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693B1 -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693B1
KR101501693B1 KR20140045431A KR20140045431A KR101501693B1 KR 101501693 B1 KR101501693 B1 KR 101501693B1 KR 20140045431 A KR20140045431 A KR 20140045431A KR 20140045431 A KR20140045431 A KR 20140045431A KR 101501693 B1 KR101501693 B1 KR 101501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vertical
plate
supporting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5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웅
Original Assignee
(주)화인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폼 filed Critical (주)화인폼
Priority to KR20140045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의 외측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는, 상호 대칭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판재 형상의 수평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수평지지부재와, 상기 복수 개의 수평지지부재의 일측 상면을 연결하는 하부 평판을 구비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지지부재와 수직한 상태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적어도 상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의 수직지지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중공부에 일부가 삽입되되,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부재에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부의 폭이 타단부의 폭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외측 방향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된 고정부재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높이조절부재가 수직지지부재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지지력을 견고히 할 수 있으며, 지지장치의 상단을 고정하고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구조을 구비함으로써,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CONCRETE MOLD PANEL}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을 제작하는 데에 사용되는 건축용 패널(이하, 거푸집 패널이라 함.)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거푸집 패널을 견고하게 지지 가능하며, 지지력을 보강시킨 구조를 갖는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의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 콘크리트 내부에 보강재로 사용되는 철근 또는 철골을 제작한 후 외부를 거푸집으로 감싼 다음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을 완성한다.
이때, 사용되는 거푸집 패널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물로, 합판, 경질섬유 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패널, 강판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특히, 거푸집 패널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인접하는 면은 합판 기타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며, 콘크리트와 인접하지 않는 면은 철제 기타 금속으로 된 보강 리브를 추가하여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면압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강도를 확보하도록 제작된다.
하지만 이러한 거푸집은,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면압에 의하여 거푸집 상호 간의 연결 부위가 어긋남에 따라 원하는 형태의 구조물을 축조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 패널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거푸집 패널을 외측면을 지지하는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10)는 거푸집의 하부를 지지하는 각목(30)이 끼워지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호 대칭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부재(1,2)와, 한 쌍의 수평지지부재의 일측 상면을 연결하는 판재 형상의 플레이트(3)와, 거푸집 패널(20)의 외측면을 지지하되, 전면이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과 일치하도록 상기 수평지지부재(1,2)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는 수직지지부재(4)와, 상기 수평지지부재(1,2)의 길이를 줄임과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3)에 대한 상기 수직지지부재(4)의 연결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지지부재(4)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수직지지부재(4)의 배면을 따라 연장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의(3) 상면에 고정되는 수직보강부재(5)와, 상기 수직지지부재(4)를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부재(4)의 내부에 상대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높이조절부재(7)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10)는 수직지지부재(4)에 높이조절부재(7)를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와 같은 고정부재(6)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 높이조절부재의 높이 조절을 위해서는 나사를 풀고 조이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높이 조절을 위해 나사를 풀고 조이는 작업은 다소간의 시간이 요구되며, 이러한 작업은 전체 거푸집 설치를 위해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지연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상기 지지장치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 시 작용되는 면압력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며, 설치 현장에서 보다 적은 갯수의 지지장치로써 콘크리트에 의해 작용되는 면압력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장치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것이 요구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98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높이조절부재가 수직지지부재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하고도 용이한 작업에 의해 상기 지지장치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력이 보다 강화된 구조의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장치의 상단을 거푸집 패널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의 외측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는, 상호 대칭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판재 형상의 수평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수평지지부재와, 상기 복수 개의 수평지지부재의 일측 상면을 연결하는 하부 평판을 구비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수평지지부재와 수직한 상태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적어도 상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의 수직지지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중공부에 일부가 삽입되되,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부재에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부의 폭이 타단부의 폭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외측 방향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된 고정부재수용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수용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부측을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홈과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수용부의 제1수용홈의 폭은 제2수용홈의 폭보다 작되, 상기 제1수용홈의 폭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고정부재수용부의 제2수용홈의 폭은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부의 폭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수용부의 수용홈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및 수직지지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접하는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재의 상부는 아래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는 직각 사다리꼴 형상의 지지보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재는 상기 수평부의 내측 단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지지부재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하부 평판 내외측 단부에 형성된 내측 보강리브 및 외측 보강리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상부에는 수직평판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평판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높이조절부재가 수직지지부재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지지력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하고도 용이한 작업에 의해 상기 지지장치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지지장치의 상단을 고정하고,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구조을 구비함으로써,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종래기술에 따른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100)는, 상호 대칭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판재 형상의 수평부(11,21)를 구비하는 2개의 수평지지부재(10,20)와 상기 2개의 수평지지부재(10,20)의 일측 상면을 연결하는 하부 평판(31)을 구비하는 하부 플레이트(3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의 상면에서 상기 수평지지부재(10,20)와 수직한 상태로 형성되며, 적어도 상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의 수직지지부재(40)와 상기 수직지지부재(40)의 중공부에 일부가 삽입되되,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재(50)와 상기 수직지지부재(40)에 상기 높이조절부재(5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7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70)는 일단부의 폭이 타단부의 폭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재(40)의 상부에서 외측 방향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재(7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된 고정부재수용부(6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10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및 수직지지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접하는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재의 상부는 아래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는 직각 사다리꼴 형상의 지지보강부재(41)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부재(10,20)는 상호 대칭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판재 형상의 수평부(11,21)와 상기 수평부(11,21)의 내측 단부에서 아래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부(13,23)를 포함한다.
이러한 2 개의 수평지지부재(10,20)의 수직부(13,23) 사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패널(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각목(300)이 끼워질 수 있으며, 수평부(11,21) 또는 수직부(13,23)에 형성되는 관통홀(25)을 통해 못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각목(300)이 수평지지부재(10,2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속성 부재의 수평지지부재를 2개 사용하였으나, 3개 이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다른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30)는 하부 평판(31) 및 하부 평판(31)의 내측 및 외측 단부에서 윗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내측 지지보강리브(33)과 외측 지지보강리브(3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내측"은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100)에서 거푸집 패널(200)을 향하는 측을 의미하고 "외측"은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100)에서 거푸집 패널(200)의 반대방향 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하부 평판(31)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2개의 수평지지부재(10,20)의 일측 상면을 연결하는 판재 형상의 구성이다.
즉, 하부 평판(31)은 수평지지부재(10,20)를 구성하는 수평부(11,21)의 상면을 따라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됨으로써 2개의 수평지지부재(10,20)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측 지지보강리브(33)는 내측면이 수직지지부재(40)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측 지지보강리브(35)는 후술하는 지지보강부재(41)의 외측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이러한 지지보강리브(33,35)에 의해 지지장치의 지지력을 더욱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하부 평판(31)에는 관통홀(3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 개의 수평지지부재(10,20)의 수직부(13,23) 사이에 각목(300)이 끼워지게 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평판(31)의 하부에 각목(300)이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관통홀(37)을 통해 못 등의 체결수단으로 각목(300)이 하부 평판(31)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지지부재(40)은 거푸집 패널(200)의 외측을 지지하도록 하부 플레이트(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재(10,20)와 수직한 상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지지부재(40)는 사각형 관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 중공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중공부에 의해 높이조절부재(50)가 삽입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재(50)는 상기 수직지지부재(40)의 중공부에 일부가 삽입되되,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이다.
즉, 높이조절부재(50)를 원하는 높이만큼 위치시킨 후, 후술하는 고정부재(70)에 의해 상기 수직지지부재(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수직지지부재(40)와 마찬가지로 높이조절부재(5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중공 사각 강관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재(50)의 상부에는 비가 올 때 관 형태의 높이조절부재 내부로 비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평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높이조절부재(50)의 상부에는 수직평판부(5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수직평판부(55)에는 관통홀(5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100)를 거푸집 패널(200)에 설치할 때, 높이조절부재(50)의 상단에 마련된 수직평판부(55)에 형성되는 관통홀(57)을 통해 못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함으로써, 거푸집 패널 상단에 마련된 목재(400)에 높이조절부재(5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100)의 상단이 거푸집 패널(200)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높이조절부재(50)를 수직지지부재(4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부재(70)와 고정부재(70)가 수용될 수 있는 고정부재수용부(60)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70)는 일단부의 폭이 타단부의 폭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상의 판재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수용부(60)는 수직지지부재(40)의 상부에서 외측방향에 수직지지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수용부(60)에는 상기 고정부재(7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수용부(60)는 2개의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재(70)의 폭이 작은 일단부측을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홈과 상기 고정부재의 폭이 큰 타단부측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홈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수용부(60)의 제1수용홈의 폭은 제2수용홈의 폭보다 작되, 상기 제1수용홈의 폭은 상기 고정부재(70)의 일단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고정부재수용부(60)의 제2수용홈의 폭은 상기 고정부재(70)의 타단부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수용부(60)의 제1수용홈의 폭을 w1, 상기 고정부재수용부(60)의 제2수용홈의 폭을 w2, 상기 고정부재(70)의 일단부의 폭을 w3, 상기 고정부재(70)의 타단부의 폭을 w4라고 할 때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
w3 < w1 < w2 < w4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수용부(60)의 수용홈에서 상기 고정부재(70)가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재(70)의 일단부측의 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70)의 타단부측의 폭(w4)이 상기 고정부재수용부(60)의 제2수용홈의 폭(w2)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70)의 타단부측은 제2수용홈에 대해 삽입한계를 가지기 때문에 별도의 걸림돌기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높이조절부재(50)를 수직지지부재(40)에 고정시킬 때에는,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높이조절부재(5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수용부(60)에 마련된 수용홈에 느슨하게 삽입되어 있는 고정부재(70)를 도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고정부재(70)가 측압에 의해 높이조절부재(50)를 완전히 압착할 때까지 밀어 넣는다. 이에 따라 높이조절부재(50)가 수직지지부재(4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종래기술과 같은 나사 형상의 고정부재와 비교하여서는 훨씬 강한 측압이 발생하므로, 훨씬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력의 보강을 위해 상기 수직지지부재(40)의 외측에 지지보강부재(41)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보강부재(41)는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30)의 상면 및 수직지지부재(40)의 외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재의 상부는 아래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는 직각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보강부재(41)의 외측 단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외측 지지보강리브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보강부재(41)에 의해 지지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의 각 구성의 결합을 위해 용접방법을 사용하므로, 각 구성의 재질은 금속성 부재를 사용하였으나, 다른 재질 또는 다른 결합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20 : 수평지지부재
30 : 하부 플레이트
40 : 수직지지부재
41 : 지지보강부재
50 : 높이조절부재
60: 고정부재
70 : 고정부재수용부

Claims (9)

  1. 거푸집 패널의 외측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호 대칭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는 판재 형상의 수평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수평지지부재;
    상기 복수 개의 수평지지부재의 일측 상면을 연결하는 하부 평판을 구비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수평지지부재와 수직한 상태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적어도 상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의 수직지지부재;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중공부에 일부가 삽입되되,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재;
    상기 수직지지부재에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부의 폭이 타단부의 폭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상부에서 외측 방향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된 고정부재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수용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부측을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홈과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수용부의 제1수용홈의 폭은 제2수용홈의 폭보다 작되, 상기 제1수용홈의 폭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단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고정부재수용부의 제2수용홈의 폭은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하부 평판 내외측 단부에 형성된 내측 보강리브 및 외측 보강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상부에는 수직평판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평판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수용부의 수용홈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 및 수직지지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접하는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재의 상부는 아래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는 직각 사다리꼴 형상의 지지보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재는 상기 수평부의 내측 단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140045431A 2014-04-16 2014-04-16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KR101501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431A KR101501693B1 (ko) 2014-04-16 2014-04-16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431A KR101501693B1 (ko) 2014-04-16 2014-04-16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693B1 true KR101501693B1 (ko) 2015-03-11

Family

ID=5302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5431A KR101501693B1 (ko) 2014-04-16 2014-04-16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6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777B1 (ko) * 2016-04-12 2017-11-08 (주)동은에프앤씨 거푸집 지지장치
KR102084550B1 (ko) * 2019-07-08 2020-03-04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999A (ko) * 2004-12-01 2006-06-07 다산건설(주) 거푸집용 지지구
KR20100004638U (ko) * 2008-10-28 2010-05-07 (주)화인테크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KR20130051579A (ko) * 2011-11-10 2013-05-21 주식회사 블루폼 패널지지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0999A (ko) * 2004-12-01 2006-06-07 다산건설(주) 거푸집용 지지구
KR20100004638U (ko) * 2008-10-28 2010-05-07 (주)화인테크 거푸집 고정용 지지대
KR20130051579A (ko) * 2011-11-10 2013-05-21 주식회사 블루폼 패널지지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777B1 (ko) * 2016-04-12 2017-11-08 (주)동은에프앤씨 거푸집 지지장치
KR102084550B1 (ko) * 2019-07-08 2020-03-04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지지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109B1 (ko) 건축물 기둥 양방향 너비조정 거푸집틀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101501693B1 (ko) 거푸집 패널 지지장치
KR102039732B1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101966226B1 (ko) 거푸집 패널 벽체
KR20170001244U (ko) 빔 브라켓
KR20180047905A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 및 그 고정구의 제작방법
KR101442195B1 (ko) 보행통로 및 인도교용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
KR20180089801A (ko) 운반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경량화 거푸집 패널
KR101642103B1 (ko) 철근 콘크리트 고정구를 이용한 케이블 월 시스템
KR20080074387A (ko) 지붕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 받침 장치
EP3272959A1 (en) Building wall
KR101721522B1 (ko) 가변 앵커
KR20090117224A (ko) 슬래브 지지장치
KR101661034B1 (ko) 벽체시공용 수도관 지지장치
KR101537762B1 (ko) 복합소재 인발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649747B1 (ko)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KR100845459B1 (ko) 콘크리트 보 패널의 지지장치
KR101848560B1 (ko) 거푸집 고정구조
KR200482085Y1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101554093B1 (ko) 힌지형 대각부재를 이용한 건축물 개구부 보강 구조물
KR20180089808A (ko) 벽 단부 형성용 거푸집 패널
KR20210123597A (ko) 거푸집 확장장치
KR20170039844A (ko) 합벽코너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