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638U -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638U
KR20100004638U KR2020080014302U KR20080014302U KR20100004638U KR 20100004638 U KR20100004638 U KR 20100004638U KR 2020080014302 U KR2020080014302 U KR 2020080014302U KR 20080014302 U KR20080014302 U KR 20080014302U KR 20100004638 U KR20100004638 U KR 201000046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upport
formwork
vertical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섭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화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테크 filed Critical (주)화인테크
Priority to KR2020080014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638U/ko
Publication of KR201000046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63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수직보강재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부; 수직지지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수직지지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콘크리트 거푸집의 수평보강재를 지지하는 제1 수평지지부; 및 수직지지부에 인접하는 제1 수평지지부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수평보강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바닥보강재를 지지하는 제2 수평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시 가해지는 면압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모된다.
거푸집, 콘크리트, 지지대, 보강재

Description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Supporter of a mold}
본 고안은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시 가해지는 면압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물로, 합판, 경질섬유 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패널, 강판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특히, 거푸집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인접하는 면은 합판 기타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며, 콘크리트와 인접하지 않는 면은 철제 기타 금속으로 된 보강리브를 추가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면압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강도를 확보하도록 제작된다.
하지만 이러한 거푸집은,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면압에 의하여 거푸집 상호 간의 연결 부위가 파손됨에 따라 원하는 형태의 구조물을 축조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가 널리 사 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7)는, 벽면을 형성하는 거푸집(1)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수직보강재(3)를 지지하기 위한 수직지지부(7b)와, 수직지지부(7b)에 연결되며 수평보강재(4)를 지지하기 위한 수평지지부(7a)를 포함한다.
이러한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7)는 대응되는 위치에 2개씩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길이가 긴 타이로드(7d)를 수평지지부(7a)의 양측면에 결합된 고정판(7c)을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조임너트를 양측에서 체결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른 면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7)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거푸집(1)의 외곽을 지지하기 위한 바닥보강재(5)를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없으므로, 바닥면을 형성하는 거푸집(1)과 벽면을 형성하는 거푸집(1)의 연결부위가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른 면압에 의하여 이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7)는, 얇은 판재로 된 고정판(7c)의 내구성이 약하므로 고정판(7c)이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타이로드(7d)의 체결과정이 번거롭고, 타이로드(7d)를 조임너트로 견고히 조임하지 않았을 시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른 면압에 의하여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7)가 밀려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함께, 종래기술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7)는 수평지지부(7a) 및 수직지지부(7b)에 각각 밀착되어 수평보강재(4) 및 수직보강재(3)를 끼우는 경우, 각형 단면을 갖는 부재의 특성상 삽입과정이 까다로우며, 공기의 저항에 의하여 부재의 삽입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시 가해지는 면압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콘크리트 거푸집의 수직보강재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지지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의 수평보강재를 지지하는 제1 수평지지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수평지지부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평보강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의 바닥보강재를 지지하는 제2 수평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2 수평지지부는, 상기 제1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수평지지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는, 상기 수직지지부의 일측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측부를 상호 연결하는 경사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는, 상기 수직지지부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수평지지부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수직지지부 및 상기 제1 수평지지부의 연결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 및 상기 제1 수평지지부는 각각 'ㄷ'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 및 상기 제1 수평지지부는 각각 'ㄱ'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 상기 제1 수평지지부 및 상기 제2 수평지지부에는 각각, 상기 수직보강재, 상기 수평보강재 및 상기 바닥보강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지지부의 타단부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진 테이퍼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 및 상기 제1 수평지지부에는 각각, 상기 수직보강재 및 상기 수평보강재의 결합시 공기의 배출통로가 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호 일체로 마련되는 수직지지부, 제1 수평지지부 및 제2 수평지지부에 의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가해지는 면압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10)는, 콘크리트 거푸집(1)의 수직보강재(3)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부(100)와, 콘크리트 거푸집(1)의 수평보강재(4)를 지지하는 제1 수평지지부(200)와, 콘크리트 거푸집(1)의 바닥보강재(5)를 지지하는 제2 수평지지부(300)를 포함한다.
수직지지부(100)는 콘크리트 거푸집(1)의 수직보강재(3)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판(110,120)과, 양측판(110,12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130)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ㄷ'자형 단면을 가진다.
수직지지부(100)에는 각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거푸집(1)의 수직보강재(3)가 삽입되며, 수직보강재(3)의 3면은 각각 수직지지부(100)의 양측판(110,120) 및 연결판(130)의 내측에 면접촉 지지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른 면압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수직지지부(100)의 양측판(110,120) 및 연결판(130)은 각각 판재 형상의 금속성 재질로 제작되며 주물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수직지지부(100)의 양측판(110,120)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관통 공(110a,120a)이 형성되며, 수직보강재(3)의 삽입 후 관통공(110a,120a)을 따라 소정의 고정수단(910)을 체결함으로써, 수직지지부(100)와 수직보강재(3)를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수단(910)은 못, 나사, 볼트 및 너트 등의 다양한 체결부재를 의미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고정수단(910)의 유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수직지지부(100)의 연결판(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홀(130a)이 형성되며, 여기서 공기배출홀(130a)은, 양측판(110,120)의 관통공(110a,120a)보다 큰 크기의 구멍을 의미한다. 공기배출홀(130a)은 수직지지부(100)에 수직보강재(3)를 삽입하는 경우 수직지지부(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수직보강재(3)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수직지지부(100) 및 수직보강재(3)는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되게 되는데, 이 경우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수직보강재(3)의 삽입이 방해될 수 있으므로, 수직보강재(3)의 삽입시 공기배출홀(130a)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갈 공간을 제공하여 결합의 편의를 도모한다.
한편, 제1 수평지지부(200)는, 콘크리트 거푸집(1)의 수평보강재(4)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양측판(210,220)과, 양측판(210,22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230)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ㄷ'자형 단면을 가진다.
제1 수평지지부(200)에는 각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거푸집(1)의 수평보강재(4)가 삽입되며, 수평보강재(4)의 3면은 각각 제1 수평지지부(200)의 양측판(210,220) 및 연결판(230)의 내측에 면접촉 지지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 른 면압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제1 수평지지부(200)의 양측판(210,220) 및 연결판(230)은 각각 판재 형상의 금속성 재질로 제작되며 주물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제1 수평지지부(200)의 양측판(210,220)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210a,220a)이 형성되며, 수평보강재(4)의 삽입 후 관통공(210a,220a)을 따라 소정의 고정수단(910)을 체결함으로써, 제1 수평지지부(200)와 수평보강재(4)를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수단(910)은 못, 나사, 볼트 및 너트 등의 다양한 체결부재를 의미한다.
제1 수평지지부(200)의 연결판(230)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홀(230a)이 형성되며, 여기서 공기배출홀(230a)은, 양측판(210,220)의 관통공(210a,220a)보다 큰 크기의 구멍을 의미한다. 공기배출홀(230a)은 제1 수평지지부(200)에 수평보강재(4)를 삽입하는 경우 공기의 배출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수평보강재(4)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제1 수평지지부(200) 및 수평보강재(4)는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하게 되는데, 이 경우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수평보강재(4)의 삽입이 방해될 수 있으므로, 수평보강재(4)의 삽입시 공기배출홀(230a)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갈 공간을 제공하여 결합의 편의를 도모한다.
제1 수평지지부(200)의 연결판(230)에 형성된 공기배출홀(230a)은, 일반적으로 수직보강재(3)보다 수평보강재(4)의 길이가 길다는 점을 고려할 때 수직지지부(100)의 연결판(130)에 형성된 공기배출홀(130a)보다 큰 활용도를 갖게 될 것이 며, 필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공기배출홀(230a)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제1 수평지지부(200)는 양측판(210,220)의 일단부가 제1 수평지지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진 테이퍼면(210b,220b)을 포함한다.
테이퍼면(210b,220b)은 제1 수평지지부(200)의 제작시 주물을 통해 처음부터 형성되거나, 제1 수평지지부(200)의 제작 후 양측판(210,220)을 각각 절삭하여 마련되며, 수평보강재(4)를 제1 수평지지부(200)에 결합하는 경우 결합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갖춰진 구성이다. 각형 단면을 갖는 수평보강재(4)를 'ㄷ'자형 단면을 갖는 제1 수평지지부(200)에 결합하는 경우, 직각으로 형성된 각부재의 일단부 상호 간을 끼워 맞추는 과정은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일 수 있으므로, 제1 수평지지부(200)는 양측판(210,220)에 테이퍼면(210b,220b)을 마련토록 함으로써 제1 수평지지부(200)와 수평보강재(4) 상호 간의 결합의 편의를 도모한다.
한편, 제2 수평지지부(300)는,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거푸집(1)의 바닥보강재(5)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직지지부(100)에 인접하는 제1 수평지지부(200)의 일단부에서 제1 수평지지부(2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한 쌍으로 마련된다.
제2 수평지지부(300)에는 각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거푸집(1)의 바닥보강재(5)가 안착되며, 바닥보강재(5)의 일측면은 한 쌍의 제2 수평지지부(300)의 상면에 면접촉 지지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른 면압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제2 수평지지부(300)는 각각 판재 형상의 금속성 재질로 제작되며 주물을 통 해 제1 수평지지부(2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제1 수평지지부(200)의 상단부에 일체로 결합된다.
제2 수평지지부(300)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300a)이 관통 형성되며, 바닥보강재(5)의 안착 후 관통공(300a)을 관통하여 소정의 고정수단(910)을 체결함으로써, 제2 수평지지부(300)와 바닥보강재(5)를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수단(910)은 못, 나사, 볼트 및 너트 등의 다양한 체결부재를 의미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고정수단(910)의 유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10)는, 수직지지부(100) 및 제1 수평지지부(200)를 상호 연결하는 경사지지부(710)와, 수직지지부(100) 및 제1 수평지지부(200)의 연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편(810)을 더 포함한다.
경사지지부(710)는 양단부가 각각 수직지지부(100)의 연결판(130) 일측면 및 제1 수평지지부(200)의 연결판(230) 상측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수직지지부(100) 및 제1 수평지지부(200)의 연결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즉,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른 면압이 큰 경우 수직지지부(100) 및 제1 수평지지부(200)의 연결점 부분을 기점으로 수직지지부(100)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경사지지부(710)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보강편(810)은 수직지지부(100) 및 제1 수평지지부(200)의 연결부위 일측을 따라 수직지지부(100) 및 제1 수평지지부(200)에 밀착 결합되는 부재로, 경사지지부(710)와 마찬가지로 수직지지부(100) 및 제1 수평지지부(200)의 연결강도를 보강 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콘크리트의 타설시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부터 차오르게 되므로, 수직지지부(100) 및 제1 수평지지부(200)의 연결부위가 최초로 면압을 받게 되는바 보강편(810)은 이러한 면압으로부터 수직지지부(100)를 지탱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콘크리트의 타설 진행에 따라 면압의 정도는 점차 커지므로 경사지지부(710)는 증가하는 면압으로부터 수직지지부(100)를 지탱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 경사지지부(710) 및 보강편(810)은 생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10)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거푸집을 지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하측 콘크리트 거푸집(1)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수평보강재(4)에 각각 4개의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10)를 결합한다. 이 경우,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10)는 각각, 수평보강재(4)의 상측에서 끼워지거나 또는 수평보강재(4)의 3면이 제1 수평지지부(200)의 양측판(210,220) 및 연결판(230)에 접촉한 상태에서 수평보강재(4)를 따라 밀어넣음으로써 수평보강재(4)와 결합하게 되며, 제1 수평지지부(200)에 형성된 공기배출홀(230a) 및 테이퍼면(210b,220b)은 제1 수평지지부(200) 및 수평보강재(4) 상호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시공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콘크리트 거푸집(1)이 배치될 위치를 고려하여 제1 수평지지부(200) 및 수평보강재(4)를 결합한 후에는, 양측 판(210,220)에 형성된 관통공(210a,220a)을 따라 고정수단(910)을 체결함으로써 제1 수평지지부(200)를 수평보강재(4)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수직지지부(100)를 따라 수직보강재(3)를 끼워넣으며 이 경우 수직보강재(3)는 제1 수평지지부(200)의 상면까지 삽입되게 되고, 연결판(130)에 형성된 공기배출홀(130a)에 의하여 삽입의 편의가 도모된다. 수직보강재(3)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측판(110,120)에 형성된 관통공(110a,120a)을 따라 고정수단(910)을 체결함으로써 수직지지부(100)와 수직보강재(3)의 결합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제2 수평지지부(300)의 상면에 바닥보강재(5)를 위치시키며, 이 경우 바닥보강재(5)의 일측면은 제1 수평지지부(200)와 연결되는 지점의 수직지지부(100)의 일단부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바닥보강재(5)의 배치가 완료된 후에는 관통공(300a)을 따라 고정수단(910)을 체결함으로써 바닥보강재(5)의 고정을 완료한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10)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는 콘크리트 거푸집(1)을 각각 결합·고정하고, 내수합판(2) 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을 축조하게 된다.
물론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10)를 설치하는 방법은 시공환경 등의 요인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부분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전술한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10)의 설치순서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40)는, 콘크리트 거푸집(1)의 수직보강재(3)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부(400)와, 콘크리트 거푸집(1)의 수평보강재(4)를 지지하는 제1 수평지지부(500)와, 콘크리트 거푸집(1)의 바닥보강재(5)를 지지하는 제2 수평지지부(600)를 포함한다.
수직지지부(400)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10)의 수직지지부(10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수평지지부(500)는, 콘크리트 거푸집(1)의 수평보강재(4)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측판(510)과, 측판(51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연결판(530)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ㄱ'자형 단면을 가진다.
제1 수평지지부(500)의 측판(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510a)이 형성되며, 수평보강재(4)의 삽입 후 관통공(510a)을 관통하여 소정의 고정수단(920)을 체결함으로써, 제1 수평지지부(500)와 수평보강재(4)를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수단(920)은 못, 나사, 볼트 및 너트 등의 다양한 체결부재를 의미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고정수단(920)의 유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수평지지부(500)의 연결판(530)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홀(530a)이 형성되며, 여기서 공기배출홀(530a)은, 측판(510)의 관통공(510a)보다 큰 크기의 구멍을 의미한다. 공기배출홀(530a)은 제1 수평지지부(500)에 수평보강재(4)를 삽입하는 경우 공기의 배출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수평보강재(4)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만,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40)의 제1 수평지지부(500)는 일측면이 개방된 'ㄱ'자형 단면을 가지므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10)의 제1 수평지지부(200)와 달리 공기배출홀(530a)을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제1 수평지지부(500)의 제작방법 등에 관한 기타 사항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10)의 제1 수평지지부(20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수평지지부(600)는,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거푸집(1)의 바닥보강재(5)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직지지부(400)에 인접하는 제1 수평지지부(500)의 일단부에서 제1 수평지지부(5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제2 수평지지부(600)에는 각형 단면을 갖는 콘크리트 거푸집(1)의 바닥보강재(5)가 안착되며, 바닥보강재(5)의 일측면은 제2 수평지지부(600)의 상면에 면접촉 지지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른 면압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수평지지부(60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600a)이 관통 형성되며, 바닥보강재(5)의 안착 후 관통공(600a)을 관통하여 소정의 고정수단(920)을 체결함으로써, 제2 수평지지부(600)와 바닥보강재(5)를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수평지지부(600)에 관한 기타 사항, 경사지지부(720) 및 보강편(820)에 관한 사항은 각각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10)의 제2 수평지지부(300), 경사지지부(710) 및 보강편(810)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40)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거푸집을 지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하측 콘크리트 거푸집(1)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수평보강재(4)에 각각 4개의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40)를 결합한다. 이 경우,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40)는 각각, 수평보강재(4)의 상측에서 끼움으로써 수평보강재(4)와 결합하게 되며, 시공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콘크리트 거푸집(1)이 배치될 위치를 고려하여 제1 수평지지부(500) 및 수평보강재(4)를 결합한 후에는, 측판(510)에 형성된 관통공(510a)을 따라 고정수단(920)을 체결하여 제1 수평지지부(500)를 수평보강재(4)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수직지지부(400)를 따라 수직보강재(3)를 끼워넣으며 이 경우 수직보강재(3)는 제1 수평지지부(400)의 상면까지 삽입되게 되고, 연결판(430)에 형성된 공기배출홀(430a)에 의하여 삽입의 편의가 도모된다. 수직보강재(3)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측판(410)에 형성된 관통공(410a)을 따라 고정수단(920)을 체결함으로써 수직지지부(400)와 수직보강재(3)의 결합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제2 수평지지부(600)의 상면에 바닥보강재(5)를 위치시키며, 이 경우 바닥보강재(5)의 일측면은 제1 수평지지부(500)와 연결되는 지점의 수직지지부(400)의 일단부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바닥보강재(5)의 배치가 완료된 후에는 관통공(600a)을 따라 고정수단(920)을 체결함으로써 바닥보강재(5)의 고정을 완료한 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40)의 설치를 완료한 후에는 콘크리트 거푸집(1)을 각각 결합·고정하고, 내수합판(2) 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을 축조하게 된다.
물론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40)를 설치하는 방법은 시공환경 등의 요인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부분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전술한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40)의 설치순서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10,40)는 콘크리트 타설시 가해지는 면압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 :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100,400 : 수직지지부
110,120,410,420 : 측판 130,430 : 연결판
110a,120a,410a,420a : 관통공 130a,430a : 공기배출홀
200,500 : 제1 수평지지부 210,220,510 : 측판
230,530 : 연결판 210a,220a,510a : 관통공
210b,220b : 테이퍼면 230a,530a : 공기배출홀
300,600 : 제2 수평지지부 300a,600a : 관통공
710,720 : 경사지지부 810,820 : 보강편
910,920 : 고정수단 1 : 콘크리트 거푸집
2 : 내수합판 3 : 수직보강재
4 : 수평보강재 5 : 바닥보강재

Claims (9)

  1. 콘크리트 거푸집의 수직보강재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지지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의 수평보강재를 지지하는 제1 수평지지부; 및
    상기 수직지지부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수평지지부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평보강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의 바닥보강재를 지지하는 제2 수평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지지부는,
    상기 제1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수평지지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의 일측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의 일측부를 상호 연결하는 경사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수평지지부의 상단부에 마련 되며 상기 수직지지부 및 상기 제1 수평지지부의 연결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 및 상기 제1 수평지지부는 각각 'ㄷ'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 및 상기 제1 수평지지부는 각각 'ㄱ'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 상기 제1 수평지지부 및 상기 제2 수평지지부에는 각각,
    상기 수직보강재, 상기 수평보강재 및 상기 바닥보강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지지부의 타단부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 수평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진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지 지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 및 상기 제1 수평지지부에는 각각,
    상기 수직보강재 및 상기 수평보강재의 결합시 공기의 배출통로가 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배출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KR2020080014302U 2008-10-28 2008-10-28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KR201000046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302U KR20100004638U (ko) 2008-10-28 2008-10-28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302U KR20100004638U (ko) 2008-10-28 2008-10-28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38U true KR20100004638U (ko) 2010-05-07

Family

ID=4419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302U KR20100004638U (ko) 2008-10-28 2008-10-28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638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811B1 (ko) * 2011-11-10 2013-06-28 주식회사 블루폼 패널지지 어셈블리
KR101501693B1 (ko) * 2014-04-16 2015-03-11 (주)화인폼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KR102114018B1 (ko) * 2019-07-03 2020-05-22 송은석 연약지반에 의한 부등침하를 해결 가능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 방법
KR200492207Y1 (ko) * 2019-10-02 2020-08-28 김호식 유로폼 지지 구조
CN114673350A (zh) * 2022-04-18 2022-06-28 重庆拓达建设(集团)有限公司 用于高层建筑的组合式铝模板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811B1 (ko) * 2011-11-10 2013-06-28 주식회사 블루폼 패널지지 어셈블리
KR101501693B1 (ko) * 2014-04-16 2015-03-11 (주)화인폼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KR102114018B1 (ko) * 2019-07-03 2020-05-22 송은석 연약지반에 의한 부등침하를 해결 가능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 방법
KR200492207Y1 (ko) * 2019-10-02 2020-08-28 김호식 유로폼 지지 구조
CN114673350A (zh) * 2022-04-18 2022-06-28 重庆拓达建设(集团)有限公司 用于高层建筑的组合式铝模板
CN114673350B (zh) * 2022-04-18 2023-09-26 重庆拓达建设(集团)有限公司 用于高层建筑的组合式铝模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057B2 (en) Anchoring insert for embedding in a concrete component and concrete component provided therewith
WO2008133460A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6668502B2 (en) Ledger mould for building a ledger
KR20100004638U (ko)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DK2630306T3 (en) Assemblable disposable FOR CONSTRUCTION OF MODULAR formwork FOR PRODUCTION OF CONCRETE FOUNDATION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2000534B1 (ko) 거푸집 겸용 고내구성 텍스타일 보강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KR101186053B1 (ko) 선가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KR101302520B1 (ko) 콘크리트 벽체 시공구조
JPWO2006129801A1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101483911B1 (ko) 채널 매립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KR200397209Y1 (ko) 슬라브 전단 보강용 강판
KR101639592B1 (ko) 교량용 조립형 경량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200438488Y1 (ko) 무량판 슬래브의 이방향 전단 보강 구조물
KR100859312B1 (ko) 골판형 합성상판
KR100727683B1 (ko) 강 거더 및 콘크리트 바닥 판을 갖는 조기 합성 거더시스템
KR100973237B1 (ko) 엘리베이터 설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피트의 결합구조
KR100748939B1 (ko) 이방향 골판형 합성상판
KR20170050143A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KR102181071B1 (ko)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KR101080649B1 (ko) 거푸집용 클램프
KR20150018366A (ko) 콘크리트 플랜지와 강재 웨브 접합형 거더 시공방법
KR20200010841A (ko) 하프피씨 바닥판 및, 바닥판구조체
KR20190001131U (ko) 단열재 일체형 외줄 트러스거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