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453B1 -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453B1
KR101133453B1 KR1020110092287A KR20110092287A KR101133453B1 KR 101133453 B1 KR101133453 B1 KR 101133453B1 KR 1020110092287 A KR1020110092287 A KR 1020110092287A KR 20110092287 A KR20110092287 A KR 20110092287A KR 101133453 B1 KR101133453 B1 KR 101133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oundation
frame
foundation stone
corner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회
Original Assignee
경일피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피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일피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2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바닥틀(2)과 함께 코너부재(6)와 연결부재(8)의 조립으로 된 조립형 측면틀(4)을 구비하여서, 하나의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의 부품 상당 수를 동일하게 이용하면서도 서로 형태가 다른 콘크리트 기초석(B)(B1)이라 하더라도 아래쪽과 윗쪽간이 이루는 경사면 각도를 조정하여서 해당 거푸집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각 콘크리트 기초석(B)(B1)의 높이도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나 사이즈의 콘크리트 기초석들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CONCRETE SUBSTRUCTURE MOLDS}
본 발명은 기초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콘크리트 기초석을 성형할 수 있는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이나 신호등 또는 각종 표지판은 지중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석에 의해 고정된다. 콘크리트 기초석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채워넣어 성형하는 것으로 아래쪽은 넓고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육면체형상의 안정적 구조이며, 가로등이나 신호등 작동에 요구되는 전기선을 내부로 통과시키는 통과공이 거푸집 성형시 기초석 내부에 함께 형성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기초석은 보안?주택기반 가로등, 도시기반 가로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가지 사이즈가 있으며, 요즈음 들어 인도의 공간확보나 자전거 전용도로 설치를 위한 공간확보, 지상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로경계석의 측면(수직벽면)과 동일한 면을 갖는 형태의 콘크리트 기초석 형상도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각 사이즈나 다양한 형태의 콘크리트 기초석을 제조하기 위해서 각각의 거푸집 성형틀이 요구되는 바 그에 때한 비용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한 하나의 성형틀로 다양한 종류와 여러 형태의 콘크리트 기초석을 성형할 수 있는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에 있어서, 사각형의 거푸집 바닥틀 상에 조립형 측면틀을 조립핀으로 조립 고정하여 콘크리트 기초석 제작용 거푸집을 구성하되, 거푸집 바닥틀의 각 사각모서리에는 코너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양측 코너부재 사이에는 연결부재를 배치하며 상기 코너부재와 연결부재의 좌우외곽 절곡접면부에는 원형 체결공과 장공형 체결공이 마주하게 형성되고 상호 체결공을 통해 조립핀으로 코너부재와 연결부재가 체결되어 거푸집 측벽각도를 규정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너부재에는 하단을 절곡한 바닥절곡 접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좌우외곽 절곡접면부 하단이 측벽각도조절용 경사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결부재는 좌우외곽 절곡접면부의 최하단으로부터 떨어진 좌우외곽 절곡접면부 하측간의 외면에 가로보강대가 고정되며 지관튜브 통과용 절취 원판이 연결부재의 본체판에 상하로 타공가능케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접 코너부재 사이에는 배나옴 방지용 보강대가 조립해체 가능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거푸집 바닥틀에는 다른 사이즈로 된 앵커프레임의 앵커볼트들이 수용할 수 있는 앵커수용장공이 대각선방향으로 형성되고, 앵커프레임의 앵커볼트에 노출높이 조절용 스토퍼가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능한 한 하나의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을 이용하면서도 도로 경계석의 전방면 및 측방면이 일체화되도록 하는 등의 수직벽을 갖는 변형 기초석 형태나 일반 형태의 사다리꼴 육면체 기초석을 다양한 측벽경사면이나 여러 사이즈를 갖도록 성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콘크리트 기초석의 제작 단가도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거푸집 코너부재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연결부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조립형 측면틀을 구성하는 코너부재와 연결부재의 설치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거푸집 코너부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립형 측면틀을 구성하는 코너부재와 연결부재의 설치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초석 성형틀에 콘크리트로 타설한 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초석 성형틀을 이용해 제작한 콘크리트 기초석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초석 성형틀을 이용해 제작한 콘크리트 기초석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의 구성부품을 상당수 동일하게 이용하면서도 도 1과 같은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A)이나 도 6과 같은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A1)과 같은 서로 다른 형태의 거푸집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의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A)은 아래쪽은 넓고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육면체형상으로서 도 10의 일 예와 같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기초석(B)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이고, 도 6의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A1)은 도로 경계석과 함께 맞춤 시공할 수 있도록 전방 수직벽면(60)을 갖는 도 11의 일예와 같은 콘크리트 기초석(B1)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이다. 도 1 및 도 6의 거푸집 즉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A)(A1)은 성형 완성된 콘크리트 기초석(B)(B1)의 탈형이 쉽도록 콘크리트 기초석(B)(B1)을 거꾸로 세운 형태로 성형 제작함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기초석을 제작함에 있어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의 부품 상당 수를 동일하게 이용하면서도 도 10이나 도 11에서와 같이 서로 형태가 다른 콘크리트 기초석(B)(B1)을 제작한다. 즉 콘크리트 기초석의 아래쪽과 윗쪽간이 이루는 경사면 각도를 조정하여서 해당 거푸집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각 콘크리트 기초석(B)(B1)의 높이도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나 사이즈의 콘크리트 기초석들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A)(A1)은 크게 사각형의 거푸집 바닥틀(2)과, 거푸집 바닥틀(2) 상에서 조립가능한 조립형 측면틀(4)로 구성한 콘크리트 기초석 제작용 거푸집이다.
사각형태의 거푸집 바닥틀(2)은 콘크리트 기초석에 전기배선 집속공(50) 형성을 위한 성형단관(20)이 중심부에 위치하고, 그 성형단관(20) 주변에 사각형의 대각선방향으로 다양한 사이즈 앵커프레임(30)의 사용이 가능한 앵커수용장공(22)이 형성된다. 그리고 거푸집 바닥틀(2)의 외곽면에는 조립형 측면틀(4)와 핀체결하기 위한 체결공(24)들이 배열 형성되며, 거푸집 바닥틀(2) 저면에는 거푸집의 넘어짐 방지와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 앵커볼트(32)의 보호를 위한 받침대(26)가 용접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앵커프레임(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가능하며, 앵커프레임(3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사각구도의 앵커볼트(32)들의 높이를 규정하기 위해 각 앵커볼트(32)에는 노출높이 조절용 스토퍼(34)가 스폿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거푸집 바닥틀(2)은 콘크리트 기초석(B)(B1)의 상부면 면적이 동일한 경우에는 어떠한 거푸집에도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거푸집 바닥틀(2)의 상부외곽에 조립되는 조립형 측면틀(4)은 본 발명에 따라 코너부재(6)와 연결부재(8)로 구성한다.
조립형 측면틀(4)을 구성함에 있어, 사각형태의 거푸집 바닥틀(2) 각 모서리에는 도 3이나 도 7과 같은 코너부재(6)를 배치하고, 각 모서리에 배치된 코너부재(6)들 사이에는 도 4와 같은 연결부재(8)를 배치하되, 코너부재(6)와 연결부재(8)간의 접면과 코너부재(6)와 거푸집바닥틀(2)의 접면, 연결부재(8)와 거푸집바닥틀(2)의 접면 간은 조립핀(14)이 이용되어 조립고정된다.
조립핀(14)은 핀봉과 그 핀봉의 끼움공에 끼워지는 쐐기형 끼움편으로 구성한다.
코너부재(6)는 콘크리트 기초석(A)(A1)의 코너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도 10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석(B)의 네측면부가 동일한 경사면을 가질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좌우 대칭되게 절곡되며, 그 좌우외곽에는 연결부재(8)와 핀체결되기 위한 좌우외곽 절곡접면부(7a)가 형성되고 그 하부단에는 거푸집 바닥틀(2)과의 핀체결을 위한 바닥절곡접면부(7b)가 형성된다. 그리고 코너부재(6)의 좌우외곽 절곡접면부(7a)와 바닥절곡접면부(7b)에는 조립핀(14)으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0)이 배열 형성된다.
코너부재(6)에서 도 1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석(B1)의 네측면부중 일부가 다른 경사면을 가질 경우 즉 일측면이 수직벽면(60)을 갖는 경우 등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좌우가 비대칭되게 절곡형성되며, 좌우외곽 절곡접면부(7a)와 바닥절곡접면부(7b)는 도 3의 코너부재(6)와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도 3과 도 7 모두에서, 코너부재(6)의 좌우외곽 절곡접면부(7a)와 바닥절곡접면부(7b)에 형성된 체결공(10)은 조립핀(14)이 맞춤끼움될 수 있는 원형상으로서 원형 체결공(10)이다. 상기 원형 체결공(10)은 후술될 연결부재(8)의 좌우외곽 절곡접면부(9a)의 장공형 체결공(12)와는 대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코너부재(6)는 도 3이나 도 7과 같이 각기 고유의 형태로 별도 제작되며, 콘크리트기초석(B)(B1) 측벽면의 경사각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그에 상응하는 형태로 제작되어야 한다. 즉 코너부재(6)는 콘크리트 기초석(B)(B1)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는 공히 사용될 수 있지만, 콘크리트 기초석(B)(B1) 전체 측벽면의 경사각이 달라지거나 도 11의 콘크리트 기초석(B1)과 같이 다른 세 개의 측벽면들과 달리 일측면이 수직벽면(60)이 형성되어야 하는 경우 등에는 별도로 제작되는 것이다.
한편 코너부재(6)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재(8)는 코너부재(6)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라 거푸집 성형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성부품이다.
연결부재(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외곽을 절곡하여서 좌우외곽 절곡접면부(9a)가 형성되게 구성한다. 또 연결부재(8)의 좌우외곽 절곡접면부(9a) 하측간의 외면에 가로보강대(9b)를 고정하되, 코너부재(6)의 경사각에 맞춰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최하단에서 위로 조금 올라온 위치에 좌우외곡 절곡접면부(9a)를 잇는 가로보강대(9b)가 고정형성되게 하고, 상기 좌우외곽 절곡접면부(9a) 하단에는 측벽각도조절용 경사부(9c)가 형성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연결부재(8)의 본체면에는 지관튜브 통과용 절취 원판(13)이 상하로 타공 가능케 다수개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콘크리트 기초석(B)(B1)의 다양한 높이 구성에 따른 지관튜브(도 9의 40)의 위치 선정이 임의 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지관튜브 통과용 절취 원판(13)은 연결부재(8) 본체판을 원형 절개하여서 얻을 수 있으며, 그 절취 원판(13)을 스팟용접 등을 통해 절개한 그 자리에 부분 용접으로 다시 고정하여서 제작자가 필요할 때에 망치 등의 도구로 타격하면 떨어져 나가 연결부재(8)의 본체판내에 제작자가 필요로 하는 절개공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측면틀(4)은 코너부재(6)와 연결부재(8)의 좌우외곽 절곡접면부(7a)(9a)에 각기 형성된 원형 체결공(10)과 장공형 체결공(12)을 마주하게 한 상태에서 상호 체결공(10)(12)을 통해 조립핀(14)으로 체결함으로써 조립 완성된다. 이때 연결부재(8)는 도 1과 같은 거푸집형태의 성형틀(A)이나 도 6과 같은 거푸집형태의 성형틀(A1)과 같이 서로 다른 형태라도 공히 사용되는 것이다.
연결부재(8)가 다양한 거푸집 형태에도 공히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코너부재(6) 및 연결부재(8)의 좌우외곽 절곡접면부(7a)(9a)의 서로 마주하는 원형 체결공(10)과 장공형 체결공(12)의 구멍맞춤 위치 즉 조립핀(14)이 체결고정되는 위치가 조립형 측면틀(4)의 측벽면 경사각에 따라 장공형 체결공(12)의 절개 범위 내에서 달라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0과 같은 일반 콘크리트 기초석(B)을 제작하기 위한 도 1의 기초석 성형틀(A)의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조립핀(14)이 장공형 체결공(12)의 절개부분 상단에 위치되어 코너부재(6)와 연결부재(8)를 체결함으로써 거푸집 측벽각도를 규정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1과 같은 도로경계석 고정기능을 갖는 가로석 기초 용도의 콘크리트 기초석(B)을 제작하기 위한 도 6의 기초석 성형틀(A1)의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조립핀(14)이 장공형 체결공(12)의 절개부분 하단에 위치되어 코너부재(6)와 연결부재(8)를 체결함으로써 거푸집 측벽각도가 수직이 되게 규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초석 성형틀(A)은 조립형이므로 거푸집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조립형 측면틀(4)이 조립핀(14)으로 결합고정되었다 하더라도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한 팽창압에 배부름현상이 야기될 수 있는 바, 도 6의 일예와 같이 인접 코너부재(6) 사이에 배나옴 방지용 보강대(44)를 조립해체 가능케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자의 의도에 맞게 조립 구성된 기초석 성형틀(A)(A1)을 이용하여 도 10이나 도 11과 같은 콘크리트 기초석(B)(B1)의 제조과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바닥틀(2)의 앵커수용장공(22)에 사각구도의 복수 앵커볼트(32)를 끼워 넣어 앵커프레임(30)을 안착하고, 콘크리트 기초석(B)(B1)에 전기배선집속공(50)과 연통되는 전기배선 지관공(52) 형성을 위해 연결부재(8)의 본체판내 지관튜브 통과용 절취원판(13)들 중 제조자가 원하는 위치에 절취원판(13)을 탈리시켜 절개공을 형성한다.
그 후에는 공기주입하는 등으로 팽창된 지관튜브(40)를 꺽어서 거푸집 바닥틀(2)의 성형단관(20) 안에 끼워넣고 지관튜브(40)의 다른 부분은 조립형 측면틀(4)의 연결부재(8)에 타공형성된 절개공을 통해 거푸집 바깥으로 돌출시커거나 그후 다시 상기 성형단관(20)에 끼워 넣는 등으로 전기배선 집속공(50)이나 전기배선 지관공(52)이 형성될 수 있게 형태를 마련한 상태로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42)를 채워 넣어 양생하되 약간 덜 굳은 상태에서 지관튜브(40)를 빼내고 그 후 완전 양생된 상태에서 기초석 성형틀(A)(A1)의 거푸집으로부토 성형 콘크리트를 탈거하게 되면 도 10이나 도 11과 같은 콘크리트 기초석(B)(B1)이 완성된다.
도 10이나 도 11과 같이 콘크리트 기초석(B)(B1)은 상부면으로 복수 개의 앵커볼트(32)가 돌출 고정되고, 기초석(2)의 상부면과 측면으로는 전기배선 집속공(50)과 전기배선 지관공(52)이 대응 형성된다.
도 11의 콘크리트 기초석(B1)은 도로 경계석 고정기능을 갖는 가로등 기초석으로서 전방이 되는 일측면이 도 7과 같은 고유사용 코너부재(6)와 공통사용 연결부재(6)를 함께 이용하여 수직벽면(60)을 형성하는 것이고, 콘크리트 기초석(B1)의 좌우측면 상측에 일부 형성된 수직벽면은 거푸집내에 절곡 성형판체를 장착함에 의해서 성형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보안 및 주택기반 가로등, 도로기반 가로등, 도로경계석 고정기능을 갖는 가로등 등의 다양한 콘크리트 기초석을 제작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A)(A1)-- 기초석 성형틀 (B)(B1)-- 콘크리트 기초석
(2)-- 거푸집 바닥틀 (4)-- 조립형 측면틀
(6)-- 코너부재 (8)-- 연결부재
(7a)(9a)-- 좌우외곽 절곡접면부 (9b)-- 가로보강대
(9c)-- 측벽각도조절용 경사부 (10)-- 원형 체결공
(12)-- 장공형 체결공 (13)-- 지관튜브통과용 절취원판
(14)-- 조립핀 (20)-- 성형단관
(22)-- 앵커수용 장공 (24)-- 체결공
(26)-- 받침대 (30)-- 앵커프레임
(32)-- 앵커볼트 (34)-- 스토퍼
(40)-- 지관튜브 (42)-- 콘크리트
(44)-- 배나옴 방지용 보강대 (50)-- 전기배선 집속공
(52)-- 전기배선 지관공 (60)-- 수직벽면

Claims (5)

  1.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에 있어서,
    사각형의 거푸집 바닥틀 상에 코너부재와 연결부재로 된 조립형 측면틀을 조립핀으로 조립 고정하여서 콘크리트 기초석 제작용 거푸집을 구성하며, 거푸집 바닥틀의 각 사각모서리 상에는 조립핀으로 조립 가능한 코너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코너부재 양측 사이에는 연결부재를 배치하되 상기 코너부재와 연결부재의 각 좌우외곽에는 좌우외곽 절곡접면부를 형성하고, 코너부재의 좌우외곽 절곡접면부에는 원형 체결공을 형성하고 연결부재의 좌우외곽 절곡접면부에는 장공형 체결공을 형성하며, 상기 코너부재 양측 사이에 연결부재를 배치시 원형 및 장공형 체결공이 서로 마주되게 하고 상호 체결공을 통해 조립핀으로 코너부재와 연결부재를 체결하여 거푸집 측벽각도가 규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재에는 하단을 절곡한 바닥절곡 접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좌우외곽 절곡접면부 하단이 측벽각도조절용 경사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좌우외곽 절곡접면부의 최하단으로부터 떨어진 좌우외곽 절곡접면부 하측간의 외면에 가로보강대가 고정되며 지관튜브 통과용 절취 원판이 연결부재의 본체판에 상하로 타공가능케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코너부재 사이에는 배나옴 방지용 보강대가 조립해체 가능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바닥틀에는 다른 사이즈로 된 앵커프레임의 앵커볼트들이 수용할 수 있는 앵커수용장공이 대각선방향으로 형성되고, 앵커프레임의 앵커볼트에 노출높이 조절용 스토퍼가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KR1020110092287A 2011-09-10 2011-09-10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KR101133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287A KR101133453B1 (ko) 2011-09-10 2011-09-10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287A KR101133453B1 (ko) 2011-09-10 2011-09-10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453B1 true KR101133453B1 (ko) 2012-04-09

Family

ID=4614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287A KR101133453B1 (ko) 2011-09-10 2011-09-10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56B1 (ko) 2013-03-04 2013-07-11 (주)대맥건설산업 현장타설말뚝 거푸집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스페이서의 중심잡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주파일 설치공법
KR101756367B1 (ko) * 2016-04-06 2017-07-11 주식회사 유일금속 기초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102A (ja) * 1992-10-20 1994-05-10 Okabe Co Ltd 柱型枠
JPH0732099U (ja) * 1993-11-26 1995-06-16 北恵株式会社 角用コンクリート型枠
JPH0882095A (ja) * 1994-09-10 1996-03-26 Akira Kato 集水桝用型枠
KR100917833B1 (ko) 2009-02-24 2009-09-18 (주)금산씨앤아이 기둥 축조용 거푸집 고정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102A (ja) * 1992-10-20 1994-05-10 Okabe Co Ltd 柱型枠
JPH0732099U (ja) * 1993-11-26 1995-06-16 北恵株式会社 角用コンクリート型枠
JPH0882095A (ja) * 1994-09-10 1996-03-26 Akira Kato 集水桝用型枠
KR100917833B1 (ko) 2009-02-24 2009-09-18 (주)금산씨앤아이 기둥 축조용 거푸집 고정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56B1 (ko) 2013-03-04 2013-07-11 (주)대맥건설산업 현장타설말뚝 거푸집에 설치되는 앵커볼트스페이서의 중심잡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주파일 설치공법
KR101756367B1 (ko) * 2016-04-06 2017-07-11 주식회사 유일금속 기초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216B1 (ko) 조립형 합성수지 블록
KR101588593B1 (ko) 가교의 시공방법
KR100526997B1 (ko) 돌출부의 모서리가 둥근 가로등 지주용 기초의 제조 방법
KR101133453B1 (ko)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JP2007170153A (ja) 擁壁用l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利用する擁壁構築の基礎施工法及び擁壁の基礎構造
KR101328436B1 (ko) 조립식 옹벽블록
KR101753744B1 (ko) 기초부 보강 하부지지프레임 및 매립 거푸집을 이용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구조물
KR20070045383A (ko) 연결식 단위블록 엘형 측구
JP2009046942A (ja) 擁壁用基礎ブロック
KR101091600B1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KR100696910B1 (ko)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옹벽블록제작방법
KR101781492B1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20190001483A (ko) 샌드위치 피씨-월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82585B1 (ko)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
KR200468906Y1 (ko) 기초볼트 높낮이 조절용 기초블록 설치대
KR101087169B1 (ko) 조립식 거푸집
KR10195475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5033478B2 (ja) 型枠パネル、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物、構造物の施工方法
KR200198986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유로폼
KR20240047607A (ko) 교량 가로등의 기초 시공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기초 시공방법
KR200371989Y1 (ko)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JPH1020489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束基礎の製造方法
KR101272001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부재 조립에 의한 우수저류조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우수저류조 시공방법
CN115434303B (zh) 围护桩、围护结构、围护桩模具及其生产工艺
KR100608490B1 (ko) 측구지지보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