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076Y1 - 창호지지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창호지지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076Y1
KR200462076Y1 KR2020100006741U KR20100006741U KR200462076Y1 KR 200462076 Y1 KR200462076 Y1 KR 200462076Y1 KR 2020100006741 U KR2020100006741 U KR 2020100006741U KR 20100006741 U KR20100006741 U KR 20100006741U KR 200462076 Y1 KR200462076 Y1 KR 200462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window
support
nut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048U (ko
Inventor
전영웅
이미선
Original Assignee
이미선
전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선, 전영웅 filed Critical 이미선
Priority to KR2020100006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07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0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0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69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 E06B1/6076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of screw-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06B1/363Bay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에 적어도 한면 이상이 지지토록 수직지지면이 형성되어 앙카볼트를 통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수직지지면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면을 통하여 그 상부면에 올려지는 창호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절볼트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최소의 두께로 이루어진 지지면을 통하여 조절볼트의 체결이 가능토록 되는 창호지지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지지용 브라켓{a bracket for support the windows and doors}
본 고안은 벽면에 적어도 한면 이상이 지지토록 수직지지면이 형성되어 앙카볼트를 통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수직지지면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면을 통하여 그 상부면에 올려지는 창호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절볼트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최소의 두께로 이루어진 지지면을 통하여 조절볼트의 체결이 가능토록 되는 창호지지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확장형 발코니 창호의 특성상 크기는 대형화 되고 있으며, 내창(실내 창)과 외창(발코니 창)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폭이 넓어지고 고중량화로 되어가고 있다.
또한, 발코니가 설치될 외벽의 두께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1~18cm이고 그 이상인 곳도 있으며, 외벽의 두께 보다 폭이 큰 발코니 창호를 설치를 위해서는 실내에 돌출되어지는 창호를 별도의 화스너나 브라켓을 앙카볼트로 고정하는 방식과 용접하는 방식으로 창호를 지탱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창호의 설치에 사용되는 브래킷은 본원고안의 출원인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출원을 진행하였습니다.
이중 한 실시예로서 공개실용신안 제2008-243호의 수평조절 장치가 부착된 고정용 앙카를 구성을 살펴보면 도1에서와 같이, 수평조절장치가 실시되어질 외벽에 앙카(5)를 삽입하기 위한 햄머드릴 작업을 통해 앙카 삽입 홈을 타공하고 홈에 앙카(Drop-in Anchor , Strong Anchor)를 삽입하며, 너트(31)가 삽입된 경첩볼트(2)를 앙카에 체결하고 너트(31)로 앙카(5)와 경첩볼트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단계; 나사산이 형성된 경첩볼트의 고리부분에 노브(1)를 삽입하여 노브의 회전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하며 레이져나 수평자등의 측정 기구로 외벽에 거치된 다수의 노브를 회전에 의한 수평조절을 수행하는 단계; 수평조절이 완료되면 노브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노브 유동방지 너트(41)로 경첩볼트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단계; 노브의 상부에 창호(10)를 거치시키고 시공되어질 위치를 선정하고 선정이 완료되면 나사(6)로 노브와 창호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노브(1)등이 나사결합되는 경철볼트(2)는 그 결합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창호(10)를 지지하기 위한 강도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설치되어야 하여 무게가 증가됨은 물론 가공이 힘들게 되면서 이에 따른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최소 두께의 얇은 브라켓 으로도 노브의 나사결합이 가능토록 하고, 하나의 관통공에 다양한 직경을 갖는 나사 형성이 가능토록 하며, 노브의 마찰력을 높여 견고한 지지가 가능토록 하고, 브라켓의 일정위치에서 가변하면서 노브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위치결정너트가 브라켓에 견고하게 결합토록 하는 창호지지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면에 적어도 한면 이상이 지지토록 수직지지면이 형성되어 앙카볼트를 통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수직지지면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면을 통하여 그 상부면에 올려지는 창호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절볼트가 삽입되는 지지면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나사산을 갖으면서 복수의 압착면을 지지면에 밀착되는 팝너트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창호지지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팝너트는, 중공상으로 그 외경측에 요철부가 구비되어 관통공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턱에 밀착토록 하는 창호지지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팝너트는, 그 내경측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지지면에 압착된 후 탭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창호지지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고안의 팝너트는, 관통공보다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제1압착면과 최소두께를 갖는 제2압착면 및 나사산이 미리 형성되는 위치결정면으로 이루어 진 창호지지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고안의 팝너트는, 내경측에 각각 삽입토록 고정돌기와 그 외측에 위치되어 팝너트의 외경에 밀착되는 압착홀을 갖는 상,하금형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진 압착유니트에 의해 지지면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창호지지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최소 두께의 얇은 브라켓 으로도 노브의 나사결합이 가능하고, 하나의 관통공에 다양한 직경을 갖는 나사 형성이 가능하며, 노브의 마찰력을 높여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고, 브라켓의 일정위치에서 가변하면서 노브를 지지하며, 위치결정너트가 브라켓에 견고하게 결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브라켓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 및 도4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의 너트부재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트부재가 조립된 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3 및 도4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의 너트부재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너트부재가 조립된 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브라켓(200)은, 벽면(W)에 적어도 한면 이상이 지지토록 수직지지면(210)이 형성되어 앙카볼트(310)를 통하여 벽면(W)결합되면서 상기 수직지지면(210)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면(230)을 통하여 그 상부면에 올려지는 창호(350)를 지지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면(210) 또는 수평지지면(230) 중 어느 하나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노브(370)에 연결되는 조절볼트(375)가 삽입된다.
더하여, 상기 수직지지면(210) 또는 수평지지면(230)에는 관통공(250)이 구비되면서 상기 관통공(250)에는 나사산(275)을 갖는 너트부재(270)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재(270)는, 브라켓(200) 수평지지면(210)의 무게 중심에 위치토록 되어 브라켓 전체에 창호의 하중을 분산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너트부재(270)는, 복수의 압착면(271)과 그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면(273)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재(270)는 중공상으로 그 외경측에 요철부(277)가 구비되어 관통공(250)에 형성되는 돌턱(255)에 밀착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270)는, 지지면에 압착된 후 그 내경측에 나사산(275)이 탭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너트부재(270)는, 관통공보다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제1압착면(271a)과 최소두께를 갖는 제2압착면(271b) 및 나사산이 미리 형성되는 지지면(273)으로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너트부재(270)는, 내경측에 각각 삽입토록 고정돌기(331)와 그 외측에 위치되어 팝너트의 외경에 밀착되는 압착홀(333)을 갖는 금형(330)에 의해 압착되어 브라켓(20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너트부재(270)는, 금형은 물론 지지면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지지면을 상승시키는 장치에 의해 제2압착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수평지지면에 형성되는 관통공(250)에는 고정볼트(380)가 더 설치되어 브라켓(200)과 플라스틱재의 노브(370)및 창호(35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창호(350)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200)의 설치를 위하여 벽면(W)에 앙카볼트(310)를 통하여 브라켓(200)의 수직지지면(21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면(210)의 상단에 연결되어 수직지지면(210)과 직각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수평지지면(230)에 의해 창호(350)의 저면에 밀착되어 창호를 지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면(230)에는 브라켓(200)과 나사 결합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되면서 창호(350)가 올려진 상태로 고정되는 노브(370)가 연결되어 상기 노브(370)의 회전시 브라켓(200)에 지지되는 창호(350)의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200)은, 복수의 수직지지면(210)과 그 상단에 연결되는 하나의 수평지지면(230)으로 이루어져 수평지지면(230)에 지지되는 창호(350)의 하중을 양측의 수직지지면(210)에 분산시키도록 한다.
더하여, 상기 브라켓(200)은, 상기 수직지지면(210) 또는 수평지지면(230)에는 관통공(250)이 구비되어 앙카볼트(310)가 고정되거나 노브(370)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때, 상기 노브(370)는, 상기 관통공(250)에 삽입된 후 위치결정되어 압착고정되는 너트부재(270)를 통하여 고정된다.
즉, 상기 노브(370)는 그 일측에 형성되는 조절볼트(375)가 브라켓(200)의 관통공(250)에 압착되는 너트부재(270)의 나사산(275)에 치합되어 회전할 때 수평지지면(210)을 중심으로 하는 상대적인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재(270)는, 복수의 압착면(271)과 그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면(273)이 각각 구비되는 구성으로 지지면(273)이 관통공(250)에 지지된 상태에서 그 상단 및 하단에 연결되는 압착면(271)이 수평지지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압착되어 고정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너트부재(270)는 중공상으로 그 외경측에 요철부(277)가 구비되어 관통공(250)에 형성되는 돌턱(255)에 밀착됨으로써 압착시 회전이 방지토록 되어 브라켓을 중심으로 하는 조절볼트의 회전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너트부재(270)의 외경 및 관통공(250)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도 상기에서 설명하는 요철부와 돌턱을 통한 회전방지 역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270)에 형성되는 나사산(275)은 수평지지면에 압착된 후 그 내경측에 탭가공을 통하여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너트부재(270)는, 관통공보다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제1압착면(271a)과 최소두께를 갖는 제2압착면(271b) 및 나사산이 미리 형성되는 지지면(273)으로 이루어 져 너트부재(270)의 내경측에 각각 삽입토록 고정돌기(331)와 그 외측에 위치되어 팝너트의 외경에 밀착되는 압착홀(333)을 갖는 금형(330)에 의해 압착할 때 너트부재가 브라켓의 관통공에 견고하게 압착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면에 형성되는 관통공(250)에 고정볼트(380)가 설치될 때 상기 고정볼트가 브라켓(200)과 플라스틱재의 노브(370)및 창호(350)를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경사지게 설치되는 벽면(W)에 의해 창호가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설치될 때 창호를 노브에 고정하여 움직임에 의한 틈새발생등을 억제토록 한다.
상기와 같은 나사산을 갖는 너트부재(270)을 브라켓에 압착고정하면 일정이상의 두께를 갖추어야 나사산의 형성이 가능하여 필요강도 이상의 두께를 갖는 브라켓을 준비하지 않아도 최소두께를 갖는 브라켓에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하게 되는 것이다.
200...브라켓 210...수직지지면
250...관통공 270...너트부재
275...나사산 310...앙카볼트
331...고정돌기

Claims (6)

  1. 벽면(W)에 적어도 한면 이상이 지지토록 수직지지면(210)이 형성되어 앙카볼트(310)를 통하여 벽면(W)결합되면서 상기 수직지지면(210)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면(230)을 통하여 그 상부면에 올려지는 창호(350)를 지지토록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지지면(210) 또는 수평지지면(230) 중 어느 하나에는 관통공(250)이 구비되어 창호를 지지하는 노브(370)에 연결되는 조절볼트(375)가 삽입되어 회전결합될 때 높이가 조절토록 외부장착형 너트부재(270)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너트부재(270)는 중공상으로 그 외경측에 요철부(277)가 구비되어 관통공(250)에 형성되는 돌턱(255)에 밀착토록 설치되고,
    상기 너트부재(270)는, 관통공보다 확대되는 직경으로 수평지지면의 상면에서 밀착되는 제1압착면(271a)과 수평지지면의 하면에서 밀착되는 제2압착면(271b)으로 이루어진 압착면(271), 상기 압착면(271)에서 연장되어 내경측에 나사산이 미리 형성되는 지지면(273)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고,
    상기 너트부재(270)는 너트부재의 내경측 상,하부에 각각 삽입되는 고정돌기(331)와 그 외측에 위치되어 너트부재의 압착면 및 지지면에 각각 대응되는 압착홀(333)을 갖는 상,하부의 금형(330)에 의해 관통공에 압착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창호지지용 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270)는, 수평지지면의 무게중심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지지용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에는 고정볼트(380)가 더 설치되어 브라켓과 노브및 창호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창호의 유동을 방지토록 설치되는 창호지지용 브라켓.
KR2020100006741U 2010-06-25 2010-06-25 창호지지용 브라켓 KR200462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741U KR200462076Y1 (ko) 2010-06-25 2010-06-25 창호지지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741U KR200462076Y1 (ko) 2010-06-25 2010-06-25 창호지지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048U KR20120000048U (ko) 2012-01-02
KR200462076Y1 true KR200462076Y1 (ko) 2012-08-23

Family

ID=4584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741U KR200462076Y1 (ko) 2010-06-25 2010-06-25 창호지지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07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010U (ko) * 2015-02-24 2016-09-01 김홍서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KR101986944B1 (ko) * 2018-05-30 2019-06-07 이영욱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
DE102019127567A1 (de) * 2019-10-14 2021-04-15 Metallgießerei Wilhelm Simon GmbH Vorrichtung zum Abstützen und Befestigen von Fenster- oder Türrahmen an einer Begrenzung einer Wandöffnung in einer Wa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91Y1 (ko) * 2016-10-27 2018-08-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선의 가스돔용 탈가스 덕트 고정 장치
KR200492775Y1 (ko) * 2019-02-22 2020-12-08 김종석 창호 하부 서포트
KR102209590B1 (ko) 2019-04-22 2021-01-28 주식회사 포스코 지지철물
KR102650027B1 (ko) * 2023-09-12 2024-03-20 고영신 싱크대 상판 단차 조절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132Y2 (ja) 1991-02-05 1995-08-09 三幸商事株式会社 ファスナー
KR100902226B1 (ko) 2000-11-09 2009-06-11 아브델 유케이 리미티드 블라인드 나사 인서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132Y2 (ja) 1991-02-05 1995-08-09 三幸商事株式会社 ファスナー
KR100902226B1 (ko) 2000-11-09 2009-06-11 아브델 유케이 리미티드 블라인드 나사 인서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010U (ko) * 2015-02-24 2016-09-01 김홍서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KR200482026Y1 (ko) * 2015-02-24 2016-12-07 김홍서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KR101986944B1 (ko) * 2018-05-30 2019-06-07 이영욱 창호의 수평 높이 조절장치
DE102019127567A1 (de) * 2019-10-14 2021-04-15 Metallgießerei Wilhelm Simon GmbH Vorrichtung zum Abstützen und Befestigen von Fenster- oder Türrahmen an einer Begrenzung einer Wandöffnung in einer W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048U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076Y1 (ko) 창호지지용 브라켓
US8297576B2 (en) Fixture mounting bracket assembly
CA2726490C (en) Threaded connector for pole, machinery and structural elements
US88266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justable column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US9163783B1 (en) Adjustable television ceiling mounting system
KR10237232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US8985349B2 (en) Corner shelf system for storing and displaying consumer electronic source components
KR101879276B1 (ko) 고정수단
JP3035474B2 (ja) アジャスタボルト装置
WO2006112799A1 (en) The hanger for adjustable wall-mounting of furniture, particularly hanging one, and procedure of hanging furniture onto it
JP2004124693A (ja) 二重床用の支柱構造及びこの支柱構造による二重床の施工方法
KR102422323B1 (ko) 무타공 벽체 고정장치
CN205399921U (zh) 一种地板支架
KR101867585B1 (ko)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KR101585833B1 (ko) 건축물 벽체 수평 조절장치
KR20140114607A (ko) 창틀용 지지대
KR20070074533A (ko) 수평조절 장치가 부착된 고정용 브래킷
JP6099178B1 (ja) 天井施工用クリップ
JP3131374U (ja) 薄型テレビ用転倒防止具
KR101353385B1 (ko) 무대설비의 바튼용 행깅장치
JP2006118570A (ja) アジャスター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外機用設置台
JP2011038314A (ja) 角形鋼用吊金具
KR101803784B1 (ko) 위치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감재 구조물 고정구
JP2004156233A (ja) 自重受け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