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944B1 -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944B1
KR101986944B1 KR1020180062033A KR20180062033A KR101986944B1 KR 101986944 B1 KR101986944 B1 KR 101986944B1 KR 1020180062033 A KR1020180062033 A KR 1020180062033A KR 20180062033 A KR20180062033 A KR 20180062033A KR 101986944 B1 KR101986944 B1 KR 101986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window
anchor body
horizontal height
moment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욱
Original Assignee
이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욱 filed Critical 이영욱
Priority to KR102018006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 E06B1/6023Anchoring means completely hidden between the frame and the border of the opening, at least part of the means being previously fixed to the wall
    • E06B1/603Anchoring means completely hidden between the frame and the border of the opening, at least part of the means being previously fixed to the wall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69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 E06B1/6076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of screw-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는 2 개의 제 1 및 제 2 앵커로 이루어진 이중의 앵커장치와; 제 1 및 제 2 앵커들이 서로 지지 되게 하므로 그들의 이동 모멘트를 구속하는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들로 이루어진 지지 브라켓 부재로 구성하여, 제 1 및 제 2 앵커들이 벽부에 설치되어서 그들 사이에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가 이동 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갖게 하고, 각각의 전단력 저항을 가져 지지 브라켓 부재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지지 브라켓 부재에 대한 인발력에 대하여서도 저항력을 높이도록 한다.

Description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Horizontal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windows or doors}
본 발명은 창호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창호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한 후에 수평높이의 오차는 물론 창호의 오랜 사용으로 어긋난 수평 높이를 간단히 조절하여 창호의 여닫이 기능에 대한 신뢰를 부여한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대표적인 기술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49074호(2010.06.04)에 고안의 명칭"수평조절장치가 부착된 드롭인 앙카"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고안은 벽체(7)에 햄머 드릴 작업을 통해 홈을 타공 하고 이 홈에 드롭인 앙카(8)를 삽입 고정하고, 너트(9)가 삽입된 노브(5)의 볼트를 벽체(7)에 고정된 드롭인 앙카(8)에 체결하여 수평자나 레이저 등의 측정 기구로 노브(5)의 상부에 형성한 플레이트(3)의 회전에 의한 높낮이 조절을 통해 창호(1)의 하부에 밀착하여 수평을 맞추고, 수평조절이 완료되면 나사(2)로 창호(1)와 플레이트(3)를 고정하므로 노브(5)의 유동을 방지한다. 더하여, 노브(5)를 더욱 단단히 고정하기 위하여 플레이트(3)와 그에 인접한 볼트 사이에는 용접 등을 통하여 결합한 결합부(4)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 고안은 창호 설치 높이의 조절을 가능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나, 대형의 창호의 하부 면에 적용되어서 다수의 수평조절장치를 사용하므로 창호를 위치시키는 수평높이를 맞추었다 하여도 벽체의 균일하지 못한 수평면에 대하여 창호의 정확한 수평 지지를 어렵게 하고 결합부의 용접의 어려움으로 균일한 품질을 위하여 숙련이 요구되었고 창호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비틀림이거나 변형으로 설치 높이의 오차에 대한 처리가 어렵거나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창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견고히 고정을 함은 물론 임시 고정 후에도 수평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쉽다면 매우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수평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창호를 지지하도록 설치가능하고 설치한 후에 수평높이의 오차는 물론 창호의 오랜 사용으로 어긋난 수평 높이를 간단히 조절하여 설치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창호의 여닫이 기능에 대한 신뢰를 부여한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호를 일차로 임시로 기 설정된 수평 높이로 설치하고 고정 작업 후 이차로 벽체의 높이 오차에 따른 수평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고 창호 하부면과 창호 지지면 사이의 최소 간격을 용접하여 설치되는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는 2 개의 제 1 및 제 2 앵커로 이루어진 이중의 앵커장치와 제 1 및 제 2 앵커들이 서로 지지 되게 하므로 그들의 이동 모멘트를 구속하는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들로 이루어진 지지 브라켓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앵커는 내부에 나선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의 하부에 용접되어 고정한 제 1 앵커 동체, 제 1 앵커 동체의 내부에 나사 결합하여 회전하는 회전 나사와 이 회전 나사의 상부에 고정되어 회전되고 원주 둘레로 소정 간격으로 톱니를 다수 형성한 회전 노브로 구성된다.
제 2 앵커는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이 확장되어 있는 제 2 앵커 동체, 제 2 앵커 동체의 하단에 다소 작은 직경의 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쐐기형으로 되는 고정부재, 제 2 앵커 동체의 내부 나사부와 결합하여 삽입되어 머리부를 구비한 볼트와 머리부의 하부 나사에 삽입되어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워셔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창호를 일차로 임시로 기 설정된 수평 높이로 설치하고 고정 작업 후 이차로 벽체의 높이 오차에 따른 수평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고 창호 하부면과 창호 지지면 사이의 최소 간격을 용접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인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앵커를 이용한 수평 조절장치를 구비한 앵커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를 창호에 설치한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10)는 창호(11)를 콘크리트 벽체거나 기둥과 같은 수평 라인 또는 수직 라인(이후 설명의 간단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통칭함)의 지지블록(12)에 소정의 수평높이로 다수 개 설치된다.
창호(11)를 지지블록(12)의 일정한 수평높이에 설치하기 위하여 수평높이 조절장치(10)는 양 측면을 소정 높이로 굴곡 시켜 벽부(21)을 형성한 지지 브라켓 부재(20)를 구비한다.
지지 브라켓 부재(20)는 2 개의 제 1 및 제 2 앵커(22)과 (23)로 이루어진 이중의 앵커장치와 이 후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앵커(22)과 (23)들이 서로 지지 되게 하므로 그들의 이동 모멘트를 구속하는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24)들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앵커(22)는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24)의 일 측 변부에 내부 지름의 크기로 천공한 구멍에 설치되고, 제 2 앵커(23)는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24)의 타 측 변부에 타원형의 장공(도시 안 됨)에 삽입되어 도면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여 위치조정이 되도록 설치된다.
제 1 앵커(22)는 내부에 나선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24)의 하부에 용접되어 고정한 제 1 앵커 동체(25), 제 1 앵커 동체(25)의 내부에 나사 결합하여 회전하는 회전 나사(26)와 이 회전 나사(26)의 상부에 고정되어 회전되고 원주 둘레로 소정 간격으로 톱니(27)를 다수 형성한 회전 노브(28)로 구성된다.
제 2 앵커(23)는 고 하중용 앵커가 사용되며, 공개특허 제10-2010-0097875호에서 개시된 명칭"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스트롱 앵커"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제 2 앵커(23)는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이 확장되어 있는 제 2 앵커 동체(29), 제 2 앵커 동체(28)의 하단에 다소 작은 직경의 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쐐기형으로 되는 고정부재(31), 제 2 앵커 동체(29)의 내부 나사부와 결합하여 삽입되어 머리부(32)를 구비한 볼트(30)와 머리부(32)의 하부 나사에 삽입되어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24) 사이에 위치한 워셔(33)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10)는 창호(11)를 지지하도록 벽부(12)에 지지 브라켓(24)을 고정하는 초기 작업을 수행한다. 먼저, 벽부(11)에는 제 1 앵커 동체(22)와 제 2 앵커 동체(23)가 사전에 천공된 제 1 및 제 2 구멍(A) 및 (B) 내로 망치 등으로 타격 삽입되어 단단히 고정된다. 제 1 앵커 동체(22)는 회전 노브(28)를 상단에 고정한 회전 나사(26)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결합한다. 제 2 앵커 동체(23)는 제 2 구멍(B)에 타격으로 삽입되면서 하단이 확장되는 상태로 멈춤구(31)와 결합하여 더욱 밀착되어 위치되고 와셔(33)를 개재하여 볼트(30)를 조임으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제 1 앵커(22)와 제 2 앵커(23)는 그들 사이에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24)에 대하여 이동 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갖게 하고, 각각의 전단력 저항을 가져 지지 브라켓 부재(2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지지 브라켓 부재(20)에 대한 인발력에 대하여서도 저항력을 높이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10)는 창호(11)의 하면에 다수 개 설치되고 벽부(11)의 설치면 형태에 따라 차이 나는 수평에 따라 높이 노브(27)의 높이를 조절하므로 창호(11)를 수평으로 하고, 창호와 노브(27) 사이를 현장에서 용접하므로 창호에 대한 수평 높이 조절 및 설치가 완료된다.
10: 수평 높이 조절장치 20: 지지 브라켓 부재
21: 벽부 22, 23: 제 1 및 제 2 앵커
24: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 27: 노브
25, 29: 제 1 및 제 2 앵커 동체

Claims (4)

  1. 제 1 및 제 2 앵커로 이루어진 이중의 앵커장치와; 이 제 1 및 제 2 앵커들이 서로 지지 되게 하는 지지 브라켓 부재로 구성한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제 1 앵커가 내부에 나선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의 하부에 용접되어 고정한 제 1 앵커 동체, 제 1 앵커 동체의 내부에 나사 결합하여 회전하는 회전 나사와 이 회전 나사의 상부에 고정되어 회전되고 원주 둘레로 간격으로 톱니를 다수 형성한 회전 노브로 구성하고,
    제 2 앵커가 내부에 나사부 형성되고 하단이 확장되어 있는 제 2 앵커 동체, 제 2 앵커 동체의 하단에 다소 작은 직경의 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쐐기형으로 되는 고정부재, 제 2 앵커 동체의 내부 나사부와 결합하여 삽입되어 머리부를 구비한 볼트와 머리부의 하부 나사에 삽입되어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워셔로 구성되며,
    지지 브라켓 부재가 제 1 앵커와 제 2 앵커 사이에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이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의 일 측 변부에 내부 지름의 크기로 천공한 구멍에 제 1 앵커를 설치하고, 모멘트 저항 플레이트의 타 측 변부에 타원형의 장공에 제 2 앵커를 삽입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하여 위치조정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앵커 동체와 제 2 앵커 동체가 벽부에 천공된 제 1 및 제 2 구멍 내로 망치로 타격 삽입되어 단단히 고정하고, 제 1 앵커 동체의 회전 노브를 상단에 고정한 회전 나사가 삽입되어 결합 되게 하며, 제 2 앵커 동체 하단이 확장상태로 멈춤구와 결합하여 재 2 구멍에 밀착되어 위치되고 상단에는 와셔를 개재하여 볼트를 조임으로 견고하게 벽부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
KR1020180062033A 2018-05-30 2018-05-30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 KR101986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033A KR101986944B1 (ko) 2018-05-30 2018-05-30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033A KR101986944B1 (ko) 2018-05-30 2018-05-30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944B1 true KR101986944B1 (ko) 2019-06-07

Family

ID=6684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033A KR101986944B1 (ko) 2018-05-30 2018-05-30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9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350Y1 (ko) * 2005-09-07 2005-11-29 유인규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
KR20080000059U (ko) * 2007-12-24 2008-01-15 전영웅 수평조절 장치가 부착된 드롭인 앙카
KR200462076Y1 (ko) * 2010-06-25 2012-08-23 이미선 창호지지용 브라켓
KR20160133151A (ko) * 2015-05-12 2016-11-22 주식회사서울창호 가변 앵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350Y1 (ko) * 2005-09-07 2005-11-29 유인규 시공이 용이한 앙카 볼트
KR20080000059U (ko) * 2007-12-24 2008-01-15 전영웅 수평조절 장치가 부착된 드롭인 앙카
KR200462076Y1 (ko) * 2010-06-25 2012-08-23 이미선 창호지지용 브라켓
KR20160133151A (ko) * 2015-05-12 2016-11-22 주식회사서울창호 가변 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6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justable column
CA2726490C (en) Threaded connector for pole, machinery and structural elements
US3992833A (en) Apparatus for mounting a window or a door frame
BRPI1009588B1 (pt) Sistema de balaustrada ou de barreira para rodovia, poste para um sistema de balaustrada ou de barreira para rodovia, placa base e poste de suporte, carrinho, e, método para construir um sistema de balaustrada ou de barreira para rodovia
US84534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justable column
US8925267B1 (en) Brace for wall with adjustable monitor
US84079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justable column
US2954647A (en) Adjustable anchoring device
KR101172650B1 (ko) 편심하중 방지용 유해드잭
FI95955B (fi) Julkisivusovitelma, joka käsittää kiinnitys- ja säätölaitteen tasomaisten verhouselementtien suuntaamiseksi kolmiulotteisesti
KR101805361B1 (ko) 안전난간용 철골고정 클램프
KR101986944B1 (ko)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
EP3235951B1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schiene für schienenfahrzeuge
KR101721522B1 (ko) 가변 앵커
WO2012169913A1 (en) Anchor for installation of windows or doors in buildings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windows or doors in buildings
JP6779833B2 (ja) ダンパ取付方法
KR101821755B1 (ko) 앵커 위치 조정이 가능한 교량받침 고정용 앵커 구조물
DE4428028A1 (de) Vorrichtung zum vertikalen Anordnen eines pfahl- oder pfostenförmigen Gegenstandes
JP3483699B2 (ja) 外壁パネルの支持構造
KR101840822B1 (ko)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한 교량의 내진 보강장치
JPH0959927A (ja) 横桁支承用弾性支承装置およびその据付方法
CN220851363U (zh) 一种用于垂直结构面安装成品支吊架立柱的底座
CN219862439U (zh) 道路桥梁裂缝修复固定结构
CN117307890A (zh) 一种用于垂直结构面安装成品支吊架立柱的底座
KR20100093207A (ko) 교량의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