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522B1 - 가변 앵커 - Google Patents

가변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522B1
KR101721522B1 KR1020150065835A KR20150065835A KR101721522B1 KR 101721522 B1 KR101721522 B1 KR 101721522B1 KR 1020150065835 A KR1020150065835 A KR 1020150065835A KR 20150065835 A KR20150065835 A KR 20150065835A KR 101721522 B1 KR101721522 B1 KR 101721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horizontal surface
bracket
bolt
curta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151A (ko
Inventor
윤태원
이익배
이상배
김인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서울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서울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서울창호
Priority to KR1020150065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522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07Longitudinal elements having an open profile, with the opening parallel to the concrete or masonry surface, i.e. anchoring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변 앵커는 건축물 구조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건축물 구조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일부가 커튼월 또는 창호의 수직부재 내부에 구비되는 가변용 볼트와, 커튼월 또는 창호의 상기 수직부재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변용 볼트가 관통하는 브래킷과, 상기 가변용 볼트에 체결되는 가변용 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앵커{VARIABLE ANCHORS}
본 발명은 가변 앵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튼월 또는 창호의 부재크기 및 건축물의 다양한 골조형태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주체 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이루어져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 및 수평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 경우, 벽체는 단순히 칸막이 역할을 하며, 이러한 벽체는 커튼월(curtain wall)이라고 한다.
커튼월은 주로 고층의 건축 구조물에서 사용되며, 미리 공장에서 조립된 커튼월 유니트를 건물 골조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정밀한 결합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정밀한 결합을 위해, 보통 커튼월의 높낮이 조절이 매우 중요한데, 이러한 커튼월의 높낮이 조절은 작업자의 개인적인 숙련도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게 일반적이다. 다만, 이러한 작업자의 숙련도에 크게 의존하지 않도록, 커튼월의 높낮이 레벨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장치들이 시도되어 왔다.
도 1은 커튼월을 슬라브에 부착하는, 종래의 고정 장치에 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라브에 브라켓(10)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하고, 브라켓(10)에는 세로로 길게 개구가 형성되어, 이러한 개구를 통해 커튼월(2)에 부착된 브라켓(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볼트를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방식의 장치는 커튼월(2)의 중량이 많이 나가는 경우에는 커튼월(2)을 직접 작업자가 들어올려서 작업을 진행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커튼월(2)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범위는 브라켓(10)에 형성된 세로 형태의 개구의 길이에 한정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튼월 또는 창호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 앵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재의 크기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는 가변 앵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다양한 골조형태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는 가변 앵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변 앵커는 건축물 구조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건축물 구조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일부가 커튼월 또는 창호의 수직부재 내부에 구비되는 가변용 볼트와, 커튼월 또는 창호의 상기 수직부재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변용 볼트가 관통하는 브래킷과, 상기 가변용 볼트에 체결되는 가변용 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커튼월 또는 창호의 수직부재의 단면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이 상기 수직부재를 지지하도록 하는 패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커튼월 또는 창호의 수직부재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브래킷을 상기 수직부재에 고정하는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수직면과, 상기 가변용 볼트가 관통하는 제1수평면과, 상기 가변용 볼트가 관통하며, 상기 제1수평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2수평면과, 상기 제2수평면과 상기 제1수평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수평면과 상기 제1수평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이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제1수평면, 상기 제2수평면 및 상기 이격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제1중공부와, 상기 제1수평면, 상기 제2수평면, 상기 수직면 및 이격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제2중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변용 너트는 상기 브래킷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용 볼트에 체결되는 제1너트와, 상기 제1중공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용 볼트에 체결되는 제2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면과 상기 제2수평면은 상기 가변용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건축물 구조체와 맞대어지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면과 수직을 형성하는 제2면과,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과 맞대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보강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앵커에 의하면, 작업자가 용이하게 커튼월 또는 창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커튼월 또는 창호의 부재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커튼월 또는 창호를 건축물의 다양한 골조형태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의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변 앵커의 또 다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가변 앵커의 또 다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변 앵커가 커튼월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나, 가변 앵커는 커튼월뿐만 아니라 창호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B'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의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는 고정부재(100), 베이스플레이트(200), 가변용 볼트(300), 브래킷(400) 및 가변용 너트(50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재(100)는 건축물 구조체(40)에 삽입되어 고정부재(100)와 결합한 커튼월(50)을 건축물 구조체(4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부재(100)로는 앵커가 사용될 수 있는데 셋트앵커 또는 웨지앵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건축물 구조체(40)는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사용하거나 철재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00)는 건축물 구조체(40)의 일면에 구비되는데 고정부재(100)에 의해 건축물 구조체(4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200)는 철재로 제작되는데 베이스플레이트(200)가 구비됨으로써 추후 설명할 가변용 볼트(300)가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플레이트(200)와 가변용 볼트(300)가 맞닿는 부분이 평탄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변용 볼트(300)가 지지받는 힘이 고르지 못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공시간과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 구조체(40)와 가변용 볼트(300)가 이질재질로 구비될 경우에도 가변용 볼트(300)를 건축물 구조체(40)에 고정하기 위한 시공시간과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베이스플레이트(200)를 구비할 경우에는 베이스플레이트(200)에 의해 가변용 볼트(300)와 맞닿는 면이 평탄해지고, 가변용 볼트(300)도 베이스플레이트(200)와 동일한 철재로 제작되므로 용접 등을 통해 가변용 볼트(300)와 베이스플레이트(20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시공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가변용 볼트(30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00)에 고정되어 일부가 커튼월의 수직부재(5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가변용 볼트(300)는 용접 등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200)에 고정되는 머리부(310)와, 머리부(310)에서 연장되어 일부가 수직부재(51) 내부에 구비되는 몸체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320)에는 나사산(320a)이 형성되어 있어 추후 설명할 가변용 너트(500)가 나사결합을 통해 가변용 볼트(300)에 체결될 수 있다.
브래킷(400)은 수직부재(51) 내부에 구비되어 고정용 볼트(700)에 의해 수직부재(51)에 고정되며, 상기에서 언급한 가변용 볼트(300)가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브래킷(400)은 'ㅂ'자 형태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수직면(410), 제1수평면(420), 제2수평면(430) 및 이격부재(440)를 구비할 수 있다. 수직면(410)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수직부재(51) 또는 창호와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고정용 볼트(700)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평면(420)과 제2수평면(430)은 수직면(410)에서 연장되고, 가변용 볼트(300)가 각각 관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수평면(420)과 제2수평면(430)은 가변용 볼트(300)의 몸체부(320)가 관통하는 관통홀(421,431)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관통홀(421,431)은 몸체부(320)의 단부보다 작게 구비되어 몸체부(320)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제1수평면(420)과 제2수평면(430)을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용 볼트(300)가 수직부재(51) 또는 창호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1수평면(420) 및 제2수평면(430)과 결합함으로써 가변용 볼트(300)가 안정적으로 수직부재(5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평면(420)과 제2수평면(430)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제1수평면(420)과 제2수평면(430) 사이에는 이격부재(440)가 구비되어 제1수평면(420)과 제2수평면(430)의 이격거리를 유지함과 동시에 브래킷(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제2수평면(4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격부재(440)가 복수개인 것을 보였으나, 이격부재(440)는 설치위치나 시공현장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브래킷(400)은 제1수평면(420)과 제2수평면(430)이 이격부재(440)에 의해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제1수평면(420), 제2수평면(430) 및 이격부재(440)에 의해 형성되는 제1중공부(450)와 제1수평면(420), 제2수평면(430), 수직면(410) 및 이격부재(440)에 의해 형성되는 제2중공부(46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격부재(440)가 복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하나의 제1중공부(450)와 복수개의 제2중공부(46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가변용 너트(500)는 가변용 볼트(300)에 체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가변용 너트(500)는 브래킷(400)의 외부, 즉 브래킷(400)의 하면에 구비되어 가변용 볼트(300)에 체결되는 제1너트(510)와 브래킷(400)의 제1중공부(450)에 구비되어 가변용 볼트(300)에 체결되는 제2너트(520)를 구비할 수 있다. 가변용 볼트(300)에 체결된 상태를 살펴보면, 가변용 볼트(300)의 머리부(310)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너트(510), 제1수평면(420), 제2너트(520) 및 제2수평면(430) 순으로 가변용 볼트(3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2너트(520)가 제1중공부(450)에 위치함으로써 향후 설치완료 후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제2너트(520)가 가변용 볼트(300)에서 풀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가변용 볼트(300)와 가변용 너트(500)를 통해 작업자는 커튼월(5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튼월(5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제1너트(510)를 가변용 볼트(300)에서 풀고 제2너트(520)를 풀면서 커튼월(50)의 높이를 조절한 후 제1너트(510)와 제2너트(520)를 각각 가변용 볼트(300)에 조여 고정함으로써 조절된 커튼월(50)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 앵커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커튼월(5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재의 크기나 골조형태에 상관없이 커튼월(50)를 건축물 구조체(40)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수직부재(51)와 브래킷(400) 사이에는 수직부재(51)의 단면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브래킷(400)이 수직부재(51)를 지지하도록 하는 패드(600)가 구비될 수 있다. 패드(600)는 1mm의 두께를 가지고,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패드(600)가 수직부재(51)와 브래킷(400) 사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패드(600)는 수직부재(51)의 단면 크기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용 볼트(700)에 의해 수직부재(51)에 고정된 브래킷(400)과 수직부재(51)의 내측면의 이격거리가 클 경우, 브래킷(400)이 수직부재(51)를 용이하게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부재(51)와 브래킷(400) 사이에 패드(600)를 다수개 구비한 후 고정용 볼트(700)를 통해 패드(600)가 수직부재(51)와 브래킷(400) 사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수직부재(51)와 브래킷(400)의 내측면의 이격거리를 좁혀 브래킷(400)이 수직부재(51)를 용이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 앵커가 패드(600)를 구비함으로써 수직부재(51)의 단면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직부재(51)와 브래킷(400) 사이에 패드(600)가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부재의 접합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 또한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변 앵커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는 건축물 구조체(4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00), 건축물 구조체(40)의 일면에 구비되어 고정부재(100)에 의해 건축물 구조체(40)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0), 베이스플레이트(200)에 고정되어 일부가 커튼월(50)의 수직부재(51)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변용 볼트(300), 커튼월(50)의 수직부재(51) 내부에 고정되어 가변용 볼트(300)가 관통하는 브래킷(400) 및 가변용 볼트(300)에 체결되는 가변용 너트(5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부재(51)와 브래킷(400) 사이에 위치하며, 수직부재(51)의 단면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브래킷(400)이 수직부재(51)를 지지하도록 하는 패드(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00)에 고정되는 가변용 볼트(300)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변용 볼트(300)에 체결되는 가변용 너트(500) 또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구조체(4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00)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00)에 고정되는 가변용 볼트(300)와 가변용 볼트(300)에 체결되는 가변용 너트(500)가 복수개로 구비됨으로써 수직부재(51)에 고정되는 브래킷(40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편한 볼트-너트방식을 사용하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건축물 구조체(4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00)가 복수개로 구비됨으로써 가변 앵커가 건축물 구조체(40)에 고정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안정적으로 가변 앵커가 건축물 구조체(40)에 구비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가변용 볼트(300), 가변용 너트(500) 및 고정부재(100)가 복수개로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가변용 볼트(300), 가변용 너트(500) 및 고정부재(100)는 설치위치나 시공현장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가변 앵커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는 건축물 구조체(4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00), 건축물 구조체(40)의 일면에 구비되어 고정부재(100)에 의해 건축물 구조체(40)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0), 베이스플레이트(200)에 고정되어 일부가 커튼월(50)의 수직부재(51)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변용 볼트(300), 커튼월(50)의 수직부재(51) 내부에 고정되어 가변용 볼트(300)가 관통하는 브래킷(400) 및 가변용 볼트(300)에 체결되는 가변용 너트(50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200)는 건축물 구조체(40)와 맞대어지는 제1면(210), 제1면(210)에서 연장되어 제1면(210)과 수직을 형성하는 제2면(220) 및 제1면(210)과 제2면(220)을 동시에 맞대도록 구비되어 베이스플레이트(200)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보강판(230)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면(210)과 제2면(220)이 수직을 형성함으로써 'ㄱ'자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고 보강판(230)이 제1면(210)과 제2면(220)의 내각 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면(210)에는 고정부재(100)가 건축물 구조체(40)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제2면(220)에는 가변용 볼트(300)가 수직부재(51) 내부에 구비된 브래킷(400)을 관통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면(220)에 구비되는 가변용 볼트(300)는 지면과 수직방향이 아닌 수평방향으로 누워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는 가변용 볼트(300)와 가변용 볼트(300)에 체결되는 가변용 너트(500)의 의해 건축물 구조체(40)와 커튼월(50)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재(100)와 가변용 볼트(300)가 베이스플레이트(200)에 각각 하나만이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고정부재(100)와 가변용 볼트(300)는 설치위치나 시공현장에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수직부재(51)와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제2면(220) 사이에는 패드(600)가 구비될 수 있다. 수직부재(51)와 제2면(220) 사이에 패드(600)가 구비됨으로써 서로 다른 부재의 접합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 또한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앵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40: 건축물 구조체 50: 커튼월 또는 창호
100: 고정부재 200: 베이스플레이트
300; 가변용 볼트 400: 브래킷
500: 가변용 너트 600: 패드
700: 고정용 볼트

Claims (7)

  1. 건축물 구조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건축물 구조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건축물 구조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일부가 커튼월 또는 창호의 수직부재 내부에 구비되는 가변용 볼트와,
    커튼월 또는 창호의 상기 수직부재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가변용 볼트가 관통하는 브래킷과,
    상기 가변용 볼트에 체결되는 가변용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은 커튼월 또는 창호의 상기 수직부재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브래킷을 상기 수직부재에 고정하는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는 수직면과, 상기 가변용 볼트가 관통하는 제1수평면과, 상기 가변용 볼트가 관통하며, 상기 제1수평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2수평면과, 상기 제2수평면과 상기 제1수평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수평면과 상기 제1수평면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이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앵커.
  2. 제 1항에 있어서,
    커튼월 또는 창호의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위치하며, 커튼월 또는 창호의 상기 수직부재 단면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이 상기 수직부재를 지지하도록 하는 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앵커.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제1수평면, 상기 제2수평면 및 상기 이격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제1중공부와,
    상기 제1수평면, 상기 제2수평면, 상기 수직면 및 이격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제2중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앵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용 너트는 상기 브래킷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용 볼트에 체결되는 제1너트와,
    상기 제1중공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용 볼트에 체결되는 제2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앵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면과 상기 제2수평면은 상기 가변용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앵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건축물 구조체와 맞대어지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면과 수직을 형성하는 제2면과,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과 맞대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보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앵커.
KR1020150065835A 2015-05-12 2015-05-12 가변 앵커 KR101721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835A KR101721522B1 (ko) 2015-05-12 2015-05-12 가변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835A KR101721522B1 (ko) 2015-05-12 2015-05-12 가변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151A KR20160133151A (ko) 2016-11-22
KR101721522B1 true KR101721522B1 (ko) 2017-03-30

Family

ID=5754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835A KR101721522B1 (ko) 2015-05-12 2015-05-12 가변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59B1 (ko) * 2017-07-05 2018-07-13 강성환 가변형 창호 시스템
KR101986944B1 (ko) * 2018-05-30 2019-06-07 이영욱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
CN111395611A (zh) * 2020-03-23 2020-07-10 苏州三益建筑装饰有限公司 一种框架幕墙立柱与主体结构连接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801Y1 (ko) * 2003-09-16 2003-11-28 강용환 난간동자용 쐐기형 조립식 앵커
JP2010174572A (ja) 2009-01-30 2010-08-12 Ykk Ap株式会社 カーテンウォール固定用ブラケット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367930B1 (ko) * 2012-08-24 2014-03-12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4412B2 (ja) * 1997-06-12 2004-03-31 積水ハウス株式会社 カーテンウォールの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801Y1 (ko) * 2003-09-16 2003-11-28 강용환 난간동자용 쐐기형 조립식 앵커
JP2010174572A (ja) 2009-01-30 2010-08-12 Ykk Ap株式会社 カーテンウォール固定用ブラケット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367930B1 (ko) * 2012-08-24 2014-03-12 최서윤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151A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772B1 (ko) 정밀 시공이 가능한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US9689173B2 (en) Structure attached with vibration control device
KR100850862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를 사용한 벽체 패널 설치 장치
KR101721522B1 (ko) 가변 앵커
KR102033624B1 (ko) 외단열재가 일체로 구비되는 건물용 갱폼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4704851B2 (ja) クレーンの基礎免震受け梁構造
KR101412086B1 (ko) 레벨 조절이 가능한, 커튼월 고정 장치
KR102198889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KR100648046B1 (ko)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을 이용한 보 및 거더 보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 및 거더의 보강방법
KR20040076289A (ko) 이중 바닥 구조
KR101614302B1 (ko) 벽돌지지 장치
KR20220028382A (ko) 하중전이 방지형 방음벽
JP6473433B2 (ja) 外壁の構造
KR100745024B1 (ko)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JP4460377B2 (ja) クリーンルーム用の根太とそれを用いたクリーンルーム根太床
JP6487806B2 (ja) 柱、柱の下部構造体との締結構造及び建物ユニット
CA311988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first beam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support structure in a building frame structure
KR101649111B1 (ko) 가변 슬리브
JP3193466U (ja) 隅金具、止金物、耐震装置
JP2018165451A (ja) 柵取付部材及び壁構造体
JP7424518B2 (ja) アンカー支持部材
IT202100021281A1 (it) Modulo preassemblato di un sistema di ricopertura
JPH085211Y2 (ja) Pc板取付装置
KR100702484B1 (ko) 거푸집용 받침틀
JP3015125U (ja) ユニットバス用吊り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