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961A -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961A
KR20090044961A KR1020080020963A KR20080020963A KR20090044961A KR 20090044961 A KR20090044961 A KR 20090044961A KR 1020080020963 A KR1020080020963 A KR 1020080020963A KR 20080020963 A KR20080020963 A KR 20080020963A KR 20090044961 A KR20090044961 A KR 20090044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it
concrete
coupling
mold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ublication of KR20090044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며,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 구조로 콘크리트 바닥부 내지는 콘크리트 측벽부를 사용하여, 강도를 향상시킨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전 제작 내지는 별도로 제작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를 구비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를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가 지하층 내에 용이하게 배치되고,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어 별도의 거푸집 설치 등의 과정이 필요 없어 시공비가 감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두께의 시멘트 혼합물을 경화시킨 단단한 집수부가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결합, 고정되므로 상향수압에 대한 지지력 및 지내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제작된 후 시공 현장에 설치되자마자 바로 사용 가능하므로, 공기를 절약할 수 있으며, 공사 현장 지반의 종류나 지지력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현장에 배치되고, 주변 철근들과 연결시키는 것만으로 설치가 끝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Concrete Elevator Pit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며,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는 엘리베이터 피트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 구조로 콘크리트 바닥부 내지는 콘크리트 측벽부를 사용하여, 강도를 향상시킨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엘리베이터 피트는 하측에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하층의 바닥보다 약 2미터 내외의 공간을 갖도록 하단에 구성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피트 구조는 건물의 하중을 벽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이러한 벽체의 하중은 하단부의 하단 구조를 통해 지반으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기초 구조가 형성되어야 하고, 동시에 엘리베이터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부는 설계시에 엘리베이터 피트의 바닥부를 바닥콘크리트층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현장에서 거푸집을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부가 설치되는 부분은 가장 낮은 위치가 되어야 하다 보니, 이 부분에 지하수가 많이 모이게 되어 철근콘크리트 작업을 수행하기가 매우 난해하게 된다.
또한,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조를 형성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부는 난해한 철근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사 기간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를 만드는 데 있어, 현장에서 복잡한 사전 설계와 난해한 거푸집 시공을 거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를 만드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즉, 다량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제작하거나, 정밀한 터파기 및 설계가 필요없으면서도, 콘크리트 특유의 강성과 바닥콘크리트층과의 결합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에 대한 구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전 제작 내지는 별도로 제작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를 통해 지하층 내에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를 설치하고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별도의 거푸집 설치 등의 과정이 필요 없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멘트 혼합물을 경화시킨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가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용이하게 결합, 고정되어 상향수압에 대한 지지력 및 지내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에 있어서, 시멘트 혼합물을 두께와 너비를 갖도록 경화시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을 이루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측에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부와 상기 형틀에 의해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에 있어서, 시멘트 혼합물을 두께와 너 비를 갖도록 경화시켜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을 이루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측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형틀;을 포함하여,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에는 상방 또는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의 결합구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에는 상방 또는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의 결합구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구는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배치되는 바닥철근 구조와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구는 상기 형틀과 연결되어 상기 형틀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구와 상기 형틀 사이에는 결합보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틀은 상기 바닥부의 경화시에 상기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틀은 상기 측벽부의 경화시에 상기 측벽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경화시에 상기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장형의 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에는 철근이 관통 위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는 상측면 중심부에서 하향으로, 또는 하측면 중심부에서 상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내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입부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에는 철근이 내입 배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요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측에 상방으로 하나 이상의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에 상기 형틀의 하측이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측에서 상방으로 하나 이상의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에 상기 측벽부의 하측이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상단으로 하나 이상의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에 상기 형틀의 하측이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닥부가 경화될 때, 일체로 고정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벽부가 경화될 때, 일체로 고정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판형의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형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판형의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전 제작 내지는 별도로 제작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를 구비하여,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를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두께의 시멘트 혼합물을 경화시킨 단단한 집수부가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결합, 고정되므로 상향수압에 대한 지지력 및 지내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제작된 후 시공 현장에 설치되자마자 바로 사용 가능하므로, 공기를 절약할 수 있으며, 공사 현장 지반의 종류나 지지력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현장에 배치되고, 주변 철근들과 연결시키는 것만으로 설치가 끝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부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와 바닥부, 측벽부 일체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a)는 판형으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를 형성하는 바닥부(10)이고, (b)는 바닥부(10)와 측벽부(20)가 일체로 형성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바닥부(10)와 측벽부(20)는 사전에 거푸집 등을 사용하여, 시멘트 혼합물을 부어 경화시켜 제작한다. 시멘트 혼합물은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을 포함하여 시멘트가 포함된 물질을 통칭하는 명칭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콘크리트나 시멘트 혼합물이나 시멘트를 포함하고 일정 강도 이상으로 경화 가능한 혼합물을 구분없이 통칭하는 명칭으로 사용한다.
판형의 바닥부(10)나 상측이 개방된 박스형의 바닥부(10), 측벽부(20) 일체형 구조나, 모두 시멘트 혼합물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통해 사전 경화 제작된다. 그 내부에는 철근을 삽입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가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설치된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a)는 바닥부(10)가 배치된 후에 그 테두리측을 둘러 형틀(30)이 배치된 상태이다.
굴토마감면(1)에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가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 바닥설치부(5)가 굴토되어 형성되고, 그 위에 버림콘크리트(2)가 일정 높이로 타설된다. 상기 버림콘크리트(2)의 위 또는 버림콘크리트(2) 타설 전에 바닥부(10)를 배치한다.
바닥부(10) 위에 형틀(30)이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된 후에는, 바닥콘크리트층에 바닥철근(4)을 배치한 후, 바닥콘크리트(3)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형틀(30)에 의해 바닥부(10)의 상방으로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바닥콘크리트(3)와 바닥부(10)의 테두리 부분이 만나면서 서로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바닥철근(4)은 바닥부(10)의 테두리 상방까지 배치되어, 바닥부(10)를 견고하게 누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는 바닥부(10)와 측벽부(20) 일체형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가 배치되고, 그 상부에 형틀(30)이 배치된 상태이다. 일체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는 굴토마감면(1)을 파내어 형성되는 바닥설치부(5)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굴토마감면(1) 위, 또는 버림콘크리트층의 위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형틀(30)로 인해 바닥콘크리트(3)와 맞닿는 측벽부(20)는 서로 동일한 성분끼리 견고하게 일체화된다.
형틀(30)은 바닥콘크리트(3)의 타설 후에 제거될 수도 있고, 제거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의 철근이 상방으로 돌출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바닥부(10) 단독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와 바닥부(10), 측벽부(20) 일체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 모두 내측에 구비되면서 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결합구(12, 22)를 구비한다. 여기서 결합구(12, 22)는 철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나 (c)와 같이 결합구(12, 22)가 짧게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고, (b) 나 (d)와 같이 결합구(12, 22)가 길게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바닥철근(4)과의 거리나 위치, 성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결합구(12, 22)와 바닥철근(4) 사이에 별도의 다른 철근(미도시)를 덧댈 수도 있다.
결합구(12, 22)는 바닥콘크리트(3)층 내에 배치되는 바닥철근(4)과 얽히도록 결합되어, 바닥부(10)나 측벽부(20)가 바닥콘크리트(3)층 내에 일체로 매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철근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가 바닥철근과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바닥콘크리트(3)층 내에 미리 배치된 바닥철근(4)과 바닥부(10) 또는 측벽부(20)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결합구(12, 22)를 미리 얽히도록 하여 결합시키거나, 용접시키거나, 별도의 고리, 클립 등으로 연결시키는 다양한 방식을 사용 하여 바닥부(10) 또는 측벽부(20)의 위치와 자세를 사전에 고정시킨다. 그 후 형틀(30)의 외측으로 바닥콘크리트(3)를 타설하면, 바닥부(10)나 측벽부(20)는 전체를 한번의 콘크리트로 제작한 것과 일체화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의 철근이 측방으로 돌출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철근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가 바닥철근과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바닥부(10) 단독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와 바닥부(10), 측벽부(20) 일체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 모두 내측에 구비되면서 단부가 측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결합구(12, 22)를 구비한다.
결합구(12, 22)는 바닥콘크리트(3)층 내에 배치되는 바닥철근(4)과 얽히도록 결합되어, 바닥부(10)나 측벽부(20)가 바닥콘크리트(3)층 내에 일체로 매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도 6의 (a), (b), (c)와 같이 바닥철근(4)과 결합구(12, 22)는 다양한 방향에 다양한 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a)와 같이 바닥부(10) 내에 철근(10a)을 매설함과 동시에, 형틀(30a)이 바닥부(10) 내에 묻혀 일체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형틀(30a)의 상부에는 추가적으로 또 다른 형틀(30b)이 결합될 수 있으 며, 형틀(30a)의 외측에는 바닥콘크리트용 철근(4)이 관통되며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는 형틀(30)이 바닥부(10)의 양생 전에 매설된 상태에서, 바닥부(10)가 형성되어 일체화 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형틀(30)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의 지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의 지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는 건축물이 지어지는 굴토마감면(1) 위에 배치되는데, 굴토마감면(1)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가 배치되기 위하여, 터파기를 하여 바닥설치부(5)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바닥설치부(5)의 상측으로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가 배치되며, 그 주위로는 바닥콘크리트(3)가 타설되어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기초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설치부(5)의 깊이(d)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이루는 상기 바닥콘크리트(3)층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d)로 굴토되어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의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하중을 동시에 버틸 수 있는 견고한 구조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바닥설치부(5) 는 상기 바닥콘크리트(3)층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d)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바닥설치부(5)의 두께를 하방에서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방에서 전해지는 하중을 모두 견디도록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바닥콘크리트(3)층의 두께에 상응하는 깊이(d)로 굴토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따른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가 바닥설치부(5)에 배치되고 타설되는 바닥콘크리트(3)층 내부에는 추가로 바닥철근(4)이 종,횡으로 치밀하게 교차배치되게 된다.
상기 바닥콘크리트(3)층 및 엘리베이터 피트를 이루는 벽체 내부에는 추가로 배치되는 철근들은 상호 간에 견고하게 연결결합되고, 그 외부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바닥콘크리트(3)층 및 엘리베이터 피트를 이루는 벽체 내부에 철근이 추가로 치밀하게 연결되도록 매설되어 지지함으로써, 하중이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 하방 외측으로 유도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바닥설치부(5)는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의 저면으로 가해지는 상향 부력만을 감당하게 되므로, 도 8에 도시된 종래구조의 바닥설치부(5)의 깊이(d)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닥설치부(5)의 깊이(d')를 작게 굴토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닥설치부(5)의 깊이(d)를 상기 바닥콘크리트(3)층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시키면서도,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 저면에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상기 엘리베이터 피트 벽체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수 있는 지지 강도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는, 자체 강도가 높고, 사전에 거의 완성단계로 제작되며, 바닥콘크리트층에 배치시키고 바닥콘크리트의 철근들과 연결시키는 것만으로 설치가 끝난다. 따라서 지반 종류나 강도와 상관없이 용이하게 현장에 배치되고, 주변 철근들과 연결시키는 것만으로 설치가 끝나게 되어 손쉽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의 바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닥부(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장형의 리브(40)가 매설되도록 구성된다.
리브(40)는 다수 개의 철판으로 형성되며,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직립되어 병렬 구조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리브(40)에는 다수 개의 관통공(40a)이 형성되어, 장형의 철근(50)이 리브(40)에 삽설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리브(40)가 바닥부(10)의 내부에 매설되면, 바닥부(10) 의 강도가 그만큼 견고해지므로, 바닥설치부(5)의 두께를 작게 형성시킨다 하더라도, 바닥부(10)에 가해지는 상향 부력 및 엘리베이터 피트 벽체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모두 견딜 수 있게 되어, 그로 인한 공사 비용 및 공사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리브의 다양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리브(40)에는 오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먼저 (a)와 같이, 상기 오목부는 내입부(44)로 구성될 수 있다. 내입부(44)는 리브(40)의 상측면 중심부에서 하향으로 오목하게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내입부(44)가 아치형으로 형성되면, 외부에서 바닥부(10)에 힘이 가해질 때, 바닥부(10)의 어느 한 방향으로 힘이 집중된다 하더라도, 그 힘이 리브(40) 전체로 분산되도록 구성되어, 바닥부(10)의 강도가 보다 견고해지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오목부는 (b)와 같이 요홈부(47)로 구성될 수 있다. 요홈부(47)는 리브(40)의 상측 및 하측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요홈부(47)가 다수 개 형성되면, 바닥부(10)에 철근(50: 도 10 도시)이 위치될 때, 리브(40)의 요홈부(47)에 철근(50)이 내입 배치되도록 하여, 리브(40)에 따로 철근(50)이 관통되기 위한 홀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는 상기 도 2의 (a)에 도시된 바닥부(10)와 형틀(30)이 결합부(62)에 의하여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62)는 바닥부(10)와 형틀(30)을 결합시키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 12에서는 현장에서 수월하게 구할 수 있는 앵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62)는 바닥부(10)가 시멘트 혼합물 등에 의하여 형성될 때, 그 형성과정에 있어서, 바닥부(10)가 경화되기 전에, 그 테두리측에서 상방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결합부(62)가 비닥부와 일체로 굳어지면서, 견고하게 밀착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바닥부(10)의 상부에 견고하게 위치된 결합부(62)에 형틀(30)의 하측이 결합되어, 바닥부(10)와 형틀(30)이 견고하게 결합되게 되며, 현장에서 바닥부(10) 및 형틀(30)을 상호 결합시킬 때, 결합부(62)는 바닥부(10)에 미리 고정되어 있으므로, 형틀(30)을 바닥부(10)에 빠르고 수월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결합부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결합부(62: 도 12 도시)는 현장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a)와 같이,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ㄱ' 자 앵글(62a)로 형성되도록 구성되거나, (b)와 같이, 앵글(62b)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사용되는 앵글(62b)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는 상기 도 2의 (b)에 도시된 측벽부(20)와 형틀(30)이 결합부(62)에 의하여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먼저, 바닥부(10)와 일체로 형성된 측벽부(20)의 상단에 결합부(62)가 고정 위치된 후, 형틀(30)의 하단부가 결합부(62)와 결합되면서 측벽부(20)의 상단에 견고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62)는 상기 도 12에서와 같이, 현장에서 수월하게 구할 수 있는 앵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벽부(20)가 경화되기 전에, 측벽부(20)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측벽부(20)에 결합부(62)가 견고하게 밀착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바닥부(10)의 상부에 견고하게 위치된 결합부(62)에 형틀(30)의 하측이 고정되므로, 측벽부(20)와 형틀(30)이 결합부(62)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며, 또한, 현장에서 측벽부(20) 및 형틀(30)을 상호 결합시킬 때, 결합부(62)가 측벽부(20)에 미리 고정되어 있으므로, 형틀(30)을 바닥부(10)에 빠르고 수월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62)는 바닥부(10)와 측벽부(20)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 바닥부(10)가 경화될 때, 바닥부(10)의 테두리측에서 그 상방으로 다수 개가 위치되고, 이렇게 위치된 바닥부(10)에 측벽부(20)의 하측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바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는 상기 도 12에서 결합부(64)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결합부(64)는 바닥부(10)와 형틀(3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그 형상은 너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 개의 결합부(64)가 바닥부(10)의 테두리측에서 상방으로 위치되고, 이렇게 위치된 결합부(64)에 형틀(3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31)가 삽입되면서 바닥부(10)와 형틀(3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부(64)는 상기 도 12와 마찬가지로, 바닥부(10)가 시멘트 혼합물 등에 의하여 형성될 때, 바닥부(10)가 경화되기 전에, 그 테두리측에서 상방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결합부(64)가 바닥부(10)와 일체로 굳어지면서, 견고하게 밀착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현장에서 바닥부(10) 및 형틀(30)을 상호 결합시킬 때, 결합부(64)는 바닥부(10)에 미리 고정되어 있으므로, 형틀(30)을 바닥부(10)에 빠르고 수월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는 상기 도 14에서 결합부(64)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결합부(64)는 측벽부(20)와 형틀(3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그 형상은 너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 개의 결합부(64)가 측벽부(20)의 상단에 위치되고, 이렇게 위치된 결합부(64)에 형틀(3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31)가 삽입되면서 측벽부(20)와 형틀(3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부(64)는 상기 도 14와 마찬가지로, 측벽부(20)가 시멘트 혼합물 등에 의하여 형성될 때, 측벽부(20)가 경화되기 전에, 그 테두리측에서 상방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결합부(64)가 측벽부(20)와 일체로 굳어지면서, 견고하게 밀착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현장에서 측벽부(20) 및 형틀(30)을 상호 결합시킬 때, 결합부(64)는 측벽부(20)에 미리 고정되어 있으므로, 형틀(30)을 측벽부(20)에 빠르고 수월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바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는 상기 도 12에서 결합부(66)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결합부(66)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부(10)의 상면에 위치되며, 결합부(66)의 크기는 바닥부(10)의 상면 크기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부(66)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는 다수 개의 삽입부(31)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1)에 형틀(3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부(66)는 상기 도 12와 마찬가지로, 바닥부(10)가 시멘트 혼합물 등에 의하여 형성될 때, 바닥부(10)가 경화되기 전에, 그 상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결합부(66)가 비닥부와 일체로 굳어지면서, 견고하게 밀착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현장에서 바닥부(10) 및 형틀(30)을 상호 결합시킬 때, 결합부(66)는 바닥부(10)에 미리 고정되어 있으므로, 형틀(30)을 바닥부(10)에 빠르고 수월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 18에서는 결합부(66)가 바닥부(10)와 형틀(30)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하는 구성이나, 경우에 따라 결합부(66)가 바닥부(10)와 측벽부(20)를 상호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의 바닥부의 상방으로 결합구가 돌출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바닥부(10)의 테두리에서 그 상방으로 다수의 결합구(12)가 구비된다. 여기서 결합구(12)는 바닥부(10)와 형틀(3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볼트 등의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구(12)와 형틀(30) 사이에는 결합보조부재(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결합보조부재(14)는 앵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보조부재(14)의 일측은 결합구(12)와 연결되고, 그 타측은 형틀(30)의 하측과 연결되어, 바닥부(10)와 형틀(30)이 결합구(12)와 결합보조부재(14)에 의하여 견고하고 수월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의 측벽부의 상방으로 결합구가 돌출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측벽부(20)의 상단으로 다수의 결합구(22)가 구비된다. 여기서 결합구(22)는 측벽부(20)와 형틀(3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 20과 마찬가지로, 볼트 등의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구(22)와 형틀(30) 사이에는 결합보조부재(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보조부재(24)의 일측은 결합구(22)와 연결되고, 그 타측은 형틀(30)의 하측과 연결되어, 측벽부(20)와 형틀(30)이 결합구(22)와 결합보조부재(24)에 의하여 견고하고 수월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닥부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와 바닥부, 측벽부 일체형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가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설치된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의 철근이 상방으로 돌출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철근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가 바닥철근과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의 철근이 측방으로 돌출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철근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가 바닥철근과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의 지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부의 지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 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제시된 리브의 다양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결합부의 다양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바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바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굴토마감면 2: 버림콘크리트
3: 바닥콘크리트 4: 바닥철근
10: 바닥부 12: 결합구
14: 결합보조부재 20: 측벽부
21: 삽입부 22: 철근
24: 결합보조부재 30: 형틀
31: 삽입부 40: 리브
40a: 관통공 44: 내입부
47: 요홈부 50: 철근
62,64,66: 결합부

Claims (24)

  1.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에 있어서,
    시멘트 혼합물을 두께와 너비를 갖도록 경화시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을 이루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측에 상방으로 결합되는 형틀;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부와 상기 형틀에 의해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2. 건물의 최하층 바닥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에 있어서,
    시멘트 혼합물을 두께와 너비를 갖도록 경화시켜 엘리베이터 피트의 하단을 이루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측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형틀;을 포함하여,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상방 또는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의 결합구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는 상방 또는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수의 결합구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바닥콘크리트층 내에 배치되는 바닥철근 구조와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형틀과 연결되어 상기 형틀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와 상기 형틀 사이에는 결합보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은 상기 바닥부의 경화시에 상기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은 상기 측벽부의 경화시에 상기 측벽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경화시에 상기 바닥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장형의 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에는 철근이 관통 위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측면 중심부에서 하향으로, 또는 하측면 중심부에서 상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내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부는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에는 철근이 내입 배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요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측에 상방으로 하나 이상의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에 상기 형틀의 하측이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측에서 상방으로 하나 이상의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에 상기 측벽부의 하측이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단으로 하나 이상의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에 상 기 형틀의 하측이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앵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20.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21.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바닥부가 경화될 때, 일체로 고정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벽부가 경화될 때, 일체로 고정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판형의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형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2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판형의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의 테두리에는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KR1020080020963A 2007-10-30 2008-03-06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KR200900449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9308 2007-10-30
KR1020070109308 2007-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961A true KR20090044961A (ko) 2009-05-07

Family

ID=4085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963A KR20090044961A (ko) 2007-10-30 2008-03-06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49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132B1 (ko) * 2011-07-21 2013-10-07 주식회사 디엠 저면 이격형 엘리베이터 피트
CN111119219A (zh) * 2020-01-06 2020-05-08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加筋基础胎膜结构及其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132B1 (ko) * 2011-07-21 2013-10-07 주식회사 디엠 저면 이격형 엘리베이터 피트
CN111119219A (zh) * 2020-01-06 2020-05-08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加筋基础胎膜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119219B (zh) * 2020-01-06 2021-08-13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加筋基础胎膜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070B1 (ko) 루프 철근 하단 매입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KR100776774B1 (ko) 강재 덕트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세그먼트의 제작방법
CN107313507B (zh) 一种装配式混凝土框架空心柱节点构造施工方法
KR102000534B1 (ko) 거푸집 겸용 고내구성 텍스타일 보강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0966144B1 (ko) 교대 소켓부 및 횡방향 긴장재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101675441B1 (ko) 일체형 벽체, 일체형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
CN101936074A (zh) 快捷房屋抗震加固方法及装置
KR101753744B1 (ko) 기초부 보강 하부지지프레임 및 매립 거푸집을 이용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구조물
KR101007012B1 (ko) 터널 천단부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터널 천단부보강공법
KR200433220Y1 (ko) 집수정 구조체
KR20090044961A (ko) 콘크리트 엘리베이터 피트 하단 구조체
KR20040105446A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2118881B1 (ko) 화장실 시공용 형틀체 및 이를 이용한 화장실 바닥층 시공방법
KR100973237B1 (ko)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KR20100004638U (ko)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KR101036177B1 (ko) 피알씨 복합화 공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727683B1 (ko)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KR100605559B1 (ko) 콘크리트 판넬을 이용한 조립식 터널 라이닝 조립 구조
KR100880022B1 (ko) 조립식 pc 펌프장 맨홀
KR200477823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KR20120091934A (ko) 헤드 철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의 층간 중간이음 공법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CN111456283A (zh) 预制装配式剪力墙构件及其施工方法
KR101162152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855Y1 (ko) 중공 구조를 갖는 하프 슬래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100810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021

Effective date: 201208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021

Effective date: 2012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