2 상부 수평 플랜지가 형성되고, 세로 벽체의 측단에 제 2 높이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몰딩부는 2개의 몰딩 유니트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몰딩 유니트를 더 포함하면, 보조 몰딩 유니트의 상단에 제 3 상부 수평 플랜지가 형성되고, 보조 몰딩 유니트의 양 측단에 제 3 높이 플랜지 및 제 4 높이 플랜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팅 유니트는 가로 패널부와 세로 패널부로 구성되고, 가로 패널부의 측단에서 세로 패널부가 절곡되며, 가로 패널부의 측단에 제 5 높이 플랜지가 형성되고, 세로 패널부의 측단에 제 6 높이 플랜지가 형성되며, 가로 패널부가 제 1 상부 사각패널과 제 1 하부 경사패널로 구성되고, 제 1 상부 사각패널의 하부에 제 1 하부 경사패널이 배치되며, 제 1 상부 사각패널의 상단에 제 4 상부 수평 플랜지가 형성되고, 제 1 하부 경사패널의 하단에 제 5 하부 수평 플랜지가 형성되며, 세로 패널부가 제 2 상부 사각패널과 제 2 하부 경사패널로 구성되고, 제 2 상부 사각패널의 하부에 제 2 하부 경사패널이 배치되며, 제 2 상부 사각패널의 상단에 제 6 상부 수평 플랜지가 형성되고, 제 2 하부 경사패널의 하단에 제 7 하부 수평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 지지부는 2개의 서포팅 유니트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서포팅 유니트를 더 포함하면, 보조 서포팅 유니트의 상단에 제 8 상부 수평 플랜지가 형성되고, 보조 서포팅 유니트의 하단에 제 9 하부 수평 플랜지가 형성되고, 보조 서포팅 유니트의 양 측단에 제 7 높이 플랜지 및 제 8 높이 플랜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연결부는 중공부가 형성된 본체의 상단 둘레에 상부 플랜지가 형성되고, 본체의 하단 둘레에 하부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부 플랜지에 복수개의 장공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기둥의 받침판 형상에 대응되게 원통, 사각통 또는 다면체통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기초 구조물은 산 정상이나 도서 지역같이 외진 곳에 가로등, 보안등, 신호등, 펜스 기둥 등과 같은 기둥을 설치해야 할 경우, 몰딩 유니트, 서포팅 유니트 및 상부 연결부를 각각 분리 상태로 운반함으로써, 운반이 편리하고 운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굴토된 흙을 다시 내부공간에 채움으로써, 무거운 시멘트 등의 운반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굴토된 흙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멘트로 인한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구조물이 설치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하부 몰딩부의 몰딩 유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보조 몰딩 유니트에 의해 부피가 커진 하부 몰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중간 지지부의 서포팅 유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보조 서포팅 유니트에 의해 부피가 커진 중간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상부 연결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초 구조물은 하부 몰딩부(100)와 상부 연결부(300)가 중간 지지부(200)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 공간(500)에 흙이 채워지며, 하부 몰딩부(100)가 복수개의 몰딩 유니트(110)로 구성되어, 각각의 몰딩 유니트(110)가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중간 지지부(200)가 몰딩 유니트(110)의 수와 같은 수의 서포팅 유니트(210)로 구성되어, 각각의 서포팅 유니트(210)가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하부 몰딩부(100)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상부 연결부(3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이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상부 연결부(300)에 기둥(400)의 받침판(410)이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몰딩 유니트(110)는 바닥패널(111)의 모서리에 가로 벽체(112)와 세로 벽체(113)가 세워져, 가로 벽체(112)에 대해 세로 벽체(113)가 절곡되며, 가로 벽체(112)의 상단에 제 1 상부 수평 플랜지(114)가 형성되고, 가로 벽체(112)의 측단에 제 1 높이 플랜지(115)가 형성되며, 세로 벽체(113)의 상단에 제 2 상부 수평 플랜지(116)가 형성되고, 세로 벽체(113)의 측단에 제 2 높이 플랜지(117)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어느 한 몰딩 유인트(110)의 제 1 높이 플랜지(115)가 이웃하는 몰딩 유니트의 제 1 높이 플랜지와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몰딩 유니트(110)의 제 2 높이 플랜지(117)가 이웃하는 몰딩 유니트의 제 2 높이 플랜지와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몰딩 유니트(110)는 가로 벽체(112) 또는 세로 벽체(113) 중 어느 하나에 배수구멍(118)이 형성되거나, 또는 가로 벽체(112)와 세로 벽체(113) 각각에 배수구멍(118)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또한, 상기 하부 몰딩부(100)는 2개의 몰딩 유니트(110)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몰딩 유니트(120)를 더 포함하면, 보조 몰딩 유니트(120)의 상단에 제 3 상부 수평 플랜지(121)가 형성되고, 보조 몰딩 유니트(120)의 양 측단에 제 3 높이 플랜지(123) 및 제 4 높이 플랜지(124)가 각각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하부 몰딩부(100)의 크기를 더 크게 해야 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몰딩 유니트(110) 사이에 보조 유니트(120)가 배치되고, 보조 유니트(120)의 제 3 높이 플랜지(123) 및 제 4 높이 플랜지(124)가 이웃하는 몰딩 유니트(110)의 제 1 높이 플랜지(115)와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되거나, 보조 유니트(120)의 제 3 높이 플랜지(123) 및 제 4 높이 플랜지(124)가 이웃하는 몰딩 유니트(110)의 제 2 높이 플랜지(117)와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서포팅 유니트(210)는 가로 패널부(211)와 세로 패널부(221)로 구성되고, 가로 패널부(211)의 측단에서 세로 패널부(221)가 절곡되며, 가로 패널부(211)의 측단에 제 5 높이 플랜지(214)가 형성되고, 세로 패널부(221)의 측단에 제 6 높이 플랜지(224)가 형성되며, 가로 패널부(211)가 제 1 상부 사각패널(212)과 제 1 하부 경사패널(213)로 구성되고, 제 1 상부 사각패널(212)의 하부에 제 1 하부 경사패널(213)이 배치되며, 제 1 상부 사각패널(212)의 상단에 제 4 상부 수평 플랜지(215)가 형성되고, 제 1 하부 경사패널(213)의 하단에 제 5 하부 수평 플랜지(216)가 형성되며, 세로 패널부(221)가 제 2 상부 사각패널(222)과 제 2 하부 경사패널(223)로 구성되고, 제 2 상부 사각패널(222)의 하부에 제 2 하부 경사패널(223)이 배치되며, 제 2 상부 사각패널(222)의 상단에 제 6 상부 수평 플랜지(225)가 형성되고, 제 2 하부 경사패널(223)의 하단에 제 7 하부 수평 플랜지(226)가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 지지부(200)는 2개의 서포팅 유니트(210)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서포팅 유니트(230)를 더 포함하면, 보조 서포팅 유니트(230)의 상단에 제 8 상부 수평 플랜지(231)가 형성되고, 보조 서포팅 유니트(230)의 하단에 제 9 하부 수평 플랜지(232)가 형성되고, 보조 서포팅 유니트(230)의 양 측단에 제 7 높이 플랜지(233) 및 제 8 높이 플랜지(234)가 각각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중간 지지부(200)는 하부 몰딩부(100)의 크기가 커질 경우, 하부 몰딩부(100)의 크기에 대응되게 크기를 키울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서포팅 유니트(210) 사이에 보조 서포팅 유니트(230)가 배치되고, 보조 서포팅 유니트(230)의 제 7 높이 플랜지(233) 및 제 8 높이 플랜지(234)가 이웃하는 서포팅 유니트(210)의 제 5 높이 플랜지(214) 및 제 6 높이 플랜지(217)와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상부 연결부(300)는 중공부(311)가 형성된 본체(310)의 상단 둘레에 상부 플랜지(312)가 형성되고, 본체(310)의 하단 둘레에 하부 플랜지(313)가 형성되며, 상부 플랜지(312)에 복수개의 장공(314)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310)는 기둥(400)의 받침판(410) 형상에 대응되게 원통(도 1 참조), 사각통(도 8 참조) 또는 다면체통(도시하지 않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초 구조물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기둥을 세우기 위한 기초를 형성하기 위해, 땅을 파고, 하부 몰딩부(100), 중간 지지부(200) 및 상부 연결부(300)를 조립한다.
이후, 조립된 기초 구조물을 지면에 형성된 홈에 넣고, 수평을 맞춘후, 굴토된 흙을 기초 구조물에 채워넣은 후, 상부 연결부(300)의 상부 플랜지(312)에 기둥(400)의 받침판(410)을 볼트(420)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플랜지(312)에 복수개의 장공(314)이 형성되어, 기둥(400)에 장착된 장착물(도시하지 않음)의 배치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 구조물은 산 정상이나 도서 지역같이 외진 곳에 가로등, 보안등, 신호등, 펜스 기둥 등과 같은 기둥을 설치해야 할 경우, 하부 몰딩부(100)의 몰딩 유니트(1100, 중간 지지부(200)의 서포팅 유니트(210) 및 상부 연결부(300)를 운반하기 때문에, 무거운 시멘트 등이 요구되지 않아, 운반이 편리하고 운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굴토된 흙을 다시 기초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채움으로써, 굴토된 흙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멘트로 인한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100 : 하부 몰딩부 110 : 몰딩 유니트
200 : 중간 지지부 210 : 서포팅 유니트
300 : 상부 연결부

Claims (7)

  1. 하부 몰딩부(100)와 상부 연결부(300)가 중간 지지부(200)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 공간(500)에 흙이 채워지며, 하부 몰딩부(100)가 복수개의 몰딩 유니트(110)로 구성되어, 각각의 몰딩 유니트(110)가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중간 지지부(200)가 몰딩 유니트(110)의 수와 같은 수의 서포팅 유니트(210)로 구성되어, 각각의 서포팅 유니트(210)가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하부 몰딩부(100)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상부 연결부(30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단이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상부 연결부(300)에 기둥(400)의 받침판(410)이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 연결부(300)는 중공부(311)가 형성된 본체(310)의 상단 둘레에 상부 플랜지(312)가 형성되고, 본체(310)의 하단 둘레에 하부 플랜지(313)가 형성되며, 상부 플랜지(312)에 복수개의 장공(314)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유니트(110)는 바닥패널(111)의 모서리에 가로 벽체(112)와 세로 벽체(113)가 세워져, 가로 벽체(112)에 대해 세로 벽체(113)가 절곡되며, 가로 벽체(112)의 상단에 제 1 상부 수평 플랜지(114)가 형성되고, 가로 벽체(112)의 측단에 제 1 높이 플랜지(115)가 형성되며, 세로 벽체(113)의 상단에 제 2 상부 수평 플랜지(116)가 형성되고, 세로 벽체(113)의 측단에 제 2 높이 플랜지(1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몰딩부(100)는 2개의 몰딩 유니트(110)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몰딩 유니트(120)를 더 포함하면, 보조 몰딩 유니트(120)의 상단에 제 3 상부 수평 플랜지(121)가 형성되고, 보조 몰딩 유니트(120)의 양 측단에 제 3 높이 플랜지(123) 및 제 4 높이 플랜지(124)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유니트(210)는 가로 패널부(211)와 세로 패널부(221)로 구성되고, 가로 패널부(211)의 측단에서 세로 패널부(221)가 절곡되며, 가로 패널부(211)의 측단에 제 5 높이 플랜지(214)가 형성되고, 세로 패널부(221)의 측단에 제 6 높이 플랜지(224)가 형성되며, 가로 패널부(211)가 제 1 상부 사각패널(212)과 제 1 하부 경사패널(213)로 구성되고, 제 1 상부 사각패널(212)의 하부에 제 1 하부 경사패널(213)이 배치되며, 제 1 상부 사각패널(212)의 상단에 제 4 상부 수평 플랜지(215)가 형성되고, 제 1 하부 경사패널(213)의 하단에 제 5 하부 수평 플랜지(216)가 형성되며, 세로 패널부(221)가 제 2 상부 사각패널(222)과 제 2 하부 경사패널(223)로 구성되고, 제 2 상부 사각패널(222)의 하부에 제 2 하부 경사패널(223)이 배치되며, 제 2 상부 사각패널(222)의 상단에 제 6 상부 수평 플랜지(225)가 형성되고, 제 2 하부 경사패널(223)의 하단에 제 7 하부 수평 플랜지(2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부(200)는 2개의 서포팅 유니트(210) 사이에 배치되는 보조 서포팅 유니트(230)를 더 포함하면, 보조 서포팅 유니트(230)의 상단에 제 8 상부 수평 플랜지(231)가 형성되고, 보조 서포팅 유니트(230)의 하단에 제 9 하부 수평 플랜지(232)가 형성되고, 보조 서포팅 유니트(230)의 양 측단에 제 7 높이 플랜지(233) 및 제 8 높이 플랜지(234)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구조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10)는 기둥(400)의 받침판(410) 형상에 대응되게 원통, 사각통, 또는 다면체통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 구조물.
KR1020160042156A 2016-04-06 2016-04-06 기초 구조물 KR101756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156A KR101756367B1 (ko) 2016-04-06 2016-04-06 기초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156A KR101756367B1 (ko) 2016-04-06 2016-04-06 기초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367B1 true KR101756367B1 (ko) 2017-07-11

Family

ID=5935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156A KR101756367B1 (ko) 2016-04-06 2016-04-06 기초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909B1 (ko) * 2023-07-11 2024-02-15 주식회사 다인그룹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휀스 설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휀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2270A1 (en) * 2009-07-08 2010-06-03 General Electric Wind Energy & Energy Services Modular surface foundation for wind turbine space frame towers
KR101133453B1 (ko) * 2011-09-10 2012-04-09 경일피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2270A1 (en) * 2009-07-08 2010-06-03 General Electric Wind Energy & Energy Services Modular surface foundation for wind turbine space frame towers
KR101133453B1 (ko) * 2011-09-10 2012-04-09 경일피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909B1 (ko) * 2023-07-11 2024-02-15 주식회사 다인그룹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휀스 설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558B2 (en) Anti-ram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04122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화장실 벽체 조립 구조
KR100948501B1 (ko)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KR100592720B1 (ko) 도로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0795084B1 (ko) 주주용 베이스
KR101707170B1 (ko) 지주 연결 구조물
KR101756367B1 (ko) 기초 구조물
KR101066388B1 (ko) 조립이 쉽고 수직 설치가 정확한 가로등주 매립형 설치구조틀 및 이의 설치 방법
US20160362890A1 (en) Precast concrete wall member and method of erecting the same
KR200494594Y1 (ko) 지주 설치용 구조물
KR101365236B1 (ko) 지주 고정용 조립식 모듈러 기초
KR20190010947A (ko)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매립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AU2012216706B2 (en) Fence plinth
KR102413915B1 (ko) 모듈블럭을 이용한 방음벽
KR101772938B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 매입형 프리캐스트 기초 구조물 및 이의 시공 공법
KR20210000098A (ko) 보도인접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1824176B1 (ko)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한 옹벽 블록
KR101984772B1 (ko) 기둥구조물 조립체
KR200186040Y1 (ko) 조립식 가로수 보호판
JP5197514B2 (ja) 動物侵入防止柵
KR102317730B1 (ko) 물탱크 받침용 기초 조립체
KR200453808Y1 (ko) 전도 안정성 향상 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기초 구조물
AU2007101254A4 (en) A modular fence system
KR101107784B1 (ko) 파일형 방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