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705A -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705A
KR20210029705A KR1020200169678A KR20200169678A KR20210029705A KR 20210029705 A KR20210029705 A KR 20210029705A KR 1020200169678 A KR1020200169678 A KR 1020200169678A KR 20200169678 A KR20200169678 A KR 20200169678A KR 20210029705 A KR20210029705 A KR 20210029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olt
fixing device
mounted displa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3789B1 (ko
Inventor
김우신
Original Assignee
김우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신 filed Critical 김우신
Priority to KR102020016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7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면에 형성된 매립형 전선박스의 내벽 중 상면 및 하면에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고, 각각 벽면 고정부와 지지부로 구성된 한 쌍의 브라켓; 상기 한 쌍의 브라켓과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체결되며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재; 및 디스플레이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에 의하면, 건축물의 벽면에 타공 구멍을 만들지 않으면서도 단단하고 견고하게 벽걸이 디스플레이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용하는 자재가 간단하고 형태가 단순하여 쉽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자재 비용이 비교적 적게 들어 경제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wall-mounted display mount}
본 발명은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면에 타공 구멍을 만들지 않으면서도 단단하고 견고하게 벽걸이 디스플레이를 고정시켜주는 거치대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하는 자재가 간단하고 형태가 단순하여 설치가 쉽고 단시간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아가 자재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성이 뛰어난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벽걸이형 디스플레이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심미적으로 우수하여 인테리어에 효과적이며 별도의 TV장을 구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어서 인기를 끌고 있다.
초기에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를 벽에 고정하기 위해 건축물의 벽면에 타공을 한 후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벽면을 손상시켜 이전으로 복구할 수 없기 때문에 이사를 할 때 문제가 되었고, 상기 타공을 통해 웃풍이 새며 소음 및 분진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가 어렵고 설치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어왔다.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벽면에 타공없이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시공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8726호)에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자함에 매립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거치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나, 개시된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 집마다 단자함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으나 그 때마다 단자함 크기에 맞는 거치장치를 만들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벽면에 삽입된 단자함의 안쪽에 고정볼트나 못으로 체결하여야 하여 좁은 공간에서 작업하여야 하고 작업이 번거로워서 작업자의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8285호)는 건축물의 벽면에 단자함을 삽입한 후 거치대 고정부재를 삽입한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거치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나, 개시된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단자함에 대하여 상기 선행기술문헌 1과 동일한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상기 거치대 고정부재가 선행기술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분리된 부재를 힌지축, 스크류 나사 및 볼 스크류로 연결하는 형태로 제공되어, 자재가 많이 사용되고 자재비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자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위가 많아서 설치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벽면에 타공 구멍을 만들지 않으면서도 단단하고 견고하게 벽걸이 디스플레이를 고정시켜주는 거치대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사용하는 자재가 간단하고 형태가 단순하여 쉽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아가 자재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성이 뛰어난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벽면에 형성된 매립형 전선박스의 내벽 중 상면 및 하면에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고, 각각 벽면 고정부와 지지부로 구성된 한 쌍의 브라켓; 상기 한 쌍의 브라켓과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체결되며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재; 및 디스플레이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벽면 고정부는 법선 방향으로 형성된 볼트 결합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볼트 결합부는 너트가 몸체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가 각각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볼트를 조여주거나 풀어주어 볼트가 서로 맞닿도록 한 후 각각의 볼트에 체결된 너트를 상기 볼트 결합부에 밀착되도록 조여주는 것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는 건축물의 벽면에 타공 구멍을 만들지 않으면서도 보다 단단하고 견고하게 벽걸이 디스플레이를 고정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하는 자재가 간단하고 형태가 단순하여 쉽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아가 자재비도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의 설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벽면에 형성된 매립형 전선박스의 내벽 중 상면 및 하면에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고, 각각 벽면 고정부와 지지부로 구성된 한 쌍의 브라켓; 상기 한 쌍의 브라켓과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체결되며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재; 및 디스플레이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벽면 고정부는 법선 방향으로 형성된 볼트 결합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볼트 결합부는 너트가 몸체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가 각각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볼트를 조여주거나 풀어주어 볼트가 서로 맞닿도록 한 후 각각의 볼트에 체결된 너트를 상기 볼트 결합부에 밀착되도록 조여주는 것으로 고정되는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건축물의 벽면에 타공 구멍을 만들지 않더라도 벽면에 매립되어 있는 매립형 전선박스를 통해 벽면에 벽걸이 디스플레이를 단단하게 밀착 고정할 수 있고, 상기 볼트의 머리가 서로 맞물릴 때까지 볼트 결합부로부터 상기 볼트를 풀어줌으로써 매립형 전선박스의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서 설치 방법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는 어느 한 쪽의 볼트의 머리에 양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있고, 다른 한 쪽의 볼트의 머리에 음각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브라켓으로부터 볼트를 풀어내어 한 쌍의 볼트의 머리가 서로 맞닿은 경우에, 양각의 돌출부를 가지는 볼트의 머리가 음각의 홈부를 가지는 볼트의 머리에 끼워지게 되어 볼트끼리의 결합력이 향상되므로, 매립형 전선박스의 크기에 맞게 브라켓으로부터 볼트를 풀어서 고정시킨 후에는 상기 브라켓을 흔들어도 볼트의 머리가 어긋나지 않고 고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볼트 결합부는 어느 한쪽의 볼트 결합부가 길이가 긴 원통형태를 가지며, 다른 한쪽의 볼트 결합부가 너트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일 측에 길이가 긴 원통형태의 볼트 결합부를 가지는 것은 작업자가 매립형 전선박스의 크기에 맞춰 고정장치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긴 원통형태의 볼트 결합부는 매립형 전선박스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폭 대비 20~50%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20% 미만의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볼트 결합부의 길이가 너무 짧아서 매립형 전선박스의 크기에 따라 볼트를 모두 풀어내어도 볼트머리끼리 맞물리지 않을 수 있고, 만일 볼트를 길이가 더 긴 볼트로 교체한다고 하더라도 볼트의 작동 반경이 짧아서 작업자가 브라켓 설치 시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50%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볼트의 작동 반경이 짧아서 작업자가 브라켓 설치 시에 불편한 단점이 있고, 브라켓 제작 시 볼트 결합부의 길이가 길어지는 만큼 그 재료가 더 많이 필요하므로 경제성이 비교적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다른 측이 너트 형태의 볼트 결합부를 가지는 것은 볼트와 결합된 너트를 상기 볼트 결합부 방향으로 조여서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너트와 볼트 결합부 사이가 더 밀착되므로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키므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및 지지플레이트는 각각의 일 영역에 나사 홀이 형성되어 있어 서로 나사 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디스플레이 및 사용하는 자재의 기스를 저감하기 위하여 나사 볼트를 이용하여 벽면방향으로 조여주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나사 볼트는 몸통 길이가 상기 지지부 및 지지 플레이트의 두께를 합한 것 보다 길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설치 후에도 전선 작업이 용이하도록 중앙부가 뚫려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다른 영역에는 높이 조절부재와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나사 홀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의 나사 홀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재일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디스플레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의 나사 홀과 나사 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상기 높이 조절부재와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맞닿는 일 측에 위치한 나사 홀에 나사 볼트와 너트를 결합하는 것으로 체결할 수 있으며, 상기 일 측에 위치한 나사 홀이 복수 개인 경우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수의 나사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여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측단면이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부재에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 볼트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나사 볼트가 외부로 돌출된 부분의 양면에 상기 높이 조절부재의 돌출된 면이 위치하도록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ㄷ'자의 형상을 가진다. 이로써 상기 나사 볼트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하여 작업 시에 작업자가 다치거나, 고가의 디스플레이가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높이 조절부재에 결합된 나사 볼트의 길이는 체결된 후에 높이 조절부재의 ㄷ자 형상 중 상기 양면의 길이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나사 볼트를 체결할 때에는 볼트 및 너트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와셔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와셔는 볼트와 너트 사이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것으로, 높이 조절부재 등의 자재와 너트와의 접촉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너트의 풀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브라켓의 상기 벽면 고정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평조절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볼트는 건축물 벽면에 매립된 매립형 전선박스의 수평이 맞지 않거나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브라켓을 수평하게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볼트는 볼트 결합부의 양 일 측에 나란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벽면 고정부가 매립형 전선박스와 닿는 면 방향으로 상기 수평조절볼트의 몸통 단부가 위치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상기 수평조절볼트의 볼트머리가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매립형 전선 박스의 내면에 굴곡 등이 있어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에 브라켓의 상기 벽면 고정부의 양 일 측에 위치한 상기 수평조절볼트를 매립형 전선박스 방향으로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상기 수평조절볼트의 몸통 단부가 매립형 전선 박스 내면의 모양에 맞춰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이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미세하게 수평을 맞춰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을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도면 및 도면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100)는 한 쌍의 브라켓(20)이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먼저 하나의 브라켓(20)은 벽면 고정부(22)와 지지부(24)로 구성되어 있다. 벽면 고정부는 일 측면에 볼트 결합부(30)를 포함하며, 볼트(40)가 상기 볼트 결합부(30)가 맞물려 결합하게 된다. 브라켓을 매립형 전선박스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밀착 접촉시킨 후 각 브라켓의 벽면 고정부(22)의 볼트 결합부(30)에 결합된 상기 볼트(40)를 풀어내고 각각의 볼트 머리(42, 44)가 서로 맞닿아 맞물리는 것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기 볼트(40)에 결합한 상태인 너트(46)를 상기 볼트 결합부(30) 방향으로 조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 머리 A(42), 볼트 머리B(44)는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볼트 머리 A(42)가 양각인 경우, 볼트 머리 B(44)는 음각으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하나의 볼트 머리가 음각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볼트머리가 상기 음각에 삽입되는 형태로 맞물리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볼트가 회전하며 체결되는 것에 용이하도록 상기 양각 및 음각은 원형, 반구형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립형 전선박스 내에서 볼트 머리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는 브라켓을 좌우로 움직여도 볼트끼리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단단하고 견고하게 디스플레이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볼트(40)는 너트(46)가 결합된 상태로 볼트 결합부(30)와 체결되며. 상기 너트(46)는 볼트 결합부(30)쪽으로 상기 너트(46)를 꽉 조이는 것으로 인하여 볼트(40)와 브라켓(20) 사이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너트(46)는 브라켓 한 쌍 중 하나에만 포함할 수도 있으나 고정장치의 고정력이 다소 부족할 수 있으므로 브라켓 한 쌍에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 결합부(30)는 도 1에서와 같이 일 측에서는 길이가 긴 원통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고정장치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다른 측에서는 너트 형태를 가져 상기 너트(46)를 상기 볼트 결합부(30) 방향으로 조여줄 때에 고정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브라켓(20)의 상기 벽면 고정부(22)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평조절볼트(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조절볼트(32)는 매립형 전선박스와 상기 벽면 고정부(22)가 맞닿는 방향으로 상기 수평조절볼트의 몸통 단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벽면 고정부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브라켓에 결합된 상기 수평조절볼트(3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그 개수를 증감할 수 있다. 다만, 2개 이상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100)는 건축물의 벽면에 위치한 매립형 전선박스에 브라켓(20) 한 쌍이 각각 상면과 하면에 밀착한 채로 볼트(40)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브라켓의 지지부(24)에는 지지 플레이트(50)가 체결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50)에는 디스플레이와의 전선 연결 작업이 용이한 크기의 홀 및 나사 홀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홀의 종류 및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지지부(24)와 체결되는 나사 홀은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홀일 수 있고, 높이 조절부재(60)와 체결되는 나사 홀은 상기 지지플레이트(5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홀일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매립형 전선박스의 크기가 다소 차이가 있어도 쉽게 고정장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신속히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의 지지부(24)와 지지 플레이트(50)가 체결될 때에는 디스플레이 및 사용하는 자재의 기스를 저감하기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이 나사 볼트를 벽면방향으로 조여주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나사 볼트는 몸통 길이가 상기 지지부 및 지지 플레이트의 두께를 합한 것 보다 길지 않아 건축물의 벽면에 손상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50) 상에는 상기 높이 조절부재(60)가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상기 높이 조절부재(60)는 한 쌍의 긴 막대 형태의 부재이며, 각각의 높이 조절부재(6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50)의 일 영역에 형성된 나사 홀에 나사 볼트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 조절부재(60)는 길이 방향으로 긴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시청하기 편한 높이로 쉽고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높이 조절부재(60)는 도 2에서와 같이 측단면이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높이 조절부재(60)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50)와 체결할 때에 도 2에서와 같이 나사 볼트의 몸통 단부가 개방된 방향으로 향하게 한 채로 너트를 결합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재(60)가 개방되며 돌출된 방향으로 나사 볼트도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나사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하여 작업 시에 작업자가 다치거나, 고가의 디스플레이가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재(60)에 결합된 나사 볼트의 길이는 체결된 후에 높이 조절부재의 'ㄷ'자 형상 중 개방되며 돌출된 면의 길이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상기 높이 조절부재(60)는 고정 플레이트(70)와 체결되며,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플레이트(70)는 디스플레이의 벽면 부착부재(80)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벽면 부착부재(80)가 디스플레이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가 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플레이트(70)는 단부가 도 3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다소 돌출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벽면 부착부재(80)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70)를 좌우로 삽입할 수 있고 삽입 후에 나사 등의 다른 고정장치가 없이도 분리되지 않도록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플레이트(70) 및 벽면 부착부재(80)의 체결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떤 방법으로도 체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부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플레이트(70)와 높이 조절부재(60)를 나사 볼트로 체결하여도 상기 나사 볼트가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단부의 높이보다 짧기 때문에 작업자가 나사 볼트로 인해 상처를 입거나 고가의 디스플레이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나사 볼트는 길이가 돌출된 면의 길이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상기 수평조절볼트(32)는 도 3에서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수평조절볼트(32)는 브라켓의 벽면 고정부(22)를 통과하도록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매립형 전선박스 방향으로 조여진다. 따라서 볼트머리(42,44)가 맞닿으며 브라켓이 매립형 전선박스에 고정된 후에 수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세밀하게 상기 브라켓의 수평을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벽면과 브라켓 간의 밀착력 및 결합력을 향상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의 설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a)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벽면에 형성된 매립형 전선박스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고, 건축물의 벽면과 지지부(24)가 밀착되도록 브라켓(20)을 각각 붙여준 다음 각각의 브라켓과 결합된 볼트(40)를 상기 볼트의 머리(42,44)가 맞닿을 때까지 풀어준다. 이 후 볼트 머리(42,44)가 서로 맞물리면 (b)와 같은 형태가 된다. 다음으로 볼트(40)와 체결되어있는 너트(46)를 브라켓의 벽면 고정부(22) 방향으로 조여주면 (c)와 같은 형태가 된다. 이로써 브라켓(20)의 설치는 완료되었고 벽면에 고정된 상기 브라켓의 지지부(24)에 지지 플레이트(50)를 나사 볼트로 체결하면 (d)의 형태가 된다. (e)와 같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50)는 높이 조절부재(60)와 나사 볼트에 의해 체결되고,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높이 조절부재(6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나사 볼트가 높이 조절부재(60)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부재(60)는 고정 플레이트(70)와 체결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 지지장치는 건축물의 벽면에 매립되어 있는 매립형 전선박스를 이용하여 타공없이 벽걸이 디스플레이를 거치할 수 있는 장점뿐만 아니라, 볼트 및 벽면 고정부, 지지부가 일체화된 브라켓 등으로 구성되어 종래와 비교하여 사용하는 부품이 간단하기 때문에 전반적인 자재비가 감축되고 나아가 각 부품에 대한 비용 또한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부품이 간단하고 설치가 편리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상승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브라켓 22: 벽면 고정부
24: 지지부 30: 볼트 결합부
32: 수평조절볼트 40: 볼트
42: 볼트 머리 A 44: 볼트 머리 B
46: 너트 50: 지지 플레이트
60: 높이 조절부재 70: 고정 플레이트
80: 벽면 부착부재 90: 디스플레이
100: 고정장치

Claims (6)

  1. 건축물의 벽면에 형성된 매립형 전선박스의 내벽 중 상면 및 하면에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고, 각각 벽면 고정부와 지지부로 구성된 한 쌍의 브라켓; 상기 한 쌍의 브라켓과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체결되며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재; 및 디스플레이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벽면 고정부는 법선 방향으로 형성된 볼트 결합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볼트 결합부는 너트가 몸체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가 각각 나사결합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볼트를 조여주거나 풀어주어 볼트가 서로 맞닿도록 한 후 각각의 볼트에 체결된 너트를 상기 볼트 결합부에 밀착되도록 조여주는 것으로 고정되는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어느 한 쪽의 볼트의 머리에 양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있고, 다른 한 쪽의 볼트의 머리에 음각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볼트 결합부는 어느 한쪽의 볼트 결합부가 길이가 긴 원통형태를 가지며, 다른 한쪽의 볼트 결합부가 너트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지지플레이트는 각각의 일 영역에 나사 홀이 형성되어 있어 서로 나사 볼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나사 볼트는 몸통 길이가 상기 지지부 및 지지 플레이트의 두께를 합한 것 보다 길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재는 디스플레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의 나사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단면이 디스플레이 방향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고정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수평조절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KR1020200169678A 2020-12-07 2020-12-07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KR102333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678A KR102333789B1 (ko) 2020-12-07 2020-12-07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678A KR102333789B1 (ko) 2020-12-07 2020-12-07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705A true KR20210029705A (ko) 2021-03-16
KR102333789B1 KR102333789B1 (ko) 2021-12-03

Family

ID=7522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678A KR102333789B1 (ko) 2020-12-07 2020-12-07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7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055B1 (ko) * 2021-12-31 2022-09-02 정종석 양방향 변동형 브래킷
KR102482474B1 (ko) * 2021-11-09 2022-12-28 권경록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KR20230067284A (ko) * 2021-11-09 2023-05-16 권경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KR102637892B1 (ko) * 2023-03-15 2024-02-19 주식회사 케이앤지씨씨 단자함용 거치대 고정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259B1 (ko) 2021-12-21 2022-11-25 (주)대우정보기술 디스플레이용 거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238A (ko) * 2018-01-12 2019-07-22 거창군 풀림방지볼트와 풀림방지판이 결합된 볼트풀림방지구조
KR102138285B1 (ko) * 2020-03-30 2020-07-28 김이성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 고정장치
KR102144115B1 (ko) * 2020-02-21 2020-08-12 김경호 매입형 전선박스용 벽걸이 거치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238A (ko) * 2018-01-12 2019-07-22 거창군 풀림방지볼트와 풀림방지판이 결합된 볼트풀림방지구조
KR102144115B1 (ko) * 2020-02-21 2020-08-12 김경호 매입형 전선박스용 벽걸이 거치대 고정장치
KR102138285B1 (ko) * 2020-03-30 2020-07-28 김이성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474B1 (ko) * 2021-11-09 2022-12-28 권경록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KR20230067284A (ko) * 2021-11-09 2023-05-16 권경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KR102440055B1 (ko) * 2021-12-31 2022-09-02 정종석 양방향 변동형 브래킷
KR102637892B1 (ko) * 2023-03-15 2024-02-19 주식회사 케이앤지씨씨 단자함용 거치대 고정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789B1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29705A (ko) 벽걸이 디스플레이 거치대용 고정장치
US7271336B2 (en) Adjustable mounting bracket assembly for mounting an electrical box
US7267314B1 (en) Monitor ceiling mount
US7481410B2 (en) Equipment security apparatus
US7726617B2 (en) Flat panel display mounting system
US7427051B2 (en) Snap clamp for mounting sprinkler
US5292092A (en) Retrofit bracket for wall mount speakers
US20050212958A1 (en) Mini-camera with an adjustable structure
KR10237232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JP4745844B2 (ja) 吊りボルト振れ止め装置
KR100849354B1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1867585B1 (ko) 벽 코너 설치용 안테나 설치브래킷
JP3152510U (ja) 薄型テレビ用転倒防止具
JP2009263923A (ja) 低床用金属床束
KR10261732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JP3428731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据付け装置
WO2001001033A1 (en) Fixture slide support with variations
JP3675069B2 (ja) 平面表示装置
CN211902299U (zh) 一种广播电视机顶盒固定装置
KR102533319B1 (ko)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KR200284279Y1 (ko) 텔레비젼지지대의 폭 조절장치
JP3526423B2 (ja) 仮囲い用パネルの取付金具
KR102536902B1 (ko) 벽걸이 티비용 브라켓 어셈블리
CN210424422U (zh) 连接支架
KR200359730Y1 (ko)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