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585B1 -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 Google Patents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585B1
KR101867585B1 KR1020180026369A KR20180026369A KR101867585B1 KR 101867585 B1 KR101867585 B1 KR 101867585B1 KR 1020180026369 A KR1020180026369 A KR 1020180026369A KR 20180026369 A KR20180026369 A KR 20180026369A KR 101867585 B1 KR101867585 B1 KR 101867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ntenna
main body
wal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천
황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하아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하아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하아이앤티
Priority to KR102018002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 코너에 안테나를 쉽고 강건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은, 좌, 우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과, 전방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관통공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통되는 결합공을 포함하는 본체부; 일단이 상기 관통공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삽입되어 슬라이딩 인입출되는 좌, 우측 한 쌍의 고정부;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인출 동작시키는 가압조절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방면에 조립되어 상기 안테나가 설치되는 설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Antenna Mounting Bracket for Wall corner}
본 발명은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또는 실외측의 벽이 서로 90°로 맞닿아 오목하게 들어가는 모서리 부분(이하 '코너 부분'이라 한다)에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건물 외벽에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안테나를 벽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브래킷이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설치브래킷은 벽에 구멍을 형성한 다음 상기 구멍에 앵커볼트를 설치하고, 벽에 설치된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설치브래킷을 너트로 고정하여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벽에 앵커볼트를 설치하기 위해 구멍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많은 소음이 발생하고, 이에 더해 벽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앵커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브래킷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537532호의 안테나 지지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안테나 지지장치는 구조물의 상면 위에 배치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조물의 좌측면에 밀착되고, 안테나 폴(antenna pole)을 지지하는 지선이 연결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제1 측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조물의 우측면에 밀착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의 고리부인 아이너트(eyenut)와,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를 관통하는 전산볼트(threaded rod)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안테나 지지장치는 옥상과 같이 벽의 상단이 노출되는 부분에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벽의 코너 부분(양측의 벽이 서로 맞닿아 오목하게 들어간 모서리)에는 설치되기 곤란한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위치에 안테나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설치브래킷의 사용이 요구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벽의 코너 부분에 안테나를 쉽고 강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010-0041925 A (2010. 04. 23.) KR 10-1118164 B1 (2012. 02. 13.) KR 10-1537532 B1 (2015. 07. 13.) KR 20-0454837 Y1 (2011. 07. 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테나 설치브래킷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벽의 코너 부분에 안테나를 쉽고 강건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은, 좌, 우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과, 전방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관통공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통되는 결합공을 포함하는 본체부; 일단이 상기 관통공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삽입되어 슬라이딩 인입출되는 좌, 우측 한 쌍의 고정부;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인출 동작시키는 가압조절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방면에 조립되어 상기 안테나가 설치되는 설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고정부가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로드; 및 상기 슬라이딩로드의 타단에 장착되는 소정 두께의 탄성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의 내부 양측면에는 소정 높이의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로드의 일단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압조절부에 의해 가압되는 경사접촉면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로드의 양측면에는 상기 단턱에 걸려 상기 슬라이딩로드가 상기 관통공에서 인출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로드의 타단에 소정 깊이의 삽입공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탄성블록이 벽면에 가압되어 압축됨에 따라 선단이 상기 탄성블록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핀이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가압조절부가 상기 결합공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손잡이와, 상기 조절손잡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경사접촉면과 면 접촉되도록 경사진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가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힌지결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저면과 벽의 코너 부분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해 벽의 코너 부분에 본체부를 밀착시킨 다음 가압조절부를 회전 조작하면, 좌우 양측의 고정부가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인출되면서 벽면에 밀착되게 되고, 이에 의해 안테나 설치브래킷이 벽의 코너 부분에 쉽게 고정 설치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벽면에 고정부가 밀착되면서 탄성블록이 압축되면 슬라이딩로드에 설치된 복수 개의 고정핀이 탄성블록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벽면과 밀착되게 되고, 이에 의해 벽의 코너 부분에 설치된 본체부가 쉽게 움직이지 않으면서 설치된 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가압조절부가 래칫기어 또는 스토퍼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고, 따라서 가압조절부에 의해 벽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 고정부에 작용하는 힘이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리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슬라이딩로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탄성블록이 벽면에 가압되어 밀착되는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조절부의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저면에 지지부재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의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벽 코너에 안테나를 쉽고 강건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 고정부(20), 가압조절부(30) 및 설치판(4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기준으로 설치판(40)이 설치되는 방향을 본체부(10)의 '전방'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고, 벽의 코너 부분과 마주하는 방향을 본체부(10)의 '후방'으로 지칭하여 설명하며, 이러한 본체부(10)를 전방 쪽에서 후방 쪽을 바라본 상태에서 좌, 우측에 각각 위치되는 양쪽 측면을 '좌측면'과 '우측면'으로 각각 지칭하여 설명한다.
본체부(10)는 후술되는 한 쌍의 고정부(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본체부(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면을 관통하도록 관통공(11)이 형성되고, 본체부(10)의 전방면에는 관통공(11)과 연통되면서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공(12)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11)에는 후술되는 고정부(2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단턱(11A)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10)의 좌, 우측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면이 이루는 각도가 90°가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에 의해 90°로 맞닿는 벽의 코너 부분에 더욱 근접하여 설치되게 된다.
이에 더해 본체부(10)의 전방면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0)와 가압조절부(30)가 분리 및 조립될 수 있도록 소정 부분이 절개되어 장,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고정부(20A, 20B)는 본체부(10)의 좌우 양측면에 설치되면서 90°로 맞닿는 양측의 벽면에 밀착되어 본체부(10)를 벽의 코너 부분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한 쌍의 고정부(20A, 20B)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본체부(10)의 관통공(11)에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인입출 돌출되는 슬라이딩로드(21)와, 상기 슬라이딩로드(21)의 타단에 장착되면서 벽면에 밀착되는 소정 두께의 탄성블록(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슬라이딩로드(21)의 일단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후술되는 가압조절부(30)에 의해 가압되는 경사접촉면(21A)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로드(21)의 양측면에는 본체부(10)의 관통공(11)에 형성된 단턱(11A)에 의해 슬라이딩로드(21)가 본체부(10)로부터 인출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돌기(21B)가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블록(22)은 접착제 등에 의해 슬라이딩로드(21)에 강건하게 부착되고, 이러한 탄성블록(22)은 한 쌍의 고정부(20A, 20B)가 후술되는 가압조절부(30)에 의해 슬라이딩 인출되어 마주하는 벽면에 가압 밀착될 때 탄성블록(22)이 소정 두께로 압축되면서 고정부(20A, 20B)가 벽면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경질의 고무로 이루어진다.
이에 더해 슬라이딩로드(21)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블록(22)이 부착되는 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삽입공(21C)이 형성되고, 이러한 복수 개의 삽입공(21C)에는 각각 소정 길이를 가지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핀(23)이 삽입 설치된다.
이때 고정핀(23)의 선단은 뾰족하게 형성되고, 탄성블록(22)에는 복수 개의 삽입공(21C)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관통공(22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20A, 20B)의 구성에 의해 후술되는 가압조절부(30)가 회전 동작되면 한 쌍의 고정부(20A, 20B)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본체부(10)의 관통공(11)에서 인출되고, 이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벽면에 고정부(20A, 20B)가 밀착되면서 탄성블록(22)이 소정 두께로 압축되며, 결과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23)의 선단(첨단 부분)이 탄성블록(22)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벽면에 가압 밀착되게 된다.
가압조절부(30)는 본체부(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한 쌍의 고정부(20A, 20B)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인출시키고, 이렇게 인출된 고정부(20A, 20B)를 그대로 지지하여 인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가압조절부(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사용자가 가압조절부(3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조절손잡이(31)와, 상기 조절손잡이(31)에 나사로 조립되어 고정되면서 고정부(20A, 20B)의 경사접촉면(21A)과 면 접촉되는 경사진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가압블록(32)을 포함한다.
이때 조절손잡이(31)와 가압블록(32)은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따로 회전되지 않도록 돌기와 홈에 의해 서로 헛돌지 않도록 조립된 상태에서 나사 등으로 강건하게 조립된다.
또한, 한 쌍의 고정부(20A, 20B)는 가압조절부(30)에 의해 가압된 상태가 강건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본체부(1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12)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톱니 모양의 래칫기어(R)가 형성되고, 조절손잡이(31)에는 래칫기어(R)와 접촉되면서 조절손잡이(31)가 한 방향으로만 쉽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방향을 제한하는 걸림판(P)이 설치된다. 이때 걸림판(P)은 탄성력이 있는 얇은 판으로 이루어진다.
위에서는 가압조절부(30)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래칫기어(R)가 걸림판(P)이 구비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조절손잡이(31)의 회전을 구속하는 별도의 스토퍼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가압조절부(30)의 구조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절손잡이(31)를 회전시키면 나사 결합에 의해 가압블록(32)이 이동되면서 면 접촉된 한 쌍의 고정부(20A, 20B)의 경사접촉면(21A)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의해 한 쌍의 고정부(20A, 20B)가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본체부(10)의 관통공(11)에서 슬라이딩 인출되며, 그 결과 한 쌍의 고정부(20A, 20B)가 마주하는 벽면에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가압조절부(30)는 래칫기어(R)와 걸림판(P)에 의해 조절손잡이(31)가 한 쌍의 고정부(20A, 20B)를 가압하는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본체부(10)가 장기간 사용에도 가압조절부(30)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으면서 설치브래킷(3)이 벽의 코너 부분에 설치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설치판(40)은 본체부(10)에 조립되어 안테나(2)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러한 설치판(4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를 가지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안테나(2)가 설치되기 위한 복수 개의 안테나 설치공(41)과 본체부(10)의 체결공(13)에 나사로 결합되기 위한 복수 개의 관통공(도면 부호 없음)이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판(40)의 가운데 부분에는 가압조절부(3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소정 크기의 관통공(42)이 형성된다.
한편, 설치브래킷(3)이 벽의 코너 부분에 설치된 다음 설치판(40)에 안테나(2)가 설치되면, 안테나(2)의 자중에 의해 한 쌍의 고정부(20A, 20B)가 안테나(2)가 설치된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힘에 의해 한 쌍의 고정부(20A, 20B)가 유동되면서 벽면에 가압 밀착된 힘이 해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설치브래킷(3)이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안테나(2)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체부(10)의 저면에는 본체부(10)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지부재(50)가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재(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저면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에 힌지로 결합되는 소정 길이의 지지대(51)와, 상기 지지대(51)의 선단에 힌지로 결합되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밀착블록(5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밀착블록(5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벽(1)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 밀착되도록 단면 모양이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밀착블록(52)은 경질의 고무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50)의 구성에 의해 설치판(40)에 안테나(2)가 설치되어 안테나(2)의 자중이 설치판(40)과 본체부(10)에 작용하더라도 지지부재(50)에 의해 본체부(10)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벽면에 밀착된 한 쌍의 고정부(20A, 20B)가 임의로 유동되지 않으면서 강건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을 사용할 때에는 가압조절부(30)의 조절손잡이(31)가 본체부(10)의 결합공(12)에서 최대로 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설치브래킷(3)을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의 코너 부분을 향하도록 밀착시키면, 한 쌍의 고정부(20A, 20B)가 양측 벽면에 닿으면서 본체부(1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되고, 이러한 한 쌍의 고정부(20A, 20B)가 최대로 인입될 때까지 설치브래킷(3)을 벽의 코너 부분에 근접되도록 밀착시킨다.
이때 필요에 따라 본체부(10)의 저면에 지지부재(50)를 설치한 다음, 지지대(51)를 바닥과 수평을 이루거나, 또는 수평에 근접되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밀착블록(52)이 벽면의 코너 부분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렇게 설치브래킷(3)을 코너 부분에 근접하여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압조절부(30)의 조절손잡이(31)를 회전시키면, 가압블록(32)에 의해 고정부(20A, 20B)가 양측 벽면을 향하여 본체부(10)의 관통공(1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인출되면서 고정부(20A, 20B)가 벽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렇게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절손잡이(31)를 더욱 회전시키면 고정부(20A, 20B)의 탄성블록(22)이 적절하게 압축되면서 슬라이딩로드(21)의 삽입공(21C)에 삽입된 고정핀(23)의 첨단 부분이 벽면에 가압 밀착되게 되고, 이렇게 밀착된 상태가 가압조절부(30)의 래칫기어(R)와 걸림판(P)의 구조에 의해 그대로 유지되면서 양측 벽면에 고정부(20A, 20B)가 가압되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벽의 코너 부분에 본체부를 밀착시킨 다음 가압조절부를 회전 조작하면, 좌우 양측의 고정부가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인출되면서 벽면에 밀착되게 되고, 이에 의해 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한 안테나 설치브래킷을 벽의 코너 부분에 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벽 2: 안테나
3: 설치브래킷 10: 본체부
11: 관통공 11A: 단턱
12: 결합공 13: 체결공
20A, 20B: 고정부 21: 슬라이딩로드
21A: 경사접촉면 21B: 걸림돌기
21C: 삽입공 22: 탄성블록
22A: 관통공 23: 고정핀
30: 가압조절부 31: 조절손잡이
32: 가압블록 40: 설치판
41: 안테나 설치공 42: 관통공
50: 지지부재 51: 지지대
52: 밀착블록 P: 걸림판
R: 래칫기어

Claims (5)

  1. 벽 코너에 고정 설치되면서 안테나(2)가 조립되어 상기 안테나(2)를 소정 높이에 고정시키는 안테나 설치브래킷에 있어서,
    좌, 우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11)과, 전방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관통공(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통되는 결합공(12)을 포함하는 본체부(10);
    일단이 상기 관통공(11)에 서로 대칭이 되도록 삽입되어 슬라이딩 인입출되는 좌, 우측 한 쌍의 고정부(20A, 20B);
    상기 결합공(12)에 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20A, 20B)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부(20A, 20B)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인출 동작시키는 가압조절부(30); 및
    상기 본체부(10)의 전방면에 조립되어 상기 안테나(2)가 설치되는 설치판(40);
    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20A, 20B)는,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이 상기 관통공(11)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로드(21); 및
    상기 슬라이딩로드(21)의 타단에 장착되는 소정 두께의 탄성블록(22);
    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11)의 내부 양측면에는 소정 높이의 단턱(11A)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로드(21)는,
    일단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압조절부(30)에 의해 가압되는 경사접촉면(21A)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단턱(11A)에 걸려 상기 슬라이딩로드(21)가 상기 관통공(11)에서 인출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돌기(2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로드(21)의 타단에는 소정 깊이의 삽입공(21C)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1C)에는,
    상기 탄성블록(22)이 벽면에 가압되어 압축됨에 따라 선단이 상기 탄성블록(2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핀(2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조절부(30)는,
    상기 결합공(12)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손잡이(31)와, 상기 조절손잡이(31)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경사접촉면(21A)과 면 접촉되도록 경사진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가압블록(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저면에는 힌지결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상기 본체부(10)의 저면과 벽의 코너부분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본체부(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KR1020180026369A 2018-03-06 2018-03-06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KR101867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369A KR101867585B1 (ko) 2018-03-06 2018-03-06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369A KR101867585B1 (ko) 2018-03-06 2018-03-06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585B1 true KR101867585B1 (ko) 2018-06-15

Family

ID=6262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369A KR101867585B1 (ko) 2018-03-06 2018-03-06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106B1 (ko) * 2024-02-13 2024-03-26 주식회사 영하아이앤티 코너 벽 몰딩형 안테나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925A (ko) 2008-10-15 2010-04-23 이의근 안테나 지지용 기구
JP4466892B2 (ja) * 2000-09-27 2010-05-26 Dxアンテナ株式会社 アンテナ取付具
KR20110086500A (ko) * 2010-01-22 2011-07-28 쇼 시이나 코너선반
KR200454837Y1 (ko) 2009-08-03 2011-07-29 주식회사 감마누 안테나용 고정브래킷
KR101118164B1 (ko) 2010-12-30 2012-03-20 주식회사 대영통신 위성방송 수신안테나 고정구
KR101537532B1 (ko) 2013-11-05 2015-07-20 주식회사 케이티 안테나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6892B2 (ja) * 2000-09-27 2010-05-26 Dxアンテナ株式会社 アンテナ取付具
KR20100041925A (ko) 2008-10-15 2010-04-23 이의근 안테나 지지용 기구
KR200454837Y1 (ko) 2009-08-03 2011-07-29 주식회사 감마누 안테나용 고정브래킷
KR20110086500A (ko) * 2010-01-22 2011-07-28 쇼 시이나 코너선반
KR101118164B1 (ko) 2010-12-30 2012-03-20 주식회사 대영통신 위성방송 수신안테나 고정구
KR101537532B1 (ko) 2013-11-05 2015-07-20 주식회사 케이티 안테나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106B1 (ko) * 2024-02-13 2024-03-26 주식회사 영하아이앤티 코너 벽 몰딩형 안테나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4761B2 (en) Solar panel coupling stabilization system
CA2470525C (en) Universal wall mounting bracket
DE102017129827B3 (de) Computersystem
US7975976B2 (en) In-wall interface and mounting method for display mount
US7481410B2 (en) Equipment security apparatus
US7267314B1 (en) Monitor ceiling mount
US20080237434A1 (en) Display suspending frame
US20050236542A1 (en) Appliance mounting device
US20050236543A1 (en) Appliance mounting device
CN105465568A (zh) 显示器安装架调平器
US20150048224A1 (en) Spring tension device for supporting a television
KR20010015331A (ko) 상부 테이블 및 물튀김 방지판의 합체/조립
KR20210029705A (ko)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KR200462076Y1 (ko) 창호지지용 브라켓
KR101867585B1 (ko)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US9624713B2 (en) Connection system for meeting rail of window
US20190373349A1 (en) Mounting apparatus for mountable devices
US20190360612A1 (en) Adjustable mounting apparatus
KR20140135407A (ko) 다용도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KR20190116603A (ko) 사용이 편리한 배선기구용 지지대
KR20080023416A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1857259B1 (ko)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CA3047946C (en) Fastening mechanism and furniture assembly
KR101860402B1 (ko) 접착제를 이용한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WO2003069887A2 (en) Television monitor with ceiling and wall moun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