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383A - 연결식 단위블록 엘형 측구 - Google Patents

연결식 단위블록 엘형 측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383A
KR20070045383A KR1020050101578A KR20050101578A KR20070045383A KR 20070045383 A KR20070045383 A KR 20070045383A KR 1020050101578 A KR1020050101578 A KR 1020050101578A KR 20050101578 A KR20050101578 A KR 20050101578A KR 20070045383 A KR20070045383 A KR 20070045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ck
shaped
shaped side
bottom pla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김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균 filed Critical 김태균
Priority to KR102005010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5383A/ko
Publication of KR20070045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블록으로 프리캐스트타입(precast-type)제작되며, 도로의 선단에 접하는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벽체부로 이루어지는 단위블록 L형 측구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의 일부에 구비되어 2개 이상의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를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 콘크리트 현장타설로 이루어지던 L형 측구를 소정의 블록단위로 프리캐스트타입(precast-type)제작하는 동시에 2개 이상의 단위블록 L형 측구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현장조립만으로 간편하게 L형 측구를 시공할 수 있어 종래 현장타설에 비해 공기의 단축 및 공사비용의 절감, 그리고 인력낭비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저판부와 벽체부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현장조립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하며, 부분파손시 효과적으로 해당 부분만을 교체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아울러 벽체부의 후방에 낙석방지책기둥을 받침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기둥받침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낙석방지책 설치를 위한 별도의 현장타설 없이도 L형 측구와 동시에 상기 낙석방지책을 시공할 수 있어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은 물론 정량적, 기계적 시공을 가능케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L형 측구, 프리캐스트타입(precast-type), 낙석방지책기둥

Description

연결식 단위블록 엘형 측구{THE UNIT BLOCK L-SHAPED DITCH OF CONNECTION STYLE}
도 1은 본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측면도 및 연결상태도이고,
도 3 내지 도 5a,b는 본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3 및 도 4의 단위블록 L형 측구가 복수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상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저판부와 벽체부가 탈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도 8a 및 도 8b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받침부가 벽체부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본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 30; 저판부,
50; 벽체부, 50a; 배수파이프설치구,
70a; 요입부, 70b; 삽입부,
70c; 끼움홈, 70d; 끼움편,
90a; 고정플레이트, 90b; 고정플레이트안착부,
90c, 150b; 볼트구멍, 110a; T형돌부,
110b; T형홈부, 110c; 쐐기형돌부,
110d; 쐐기형홈부, 130; 기둥받침부,
150; 고정부재, 150a; 고정날부.
본 발명은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 콘크리트 현장타설로 이루어지던 L형 측구를 소정의 블록단위로 프리캐스트타입(precast-type)제작하는 동시에 2개 이상의 단위블록 L형 측구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현장조립만으로 간편하게 L형 측구를 시공할 수 있어 종래 현장타설에 비해 공기의 단축 및 공사비용의 절감, 그리고 인력낭비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저판부와 벽체부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현장조립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하며, 부분파손시 효과적으로 해당 부분만을 교체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아울러 벽체부의 후방에 낙석방지책기둥을 받침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기둥받침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낙석방지책 설치를 위한 별도의 현장타설 없이도 L 형 측구와 동시에 상기 낙석방지책을 시공할 수 있어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은 물론 정량적, 기계적 시공을 가능케 하는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형 측구는 도로 경계의 표시와 우수의 배수로 기능을 갖는 구축물로서, 크게 일반 도로공사에 사용되는 L형 측구와, 산마루 경사지, 즉 절토면을 갖는 도로공사에 사용되는 L형 측구로 구분된다.
또한, 종래 L형 측구의 시공방법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도로표준시방서에 의한 규격대로 거푸집을 현장에서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시공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L형 측구 시공방법은 거푸집의 설치 후, 상기 거푸집을 지지버팀하기 위한 부대시설이 과다하게 되고, 비계 파이프나 각재를 철사로 묶는 작업을 해야 하는 등 많은 시간과 노력 등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현장타설에 의한 시공방법은 거푸집의 설치, 콘크리트 타설 양생, 거푸집의 해체 등의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장기화되고, 상기 과정을 모두 사람이 직접 수행해야 하므로 많은 인력이 동원됨은 물론 그로 인해 인건비 등 공사비용이 대폭 증가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절토면을 갖는 산마루에는 상기 거푸집 설치에 따른 공사 자체가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어서 부실시공의 우려가 다분하였으며, 설치된 L형 측구에 국부적·부분적 파손이나 훼손이 발생하는 경우 그 해당부분만을 효과적으로 교체할 수 없었으며, 투박한 콘크리트 면은 미관상으로도 좋지 못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11655호의 일체형 L형 측구와, 동보 제20-0211169호의 밀착형 엘형 측구 등과 같은 기술이 제시된바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11655호의 일체형 L형 측구는 종래의 현장타설에 의한 시공방법을 탈피하고, 미리 L형 측구를 제작하여 일괄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은 탁월하나, 기 제작된 상기 L형 측구를 단순 배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우수에 의한 토사의 유출이나 태풍 등에 의한 강한 외력이 전해지는 경우 상기 일체형 L형 측구가 도로상으로 무너져 내리거나 쉽게 파손될 우려가 다분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동보 제20-0211169호의 밀착형 엘형 측구는 결합홈과 결합돌기, 또는 받침돌기와 결합면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을 부가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결합수단은 단순히 얹어지는 정도에 불과하여 그 결합력이 매우 약한 문제점을 여전히 극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L형 측구(엘형 측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종래 콘크리트 현장타설로 이루어지던 L형 측구를 소정의 블록단위로 프리캐스트타입(precast-type)제작하는 동시에 2개 이상의 단위블록 L형 측구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현장조립만으로 간편하게 L형 측구를 시공할 수 있어 종래 현장타설에 비해 공기의 단축 및 공사비용의 절감, 그리고 인력낭비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저판부와 벽체부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현장조립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하며, 부분파손시 효과적으로 해당 부분만을 교체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아울러 벽체부의 후방에 낙석방지책기둥을 받침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기둥받침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낙석방지책 설치를 위한 별도의 현장타설 없이도 L형 측구와 동시에 상기 낙석방지책을 시공할 수 있어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은 물론 정량적, 기계적 시공을 가능케 하는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위블록으로 프리캐스트타입 (precast-type)제작되며, 도로의 선단에 접하는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벽체부로 이루어지는 단위블록 L형 측구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의 일부에 구비되어 2개 이상의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를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를 볼트체결에 의해 연결시키는 복수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수용하여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L형 측구의 벽체부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안착부와,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상기 고정플레이트안착부에 안착시킨 후 볼트체결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벽체부의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볼트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의 벽체부 또는 저판부의 일측면에 요입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요입부와, 상기 L형 측구의 벽체부 또는 저판부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요입부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판부와 상기 벽체부는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상호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판부의 상면 일측에 T형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부의 하면 일측에 상기 T형돌부를 수용하는 T형홈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벽체부의 하면 일측에 T형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저판부의 상면 일측에 T형홈부를 형성하는 것이 더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벽체부의 후방에는 낙석방지책기둥을 받침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기둥받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둥받침부의 상면에는 앵커볼트에 의해 심어진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낙석방지책기둥의 끝단은 상기 고정부재와의 볼트체결에 의해 상기 기둥받침부에 받침고정되는 것이 더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측면도 및 연결상태도이고, 도 3 내지 도 5a,b는 본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3 및 도 4의 단위블록 L형 측구가 복수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상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저판부와 벽체부가 탈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도 8a 및 도 8b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받침부가 벽체부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본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도로의 선단에 접하며 기초를 이루는 저판부(30)와, 상기 저판부(30)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벽체부(50), 그리고 2개 이상의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를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소정의 단위블록으로 프리캐스트타입(precast-type) 제작된다.
여기서, 본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10)는 공사의 성격에 따라, 즉 일반도로공사인지 아니면 절토면을 갖는 산마루 경사지 도로공사인지에 따라 소정의 크기로 프리캐스트타입(precast-type)으로 제작된다. 즉 절토면을 갖는 산마루 도로공사인 경우에는 일반도로공사에 비해 그 단위블록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며 대략 높이 0.7~1.2m, 길이 2.0~2.5m로 기성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판부(30)는 우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서 상기 벽체부(50)로 갈수록 비스듬히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벽체부(50)는 그 중앙부에 절토면의 뒷채움부에서 우수를 배수할 할 수 있도록 소정 경사를 갖는 배수파이프설치구(50a)가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수단은 도 1 및 도 2a,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90a), 상기 고정플레이트(90a)를 안착하며 상기 벽체부(50)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안착부(90b), 상기 고정플레이트안착부(90b)에 형성된 볼트구멍(90c)으로 구성되거나,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벽체부(50) 또는 저판부(30)의 일측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입부(70a), 상기 요입부(70a)에 삽입되는 삽입부(70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안착부(90b)는 상기 벽체부(50)의 전방 양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90a)를 내측으로 수용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안착부(90b)는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벽체부(50)에 좌우 대응되게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안착부(90b)의 내부에는 내측으로 수용안착된 상기 고정플레이트(90a)를 상기 벽체부(50)에 볼트체결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구멍 (90c)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2개 이상의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10)를 연결시공하는 방법은 도 2b의 연결상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10)를 나란히 배치시킨 후, 상기 고정플레이트(90a)를 상기 고정플레이트안착부(90b)의 내부에 끼우고, 상기 볼트구멍(90c)에 볼트를 체결시켜 연결한다.
즉, 단순히 상기 고정플레이트안착부(90b)에 상기 고정플레이트(90a)를 끼워 볼트체결작업만 하면 2개 이상의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10)를 일체형으로 연결시킬 수 있어 향상된 결합력은 물론 시공작업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사용 중 파손 등으로 인해 일부 L형 측구(10)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볼트만 풀어서 새로운 단위블록 L형 측구(10)로 간단히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한편,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벽체부(50) 또는 저판부(30)의 일측면에 요입형성되는 복수의 요입부(70a)와, 상기 벽체부(50) 또는 저판부(3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요입부(70a)에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부(70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2개 이상의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10)를 연결시공하는 방법은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70b)를 상기 요입부(70a)에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단, 도면에서는 상기 삽입부(70b)와 요입부(70a)의 형상을 원통형으로 나타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이나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5a 및 도 5b의 연결수단은 상기 벽체부(50) 또는 상기 저판부(30)의 일측면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끼움홈(70c)을 형성하고, 상기 벽체부(50) 또는 상기 저판부(30)의 타측면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상기 끼움홈(70c)에 억지끼움되는 끼움편(70d)을 형성하여 2개 이상의 단위블록 L형 측구(10)를 일체형을 연결시키는 구조를 보인다.
한편,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저판부(30)와 벽체부(50)가 탈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본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도 8a 및 도 8b의 측면도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저판부(30)와 상기 벽체부(50)가 개별적으로 프리캐스트타입(precast-type)으로 기성제작되어 상호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도 8a,b 및 도 9a,b에서 도시한 상기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상기 연결수단 중 고정플레이트(90a), 고정플레이트안착부(90b) 및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을 채택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판부(30)와 상기 벽체부(50)의 탈착구조는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판부(30)의 상면 일측에 T형돌부(110a)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부(50)의 하면 일측에 상기 T형돌부(110a)를 수용하는 T형홈부(110b)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역으로 상기 벽체부(50)의 하면 일측에 T형돌부(110a)를 형성하고, 상기 저판부(30)의 상면 일측에 T형홈부(110b)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판부(30)와 상기 벽체부(50)의 또 다른 탈착구조는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판부(30)의 상면 일측에 쐐기형돌부(110c)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부(50)의 하면일측에 쐐기형홈부(110d)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부는 현장조립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하며, 부분파손시, 즉 상기 저판부(30)나 상기 벽체부(50) 중 어느 한 부분이 파손 또는 훼손된 경우 해당 부분만을 효과적으로 교체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우리나라 도로공사 중 대부분은 사실상 절토면이 있고, 절토면이 있는 산마루 경사지의 도로공사에는 반드시 낙석방지책이 설치되기 마련이다.
또한, 낙석방지책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L형 측구를 설치한 후, L 형 측구의 후방, 즉 벽체부(50)의 후방에 낙석방지책기둥(미도시)을 시공할 수 있는 기초부를 시공하기 위해서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현장에서 콘트리트 타설 양생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낙석방지책 시공방법 역시 종래의 L형 측구의 시공과 마찬가지로 부실시공의 우려, 공기의 장기화, 과도한 인력소모로 인한 공사비의 증가 등 많은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벽체부(50)의 후방에 낙석방지책기둥(미도시)을 받침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기둥받침부(130)를 일체로 프리캐스트타입(precast-type)으로 기성제작하여 구성한다. 단,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한 상기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상기 연결수단 중 고정플레이트(90a), 고정플레이트안착부(90b) 및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을 채택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둥받침부(130)가 벽체부(50)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본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1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로서, 상기 기둥받침부(130)의 상면에는 앵커볼트에 의해 심어진 고정부재(150)가 구비되고, 상기 낙석방지책기둥(미도시)의 끝단은 상기 고정부재(150)와의 볼트체결에 의해 상기 기둥받침부(130)에 받침고정되도록 구성된 다.
여기서, 상기 기둥받침부(130)는 상기 낙석방지책기둥(미도시)을 받침고정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대략 2.0~2.5m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어야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받침부(130)의 상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심어진 상기 고정부재(15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낙석방지책기둥(미도시)의 끝단부와 볼트체결되는 고정날부(150a)가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고정날부(150a)는 상기 낙석방지책기둥(미도시)의 하중은 물론 우수에 의한 토사 유출이나 태풍 등에 의한 강한 외부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와 길이로 제작되어야 하고, 볼트체결을 위한 복수개의 볼트구멍(150b)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단,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고정날부(150a)가 반드시 한 쌍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낙석방지책기둥(미도시)의 끝단부와 볼트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수,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부(50)의 후방에 일체로 상기 기둥받침부(130)를 프리캐스트타입(precast-type)으로 제작함으로써, 현장에서 L형 측구시공 후, 상기 낙석방지책설치를 위해 별도의 거푸집설치작업과 콘크리트 현장타설 및 양생과정 등을 거칠 필요가 없게 되어 공사기간의 단축은 물론 공사비용절감 등의 효과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10)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기둥받침부(130)의 고정부재(150)에 낙석방지책기둥(미도시)의 일단부를 볼트체결로 고정시킴으로써 단시간 내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종래 콘크리트 현장타설로 이루어지던 L형 측구를 소정의 블록단위로 프리캐스트타입(precast-type)제작하는 동시에 2개 이상의 단위블록 L형 측구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현장조립만으로 간편하게 L형 측구를 시공할 수 있어 종래 현장타설에 비해 공기의 단축 및 공사비용의 절감, 그리고 인력낭비의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상기 저판부와 상기 벽체부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상호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부품의 소형화에 따른 현장조립작업이 더욱 간편해지고, 부분 파손 즉, 저판부나 벽체부 중 일부가 파손된 경우 해당 부분만을 간편하게 교체시공할 수 있어 보수유지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상기 벽체부의 후방에 낙석방지책기둥을 받침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기둥받침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현장타설에 의해 낙석방지책을 설치할 필요없이 간단한 조립작업만으로 L형 측구와 동시에 상기 낙석방지책을 시공할 수 있어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은 물론 정량적, 기계적 시공을 가능케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7)

  1. 단위블록으로 프리캐스트타입(precast-type)제작되며, 도로의 선단에 접하는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벽체부로 이루어지는 단위블록 L형 측구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의 일부에 구비되어 2개 이상의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를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를 볼트체결에 의해 연결시키는 복수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수용하여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L형 측구의 벽체부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안착부와;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상기 고정플레이트안착부에 안착시킨 후 볼트체결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벽체부의 내측으로 요입형성된 볼트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단위블록 L형 측구의 벽체부 또는 저판부의 일측면에 요입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요입부와;
    상기 L형 측구의 벽체부 또는 저판부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요입부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와 상기 벽체부는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상호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의 상면 일측에 T형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부의 하면 일측에 상기 T형돌부를 수용하는 T형홈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벽체부의 하면 일측에 T형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저판부의 상면 일측에 T형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의 후방에는 낙석방지책기둥을 받침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기둥받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받침부의 상면에는 앵커볼트에 의해 심어진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낙석방지책기둥의 끝단은 상기 고정부재와의 볼트체결에 의해 상기 기둥받침부에 받침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단위블록 L형 측구.
KR1020050101578A 2005-10-27 2005-10-27 연결식 단위블록 엘형 측구 KR20070045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578A KR20070045383A (ko) 2005-10-27 2005-10-27 연결식 단위블록 엘형 측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578A KR20070045383A (ko) 2005-10-27 2005-10-27 연결식 단위블록 엘형 측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383A true KR20070045383A (ko) 2007-05-02

Family

ID=3827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578A KR20070045383A (ko) 2005-10-27 2005-10-27 연결식 단위블록 엘형 측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538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91Y1 (ko) * 2007-12-26 2009-12-23 박정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 체결 유니트
KR101045411B1 (ko) * 2009-05-06 2011-06-30 재 술 나 도로용 엘형 측구 시공방법
CN106284020A (zh) * 2016-08-29 2017-01-04 郑瀚 一种阻水型路缘石及其施工方法
KR102278673B1 (ko) * 2021-05-07 2021-07-19 (주)혜성씨앤이 히팅케이블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노우 멜팅 시스템
KR20220001271A (ko) * 2020-06-29 2022-01-05 김원주 모듈블럭을 이용한 방음벽 및 그 시공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91Y1 (ko) * 2007-12-26 2009-12-23 박정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 체결 유니트
KR101045411B1 (ko) * 2009-05-06 2011-06-30 재 술 나 도로용 엘형 측구 시공방법
CN106284020A (zh) * 2016-08-29 2017-01-04 郑瀚 一种阻水型路缘石及其施工方法
KR20220001271A (ko) * 2020-06-29 2022-01-05 김원주 모듈블럭을 이용한 방음벽 및 그 시공시스템
KR102278673B1 (ko) * 2021-05-07 2021-07-19 (주)혜성씨앤이 히팅케이블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노우 멜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121B1 (ko) 우수저류조
KR20070045383A (ko) 연결식 단위블록 엘형 측구
KR102227414B1 (ko) 지하 외벽-슬래브 접합 구조
KR100702860B1 (ko)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KR20090006315A (ko) L형 우수저류조
KR200489711Y1 (ko) 조립식 트렌치
KR100696910B1 (ko)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옹벽블록제작방법
CN2929003Y (zh) 城市道路用排水座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JP2004204566A (ja) 擁壁構築用ブロック及び擁壁構築構造
JP3125818U (ja) 側溝ユニット及びグレーチング蓋の構造
CN217811889U (zh) 市政道路强、弱电检查井室新型混凝土砌块
CN210459287U (zh) 一种采用沉井施工的综合管廊
KR20090044961A (ko)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JP2005097999A (ja) 張り出し歩道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土台部ブロック
CN110080820B (zh) 一种有砟隧道中心水沟检修系统及方法
JP3656219B2 (ja) 側溝付き擁壁
KR970001419Y1 (ko) 조립식 축조블럭
KR20110128401A (ko) 다웰바를 구비하고 배수홈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시공방법
KR200256804Y1 (ko) 프리캐스트형 강성 방호벽의 구조
KR200235115Y1 (ko) 반습식 조립식 옹벽
JP3074307U (ja) 側溝用ブロック
KR200311038Y1 (ko) 수로용 측벽블록
JPH0885956A (ja) 法面小段における排水施工方法と排水構造及びそのブロック
KR100569174B1 (ko) 맨홀 제작용 거푸집과 그에 의해 제작된 맨홀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